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낙화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낙화장은 종이, 나무, 가죽 등의 바탕소재에 인두로 지져 그림을 그리는 기술과 그 기능을 가진 장인을 의미한다. 한국 낙화는 조선 후기 이규경의 저서에 언급되며, 19세기 초 전라북도 임실 지역을 중심으로 전승되었다. 전통 회화의 수묵화 화법을 바탕으로 하며, 인두를 사용하여 다양한 준법과 먹의 농담을 표현하는 것이 특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충청북도의 국가무형유산 - 택견
    택견은 춤과 같은 유연한 움직임과 발기술을 특징으로 하는 한국 전통 무예로, 조선 시대 민속놀이에서 기원하여 일제강점기 민족 무술로 명맥을 유지하고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현재는 전국 규모의 대회가 열리고 있다.
  • 보은군의 문화유산 - 보은 삼년산성
    보은 삼년산성은 신라 시대에 축조되어 삼국 통일 과정에서 중요한 전략적 요충지 역할을 한 돌로 쌓은 산성으로, 축성에 3년이 걸렸다는 기록에서 유래되었으며, 성 내부 유적과 출토 유물은 당시 신라의 건축 기술과 사회상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 보은군의 문화유산 - 정이품송
    충청북도 보은군에 있는 정이품송은 수령 약 600년의 거대한 소나무로, 세조의 행차 일화로 정이품 벼슬을 받았다는 전설이 있으며, 아름다운 수형과 문화적 가치로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낙화장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의린 필 낙화도 8폭 병풍
이의린 필 낙화도 8폭 병풍
종류무형문화재
낙화장 (국가무형문화재)
국가대한민국
유형국가무형문화재
번호136
지정일2018년 12월 27일
주소충청북도 보은군
문화재청 ID17,01360000,33
낙화장 (충청북도 무형문화재)
국가충청북도
유형무형문화재
번호22
지정일2010년 10월 1일
해제일2019년 9월 5일
문화재청 ID22,00220000,33

2. 역사

낙화는 종이, 나무, 비단, 가죽 등의 표면을 인두로 지져서 그림이나 글씨, 문양을 나타내는 전통 회화 분야이다. 낙화의 발생 시기를 알 수 있는 기록은 없지만, 이규경의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 오세창의 근역서화징(槿域書畵澂), 밀양 박씨 호계공파보(密陽朴氏虎溪公波譜), 최남선의 조선상식문답(朝鮮常識問答) 등의 문헌에 관련 기록이 남아있다.

낙화는 중국과 한국에서 시작되어 20세기 초 일본으로 전래되었다. 근역서화징(槿域書畵徵)에 안동 장씨(安東張氏, 1598년생)가 낙화에 능했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조선 중기에 낙화가 성행했음을 알 수 있다. 이후 조선 낙화의 중흥조인 수산 박창규(遂山 朴昌珪)는 1837년 화화법(火畵法)을 창시했다는 기록이 있어, 이 시기를 전후로 낙화 기법이 체계화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낙화는 전통 회화를 바탕으로 하므로 수묵화 화법과 유사하며, 수묵화의 농담과 발묵은 인두의 면을 사용하거나, 빠르게 또는 느리게 지지는 등의 손놀림으로 표현한다. 19세기 초부터는 전라북도 임실 지역을 중심으로 낙화가 전승되었다.[2]

2. 1. 기원 및 초기 발전

낙화는 종이, 나무, 비단, 가죽 등의 표면을 인두로 지져서 그림이나 글씨, 문양을 나타내는 전통 회화의 한 분야이다. 낙화의 발생 시기를 알 수 있는 기록은 없지만, 이규경의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 오세창의 근역서화징(槿域書畵澂), 밀양 박씨 호계공파보(密陽朴氏虎溪公波譜), 최남선의 조선상식문답(朝鮮常識問答) 등의 문헌에 관련 기록이 남아있다.[2]

낙화는 중국과 한국에서 시작되어 20세기 초 일본으로 전래되었다. 오세창의 근역서화징(槿域書畵徵)에 안동 장씨(安東張氏, 1598년생)가 낙화에 능했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조선 중기에 낙화가 성행했음을 알 수 있다. 이후 조선 낙화의 중흥조로 불리는 수산 박창규(遂山 朴昌珪)는 1837년 화화법(火畵法)을 창시했다는 기록이 남아있어, 이 시기를 전후로 낙화 기법이 체계화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2]

한국의 낙화 기법은 전통 회화를 바탕으로 하므로 수묵화 화법과 유사하다. 붓 대신 인두를 사용하여 동양화의 부벽준(斧劈皴), 우점준(雨點皴) 등과 같은 기법을 표현하며, 수묵화의 농담도 인두로 조절하여 나타낸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낙화에서는 인두와 불을 다루는 숙련된 손놀림과 미묘한 농담을 표현하는 기술이 중요하다.[2]

2. 2. 조선 후기 및 근대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 오세창의 근역서화징(槿域書畵澂), 밀양 박씨 호계공파보(密陽朴氏虎溪公波譜), 최남선의 조선상식문답(朝鮮常識問答) 등의 문헌에 낙화에 관한 기록이 남아있다. 오세창의 근역서화징(槿域書畵徵)에는 안동 장씨(安東張氏, 1598년생)가 낙화에 능했다는 기록이 있어, 조선 중기에 낙화가 성행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이후 조선 낙화의 중흥조에 해당하는 수산 박창규(遂山 朴昌珪)는 1837년 화화법(火畵法)을 창시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이를 통해 이 시기 전후로 낙화 기법이 체계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2. 3. 현대

