김형태 (삽화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형태는 대한민국의 삽화가이자 게임 디렉터로, 1997년 만화 공모전 입상을 시작으로 게임 업계에서 활동했다. 소프트맥스에서 '창세기전 3' 및 '마그나카르타'의 캐릭터 디자인을 담당하며 이름을 알렸고, 2008년 엔씨소프트에 입사하여 '블레이드 & 소울'의 아트 디렉터를 맡았다. 2014년 자신의 회사 시프트업을 설립하여 '데스티니 차일드', '승리의 여신: 니케', '스텔라 블레이드' 등의 게임 개발에 참여했다. 일러스트집 'Oxide' 시리즈를 출간했으며, 2004년 대한민국 게임대상 캐릭터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캐릭터 디자이너 - 토리야마 아키라
토리야마 아키라는 《닥터 슬럼프》와 《드래곤볼》 등 인기 만화와 게임 시리즈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은 일본의 만화가이자 일러스트레이터로, 독특한 그림체와 유머, 액션 스토리텔링으로 쇼가쿠칸 만화상을 수상하고 일본 만화의 국제적 위상을 높였으며, 《드래곤 퀘스트》 시리즈 캐릭터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일본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캐릭터 디자이너 - 츠츠이 하지메
츠츠이 하지메는 1990년대부터 예술을 배우고 2000년 귀국 후 회화, 사진,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텍스타일 디자이너, 젓가락 브랜드 출시, 방송 출연 등 미술과 사업을 융합한 활동을 펼친 예술가이다. - 게임 원화가 - 아마노 요시타카
아마노 요시타카는 타츠노코 프로덕션에서 애니메이션 캐릭터 디자인을 담당하다 프리랜서로 독립하여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의 캐릭터 디자인으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은 일본의 삽화가이자 캐릭터 디자이너, 무대 디자이너이다. - 게임 원화가 - 니시다 아츠코
니시다 아츠코는 게임 프리크의 캐릭터 디자이너로, 포켓몬스터 시리즈의 피카츄, 이상해씨, 파이리, 꼬부기 등을 디자인했으며, 프리랜서로 활동하며 포켓몬 관련 디자인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 대한민국의 삽화가 - 고은
고은은 1958년 등단하여 《만인보》를 포함한 다수의 작품을 발표하고 민주화 운동과 남북한 작가 교류에 기여했으나, 2018년 성추문 논란으로 재평가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의 시인이자 소설가, 수필가, 사회 운동가이다. - 대한민국의 삽화가 - 안석주
안석주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삽화가, 만화가, 영화감독, 작사가로, 미술, 영화, 문학 등 다방면에서 활동하며 시사만화 연재와 영화감독으로 이름을 알렸으나, 친일 행적과 광복 후 우익 언론 활동, 〈우리의 소원〉 작사 등의 행적을 남겼다.
| 김형태 (삽화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김형태 |
| 본명 | 알 수 없음 |
| 출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 국적 | 대한민국 |
| 생년월일 | 1978년 2월 |
| 사망일 | 알 수 없음 |
| 직업 | 캐릭터 디자이너 일러스트레이터 게임 크리에이터 |
| 활동 기간 | 1998년 - 현재 |
| 웹사이트 | hyung-taekim.org |
| 대표작 | |
| 인물 정보 (원어) | |
| 한글 | 김형태 |
| 한자 | 金亨泰 |
| 로마자 표기 | Gim Hyeong-tae |
2. 경력
김형태는 1997년 학산문화사와 서울문화사 신인 만화 공모전에서 입상했다. 1998년 PC용 게임 "Tempest"의 엔딩 일러스트를 담당했고, 1999년 소프트맥스에 입사하여 『창세기전 3』의 3D 오프닝 비주얼 및 캐릭터 제작, 메인 캐릭터 디자인을 담당했다.
2000년 『창세기전 3 파트 2』, 2001년 『마그나카르타』의 메인 캐릭터 디자인 및 일러스트를 담당했다. 2001년 화집 『Oxide』를 출판했고, 2002년 소프트맥스 개발 1팀에서 캐릭터 파트를 담당했다. 2004년 PS2판 『마그나카르타』와 화집 『Oxide2x』 일본판이 발매되었다.
2005년 월간 아르카디아 3월호에 『철권 5』 일러스트, 『마그나카르타 앤솔로지 코믹』, 소설판 『마그나카르타』 상권 커버 일러스트를 담당했다. 울트라 점프 3월호 스페셜 미니 화집 『ULTRA GRAPHICS 2004 ULTIMATE EDITION』에 참여했다.
