낚싯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낚싯봉은 낚시 도구의 일종으로, 낚싯줄을 물속으로 가라앉혀 미끼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하는 데 사용된다. 과거에는 돌이나 뼈와 같은 자연 재료로 만들어졌으나, 납이 저렴하고 가공이 쉬워 널리 사용되었다. 그러나 납 중독과 환경 오염 문제로 인해 납 사용을 규제하는 추세이며, 강철, 텅스텐, 친환경 복합 수지 등 대체 재료가 개발되고 있다. 낚싯봉은 장착 방식, 낚시 종류, 형태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무게는 척관법을 기준으로 호수로 표시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낚싯봉 | |
|---|---|
| 낚싯봉 | |
![]() | |
| 개요 | |
| 종류 | 봉돌 조개봉돌 좁쌀봉돌 핀테일 봉돌 가변 봉돌 유동 봉돌 |
| 용도 | 낚싯줄에 무게를 더해 캐스팅 거리 확보 채비를 원하는 수심층으로 빠르게 내림 조류나 바람에 채비가 밀리는 것을 방지 |
| 재료 | |
| 주재료 | 납 |
| 기타 재료 | 황동 텅스텐 비스무트 철 세라믹 유리 |
| 환경 문제 및 규제 | |
| 납 사용 규제 | 일부 지역에서 납의 독성으로 인해 낚싯봉에 납 사용을 금지하거나 제한하는 규제가 시행되고 있음. |
| 대체 재료 | 텅스텐 비스무트 철 황동 |
2. 재료
낚시 추(싱커) 재료는 환경적으로 허용 가능하고, 저렴하며, 밀도가 높아야 한다. 낚시 추의 무게는 물고기를 멀어지게 할 수 있는 시각적 단서를 최소화하기 위해 가능한 작아야 하므로, 밀도가 높은 것이 중요하다.
고대에는 돌, 바위, 뼈와 같이 자연 환경에서 흔히 발견되는 재료로 낚시 추를 만들었다. 이후 납은 저렴한 비용, 생산 및 주조의 용이성, 화학적 불활성도(부식 저항성), 그리고 밀도 때문에 낚시 추 재료로 선택되었다. 그러나 납은 납 중독을 유발하고 낚시 중 손실로 인해 환경에 유입되는 것으로 알려져 사용이 제한되거나 금지되기도 한다.[5]
최근에는 유해성이 적은 아연이나 철로 만든 '에코 추' 등, 납 이외의 금속으로 만든 제품도 출시되고 있다. 또한, 납보다 가벼운 금속으로 만들어진 추라도 형태를 연구하면 납 이상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2. 1. 납 규제 현황
영국(1온스 미만), 캐나다, 미국의 일부 주에서는 대부분 납 기반 낚시 추 사용이 금지되었다.[5] 미국 및 캐나다 국립공원에서는 납 기반 낚시 추가 금지되어 있다.[5] 이러한 금지 조치로 인해 강철, 황동, 비스무트 등의 다른 재료를 사용한 추가 판매되고 있지만, 낚시꾼들은 이러한 재료들이 납보다 밀도가 낮고 비용이 높아 널리 사용하지는 않는다. 모래를 무게로 사용하는 모래 싱커도 개발되었지만, 모래는 납에 비해 밀도가 낮아 좋은 대체재가 되지 못한다.텅스텐은 현재 특히 큰입배스 낚시꾼 사이에서 사용되고 있다. 텅스텐은 납보다 몇 배나 비싸지만, 납보다 밀도가 거의 두 배나 높아 바람직하다고 여겨진다. 그러나 텅스텐의 환경 영향은 본질적으로 알려져 있지 않다.[6]
최근에는 터미널 태클 제조업체들이 고밀도 복합 수지를 실험하고 있다. 이러한 재료는 다른 금속 싱커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납 싱커에 대한 무독성 대안을 제시한다.
일반적으로 저렴하고 비중이 큰 납이 사용된다. 멀리 던지기를 할 경우에는 납보다 비중이 큰 텅스텐 추를 사용할 수 있지만, 텅스텐 추는 비싸기 때문에 그다지 사용되지 않는다. 납은 유해하기 때문에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나 수질 악화 등이 우려된다. 이 때문에 최근에는 유해성이 적은 아연이나 철로 만든 에코 추 등, 납 이외의 금속으로 만드는 제조업체도 늘고 있다.
