까인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까인찌는 레 주이 꼬가 1663년부터 1671년까지 사용한 베트남의 연호이다. 1662년 11월에 반카인에서 까인찌로 연호를 정하고, 1663년 정식으로 선포했다. 까인찌 9년에는 즈엉득으로 연호를 변경했다. 까인찌 연호 사용 기간은 막 왕조, 응우옌 주, 청나라, 동시대 일본의 간분 연호와 시기가 겹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까인찌 | |
---|---|
기본 정보 | |
국가 | 대월 |
별칭 | 후 레 왕조 |
수도 | 탕롱 |
공용어 | 베트남어 |
역사 | |
성립 | 1428년 |
멸망 | 1527년 |
정치 | |
정치 체제 | 군주제 |
국왕 | 레 태조 (초대) 레 공황 (마지막) |
기타 | |
통화 | 전 (쩐) |
2. 연대기
1662년 11월, 레 주이 꼬는 연호를 반카인(萬慶)에서 까인찌(景治)로 정하였다. 1663년 1월 1일(그레고리력 2월 8일)에 정식으로 까인찌 연호를 선포하고 개원하였다.[1][2][3][4]
1671년 음력 11월 19일(12월 19일) 레 주이 꼬는 연호를 즈엉득(陽德)으로 변경하였다.[5] 1672년 음력 1월 1일(1월 30일) 즈엉득으로 개원하였다.[6][7][3][4]
2. 1. 연호 제정
1662년 11월, 레 주이 꼬는 연호를 반카인(萬慶)에서 까인찌(景治)로 정하였다. 1663년 1월 1일(그레고리력 2월 8일)에 정식으로 까인찌 연호를 선포하고 개원하였다.[1][2][3][4]
2. 2. 연호 사용
11월에 연호를 '''까인찌'''(景治)로 정하고, 다음 해 1월 1일[1](1663년)에 개원하였다.[2][3][4]11월 19일[5](1671년)에 연호를 '''즈엉득'''(陽德)으로 정하고, 다음 해 1월 1일[6](1672년)에 개원하였다.[7][3][4]
2. 3. 연호 변경
1671년 음력 11월 19일(12월 19일) 레 주이 꼬는 연호를 즈엉득(陽德)으로 변경하였다.[5] 1672년 음력 1월 1일(1월 30일) 즈엉득으로 개원하였다.[6][7][3][4]3. 연대 대조표
(까오방 정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