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데즈다 치조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데즈다 치조바는 소련의 육상 선수로, 포환던지기 선수로 활동했다. 1945년 러시아에서 태어난 치조바는 196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 중반까지 여자 포환던지기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1972년 뮌헨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선수 경력의 정점을 찍었고, 1968년부터 1973년까지 여자 포환던지기 세계 기록을 7차례 경신했다.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에서 은메달을 획득한 후 은퇴했으며, 이후 육상 코치로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5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육상 참가 선수 - 무로후시 시게노부
    무로후시 시게노부는 "아시아의 철인"으로 불리며 아시안 게임 5연패와 일본 육상 선수권 대회 10연패 등의 업적을 남긴 일본의 해머던지기 선수이자 지도자로, 은퇴 후 주쿄 대학 교수로 재직하며 아들 무로후시 고지를 비롯한 후진을 양성하고 "쓰러짐" 투척폼 개발로 올림픽 금메달 획득에 기여했다.
  • 1970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육상 참가 선수 - 무로후시 시게노부
    무로후시 시게노부는 "아시아의 철인"으로 불리며 아시안 게임 5연패와 일본 육상 선수권 대회 10연패 등의 업적을 남긴 일본의 해머던지기 선수이자 지도자로, 은퇴 후 주쿄 대학 교수로 재직하며 아들 무로후시 고지를 비롯한 후진을 양성하고 "쓰러짐" 투척폼 개발로 올림픽 금메달 획득에 기여했다.
  • 1970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육상 참가 선수 - 백옥자
    대한민국의 육상 및 수영 선수인 백옥자는 1964년 도쿄 올림픽 여자 포환던지기에서 개인 최고 기록을 세웠고, 1962년 전국체육대회 육상 800m 우승과 1970년대 초 수영 자유형 및 접영 한국 신기록을 보유했으며, 1972년 뮌헨 올림픽 국가대표 후보로 거론되었다.
  • 소련의 여자 포환던지기 선수 - 타마라 프레스
    타마라 프레스는 우크라이나 출신의 육상 선수로, 1960년 로마 올림픽에서 포환던지기 금메달과 원반던지기 은메달을, 1964년 도쿄 올림픽에서 두 종목 모두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은퇴 후 육상 코치와 저술가로 활동했다.
  • 소련의 여자 포환던지기 선수 - 갈리나 지비나
    갈리나 지비나는 소련의 육상 선수로 포환던지기, 원반던지기, 창던지기 종목에서 활약했으며, 올림픽에서 금메달 1개, 은메달 1개, 동메달 2개를 획득했다.
나데즈다 치조바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나데즈다 치조바 (1968년)
이름 (러시아어)Надежда Владимировна Чижова
로마자 표기Nadezhda Vladimirovna Chizhova
출생일1945년 9월 29일
출생지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이르쿠츠크 주 우솔리예시비르스코예
신장1.74 미터
체중90 킬로그램
스포츠 경력
종목육상
세부 종목포환던지기
클럽스파르타크 상트페테르부르크
코치빅토르 알렉세예프
개인 최고 기록21.45 미터 (1973년)
모교(정보 없음)
올림픽 성적
1968년 멕시코 시티동메달
1972년 뮌헨금메달
1976년 몬트리올은메달
유럽 선수권 대회 성적
1966년 부다페스트금메달
1969년 아테네금메달
1971년 헬싱키금메달
1974년 로마금메달
유럽 실내 선수권 대회 성적
1966년 도르트문트동메달
1967년 프라하금메달
1968년 마드리드금메달
1970년 빈금메달
1971년 소피아금메달
1972년 그르노블금메달
1974년 예테보리은메달
하계 유니버시아드 성적
1965년 부다페스트은메달
1970년 토리노금메달
1973년 모스크바금메달

2. 생애

나데즈다 치조바는 4남매 중 넷째였으며, 4세 때 아버지를 여의었다. 16세에 포환던지기를 시작했다. 지역 의과대학을 졸업한 후, 1963년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이주하여 빅토르 알렉세예프 코치에게 훈련을 받았다.[2] 2년 후 포환던지기와 원반던지기에서 유럽 주니어 타이틀을 획득했고, 1966년에는 포환던지기에서 유럽 선수권 대회 우승을 차지했다.[2]

1966년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 포환던지기에서 우승하며 성인 무대에서도 두각을 나타냈다.[2] 1968년까지 세계 기록 보유자였고 올림픽 금메달 유력 후보였으나,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 훈련 중 무릎 부상으로 동메달에 머물렀다.[2] 회복 후 1969년과 1971년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고, 1972년 뮌헨 올림픽에서 금메달,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에서는 은메달을 획득했다.[2]

