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은 삼년산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은 삼년산성은 신라 자비왕 13년(470)에 축조되고 소지왕 8년(486)에 개축된 테뫼식 산성이다. 삼국 시대에 신라의 축성 기술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으로, 삼국 통일에 기여했다. 성벽은 1,880m에 달하며, 네 개의 성문, 일곱 개의 옹성, 두 개의 수문, 다섯 개의 우물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삼국사기』에는 3년 만에 완공되어 삼년산성이라 불린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오정산성으로도 불렸다. 고려 시대에는 왕건이 함락에 실패했으며, 신라, 고려, 조선 시대의 유물이 발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비 마립간 - 황남대총
황남대총은 경주에 위치한 신라 시대의 돌무지덧널무덤으로, 왕릉급 무덤인 남분과 북분으로 구성되어 금관, 금제 허리띠 등 귀중한 유물이 출토되었으며, 신라의 문화와 사회상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 보은군의 문화유산 - 정이품송
충청북도 보은군에 있는 정이품송은 수령 약 600년의 거대한 소나무로, 세조의 행차 일화로 정이품 벼슬을 받았다는 전설이 있으며, 아름다운 수형과 문화적 가치로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보은군의 문화유산 - 낙화장
낙화장은 종이, 나무, 가죽 등에 인두로 그림을 그리는 기술 및 장인을 의미하며, 조선 후기 이규경의 저서에 언급되었고, 19세기 초 전라북도 임실 지역을 중심으로 전승되었으며, 수묵화 화법을 바탕으로 인두를 사용하여 다양한 표현을 하는 것이 특징이다.
보은 삼년산성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삼년산성 |
한글 표기 | 보은 삼년산성 |
한자 표기 | 報恩 三年山城 |
로마자 표기 | Boeun Samnyeon Sanseong |
로마자 표기 (MR) | Boeun Samnyŏn Sansŏng |
별칭 | 삼년 산성 |
위치 | 충청북도 보은군 |
축조 정보 | |
축조 국가 | 신라 |
문화재 정보 | |
유형 | 사적 |
지정 번호 | 235 |
지정일 | 1973년 5월 25일 |
주소 | 충청북도 보은군 보은읍 성주1길 104 (어암리) |
소유 | 국유, 사유 |
시대 | 신라 |
면적 | 232,655m2 |
문화재청 번호 | 13,02350000,33 |
이미지 | |
![]() |
2. 역사
삼년산성은 돌로 쌓은 산성으로, 성벽은 납작한 돌을 이용하여 한 층은 가로로 쌓고 한 층은 세로로 쌓는 방식을 사용하여 매우 튼튼하다. 성벽의 높이는 지형에 따라 다르다. 남쪽과 북쪽은 안팎을 모두 돌을 이용하여 쌓았으며, 문터는 4곳에 있으나 모두 그 형식이 다르다. 성내에는 연못터와 우물터가 있고 주위 암벽에는 글이 새겨져 있다. 신라 시대부터 고려·조선 시대까지의 토기 조각과 각종 유물이 발견되어 성을 오랫동안 이용했음을 알 수 있다.[1]
2. 1. 축성 및 명칭
신라 자비왕 13년(470)에 쌓았으며, 소지왕 8년(486)에 고쳐 세웠다.[1]『삼국사기』에는 성을 쌓는데 3년이 걸렸기 때문에 삼년산성이라 부른다고 기록되어 있다.[1] 『세종실록지리지』에는 오항산성으로, 『신증동국여지승람』, 『충청도읍지』에는 오정산성으로 기록되어 있다. 『조선왕조실록』에는 이 성이 오정산성(오정산성|烏頂山城한국어)으로 알려져 조선 시대에 사용되었음을 보여주는데, 이 이름은 오정산 정상에 위치한 성의 위치에서 유래하였다.[1]
삼국 시대에 성으로부터 2km 떨어진 보은읍은 삼년군 또는 삼년산군으로 알려졌다. 『삼국사기』에는 성이 3년(한국어: 삼 년) 만에 완공되었기 때문에 삼년산성이라 부른다고 기록되어 있으며,[1] 이는 인근 마을의 이름이 성에서 유래했음을 시사한다.
