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낙동강유역환경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낙동강유역환경청은 1980년 부산환경측정관리사무소로 시작하여 여러 차례 개편을 거쳐 2002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경상남도를 관할하며, 환경 보전, 수질 관리, 대기 및 기타 환경 관리, 화학물질 안전 관리 등 다양한 직무를 수행한다. 주요 업무로는 생태계보전지역 관리, 환경영향평가 협의, 수질오염 총량관리, 화학물질 관리 등이 있으며, 환경관리국, 유역관리국, 화학안전관리단, 환경감시단 등의 조직을 갖추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낙동강 - 구문소
    황지천이 막골층 암벽을 침식하여 형성된 구문소는 구하도 지형과 감입 곡류 하천의 특징을 보이는 동굴이다.
  • 낙동강 - 낙동강물환경연구소
    낙동강물환경연구소는 낙동강 유역의 수질 환경 연구를 수행하는 국립환경과학원 소속 기관으로, 하천 및 호소의 수질오염 관련 조사 및 연구, 환경생태 홍보 및 교육, 물환경측정망 운영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 창원시 소재의 관공서 - 창원지방검찰청
    창원지방검찰청은 경상남도 7개 시와 10개 군을 관할하는 지방검찰청으로, 진주재판소에서 시작하여 명칭 변경과 청사 이전을 거쳐 현재의 이름을 갖게 되었으며, 검사장을 중심으로 여러 부서를 두고 산하 지청을 두고 있지만, 소속 검사들의 비위 행위로 논란이 되기도 했다.
  • 창원시 소재의 관공서 - 경상남도의회
    경상남도의회는 의장단과 상임위원회, 특별위원회 등을 운영하며 의정 활동을 수행하는 경상남도의 지방자치단체 의회로서, 사무처가 행정 업무를 지원하고, 매 지방선거를 통해 구성되며, 역대 선거 결과에서 정치 지형 변화를 보여주고 현재는 국민의힘이 다수 의석을 차지하고 있다.
  • 대한민국 환경부 - 한국상하수도협회
    한국상하수도협회는 수도법과 하수도법에 따라 설립되어 수도사업자와 공공하수도관리청 간 협력을 통해 수도사업 발전을 도모하며, 해외 전시 참관단 운영, 국제 교류, 단체 표준 인증 사업, 법정 의무 교육, 수돗물 홍보 협의회 등의 사업을 추진하는 협회장 중심의 단체이다.
  • 대한민국 환경부 - 대한민국의 환경부 장관
    대한민국의 환경부 장관은 환경부를 대표하며 자연환경 보전, 환경오염 방지 등 환경 관련 사무를 총괄하고 국무총리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하며 시대에 따라 명칭이 변경되었고 2024년 7월 현재 장관은 김완섭이다.
낙동강유역환경청
낙동강유역환경청
기본 정보
낙동강유역환경청 전경
낙동강유역환경청 전경
개청일2002년 8월 8일
약칭낙동강청
위치대한민국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조직
청장이호중
하위 기관대구지방환경청
국립공원공단
관할 구역
광역시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울산광역시
특별자치시세종특별자치시 (일부)
경상남도, 경상북도, 전라북도 (일부), 충청북도 (일부), 충청남도 (일부), 전라남도 (일부), 강원특별자치도 (일부)
웹사이트
공식 웹사이트낙동강유역환경청 공식 웹사이트

2. 연혁

낙동강유역환경청의 연혁은 다음과 같다.


  • 1980년 5월 2일: 환경청 소속 부산환경측정관리사무소 설치.
  • 1986년 10월 29일: 부산지방환경지청으로 개편.
  • 1990년 1월 3일: 환경처 소속 부산지방환경청으로 개편.
  • 1992년 7월 1일: 부산동부환경출장소 설치.
  • 1994년 5월 4일: 낙동강환경관리청으로 개편. 부산동부환경출장소 폐지, 창원환경출장소 설치.
  • 1994년 12월 23일: 환경부 소속으로 변경.
  • 1995년 10월 19일: 울산환경출장소 설치.
  • 1997년 11월 29일: 창원환경출장소 폐지.
  • 1999년 5월 24일: 낙동강유역환경관리청으로 개편.
  • 2001년 4월 25일: 부산환경출장소 설치.
  • 2002년 8월 8일: 낙동강유역환경청으로 개편.
  • 2009년 2월 25일: 부산환경출장소와 울산환경출장소 폐지.
  • 2021년 7월 1일: 낙동강유역환경청 주소 의창구에서 성산구로 변경.