현대에는 전통낙화 전승자 김영조가 1972년 입문하여 1977년 첫 개인전을 개최하고, 1979년 청목화랑(속리산)을 개원하는 등 지속적인 작품 활동과 제자 양성을 통해 전통낙화기법 계승과 저변 확대에 기여하고 있다.[1] 김영조는 기존 공예분야로 인식되었던 낙화를 전통기법을 활용하여 다양한 작품을 제작하고 각종 대회에 참가하여 입상하는 등 낙화를 전통회화의 한 분야로 자리 잡는 데 일조하였으며,[1] 입문 초기부터 후진을 양성하고 현재에도 자녀를 대상으로 기능전수에 매진하고 있다.[1]

김영조의 작품은 섬세함과 뎃상력, 표현력이 우수하고 종이와 목재의 낙화기법인 섬세한 표현으로 재료의 차이를 구분하기 어려울 정도로 표현력이 매우 섬세하다.[1] 또한 화법 기능은 우리 민족의 화법의 역사성을 나타내는 기법을 잇고 있으며 각종 그림을 인두로 그려내는 전통화법의 기능을 담고 있다.[1]

3. 특징

낙화는 종이, 나무, 비단, 가죽 등의 표면에 인두로 지져서 그림이나 글씨, 문양을 새기는 것이다. 낙화는 섬세한 표현력과 데생력을 보여주며, 우리 민족 화법의 역사성을 잇는 기법이다.[2]

3. 1. 기법

낙화는 전통 회화에 바탕을 두고 있어 수묵화 화법과 유사하며, 수묵화의 농담과 발묵에 비견되는 낙화의 농담법은 인두의 면을 사용하여 빠르게 지지거나 천천히 지지거나, 깊게 혹은 얕게 누르는 등의 손놀림으로 표현한다.[2] 한국의 낙화 기법은 붓 대신 인두를 사용하고, 먹의 농담도 인두로 지져서 나타낸다는 점에서 동양화와 차이가 있다.[2] 이러한 점에서 낙화장은 인두와 불을 다루는 숙련된 손놀림과 미묘한 농담을 표현하는 기술이 중요하다.[2]

작품의 섬세함과 데생력, 표현력이 우수하고 종이와 목재의 낙화 기법은 섬세한 표현으로 재료의 차이를 구분하기 어려울 정도로 표현력이 매우 섬세하다. 또한 화법 기능은 우리 민족 화법의 역사성을 나타내는 기법을 잇고 있으며, 각종 그림을 인두로 그려내는 전통 화법의 기능을 담고 있다.

3. 2. 재료

낙화는 종이, 나무, 비단, 가죽 등의 표면에 인두로 지져서 그림이나 글씨, 문양을 나타내는 것이다. 인두의 면을 사용하여 빠르게 또는 천천히 지지거나, 깊게 또는 얕게 누르는 등의 손놀림으로 표현하는 낙화의 농담법은 수묵화의 농담과 발묵에 비견될 수 있다. 종이와 목재에 낙화 기법을 적용하면 섬세한 표현으로 인해 재료의 차이를 구분하기 어려울 정도로 작품의 표현력이 매우 섬세하다.[1]

4. 국가무형문화재

낙화장은 종이, 나무, 가죽 등의 바탕 소재를 인두로 지져서(烙) 산수화, 화조화 등의 그림(畵)을 그리는 기술과 그 기능을 보유한 장인을 말한다. 우리나라 낙화에 대한 기원은 조선 후기 실학자 이규경(1788~1863)이 쓴 「오주연문장전산고」에 수록된 ‘낙화변증설’에서 찾을 수 있으며, 19세기 초부터 전라북도 임실 지역을 중심으로 전승되어 왔다.

한국의 낙화 기법은 본래 전통 회화에 바탕을 두고 있기 때문에 기본 화법은 전통 수묵화 화법과 크게 다르지 않다. 다만 동양화의 부벽준, 우점준 등과 같은 각종 준법을 붓 대신 인두로 표현하며, 수묵화에 나타난 먹의 농담도 인두로 지져서 나타낸다는 점에서 독특한 차이가 있다. 이러한 점에서 낙화장은 인두와 불을 다루는 숙련된 손놀림과 미묘한 농담을 표현하는 기술이 중요하다.[2]

5. 전승자

대한민국의 무형문화재 낙화장 보유자 김영조는 1972년 낙화에 입문하여 1977년 첫 개인전을 개최하고, 1979년 청목화랑(속리산)을 개원하였다.[1] 이후 지속적인 작품 활동과 적극적인 제자 양성을 통해 전통낙화기법 계승과 저변 확대에 기여하고 있다.[1] 김영조는 기존에 공예분야로 인식되었던 낙화를 전통기법을 활용하여 다양한 작품을 제작하고 각종 대회에 참가하여 입상하는 등 낙화를 전통회화의 한 분야로 자리매김하는데 일조하였다.[1] 또한, 입문 초기부터 지속적으로 후진을 양성하고 현재에도 자녀를 대상으로 기능 전수에 매진하고 있다.[1]

김영조의 작품은 섬세함과 뎃상력, 표현력이 우수하며, 종이와 목재에 낙화기법을 이용한 섬세한 표현으로 재료의 차이를 구분하기 어려울 정도로 표현력이 매우 섬세하다.[1] 그의 화법 기능은 우리 민족 화법의 역사성을 나타내는 기법을 잇고 있으며, 각종 그림을 인두로 그려내는 전통화법의 기능을 담고 있다.[1]

참조

[1] 간행물 충청북도고시 제2019-285호, 《충청북도 무형문화재 종목 지정 해제》 http://210.104.148.5[...] 충청북도지사 2019-09-06
[2] 간행물 문화재청고시제2018-189호(국가무형문화재 종목 지정 및 보유자 인정) http://gwanbo.mois.g[...] 관보(정호) 2019-01-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