2008년 엔씨소프트(NCSOFT)에 입사하여 『블레이드 & 소울』 아트 디렉터를 맡았고, 2014년 [http://shiftup.co.kr 시프트업]을 창업했다. 2016년 『데스티니 차일드』, 2022년 『승리의 여신: 니케』, 2024년 『스텔라 블레이드』의 디렉터 및 메인 캐릭터 디자인을 담당했다.
2. 1. 초기 (1997년 ~ 2004년)
1997년 학산문화사와 서울문화사 신인 만화 공모전에서 입상하였다.[1] 대학 시절 만화가를 지망했으나, 휴학 후 게임 업계에 발을 들여 캐릭터 디자이너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1998년 PC용 게임 "Tempest"의 엔딩 파트 일러스트를 담당했다. 1999년 소프트맥스에 입사하여 '창세기전 3'의 3D 오프닝 비주얼 및 캐릭터 제작, 메인 캐릭터 디자인을 담당하며 게임 원화가로서의 경력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2000년 '창세기전 3 파트 2'의 메인 캐릭터 디자인 및 일러스트를 담당했다. 2001년 화집 'Oxide'를 출판하고, '마그나카르타'의 3D 캐릭터 제작, 메인 캐릭터 디자인 및 일러스트를 담당하며 독특한 화풍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2002년에는 소프트맥스 개발 1팀에서 캐릭터 파트를 담당했다.
2004년 PS2판 '마그나카르타'가 발매되었고, 김형태 화집 'Oxide2x'가 일본에서 발매되었다. 같은 해, 대한민국 게임대상에서 캐릭터상을 수상하며 대중적인 인지도를 얻었다.[2]
2. 2. 엔씨소프트 (2008년 ~ 2013년)
2008년 엔씨소프트(NCSOFT)에 입사하여 『블레이드 & 소울』의 아트 디렉터를 담당하였다.[1] 김형태는 게임의 전반적인 비주얼을 총괄했으며, 블레이드 & 소울은 그 특유의 화려하고 독특한 캐릭터 디자인과 그래픽으로 큰 인기를 얻었다.[1]2. 3. 시프트업 (2014년 ~ 현재)
2014년 자신의 회사인 [http://shiftup.co.kr 시프트업]을 창업하였다.[1] 2016년 데스티니 차일드의 디렉터 및 메인 캐릭터 디자인을 담당하였다.[1] 데스티니 차일드는 김형태의 개성이 뚜렷하게 드러나는 작품으로, 독특한 캐릭터와 일러스트로 화제를 모았다. 2022년 승리의 여신: 니케의 메인 캐릭터 디자인을 담당하였다.[1] 이 게임은 미려한 캐릭터 디자인과 뛰어난 라이브 2D 기술로 호평을 받았다. 2024년 스텔라 블레이드의 디렉터 및 메인 캐릭터 디자인을 담당하였다.[1] 스텔라 블레이드는 김형태의 첫 콘솔 게임 도전작으로, 높은 수준의 그래픽과 액션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3. 작품 목록
김형태는 다양한 게임 및 일러스트레이션 작업에 참여했다.
| 분야 | 제목 |
|---|---|
| 게임 | 더 워 오브 제네시스 III |
| 게임 | 마그나카르타 |
| 게임 | 마그나카르타 2 |
| 게임 | 블레이드 & 소울 |
| 게임 | 데스티니 차일드 |
| 게임 | 승리의 여신: 니케 |
| 게임 | 스텔라 블레이드 |
| 일러스트집 | OXIDE |
| 일러스트집 | OXIDE 2 Carta Numinous[2] |
| 일러스트집 | Oxide 2x |
| 삽화 | ばいばい、アース|안녕, 지구일본어 |
3. 1. 게임
- 더 워 오브 제네시스 III
- 마그나카르타
- 마그나카르타 2
- 블레이드 & 소울
- 데스티니 차일드
- 승리의 여신: 니케
- 스텔라 블레이드
3. 2. 일러스트집
3. 3. 삽화
ばいばい、アース|안녕, 지구일본어4. 수상 내역
5. 기타
아내는 일러스트레이터 KKUEM이다.
작품에서는 아래에서 올려보는 구도로 신체를 부분적으로 강조하여 그리는 경우가 많으며, 독특한 음영을 표현한 묘사는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일본의 일러스트레이터 무라타 렌지나 캡콤의 디자이너에게 영향을 받았으며, 일본 만화도 소장하고 있다. 일본어도 어느 정도 독해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작곡가 ESTi와는 20년 지기 친구이며, 데스티니 차일드의 게임 내 BGM은 ESTi가 담당했다.
참조
[1]
웹사이트
Information
http://www.hyung-tae[...]
2023-01-05
[2]
서적
OXIDE 2 Carta Numinous
2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