2. 1. 기관 연혁


  • 1980년 5월 2일: 환경청 소속으로 부산환경측정관리사무소 설치.
  • 1986년 10월 29일: 부산지방환경지청으로 개편.
  • 1990년 1월 3일: 환경처 소속 부산지방환경청으로 개편.
  • 1992년 7월 1일: 부산동부환경출장소 설치.
  • 1994년 5월 4일: 낙동강환경관리청으로 개편. 부산동부환경출장소 폐지, 창원환경출장소 설치.
  • 1994년 12월 23일: 환경부 소속으로 변경.
  • 1995년 10월 19일: 울산환경출장소 설치.
  • 1997년 11월 29일: 창원환경출장소 폐지.
  • 1999년 5월 24일: 낙동강유역환경관리청으로 개편.
  • 2001년 4월 25일: 부산환경출장소 설치.
  • 2002년 8월 8일: 낙동강유역환경청으로 개편.
  • 2009년 2월 25일: 부산환경출장소와 울산환경출장소 폐지.
  • 2021년 7월 1일: 낙동강유역환경청 주소 의창구에서 성산구로 변경.

3. 직무


  • 보안·문서·인사·관인 관리·예산·결산 및 회계에 관한 사항[1]
  • 녹색기업 지정을 위한 검토 등 환경산업에 관한 사항[1]
  • 지정폐기물 배출업체에 대한 환경지도[1]
  • 환경사범 수사·송치 등 환경수사에 관한 사항[1]

3. 1. 환경 보전


  • 생태계보전지역의 관리 및 자연환경보전·이용시설의 설치·운영 등 자연환경에 관한 사항[1]
  • 도립공원, 군립공원의 계획결정·변경 시의 자연환경영향평가결과 협의[1]
  • 백두대간 보호지역에서의 개발행위에 대한 사전협의[1]
  • 전략환경영향평가, 소규모 환경영향평가, 환경영향평가 협의 및 사후관리에 관한 사항[1]
  • 영향권별 환경보전계획의 수립·시행[1]

3. 2. 수질 관리


  • 상수원관리지역 관리실태평가 등 수계 관리에 관한 사항[1]
  • 환경기초시설 운영 및 관리 실태조사에 관한 사항[1]
  • 수질·토양·지하수 측정망 설치·운영 및 환경오염 채취 시료 시험분석·관리에 관한 사항[1]
  • 수질오염 총량관리 및 수변구역 관리에 관한 사항[1]
  • 수계관리위원회 운영 및 업무 지원[1]
  • 상수원 수질 보전 및 환경오염원 관리를 위한 특별지도·점검[1]

3. 3. 대기 및 기타 환경 관리


  • 대기환경 규제지역 실천계획 추진실적 평가에 관한 사항[1]
  • 수질·토양·지하수측정망 설치·운영 및 환경오염 채취시료 시험분석·관리에 관한 사항[2]
  • 화학물질 보고·관리, 유해화학물질 함유제품 신고·관리, 등록 의무 불이행 조치 및 위해우려제품 사후관리에 관한 사항[3]
  • 화학물질 통계 조사 및 배출량 조사[4]
  • 유해화학물질 취급 및 취급시설 관리[5]
  • 화학사고·테러 대응 및 영향조사에 관한 사항[6]

3. 4. 화학물질 안전 관리


  • 화학물질 보고·관리, 유해화학물질 함유제품 신고·관리, 등록 의무 불이행 조치 및 위해우려제품 사후관리에 관한 사항[1]
  • 화학물질 통계 조사 및 배출량 조사[1]
  • 유해화학물질 취급 및 취급시설 관리[1]
  • 화학사고·테러 대응 및 영향조사에 관한 사항[1]

4. 관할 구역


5. 조직

(별도의 조직 구성에 대한 내용은 없으며, 하위 섹션에 청장에 대한 내용만 존재한다.)

5. 1. 청장

(작성할 내용 없음)

참조

[1] 문서 하동군·남해군은 영산강유역환경청의 관할구역이다.
[2] 문서 서기관·기술서기관·행정사무관·공업사무관·보건사무관·환경사무관·시설사무관 또는 전산사무관으로 보한다.
[3] 문서 서기관 또는 기술서기관으로 보한다.
[4] 문서 행정사무관·공업사무관·보건사무관·환경사무관·시설사무관 또는 전산사무관으로 보한다.
[5] 문서 공업사무관·보건사무관·환경사무관·전산사무관·공업연구관·보건연구관 또는 환경연구관으로 보한다.
[6] 문서 부이사관·서기관 또는 기술서기관으로 보한다.
[7] 문서 서기관·기술서기관·행정사무관·공업사무관·보건사무관·환경사무관·시설사무관 또는 수석전문관으로 보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