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가수다 II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는 가수다 II》는 2012년에 방송된 음악 경연 프로그램이다. 12명의 가수가 A, B 두 조로 나뉘어 격주로 경연을 펼쳤으며, 각 조 상위 3명은 '이 달의 가수전', 하위 3명은 '고별 가수전'에 진출했다. '이 달의 가수전' 1위는 가왕전에 진출하고, '고별 가수전' 최하위는 탈락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초기에는 생방송과 문자 투표를 병행했으나, 이후 녹화 방송과 모니터 평가단 평가로 변경되었다. 최종 우승자는 더원이며, 시청률은 최고 9.9%에서 최저 3.8%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2년 텔레비전 시즌 - 더 챌린지: 배틀 오브 디 엑시스
《더 챌린지: 배틀 오브 디 엑시스》는 MTV의 리얼리티 쇼 《더 챌린지》의 한 시즌으로, 다양한 팀들이 챌린지 게임과 돔 게임을 통해 경쟁하며 조니 & 카밀라 팀이 최종 우승했으나 흑인 분장 논란이 있었다. - 2012년 텔레비전 시즌 - Show Me The Money (시즌 1)
Show Me The Money 시즌 1은 가리온, 더블 케이 등 8팀의 프로듀서가 참여하여 로꼬가 최종 우승을 차지한 대한민국의 힙합 서바이벌 프로그램이다. - 문화방송의 음악 프로그램 - MBC 창작동요제
MBC 창작동요제는 1983년부터 2010년까지 매년 개최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동요 경연대회로, 다양한 주제와 참신한 동요들이 출품되어 한국 동요의 역사와 사회상을 보여주며, 대학가요제, 강변가요제와 비견될 만큼 높은 인기를 얻어 수많은 유명 인사들이 참여하여 위상을 높였다. - 문화방송의 음악 프로그램 - MBC 강변가요제
MBC 강변가요제는 1979년 시작되어 1980년대까지 신인 가수들의 등용문으로 인기를 누렸으나 2001년 폐지, 2021년 부활하여 새로운 형식으로 이어지는 MBC의 대표적인 신인 가수 발굴 프로그램이다. - 나는 가수다 - 인순이
인순이는 한국인 어머니와 아프리카계 미국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나 희자매로 데뷔 후 솔로 가수로 성공했으며, 다양한 음악 활동과 사회적 기여로 대중과 소통하는 대한민국 가수이다. - 나는 가수다 - 박완규
박완규는 허스키한 음색으로 유명한 대한민국의 가수로, 밴드 부활의 5대 보컬로 데뷔하여 솔로 활동과 방송 출연을 거쳐 다시 부활에 합류하여 활동하고 있으며, 한국방송대상 가수 부문을 수상하기도 했다.
나는 가수다 II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방송명 | 우리들의 일밤 : 나는 가수다 Ⅱ |
원제 | Our Sunday Night : I Am a Singer Ⅱ |
시청 등급 | 15 |
장르 | 예능 |
방송 시간 | 일요일 저녁 6시 10분 ~ 저녁 7시 55분 (2012년 4월 29일 ~ 2012년 10월 14일) 일요일 오후 5시 ~ 저녁 6시 40분 (2012년 10월 21일 ~ 2012년 12월 30일) |
방송 분량 | 100분 |
방송 기간 | 2012년 4월 29일 ~ 12월 30일 |
방송 횟수 | 35부작 |
방송 시즌 | 2 |
방송 채널 | MBC TV |
추가 편성 | MBC Music MBC LIFE |
기획 | 김영희 |
프로듀서 | 김영희 |
연출 | 박석원 |
조연출 | 김남호, 김선영, 이경원, 전 세계 조주연, 김미정, 오은샘 |
각본 | 여현전, 이언주, 이경희, 신정희 윤알음, 김주희, 박미르내 |
음성 | 2채널 스테레오 사운드(아날로그)¹ 2채널 돌비 디지털(디지털) |
자막 | 폐쇄 자막 방송 |
고화질 방송 여부 | HD 제작 · 방송 HD 생방송 |
외부 링크 | MBC 우리들의 일밤 홈페이지 |
비고 | 아날로그 방송은 2012년 12월 31일 새벽 4시 종료되었다. |
전편 | 나는 가수다 1 |
후편 | 나는 가수다 3 |
출연진 | |
