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르메르 팔레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르메르 팔레트는 약 63cm 높이의 방패 모양 의식용 팔레트로, 이집트 선왕조 시대에 제작되었다. 암회색 실트스톤으로 조각되었으며, 양면에는 나르메르 왕의 업적을 묘사하는 부조가 새겨져 있다. 팔레트에는 상이집트와 하이집트의 통일을 상징하는 이미지와 함께, 왕의 권위를 나타내는 상징들이 등장한다. 학계에서는 팔레트의 역사적 의미와 기록된 사건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존재하며, 대중문화에서도 소재로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쟁 미술 - 전쟁의 참화
    《전쟁의 참화》는 프란시스코 고야가 나폴레옹의 스페인 침공과 그 이후의 혼란스러운 시대를 묘사한 판화 연작으로, 전쟁의 참혹함과 인간의 폭력성을 사실적이고 상징적인 방식으로 표현한다.
  • 전쟁 미술 - 빈사의 갈리아인
    빈사의 갈리아인은 부상당한 켈트족 전사를 묘사한 고대 로마 시대의 대리석 조각상으로, 사실적인 묘사와 고통을 표현하는 얼굴, 켈트족의 용맹함과 로마의 힘을 보여주는 기념비적 의미를 지니며 로마 카피톨리노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나르메르 팔레트
개요
나르메르 팔레트의 양면
나르메르 팔레트의 양면
재료사암
크기약 64 cm × 42 cm
제작 시기기원전 3200–3000년경
발견 장소히에라콘폴리스
발견 연도1897–1898년
발견자제임스 퀴벨
프레더릭 W. 그린
소장처이집트 박물관, 카이로
식별 번호CG 14716

2. 형태 및 재료

나르메르 팔레트는 높이 약 63cm, 너비 약 42cm인 방패 모양의 의식용 팔레트이며, 편평하고 부드러운 암회색 녹색의 회색와케 하나로 조각되었다.[12] 과거에는 종종 셰일이나 천매암으로 잘못 알려지기도 했으나, 셰일은 층이 지고 박리가 잘 되며, 천매암은 불규칙하게 분포된 큰 광물 입자를 포함하는 변성암으로, 둘 다 미세한 입자로 이루어진 단단하고 박리에 강한 실트스톤과는 다르다. 이 실트스톤은 선왕조 시대부터 사용되어 온 잘 알려진 와디 함마마트 채석장에서 채취한 것이다.[14] 이 재료는 선왕조 시대에 팔레트 제작에 널리 사용되었으며, 고왕국 시대 조각상에도 사용되었다. 히에라콘폴리스에서 나르메르 팔레트와 같은 유적에서 발견된 2왕조 파라오 카세켐위의 조각상도 이 재료로 만들어졌다.[14]

나르메르 팔레트의 초기 상형 문자


이 팔레트는 저부조로 조각되어 있다. 양쪽 상단에는 "왕/왕관/국가 및 국가의 재산을 나타내는 복합 상형 문자"인 세레크라는 동일한 왕실 문장이 있다.[15]
세레크
에 새겨진 ''n'r''(메기)과 ''mr''(끌)이라는 상형 문자는 나르메르의 이름을 표현하는 음표이다.[16] 두 세레크는 모두 뿔이 크게 굽은 소의 머리 한 쌍으로 둘러싸여 있는데, 이는 암소 여신 밧을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된다. 밧은 상이집트 제7주(州)의 수호 여신이었으며, 고대 이집트 역사의 선왕조 시대와 고왕국 시대에 이집트 신화에서 우주를 신격화한 존재이기도 했다.[17]

3. 도상학적 특징



나르메르 팔레트는 높이 약 63cm, 너비 약 42cm인 방패 모양의 의식용 팔레트로, 편평하고 부드러운 암회색 녹색의 회색와케 하나로 조각되었다.[12] 과거에는 종종 셰일이나 천매암으로 잘못 식별되기도 했지만, 실제로는 미세한 입자로 이루어진 단단하고 박리에 강한 실트스톤이다. 이 실트스톤은 선왕조 시대부터 사용되어 온 와디 함마마트 채석장에서 채취한 것이다.[14] 이 재료는 선왕조 시대에 팔레트 제작에 광범위하게 사용되었으며, 고왕국 시대 조각상에도 사용되었다. 히에라콘폴리스에서 발견된 2왕조 파라오 카세켐위의 조각상도 이 재료로 만들어졌다.[14]