연도대회개최지종목결과기록
1965유니버시아드부다페스트(헝가리)포환던지기은메달17.27m
1966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부다페스트(헝가리)포환던지기금메달17.22m
1968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 육상멕시코시티(멕시코)포환던지기동메달18.19m
1969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아테네(그리스)포환던지기금메달20.43m
1970유니버시아드토리노(이탈리아)포환던지기금메달19.51m
1971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헬싱키(핀란드)포환던지기금메달20.16m
19721972년 뮌헨 올림픽 육상뮌헨(서독)포환던지기금메달21.03m
1973유니버시아드모스크바(소비에트 연방)포환던지기금메달20.82m
1974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로마(이탈리아)포환던지기금메달20.78m
1976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육상몬트리올(캐나다)포환던지기은메달20.96m



1976년 올림픽 은메달 이후, 1977년에 은퇴했다. 은퇴 이유는 동기 부여 약화와 빅토르 알렉세예프 코치의 사망(1977년)이었다.[2] 은퇴 후 딸을 낳았고, 오랫동안 육상 코치로 활동했다.

2. 1. 어린 시절과 선수 경력 초기

나데즈다 치조바는 4남매 중 넷째였으며, 4세 때 아버지를 여의었다. 16세에 포환던지기를 시작했다. 지역 의과대학을 졸업한 후, 1963년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이주하여 타마라 프레스, 갈리나 지비나, 타마라 티시케비치와 같은 소련 최고의 포환던지기 선수들을 길러낸 빅토르 알렉세예프 코치에게 훈련을 받았다.[2] 2년 후, 포환던지기와 원반던지기에서 유럽 주니어 타이틀을 획득했고, 1966년에는 포환던지기에서 유럽 선수권 대회 우승을 차지했다.[2]

2. 2. 전성기

치조바는 1966년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 포환던지기에서 우승하며 성인 무대에서도 두각을 나타냈다.[2] 1968년까지 세계 기록 보유자였고 올림픽 금메달 유력 후보였으나,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 훈련 중 무릎 부상으로 동메달에 머물렀다.[2] 회복 후 1969년과 1971년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고, 1972년 뮌헨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2] 1976년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에서는 은메달을 획득했다.[2]

연도대회개최지종목결과기록
1965유니버시아드부다페스트(헝가리)포환던지기은메달17.27m
1966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부다페스트(헝가리)포환던지기금메달17.22m
1968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 육상멕시코시티(멕시코)포환던지기동메달18.19m
1969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아테네(그리스)포환던지기금메달20.43m
1970유니버시아드토리노(이탈리아)포환던지기금메달19.51m
1971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헬싱키(핀란드)포환던지기금메달20.16m
19721972년 뮌헨 올림픽 육상뮌헨(서독)포환던지기금메달21.03m
1973유니버시아드모스크바(소비에트 연방)포환던지기금메달20.82m
1974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로마(이탈리아)포환던지기금메달20.78m
1976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육상몬트리올(캐나다)포환던지기은메달20.96m


2. 3. 은퇴 이후

1976년 올림픽에서 은메달을 획득한 후, 1977년에 은퇴했다. 은퇴 이유는 동기 부여 약화와 코치 빅토르 알렉세예프의 사망(1977년)이었다.[2] 은퇴 후 딸을 낳았고, 오랫동안 육상 코치로 활동했다. 그녀의 제자 중 한 명인 라리사 펠레셴코는 2000년 올림픽 포환던지기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2]

3. 세계 기록

나데즈다 치조바는 1968년부터 1973년까지 총 7차례에 걸쳐 여자 포환던지기 세계 기록을 경신했다.[1]

기록날짜장소
16.6m1964년세계 주니어 기록
18.67m1968년 4월 28일소치
19.72m1969년 5월 30일모스크바
20.09m1969년 7월 13일호주프
20.43m1969년 9월 16일아테네
20.63m1972년 5월 19일소치
21.03m1972년 9월 7일뮌헨
21.2m1973년 8월 28일리비우



치조바의 마지막 세계 기록(21.2m)은 1974년 9월 21일 헬레나 피빈게로바(체코슬로바키아)가 21.57m를 기록할 때까지 유지되었다.[1]

4. 주요 대회 성적

연도대회개최지종목결과기록
1965유니버시아드부다페스트 (헝가리)포환던지기17.27m
1966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부다페스트 (헝가리)포환던지기17.22m
1968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 육상멕시코시티 (멕시코)포환던지기18.19m
1969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아테네 (그리스)포환던지기20.43m
1970유니버시아드토리노 (이탈리아)포환던지기19.51m
1971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헬싱키 (핀란드)포환던지기20.16m
19721972년 뮌헨 올림픽 육상뮌헨 (서독)포환던지기21.03m
1973유니버시아드모스크바 (소비에트 연방)포환던지기20.82m
1974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로마 (이탈리아)포환던지기20.78m
1976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육상몬트리올 (캐나다)포환던지기20.96m


참조

[1] 웹사이트 Nadezhda Chizhova https://web.archive.[...]
[2] 뉴스 Ядерная Надежда. Обладательнице полного комплекта олимпийских наград Чижовой — 75 https://tass.ru/spor[...] tass.ru 2020-09-29
[3] 웹사이트 나데즈다 치조바 http://www.sports-re[...] 2012-11-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