2. 2. 삼국 시대
신라 자비왕 13년(470)에 쌓았으며, 소지왕 8년(486)에 고쳐 세웠다. 『삼국사기』에는 성을 쌓는데 3년이 걸렸기 때문에 삼년산성이라 부른다고 기록되어 있다.[1]5세기 후반 신라의 뛰어난 축성 기술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성으로 평가받고 있다. 주변에는 수 천기의 무덤들이 있다. 삼국 시대에 성으로부터 2km 떨어진 보은읍은 삼년군 또는 삼년산군으로 알려졌는데, 일부에서는 성의 이름이 이 마을에서 유래했다고 믿는다. 그러나 『삼국사기』에는 성이 3년(한국어: 삼 년) 만에 완공되었고, 성의 이름이 이 사실에서 유래했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이는 인근 마을의 이름이 성에서 유래했음을 시사한다.[1]
7세기 후반 신라는 이 성을 거점으로 서쪽의 백제를 공격하는 동시에 북쪽의 고구려 공격을 준비했다.[3] 이 성은 한강 유역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3]
2. 3. 고려 및 조선 시대
『삼국사기』에는 삼년산성을 쌓는데 3년이 걸렸기 때문에 삼년산성이라 부른다고 기록되어 있다. 『세종실록지리지』에는 오항산성으로, 『신증동국여지승람』, 『충청도읍지』에는 오정산성으로 기록되어 있다.[1] 『조선왕조실록』에는 이 성이 오정산성(오정산성|烏頂山城한국어)으로 알려져 조선 시대에 사용되었음을 보여준다.[1]왕건이 918년에 이 성을 함락시키려는 시도에 실패했다는 이야기는 이 성의 명성을 보여주는 사례 중 하나이다. 1983년 삼국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의 유물 발굴을 통해 성이 점령되고 사용된 시기를 추정할 수 있다.[3]
3. 구조 및 특징
신라 자비왕 13년(470)에 쌓고 소지왕 8년(486)에 고쳐 지은 삼년산성은 돌을 이용하여 한 층은 가로로, 한 층은 세로로 쌓는 방식으로 축조되어 매우 튼튼하다. 성벽의 높이는 지형에 따라 다르며, 남쪽과 북쪽은 안팎을 모두 돌로 쌓았다.[1]
『삼국사기』에는 성을 쌓는데 3년이 걸렸기 때문에 삼년산성이라 부른다고 기록되어 있다.[1] 성의 둘레는 약 1,800m이며, 4곳의 문터는 모두 그 형식이 다르다. 성 안에는 연못터와 우물터가 있고, 주위 암벽에는 글이 새겨져 있다.[2] 신라 시대부터 고려, 조선 시대까지의 토기 조각과 각종 유물이 발견되어 오랫동안 성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삼년산성은 5세기 후반 신라의 뛰어난 축성 기술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성으로 평가받는다. 주변에는 수천 기의 무덤들이 있다.
3. 1. 견고한 성벽
삼년산성의 성벽은 가늘고 납작한 돌을 사용하여 수평과 수직으로 번갈아 쌓아 매우 견고하게 지어졌다.[2] 수직 절벽 위에 세워져 높이가 13~20m에 달하는 난공불락의 방어 시설을 형성한다. 성벽의 폭은 5~8m이며, 흙으로 쌓은 덧성(rampart)도 있다. 성벽의 길이는 1,880m에 이른다.[2]성에는 네 개의 성문, 일곱 개의 옹성, 두 개의 수문, 다섯 개의 우물 등의 시설이 갖춰져 있었다. 약 4.5m 길이의 네 성문은 대략 같은 간격으로 위치해 있다. 옹성은 공격에 가장 취약한 지역에 배치되었으며, 둘레는 25m, 높이는 8.3m이다. 성 내부에는 큰 연못이 있었는데, 중요한 수원으로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윤곽만 남아 있다.
3. 2. 성문과 방어 시설
삼년산성의 성벽 길이는 1,880m에 달한다. 성벽은 가늘고 납작한 돌을 수평 및 수직으로 번갈아 쌓아 매우 견고한 구조를 이루었다.[2] 수직 절벽 위에 세워진 성벽은 높이가 13~20m에 달해 난공불락의 방어 시설을 형성한다. 성벽의 폭은 5~8m이며, 돌로 쌓은 성벽에는 흙으로 쌓은 덧성(rampart)도 포함되어 있다.성문, 옹성, 수문, 우물 등의 시설도 주목할 만하다. 대략 같은 간격으로 위치한 네 개의 성문은 길이가 약 4.5m이다. 옹성은 공격에 가장 취약한 지역에 배치되었으며, 둘레는 25m, 높이는 8.3m이다. 성 내부에는 큰 연못이 있었는데, 중요한 수원으로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윤곽만 남아 있다.