3. 종류
추는 낚시의 종류, 환경, 조류 및 개인적 선호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사용된다.[4]
낚시의 종류에 따라 사용되는 추는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낚시 종류 | 사용되는 추 |
|---|---|
| 범용 | 분할 봉돌, 좁쌀 봉돌, 판 봉돌 등[1] |
| 붕어 낚시 | 판 봉돌[1] |
| 은어 견지낚시 | 은어 봉돌[1] |
| 원투 낚시 | 해초 평형추, 제트 평형추, 델너 평형추, 통과 봉돌, 오다 원형 봉돌, 가지 봉돌 등[1] |
| 사비키 낚시, 빙어 낚시 등 | 가지 봉돌, 북 모양 봉돌 등[1] |
| 루어 낚시 | 스플릿 샷, 총알형 싱커, 지그 헤드 등[1] |
3. 1. 장착 방법에 따른 분류
라인을 끼워 고정하는 타입에는 분할 봉돌, 곰보 봉돌, 아유 봉돌, 스플릿 샷 등이 있다. 가는 라인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티슈 페이퍼를 끼워 라인에 흠집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도 한다.[1]라인을 안에 통과시켜 추가 유동하는 타입에는 통과 봉돌, 배럴 싱커 등이 있다. 통과 봉돌 등은 고무관으로 충격을 흡수시키는 경우가 있다.[1] 배럴 또는 계란형 싱커는 둥글고 종종 구슬과 같은 모양이며, 낚싯줄을 통과시킬 수 있는 좁은 구멍이 뚫려 있다. 이러한 싱커는 암석이나 잔해로 덮인 기질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2]
평형추나 捨て糸(스테이토, 낚시줄) 등의 끝에 부착하는 타입에는 가지형 봉돌, 오다 원형 봉돌 등이 있다.[1]
기타 타입으로는 판 봉돌 (고정, 유동 모두 사용 가능), 지그 헤드 (훅과 싱커가 일체화된 것), 브라쿠리, 블러 (주로 쥐노래미 낚시에 사용되며, 바늘과 봉돌이 일체화된 것으로, 특히 후자는 가라앉을 때 특징적인 움직임을 보여 물고기를 유혹한다)가 있다. 해초 평형추, 제트 평형추, 델너 평형추 등 (평형추와 봉돌이 일체화된 것)도 기타 타입에 속한다.[1]

스플릿-샷 싱커는 작고 둥글며 싱커의 절반을 가르는 절개가 있다. 절개는 낚싯줄에 놓고 닫을 수 있다. 이 기능은 무게를 쉽고 빠르게 추가하고 제거할 수 있게 해준다.[3]
3. 2. 낚시 종류에 따른 분류
낚시 종류에 따른 낚싯봉 분류는 다음과 같다.- 범용: 분할 봉돌, 좁쌀 봉돌, 판 봉돌 등[1]
- 붕어 낚시: 판 봉돌[1]
- 은어 견지낚시: 은어 봉돌[1]
- 원투 낚시: 해초 평형추, 제트 평형추, 델너 평형추, 통과 봉돌, 오다 원형 봉돌, 가지 봉돌 등[1]
- 사비키 낚시, 빙어 낚시 등: 가지 봉돌, 북 모양 봉돌 등[1]
- 루어 낚시: 스플릿 샷, 총알형 싱커, 지그 헤드 등[1]
3. 3. 형태 및 특징에 따른 분류
- 피라미드 싱커: 피라미드 모양으로, 바닥에 고정하기 용이하다. 합사 고리를 이용해 낚싯줄에 연결한다.[4]
- 배럴/달걀형 싱커: 둥글거나 달걀 모양이며, 가운데 구멍이 있어 낚싯줄이 통과한다. 암석이나 잔해가 많은 곳에서 사용하기 적합하다.[4]
- 스플릿 샷 싱커: 작고 둥근 모양으로, 한쪽에 홈이 파여 있어 낚싯줄에 쉽게 끼우고 뺄 수 있다.[4]
- 총알형 싱커: 총알 모양으로, 플라스틱 웜을 사용하는 배스 낚시(텍사스 리그)에 주로 사용된다.[4]
- 딥시 싱커: 타원형 또는 달걀 모양이며, 황동 와이어 루프가 달려 있어 낚싯줄에 연결한다.[4]
- 뱅크 싱커: 길고 타원형이며, 상단에 작은 구멍이 있어 낚싯줄을 통과시킨다.[4]
- 클로 싱커: 둥근 추에 여러 개의 금속 와이어 스파이크(갈고리)가 달려 있어, 조류가 강한 모래 바닥에서 채비를 고정하는 데 사용된다.[4]
- 심해 드롭 웨이트 (Deep drop weight): 깊은 수심에서 사용되는 원통형 추로, 황동 아일렛이 상단에 있다. 타일피쉬, 그루퍼, 황새치 등을 대상으로 사용된다.[2]
- 라인을 끼워 고정하는 타입: 분할 봉돌, 곰보 봉돌, 아유 봉돌, 스플릿 샷 등이 있으며, 가는 라인의 경우 티슈 페이퍼를 끼워 라인에 흠집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
- 라인을 안에 통과시켜 추가 유동하는 타입: 통과 봉돌, 배럴 싱커 등이 있으며, 통과 봉돌 등은 고무관으로 충격을 흡수시키는 경우가 있다.