가수 | 이은미, 김연우, 이수영, 정엽 백두산, 이영현, 박완규, 박미경 JK 김동욱, 박상민, 정인, 김건모 국카스텐, 한영애, 소향, 서문탁 변진섭, 윤하, 카이, 더원 소찬휘, 시나위, 이정, 조장혁 |
진행자 | 이은미, 정진영, 박명수, 노홍철, 박은지 |
2. 경연 규칙
《나는 가수다 II》는 12명의 가수가 6명씩 A조와 B조로 나뉘어 격주로 경연을 펼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매달 첫째 주와 둘째 주에는 각 조의 경연이 진행되며, 상위 3명은 '이 달의 가수전', 하위 3명은 '고별 가수전'에 진출한다.[1] '이 달의 가수전'에서 1위를 한 가수는 가왕전에 진출하고 명예 하차하며, '고별 가수전'에서 최하위를 기록한 가수는 탈락한다.[1]
초기에는 생방송 경연과 문자 투표 방식이 도입되었으나, 음향 문제와 공정성 논란으로 인해 6월 경연부터는 경연은 녹화 방송, 결과 발표는 생방송으로 진행되었다. 7월 경연부터는 결과 발표도 생방송으로 진행하지 않고, 모니터 평가단을 통해 결과를 발표한다.[1]
2. 1. 청중 평가단
청중 평가단은 현장 평가단 500명과 모니터 평가단 500명으로 구성된다.[1] 현장 평가단은 경연 당일 현장에서 투표하며, 모니터 평가단은 모니터를 통해 경연을 시청하고 평가한다.[1]3. 경연 결과
가수명[1] | 경연 결과 방송일 | ||||||||||||||||
---|---|---|---|---|---|---|---|---|---|---|---|---|---|---|---|---|---|
2012년 | |||||||||||||||||
4/29 "선호도 조사" 경연 | 5/06 "A조" 경연 | 5/13 "B조" 경연 | 5/20 "고별" 가수전 | 5/27 "5월"의 가수전 | 6/03 "A조" 경연 | 6/10 "B조" 경연 | 6/17 "고별" 가수전 | 6/24 "6월"의 가수전 | 7/01 "A조" 경연 | 7/08 "B조" 경연 | 7/15 "고별" 가수전 | 7/22 "7월"의 가수전 | 8/05 "A조" 경연 | 8/12 "B조" 경연 | 8/19 "8월"의 가수전[2] | 8/26 "고별" 가수전 | |
김건모 | 통과 | 상위권 | 통과 | 하위권 | 통과 | 하위권 | 통과 | 상위권 | 하차[3] | ||||||||
김연우 | 통과 | 상위권 | 통과 | 하위권 | 통과 | 상위권 | 통과 | 하위권 | 통과 | ||||||||
박미경 | 통과 | 하위권 | 통과 | 하위권 | 고별 가수 | ||||||||||||
박상민 | 통과 | 하위권 | 감동가수 | 상위권 | 통과 | 하위권 | 통과 | 상위권 | 통과 | ||||||||
박완규 | 통과 | 감동가수 | 5월의 가수 | ||||||||||||||
백두산 | 통과 | 하위권 | 고별 가수 | ||||||||||||||
이수영 | 통과 | 감동가수 | 통과 | 상위권 | 통과 | 하위권 | 고별 가수 | ||||||||||
이영현 | 1위 | 하위권 | 통과 | 하위권 | 감동가수 | 상위권 | 통과 | 상위권 | 통과 | ||||||||
이은미 | 통과 | 상위권 | 통과 | 감동가수 | 통과 | 감동가수 | 7월의 가수 | ||||||||||
정엽 | 통과 | 하위권 | 통과 | 상위권 | 통과 | 하위권 | 통과 | 하위권 | 통과 | ||||||||
정인 | 통과 | 하위권 | 통과 | 하위권 | 통과 | 하위권 | 하차[4] | ||||||||||
JK 김동욱 | 통과 | 상위권 | 통과 | 상위권 | 6월의 가수 | ||||||||||||
국카스텐 | 감동가수 | 통과 | 상위권 | 통과 | 하위권 | 통과 | |||||||||||
한영애 | 하위권 | 통과 | 상위권 | 통과 | 하위권 | 감동가수 | |||||||||||
서문탁 | 하위권 | 감동가수 | 하위권 | 통과 | |||||||||||||
소향 | 감동가수 | 통과 | 감동가수 | 8월의 가수 | |||||||||||||
카이 | 하위권 | 고별 가수 | |||||||||||||||
변진섭 | 감동가수 | 통과 | |||||||||||||||
윤하 | 상위권 | 통과 | |||||||||||||||