3. 3. 테뫼식 산성
삼년산성은 한국식 산성의 전형적인 특징을 보여준다. 한국식 산성은 크게 포곡식과 테뫼식으로 분류된다. 포곡식은 골짜기를 둘러싼 성이고, 테뫼식은 산봉우리를 둘러싸고 쌓은 성으로, 산등성이를 따라 병풍처럼 쌓은 형태로 묘사되기도 한다.[3] 삼년산성은 테뫼식 성의 전통을 따르고 있다.4. 전략적 가치
삼년산성은 5세기 후반 신라의 축성 기술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이며, 한국식 산성의 전형적인 특징을 따른다. 한국식 산성은 크게 포곡식과 테뫼식으로 나뉘는데, 삼년산성은 테뫼식 산성이다.[3]
삼년산성은 전략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자리 잡고 있어, 신라의 삼국 통일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7세기 후반 신라는 이 성을 거점으로 백제를 공격하고, 동시에 북쪽의 고구려 공격을 준비했다.[3] 삼년산성은 한강 유역 확보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3] 왕건이 918년에 이 성을 함락하려다 실패한 이야기는 그 명성을 보여준다.
5. 유물 및 유적
삼년산성은 신라 시대에 축조된 산성으로, 성을 쌓는데 3년이 걸렸다는 기록이 『삼국사기』에 남아있다. 성 안에서는 신라 시대부터 고려, 조선 시대까지의 토기 조각과 각종 유물이 발견되어 오랫동안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1]
성벽은 납작한 돌을 가로와 세로로 번갈아 쌓아 매우 튼튼하며, 남쪽과 북쪽은 안팎을 모두 돌로 쌓았다. 문터는 4곳이 남아있고, 성 안에는 연못터와 우물터가 있다. 성 주위 암벽에는 글이 새겨져 있다.[2]
주목할 만한 유적으로는 네 개의 성문, 일곱 개의 옹성, 두 개의 수문, 다섯 개의 우물이 있다. 네 개의 성문은 약 4.5m 간격으로 위치하며, 옹성은 공격에 취약한 지역에 배치되어 둘레 25m, 높이 8.3m이다. 성 내부에는 큰 연못이 있었으나 현재는 윤곽만 남아있다.[1]
1983년 발굴 조사를 통해 삼국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의 유물이 발견되어 성이 사용된 시기를 추정할 수 있게 되었다. 성 주변에는 수천 개의 무덤이 있으며, 입구 바위에는 김생의 것으로 추정되는 글씨가 새겨져 있다.[3]
6. 문화재적 가치
삼년산성은 돌로 쌓은 산성으로 신라 자비왕 13년(470)에 쌓았으며, 소지왕 8년(486)에 고쳐 세웠다.[1]
『삼국사기』에는 성을 쌓는데 3년이 걸렸기 때문에 삼년산성이라 부른다고 기록되어 있고 『세종실록지리지』에는 오항산성으로,『신증동국여지승람』,『충청도읍지』에는 오정산성으로 기록되어 있다.[1]
성의 둘레는 약 1,800m이고 성벽은 납작한 돌을 이용해서 한 층은 가로 쌓기를 하고, 한 층은 세로 쌓기를 하여 매우 튼튼하며, 성벽의 높이는 지형에 따라 다르다. 남쪽과 북쪽은 안팎을 모두 돌을 이용하여 쌓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문터는 4곳에 있으나 모두 그 형식이 다르다. 성내에는 연못터와 우물터가 있고 주위 암벽에는 글이 새겨 있다. 신라시대에서 고려·조선시대까지의 토기조각과 각종 유물이 발견되어 성을 오랫동안 이용했음을 알 수 있다.[1]
5세기 후반 신라의 뛰어난 축성 기술을 대표하는 성으로, 주변에는 수 천기의 무덤들이 있다.[1]
참조
[1]
논문
삼년산성 (三年山城)
https://encykorea.ak[...]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4-07-01
[2]
웹사이트
Samnyeonsanseong Fortress, Boeun
https://english.khs.[...]
2024-07-02
[3]
웹사이트
Asian Historical Architecture: A Photographic Survey
http://www.oriental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