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남아라비아 연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아라비아 연방은 1962년 4월 4일, 영국 보호령 하에 있던 15개 토후국을 중심으로 결성되었으며, 아덴 식민지와 상 아울라키 술탄국을 포함하여 17개 토후국으로 구성되었다. 1962년 런던에서 영국과 연방 간의 협상이 진행되었으나, 아덴의 반대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 1965년 영국은 연방 정부를 해체하고 직접 통치를 실시했으며, 1966년 코먼웰스 게임에 참가하기도 했다. 1967년 11월 30일, 예멘 인민 민주 공화국이 수립되면서 남아라비아 보호령과 함께 해체되었다. 연방은 자체적인 우표를 발행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예멘 - 예멘 내전 (1994년)
    1990년 남북 예멘 통일 후 정치적 갈등과 권력 불균형으로 1994년 발발한 예멘 내전은 구 남예멘 출신 알리 살렘 알비드 부통령의 분리 독립 시도로 격화되었으나 북부 세력의 승리로 종결되었고, 이는 2015년 예멘 내전의 원인이 되었다.
  • 남예멘 - 예멘의 통일
    예멘의 통일은 1990년 북예멘과 남예멘이 통합하여 예멘 공화국을 수립한 사건으로, 냉전 시대 분단 국가 중 최초의 합의에 의한 통일이었으나 정치적 갈등, 경제 문제, 내전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예멘의 역사 - 사바 왕국
    사바 왕국은 고대 예멘 지역에서 기원전 1200년경 또는 기원전 8세기 이후에 존재하며 향신료 무역으로 번성했고, 아시리아와 교류했으며, 힘야르 왕국에 멸망했다.
  • 예멘의 역사 - 카르마트파
    카르마트파는 티베트 불교 까귀파의 한 분파로, 활불로 여겨지는 카르마파가 정신적 지도자이며, 12세기부터 이어져 온 유서 깊은 종파이나 겔룩파의 탄압을 받기도 했고, 현재 17대 카르마파가 분열되어 논란이 있다.
  • 아덴만 - 아프리카의 뿔
    아프리카의 뿔은 아프리카 대륙 북동부의 반도로, 건조한 기후와 고산지대가 특징이며, 인류의 발상지 중 하나로 에티오피아, 소말리아, 에리트레아, 지부티 등의 국가들이 위치해 다양한 문화와 생태계를 지니고 있지만 여러 문제에 직면해 있다.
  • 아덴만 - 아덴만 여명 작전
    아덴만 여명 작전은 2011년 1월 대한민국 해군 특수전여단이 소말리아 해적에게 피랍된 삼호 주얼리호 선원 21명을 구출하는 과정에서 교전 끝에 해적 사살 및 생포에 성공했으나, 석해균 선장이 중상을 입었고 엠바고 위반, 부상 경위 의혹, 과도한 홍보 논란 등이 있었다.
남아라비아 연방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로마자 표기Ittiḥād al-Janūb al-‘Arabī
일반 명칭남아라비아
지위영국 보호국
존속 기간냉전 시대
소속 제국영국
정부 형태연방 군주국
수도아덴
공용어아랍어
영어
남아라비아어
지도자
대표경 찰스 존스턴 (1963)
경 케네디 트레바스키스 (1963–1964)
경 리처드 턴불 (1964–1967)
경 험프리 트레벨리언 (1967)
대표 직함고등 판무관
수석 장관하산 알리 바유미 (1963)
자인 아브두 바하루 (1963–1965)
압둘-카위 하산 마카위 (1965)
알리 무사 알-바바크르 (1965–1966)
살리흐 알-아와들리 (1966–1967)
역사
시작1962년 4월 4일
종료독립 (1967년 11월 30일)
이전 국가아덴 식민지
남아라비아 에미리트 연방
상 아울라키 술탄국
이후 국가남예멘
통화
통화남아라비아 디나르
상징
남아라비아 연방의 국기
국기
남아라비아 연방의 국장
국장
지도
남아라비아 연방의 지도
남아라비아 연방의 위치

2. 역사

1962년 4월 4일, 남아라비아 연방은 15개 토후국으로 결성되었다. 1963년 1월 18일, 아덴 왕립 식민지가 연방에 합류했고, 1964년 6월 상 아울라키 술탄국이 병합되면서 총 17개 토후국으로 구성되었다.

1962년 7월 23일, 런던에서 영국 식민부 장관 던컨 샌디스와 남아라비아 연방 및 아덴 식민지 장관들 간의 협상이 시작되었다. 양측은 아덴의 헌법적 지위 문제와 연방 가입 조건을 논의했다. 그러나 아덴의 여러 정당과 단체들은 협상에 반대하며, 아덴 인구의 운명은 총선으로 구성될 아덴 국민 정부만이 결정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아덴 노동조합 회의는 런던 협상 개시일에 맞춰 파업을 선언했는데, 이는 1960년부터 파업을 금지하는 법이 있었음에도 강행된 것이었다.[2][3]

1962년 8월 16일, 협상은 합의서 서명으로 마무리되었고, 아덴은 영국 주권 아래 1963년 3월 1일에 남아라비아 연방의 일부가 되었다. 이 합의는 1959년 2월 11일에 체결된 연방 협정의 연장선이었다.[4]

1965년, 영국은 남아라비아 연방 정부를 일시 중단시키고 직접 통치를 시행했다.[6] 1966년, 연방 팀은 코먼웰스 게임에 참가했다. 1967년 11월 30일, 예멘 인민 민주 공화국 수립과 함께 남아라비아 연방은 해체되었다.