가수명 | 9/09 "A조" 경연 | 9/16 "B조" 경연 | 9/23 "고별" 가수전 | 9/30 "9월"의 가수전 | 10/07 "A조" 경연 | 10/14 "B조" 경연 | 10/21 "고별" 가수전 | 10/28 "10월"의 가수전 | 11/04 "A,B조" 경연 | 11/11 "11월"의 가수전 | |||||||
김연우 | 상위권 | 통과 | 하위권 | 통과 | 상위권 | 명예 졸업[5] | |||||||||||
박상민 | 하위권 | 통과 | 하위권 | 통과 | 명예졸업[6] | ||||||||||||
이영현 | 감동가수 | 통과 | 상위권 | 통과 | 감동가수 | 명예 졸업[5] | |||||||||||
정엽 | 하위권 | 고별 가수 | |||||||||||||||
국카스텐 | 상위권 | 통과 | 감동가수 | 10월의 가수 | |||||||||||||
한영애 | 하위권 | 통과 | 하위권 | 통과 | 하차[7] | ||||||||||||
서문탁 | 하위권 | 통과 | 감동가수 | 통과 | 상위권 | 11월의 가수 | |||||||||||
변진섭 | 하위권 | 통과 | 하위권 | 감동가수 | 하차[7] | ||||||||||||
윤하 | 상위권 | 통과 | 상위권 | 통과 | 상위권 | 하차[8] | |||||||||||
더원 | 감동가수 | 9월의 가수 | |||||||||||||||
소찬휘 | 상위권 | 통과 | 하위권 | 고별 가수 | |||||||||||||
시나위 | 하위권 | 감동가수 | 상위권 | 통과 | 상위권 | 하차[8] | |||||||||||
이정 | 상위권 | 통과 | 상위권 | 하차[8] | |||||||||||||
조장혁 | 하위권 | 통과 | 하차[7] |
4. 새 가수 초대전
새 가수 초대전은 새로운 가수를 선발하기 위한 경연이다. 12명의 가수(팀)가 A조와 B조로 나뉘어 경연을 펼치며, 각 조에서 1위를 한 가수가 《나는 가수다 II》에 합류한다.[9]
가수명 | A조 경연 (2012/09/02) | B조 경연 (2012/09/02) |
---|---|---|
유리 | 하위권 | |
고유진 | 하위권 | |
어반 자카파 | 상위권 | |
게이트 플라워즈 | 상위권 | |
지영선 | 하위권 | |
더 원 | 9월의 새가수 | |
소찬휘 | 9월의 새가수 | |
박희수 | 하위권 | |
타루 | 하위권 | |
빨간 우체통 | 하위권 | |
리사 | 상위권 | |
조장혁 | 상위권 |
5. 올해의 가왕전
가왕전은 매달 '이 달의 가수'로 선정된 가수들이 참여하는 최종 경연이다. 서바이벌 방식으로 진행되며, 매주 한 팀씩 탈락하여 최후의 1인(팀)이 '올해의 가왕'으로 선정된다.[1]
가수 | 슈퍼 디셈버 2012 가왕전 | |||||||
---|---|---|---|---|---|---|---|---|
11월 18일 | 11월 25일 | 12월 2일 | 12월 9일 | 12월 16일 | 12월 23일 | 12월 30일 | ||
가왕전 개막제 | 7강전 | 6강전 | 5강전 | 4강전 | 세미 파이널 | 파이널 | ||
5월의 가수 | 박완규 | 6위 | 통과 | 통과 | 탈락 | |||
6월의 가수 | JK 김동욱 | 3위 | 탈락 | |||||
7월의 가수 | 이은미 | 5위 | 통과 | 1위 | 1위 | 통과 | 1위 | 준우승 |
8월의 가수 | 소향 | 2위 | 2위 | 2위 | 통과 | 1위 | 탈락 | |
9월의 가수 | 더원 | 1위[10] | 통과 | 통과 | 통과 | 통과 | 2위 | 2012 가왕 |
10월의 가수 | 국카스텐 | 4위 | 1위 | 통과 | 통과 | 탈락 | ||
11월의 가수 | 서문탁 | 7위 | 통과 | 탈락 |
6. 논란
나는 가수다 II영어는 1기와 다르게 7명의 가수에서 12명의 가수로 대폭 늘어났다. 또한 6명씩 조를 이루어 격주로 경연을 하며 기존의 1기에 있었던 순위 논란과 스포일러 논란을 잠재우기 위해 첫 방영이 되었던 5월의 가수전은 생방송으로 진행되었다. 그러나 가수들이 극도로 긴장하였으며 음향이나 영상미가 녹화방송보다 질이 좋지 않아 많은 질타를 받았다. 이에 6월 경연부터는 경연은 녹화방송으로, 시청자 투표 후 결과 발표는 생방송으로 진행이 되고 있다. 평가 방식도 달라져, 현장 평가단과 시청자들의 문자 투표로 이루어지는 재택 평가단의 평가를 합산하여 논란을 잠재우겠다는 것이었다.
