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도바랭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도바랭이는 미국, 멕시코, 페루 등 아메리카가 원산지인 억센 풀이다. 유라시아, 아프리카, 아메리카 대륙 일부를 포함한 세계의 따뜻한 온대, 아열대, 열대 기후 지역에서 자생하며, 하와이, 호주, 카나리아 제도를 포함한 다른 많은 지역에서도 귀화 종으로 존재한다. 높이 20~50cm까지 자라며, 도로변, 철도와 같은 교란된 지역과 경작지 등 다양한 서식지에서 자란다. 한국에서는 인천, 대구, 전라남도 영광 등의 공터에서 서식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97년 기재된 식물 - 여로과
    여로과는 백합목에 속하며 17개의 속과 173종을 포함하고, 5개의 족으로 분류되며, Parideae 족은 잎이 돌려나고 꽃덮이 구별이 있는 특징을 보인다.
  • 1797년 기재된 식물 - 끈끈이귀개
    끈끈이귀개는 잎에서 끈끈한 액체를 분비해 곤충을 잡는 여러해살이 식충식물로, 한국, 호주, 동남아 등지에 분포하며 관상용으로 재배되지만 서식지 파괴로 개체 수가 감소하여 보호받고 있다.
  • 우산잔디족 - 나도바랭이속
    나도바랭이속은 53종이 인정되는 식물 속이며, 과거에는 나도바랭이속으로 분류되었던 일부 종들이 현재 다른 속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 우산잔디족 - 갯드렁새속
    갯드렁새속은 벼과에 속하며 갯드렁새와 D. gigantea 2종을 포함하지만, 과거에는 100종 이상이 속한다고 여겨졌으나 현재는 다른 속으로 분류된다.
  • 남아메리카의 식물상 - 퀴노아
    퀴노아는 남아메리카 안데스 산맥 원산의 곡물로, 고단백질, 낮은 나트륨과 글루텐 함량으로 건강식품으로 인정받아 FAO에 의해 '세계 퀴노아의 해'로 지정될 만큼 영양적 가치가 높지만, 수요 증가에 따른 가격 및 환경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 남아메리카의 식물상 - 부들속
    부들속은 물 또는 반수생 여러해살이풀로 뿌리줄기를 가지며, 암수한그루이고, 바람에 의해 씨앗이 퍼져나가며, 습지 생태계에서 우점종으로 작용하며 식용, 건축 자재, 제지, 섬유, 바이오 연료 생산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나도바랭이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나도바랭이
나도바랭이
학명Chloris virgata Sw. 1797
이명Chloris elegans Kunth
분류
식물계
미분류 문속씨식물군
미분류 강외떡잎식물군
미분류 목닭의장풀군
벼목
벼과
미분류PACMAD 분지군
아과나도바랭이아과
우산잔디족
나도바랭이속
나도바랭이

2. 분포

아메리카가 원산지로, 미국, 멕시코, 페루 등지에 분포한다. 이후 아프리카, 아시아, 호주 등으로 퍼져나갔다.[9] 하와이, 호주, 카나리아 제도를 포함한 다른 많은 지역에서도 귀화 종으로 존재한다.[6]

2. 1. 한국 내 분포

아메리카 원산으로, 아프리카, 아시아, 호주로 퍼져 분포한다.[9] 한국에서는 인천, 대구, 전라남도 영광 등의 공터에서 서식한다.[10]

3. 생김새

나도바랭이는 키가 최대 약 50cm까지 자라는 1년생 풀이다. 때로는 덤불을 형성하며, 포복경을 통해 퍼질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꽃차례는 최대 10cm 길이의 손가락 모양 가지가 4~20개 배열된 형태이다.[8][11][10]

3. 1. 줄기

높이는 20~50센티미터쯤 되며[8] 뭉쳐난다. 4-6개의 마디가 있고, 아래쪽에서 구부러진다. 옆으로 누운 마디에서 뿌리를 내린다.[11] 약간 판판하다.[10] 때로는 덤불을 형성하며, 포복경을 통해 퍼질 수도 있다.

3. 2. 잎

잎은 길이가 5~25센티미터이고, 너비는 4mm~7mm이다. 잎은 가운데 있는 잎맥을 따라 둘로 접힌다.[11] 엽설은 0.5~1센티미터쯤 되며, 가장자리에 가늘고 짧은 털이 난다. 잎몸 표면은 까끌거린다.[10]

3. 3. 꽃차례

최대 10cm 길이의 손가락 모양 가지가 4~20개 배열된 형태가 꽃차례이다. 각 가지에는 대략 1cm당 10개의 작은 이삭이 있다. 각 작은 이삭은 하나의 유효한 작은 꽃과 한두 개의 불임 작은 꽃을 가지고 있다.

참조

[1] 간행물 Kunth Nov. Gen. Sp. (quarto ed.) 1: 166–167, t. 49 1815
[2] 웹사이트 The Plant list_A Working list of all plant species http://www.theplantl[...]
[3] 간행물 Roberty Petite Fl. l'Ouest-Afr. 1954
[4] PLANTS 2016-01-17
[5] BSBI 2014-10-17
[6] GRIN 2018-01-12
[7] Grass Manual Treatment Grass Manual Treatment http://herbarium.usu[...]
[8] 웹인용 나도바랭이 http://www.nature.go[...] 2018-10-23
[9] 웹인용 Chloris virgata Sw. http://www.plantsoft[...] 큐 왕립식물원 2018-10-23
[10] 서적 벼과·사초과 생태도감 지오북 2018-10-23
[11] 웹인용 나도바랭이 https://web.archive.[...] 2018-10-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