이 팔레트는 저부조로 조각되어 있다. 양쪽 상단에는 "왕/왕관/국가 및 국가의 재산을 나타내는 복합 상형 문자"인 세레크라는 동일한 왕실 문장이 있다.[15] 세레크에는 나르메르의 이름을 표현하는 음표인 ''n'r''(메기)과 ''mr''(끌)이라는 상형 문자가 새겨져 있다.[16] 두 세레크는 모두 뿔이 크게 굽은 소의 머리 한 쌍으로 둘러싸여 있는데, 이는 암소 여신 밧을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된다. 밧은 상이집트 제7주의 수호 여신이었으며, 고대 이집트 역사의 선왕조 시대와 고왕국 시대에 이집트 신화에서 우주를 신격화한 존재이기도 했다.[17]

3. 1. 앞면

나르메르 팔레트 (앞면)


팔레트 양쪽 상단에는 소의 머리를 한 두 개의 인면상이 묘사되어 있는데, 이는 나르메르의 세레크(왕명표기)를 둘러싸고 있는 수호 여신 밧을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진다. 밧 여신은 이집트 부조 조각의 전통적인 방식과 달리 측면이 아닌 정면에서 묘사되는 경우가 많다. 밧 여신과 많은 특징을 공유하는 하토르도 비슷한 방식으로 묘사되곤 한다.

이 면에서 가장 큰 부조는 나르메르를 묘사하고 있다. 나르메르는 오른손에 왕홀을 들고 왼손으로 무릎을 꿇은 포로의 머리채를 잡아 끌어올리고 있다. 나르메르는 이집트 하(下)왕국의 붉은 왕관을 쓰고 있는 뒷면 묘사와는 달리, 이 면에서는 이집트 상(上)왕국의 흰 왕관을 쓰고 있다.[18] 그의 자세는 중요한 인물을 동시에 여러 관점에서 보여주는 고대 이집트의 관례를 반영한다. 그의 발, 다리, 머리는 측면에서 보여지지만, 몸통과 엉덩이는 약간 돌아가고 어깨는 정면을 향하고 있다. 실제 측면 모습이라면 보이지 않을 눈조차도 정면에서 보여진다. 이는 평평한 표면에 한 사람에 대한 최대한 완전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었다.[19][20] 팔레트에는 이집트 신체 비례 기준도 나타나 있다. 사람 주먹의 너클 너비와 상관관계가 있는 기준 단위를 바탕으로, 이집트 미술에서 중요 인물의 비례를 표준화했다. 이마의 머리카락 선까지 지면으로부터 18주먹의 표준 측정치가[21] 팔레트에 나타나 있다. 왕의 포로, 시체, 세르포파드 짐승의 관리자와 같이 활동적인 자세를 취한 작은 인물들은 훨씬 자유롭게 묘사되어 있다.

나르메르 팔레트의 세부 묘사: 팔레트 상단에 있는 것과 유사한 밧 여신의 묘사로 장식된 네 개의 구슬 술 장식과 황소 꼬리를 나타내는 뒷면의 프린지가 있는 벨트


나르메르가 착용한 벨트에는 네 개의 구슬 술이 달려 있는데, 각각 하토르 여신의 머리 모양 장식으로 장식되어 있다. 이들은 팔레트 양쪽 상단을 장식하는 것과 같은 머리 모양이다. 벨트 뒤쪽에는 사자의 꼬리를 나타내는 긴 프린지가 달려 있다.

왕의 왼쪽에는 왕의 샌들을 들고 있는 남자가 있고, 그 옆에는 로제트 문양이 있다. 왕의 오른쪽에는 무릎을 꿇은 포로가 있는데, 왕에게 맞을 듯하다. 그의 머리 옆에는 그의 이름(와시) 또는 그가 온 지역을 나타내는 기호가 있다. 포로 위에는 이집트 하(下)왕국의 상징인 파피루스 꽃 위에 앉아 있는 호루스를 나타내는 매가 있다. 매의 발톱에는 파피루스 꽃에서 나오는 남자의 코에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보이는 밧줄 같은 물체가 있다.

3. 2. 뒷면

나르메르 팔레트 (뒷면)


소의 머리 아래에는 행렬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나르메르는 계층적 비례로 알려진 예술적 관습에 따라 그 레지스터의 다른 누구보다 훨씬 크게 묘사되어 있다.[22] 앞면과 마찬가지로 그의 불균형적인 크기는 신과 같은 지도자로서의 정복과 정치적 권력의 개념을 강화한다. 그는 파피루스로 상징되는 이집트 하(下)왕국의 붉은 왕관을 쓰고 있으며, 왕권의 두 가지 전통적인 상징인 곤봉과 채찍을 들고 있다. 그의 오른쪽에는 그의 이름을 나타내는 상형 문자 기호가 있지만, 세레크 안에 들어 있지는 않다. 그의 뒤에는 샌들 운반자가 있는데, 그의 이름은 머리 옆에 있는 로제트와 해석이 명확하지 않은 두 번째 직사각형 기호로 표현될 수 있으며, 이는 도시 또는 성채를 나타낼 수 있다는 제안이 있다.[23]