한편 경연 방식에서 A조, B조로 나뉘어질 때 조별 인원이 6명인 것에 대해 호불호 양론이 극심하게 갈라지기도 했었다. 애초 프로그램 제목이 '나는 7ㅏ수다'임에도 불구하고 경연을 벌이는 가수는 6명이고, 그렇게 되면 원체 14명이서 각각 다른 조로 쪼개져야 정상이 아니겠냐고 주장하는 여론과, 섭외력 한계로 인해서 어쩔 수 없이 조별로 6명씩 겨루는 것이라고 생각하면서 제작진의 의도를 이해하는 여론으로 갈라진 것이다.
7. 시청률
AGB영어닐슨 미디어 리서치에서 공개한 표를 바탕으로 작성한 시청률이다. 빨간색 글씨는 최고 시청률, 파란색 글씨는 최저 시청률을 나타낸다.
회차 | 방송일 | AGB영어닐슨 전국 시청률 |
---|---|---|
제1회 | 2012년 4월 29일 | 8.2% |
제2회 | 2012년 5월 6일 | 9.9% |
제3회 | 2012년 5월 13일 | 8.0% |
제4회 | 2012년 5월 20일 | 6.6% |
제5회 | 2012년 5월 27일 | 5.6% |
제6회 | 2012년 6월 3일 | 5.9% |
제7회 | 2012년 6월 10일 | 6.5% |
제8회 | 2012년 6월 17일 | 5.7% |
제9회 | 2012년 6월 24일 | 5.5% |
제10회 | 2012년 7월 1일 | 6.2% |
제11회 | 2012년 7월 8일 | 6.5% |
제12회 | 2012년 7월 15일 | 6.4% |
제13회 | 2012년 7월 22일 | 6.1% |
제14회 | 2012년 8월 5일 | 5.6% |
제15회 | 2012년 8월 12일 | 6.1% |
제16회 | 2012년 8월 19일 | 5.9% |
제17회 | 2012년 8월 26일 | 4.6% |
제18회 | 2012년 9월 2일 | 5.6% |
제19회 | 2012년 9월 9일 | 5.1% |
제20회 | 2012년 9월 16일 | 6.4% |
제21회 | 2012년 9월 23일 | 5.5% |
제22회 | 2012년 9월 30일 | 4.2% |
제23회 | 2012년 10월 7일 | 5.8% |
제24회 | 2012년 10월 14일 | 5.2% |
제25회 | 2012년 10월 21일 | 3.8% |
제26회 | 2012년 10월 28일 | 5.0% |
제27회 | 2012년 11월 4일 | 4.8% |
제28회 | 2012년 11월 11일 | 4.9% |
제29회 | 2012년 11월 18일 | 5.2% |
제30회 | 2012년 11월 25일 | 5.5% |
제31회 | 2012년 12월 2일 | 4.9% |
제32회 | 2012년 12월 9일 | 7.1% |
제33회 | 2012년 12월 16일 | 5.4% |
제34회 | 2012년 12월 23일 | 4.9% |
제35회 | 2012년 12월 30일 | 5.5% |
8. 경쟁 프로그램
참조
[1]
정보
출연순서 → 가나다순 나열
[2]
정보
매달 세 번째 주에 고별 가수전을 진행하고 네 번째 주에 이달의 가수전을 진행하나, 8월의 가수전의 경우 그 경연을 참여하게 된 가수의 스케줄 문제로 한 주 앞당겨졌다.
[3]
정보
김건모는 경연 전날 콘서트 후, 컨디션 난조로 인해 부득이하게 경연에 불참하였다. 당초 9월 경연에는 정상적으로 참여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9월의 새가수 초대전을 통해 선발된 두 팀 외에 시나위의 참가가 공식 발표되면서 김건모는 자진하차임이 확정되었다.
[4]
정보
정인은 이 무대에서 곡의 첫 소절에서 가사를 틀리는 실수를 하였다. 그러자 정인은 곡을 중단하고 다시 시작했는데, 경연 후 제작진 회의 결과 가수 본인이 임의로 무대를 중단한 경우에는 실격 처리가 된다는 룰이 적용되어 하차하게 되었다.
[5]
정보
나는 가수다 2 시작 이후로 14번의 경연에서 살아남아 명예졸업을 했다.
[6]
정보
나는 가수다 2 시작 이후로 13번의 경연에서 살아남아 명예졸업을 했다.
[7]
정보
나는 가수다 2의 마지막 예선전이 끝나면서 자동으로 하차하게 되었다.
[8]
정보
나는 가수다 2의 마지막 이달의 가수전이 끝나면서 자동으로 하차하게 되었다.
[9]
정보
출연순서 → 경연순서순 나열
[10]
정보
나는 가수다 시즌 1, 시즌 2를 통틀어 최초로 4연속 1위를 하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