- 평형추나 捨て糸(스테이토, 낚시줄) 등의 끝에 부착하는 타입: 가지형 봉돌, 오다 원형 봉돌 등이 있다.
- 기타: 판 봉돌 (고정, 유동 모두 사용 가능), 지그 헤드 (훅과 싱커가 일체화된 것), 브라쿠리, 블러 (주로 쥐노래미 낚시에 사용되며, 바늘과 봉돌이 일체화된 것으로, 특히 후자는 가라앉을 때 특징적인 움직임을 보여 물고기를 유혹한다), 해초 평형추, 제트 평형추, 델너 평형추 등 (평형추와 봉돌이 일체화된 것)이 있다.
4. 무게
낚싯봉의 무게는 기본적으로 척관법의 1몬메(匁, もんめ|몬메일본어)(3.75g)를 1호로 하여, 호수가 커질수록 무게가 비례하여 증가한다. 다만, 분할 봉돌, 좁쌀 봉돌(납구슬), 은어 봉돌 등은 예외이다.[1] 제조사에 따라 무게에 약간의 오차가 있을 수 있다.[1]
분할 비시는 타원형 모양으로 낚싯줄에 끼우는 형태의 추로, 납구슬보다 무겁고 크며 자주 사용된다. 납구슬은 구형으로 낚싯줄에 끼워 사용하며, 가볍고 크기가 세분화되어 있어 미세한 조절이 가능하여 찌낚시나 맹목낚시 등에 많이 사용된다. 고무 부착형 납구슬도 있다. 은어구슬은 은어 친구 낚시나 본류에서의 대물 낚시에 사용되며, 납구슬과 비슷하지만 더 크고 호수가 작아질수록 무거워진다. 판추는 부력 조절이 간편하여 특히 찌낚시 채비에 필요하며, 무게가 아닌 두께(보통 0.25mm)로 구분된다. 더 얇은 판추도 있다.[1]
4. 1. 무게 규격 예시 (참고)
| 호수 | 무게 |
|---|---|
| 극소 | 0.2g |
| 소소 | 0.22g |
| 소 | 0.4g |
| 중 | 0.75g |
| 대 | 0.9g |
| 대대 | 1.35g |
| 특대 | 2.1g |
| 0.8호 | 2.4g |
| 1호 | 3g |
| 1.5호 | 4.5g |
| 2호 | 6g |
| 2.5호 | 7.5g |
| 3호 | 9g |
| 호수 | 무게 |
|---|---|
| 8호 | 0.07g |
| 7호 | 0.09g |
| 6호 | 0.12g |
| 5호 | 0.16g |
| 4호 | 0.2g |
| 3호 | 0.25g |
| 2호 | 0.31g |
| 1호 | 0.4g |
| B호 | 0.55g |
| 2B호 | 0.75g |
| 3B호 | 0.95g |
| 4B호 | 1.2g |
| 5B호 | 1.85g |
| 6B호 | 2.65g |
참조
[1]
논문
Early line and hook fishing at the Epipaleolithic site of Jordan River Dureijat (Northern Israel)
Public Library of Science (PLoS)
2021-10-06
[2]
웹사이트
Deep Drop Weights for Big Bottom Fish
https://thetackleroo[...]
2019-02-13
[3]
웹사이트
Efforts to ban lead in fishing tackle
http://www.keepameri[...]
2011-04-08
[4]
웹사이트
Picking the Right Sinker
http://www.dummies.c[...]
Dummies.com
2010-12-14
[5]
웹사이트
MPCA Home > Sustainability > Reduce Reuse Recycle > Nontoxic Tackle: Let's get the lead out!
http://www.pca.state[...]
[6]
간행물
Effects of tungsten on environmental systems
2005-10
[7]
웹사이트
Efforts to ban lead in fishing tackle
http://www.keepameri[...]
2011-04-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