파라오 바로 앞에는 긴 머리카락을 한 남자가 있는데, 그의 이름으로 해석된 한 쌍의 상형 문자 ''Tshet''(이것은 이러한 기호가 후기 상형 문자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음운적 가치를 가졌다고 가정한다)를 동반하고 있다. 이 남자 앞에는 네 명의 기수가 동물 가죽, 개, 두 마리의 매를 높이 들고 있다. 이 장면의 맨 오른쪽에는 머리가 다리 사이에 놓이고 절단된 생식기가 각 머리 위에 놓인 열 구의 시체가 있다. 이 인물들은 일반적으로 나르메르의 정복의 희생자로 이해된다.[1] 그 위에는 배, 작살을 든 매, 문을 위한 상징이 있다.[24]

나르메르 팔레트의 세부 묘사로, 가장 오래된 깃발형 묘사가 있다.


행렬 아래에는 두 명의 남자가 두 마리의 세르포파드의 뻗어 나온, 얽혀 있는 목에 묶인 밧줄을 들고 있다. 세르포파드는 뱀과 표범이 섞인 신화 속 생물이다. 그들의 휘어진 목으로 형성된 원은 화장품을 갈았을 영역인 팔레트의 중앙 부분이다. 상이집트와 하이집트는 각각 보호자로 사자 여신을 숭배했으며, 세르포파드의 얽힌 목은 국가의 통합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신화 속 동물의 유사한 이미지는 다른 동시대 문화에서 알려져 있으며, 게벨 엘 아락 나이프와 같은 다른 후기 전왕조 시대의 물건(다른 팔레트와 나이프 손잡이 포함)에는 메소포타미아이콘에서 유사한 요소를 차용한 것이 있으며, 이는 이집트-메소포타미아 관계를 시사한다.[2]

뒷면의 바닥에는 황소가 도시의 벽을 무너뜨리고 쓰러진 적을 짓밟고 있는 모습이 보인다. 머리를 숙인 나르메르는 여기서 적을 정복할 상징적인 2차원 짐승으로 묘사되어 있다. 황소는 이집트 왕권과 이념적 연관성이 있었다.[25] 예를 들어 "어머니의 황소"는 수호 여신인 암소의 아들로서 이집트 왕에게 주어진 일반적인 칭호였다.[26] 이러한 소의 자세는 후기 상형 문자에서 "힘"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4. 역사적 배경

나르메르 팔레트는 수년간 학계에서 상당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27] 일반적으로 이러한 논쟁은 두 가지 입장으로 나뉜다. 하나는 팔레트가 중요한 사건을 기록한 것이라고 믿는 학자들의 입장이고, 다른 하나는 팔레트가 상 이집트와 하 이집트 통일 통치에 대한 신화를 확립하기 위해 고안된 물건이라고 주장하는 학자들의 입장이다.

팔레트는 상 이집트 왕이 하 이집트를 통일했거나,[28] 고대 리비아인들에 대한 최근의 군사적 성공을 기록했거나,[28] 부토에 기반을 둔 하 이집트 왕조의 마지막 거점을 묘사한 것으로 여겨져 왔다. 최근에는 니콜라스 밀렛(Nicholas Millet)과 같은 학자들은 팔레트가 이집트 통일과 같은 역사적 사건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그 물건이 사원에 봉헌된 해의 사건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휘트니 데이비스(Whitney Davis)는 이 팔레트와 다른 왕조 이전의 팔레트에 있는 상징물은 왕을 적에게 치명타를 가하는 순간을 포착한 정복자 사냥꾼의 시각적 은유로 확립하는 것과 더 관련이 있다고 제안했다.[28] 존 베인즈(John Baines)는 묘사된 사건들이 과거의 "왕의 업적의 표징"이며, "이 작품의 주된 목적은 사건을 기록하는 것이 아니라 왕이 신의 이름으로 질서 잡힌 세계를 지배하고 내부, 특히 외부의 무질서 세력을 물리쳤다는 것을 주장하는 것"이라고 제안했다.[29]

5. 학계의 논쟁

나르메르 팔레트는 수년간 학계에서 상당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27] 이러한 논쟁은 일반적으로 두 가지 입장으로 나뉜다. 하나는 팔레트가 중요한 사건을 기록한 것이라고 믿는 학자들의 입장이고, 다른 하나는 팔레트가 상하 이집트 통일 통치에 대한 신화를 확립하기 위해 고안된 물건이라고 주장하는 학자들의 입장이다.

팔레트는 상이집트 왕이 하이집트를 통일했거나,[28] 고대 리비아인들에 대한 최근의 군사적 성공을 기록했거나,[28] 부토에 기반을 둔 하이집트 왕조의 마지막 거점을 묘사한 것으로 여겨져 왔다. 최근에는 니콜라스 밀렛(Nicholas Millet)과 같은 학자들은 팔레트가 이집트 통일과 같은 역사적 사건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그 물건이 사원에 봉헌된 해의 사건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휘트니 데이비스(Whitney Davis)는 이 팔레트와 다른 왕조 이전의 팔레트에 있는 상징물은 왕을 적에게 치명타를 가하는 순간을 포착한 정복자 사냥꾼의 시각적 은유로 확립하는 것과 더 관련이 있다고 제안했다.[28] 존 베인즈(John Baines)는 묘사된 사건들이 과거의 "왕의 업적의 표징"이며, "이 작품의 주된 목적은 사건을 기록하는 것이 아니라 왕이 신의 이름으로 질서 잡힌 세계를 지배하고 내부, 특히 외부의 무질서 세력을 물리쳤다는 것을 주장하는 것"이라고 제안했다.[29]

6. 대중문화 속 나르메르 팔레트



나르메르 팔레트는 다양한 대중문화 작품에서 나타난다.


  • 영화:
  • 왓치맨(2009): 오지만디아스의 사무실에 있는 이집트 유물 중 하나로 등장한다.
  • 소설:
  • 재키 프렌치의 역사 소설 《파라오》(2007): 나르메르 팔레트와 최근 수메르 무역로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집필되었다.
  • 린컨 차일드의 소설 《제3의 문》: 수드 지역에서 나르메르 왕의 무덤을 찾으려는 시도를 묘사하는 주요 줄거리 요소이다.
  • 릭 리어던의 《케인 연대기》: 마법의 샤와브티 하인이 팔레트를 가져온다.
  • 만화:
  • 호시노 유키노부의 단편 소설 《엘 알라메인의 신전》에 등장한다.
  • 게임:
  • 유비소프트의 어쌔신 크리드 오리진스(2017): 로딩 화면 팁의 흥미로운 사실로 언급된다.

참조

[1] 논문 City of the Hawk http://www.jstor.org[...] Archaeological Institute of America 2024-06-23
[2] harvnb https://archive.org/[...]
[3] 서적 Daily life of the ancient Egyptians https://archive.org/[...] Greenwood Press
[4] 서적 Hierakonpolis, Part 1, Plates of discoveries in 1898 https://archive.org/[...] Quaritch
[5] 서적 Hierakonpolis, Part 2 https://archive.org/[...] Quaritch
[6] 웹사이트 The Ancient Egypt Site – The Narmer Palette http://www.ancient-e[...] 2007-09-19
[7] 논문 The Narmer Macehead and Related Objects 1990
[8] 서적 Exploring Ancient Egypt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9]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Ancient Egypt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0] 오디오북 Great Pharaohs of Ancient Egypt https://www.thegreat[...] The Great Courses
[11] harvnb https://books.google[...]
[12] 웹사이트 Catalog record https://www.globaleg[...] 2024-06-24
[13] 웹사이트 The ''Narmer Catalog'' https://www.narmer.o[...] 2024-06-24
[14] harvnb
[15] 서적 Before the Pyramids: The Origins of Egyptian Civilization https://isac.uchicag[...] The Oriental Institute of the University of Chicago
[16] 서적 The Archaeology of Early Egypt: Social Transformations in North-East Africa, 10,000 to 2,650 BC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 서적 The Complete Gods and Goddesses of Ancient Egypt Thames & Hudson
[18] 논문 A Revised View of the Naʿrmr Palette 1991
[19] 서적 The Art of Ancient Egypt: A Resource for Educators https://books.google[...] Metropolitan Museum or Art
[20] 웹사이트 History, Characteristics, & Facts https://www.britanni[...] 2024-06-28
[21] 서적 The Art and Architecture of Ancient Egypt https://archive.org/[...] Penguin
[22] 웹사이트 Sculpture https://www.britanni[...] 2024-06-30
[23] 서적 History of Art: A Survey of the Major Visual Arts from the Dawn of History to the Present Day https://archive.org/[...] Prentice-Hall; H.N. Abrams
[24] 서적 Before the Pyramids: The Origins of Egyptian Civilization https://isac.uchicag[...] The Oriental Institute of the University of Chicago 2011
[25] 논문 What a King Is This: Narmer and the Concept of the Ruler 2000
[26] 서적 Ancient Records of Egypt: Historical Documents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Persian Conquest https://catalog.hath[...]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7] 웹사이트 Narmer Palette Bibliography https://www.narmer.o[...] 2018-09-29
[28] 서적 The dictionary of ancient Egypt https://archive.org/[...] Harry N. Abrams
[29] 논문 Communication and display: the integration of early Egyptian art and writing 198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