2. 1. 남아라비아 연방의 성립 (1962)

1962년 4월 4일, 남아라비아 연방은 15개 토후국으로 결성되었다. 1963년 1월 18일, 아덴 왕립 식민지가 남아라비아 연방에 합병되었다.[2][3]

1962년 7월 23일, 런던에서 영국 식민부 장관 던컨 샌디스와 남아라비아 연방 및 아덴 식민지 장관들 간의 협상이 시작되었다. 이 협상에서 아덴의 헌법적 지위 문제와 연방 가입 조건이 논의되었다. 그러나 아덴의 많은 정당과 단체들은 이러한 협상에 반대했다. 이들은 식민부 장관들이 아덴 인구의 운명을 결정할 권리가 없으며, 총선거를 통해 구성된 아덴 국민 정부만이 연방과의 통합 문제를 결정할 권한이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영국에 대한 의존성을 없애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덴 노동조합 회의를 이끄는 야당 대표들은 아덴 국민의 의지에 반하여 체결된 모든 통합은 기회가 있을 때마다 해체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런던 협상이 시작된 날, 아덴에서는 항의 파업이 선언되었다. 아덴에는 1960년부터 파업을 금지하는 법이 있었고 위반자는 투옥될 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아덴 노동조합 회의는 이 파업을 강행했다.[2][3]

1962년 8월 16일, 협상은 합의서 서명으로 마무리되었고, 아덴은 영국의 주권 아래 유지되면서 1963년 3월 1일에 남아라비아 연방의 일부가 되었다. 이 합의는 1959년 2월 11일에 서명된 연방 협정이 유효하며, 새로운 협정은 이에 대한 추가일 뿐임을 명시했다.[4] 협상 과정에서 아덴이 연방의 일부가 된 후 아덴의 헌법적 지위에 약간의 변화를 주는 것에도 합의가 이루어졌다.[5]

2. 2. 운영 및 통치 (1962-1967)

1962년 4월 4일, 남아라비아 연방은 남아라비아 연방 소속 15개 토후국으로 출범했다. 1963년 1월 18일 아덴 왕립 식민지가 연방에 합류했고, 1964년 6월에는 상 아울라키 술탄국이 병합되어 총 17개 토후국으로 구성되었다.[2]

1962년 7월 23일, 런던에서 영국 식민부 장관 던컨 샌디스와 남아라비아 연방 및 아덴 식민지 장관들 간의 협상이 시작되었다.[2] 아덴의 여러 정당과 단체는 이 협상에 반대하며, 아덴 주민의 운명을 결정할 권한은 총선으로 구성될 아덴 국민 정부에만 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영국으로부터의 독립을 요구했다.[2] 아덴 노동조합 회의는 런던 협상 개시일에 맞춰 파업을 선언했는데, 이는 1960년부터 파업을 금지하는 법이 있음에도 강행된 것이었다.[2][3]

1962년 8월 16일, 협상은 합의서 서명으로 종료되었고, 아덴은 영국 주권 하에 1963년 3월 1일 남아라비아 연방에 편입되었다.[4] 이 합의는 1959년 2월 11일 체결된 연방 협정의 연장선이었다.[4]

1965년, 영국은 남아라비아 연방 정부를 일시 중단시키고 직접 통치를 시행했다.[6] 1966년, 연방 대표단은 자메이카 킹스턴에서 열린 코먼웰스 게임에 참가했다. 1967년 11월 30일, 남아라비아 연방은 남아라비아 보호령과 함께 해체되었고, 예멘 인민 민주 공화국이 수립되었다.

남아라비아 연방의 최고 행정관(Chief Ministers)과 고등 판무관(High Commissioners) 목록은 다음과 같다:

직책이름재임 기간
최고 행정관하산 알리 바유미1963년 1월 18일 – 1963년 6월 24일
최고 행정관자인 압두 바하루1963년 7월 9일 – 1965년 1월 23일
최고 행정관압둘-카위 하산 마카위1965년 3월 7일 – 1965년 9월 25일
최고 행정관알리 무사 알-바바크르1965년 9월 25일 – 1966년 8월 30일
최고 행정관살리흐 알-아와들리1966년 8월 30일 – 1967년 11월 30일
고등 판무관찰스 존스턴1963년 1월 18일 – 1963년 7월 17일
고등 판무관케네디 트레바스키스 경1963년 7월 17일 – 1964년 12월 21일
고등 판무관리처드 턴불 경1964년 12월 21일 – 1967년 5월 22일
고등 판무관험프리 트레벨리안 경1967년 5월 22일 – 1967년 11월 30일


2. 3. 남아라비아 연방의 해체 (1967)

1965년, 영국은 남아라비아 연방 정부를 일시 해산하고 직접 통치를 시행했다.[6] 1966년, 남아라비아 연방 대표팀은 자메이카 킹스턴에서 열린 코먼웰스 게임에 참가했다. 1967년 11월 30일, 예멘 인민 민주 공화국이 수립되면서 남아라비아 연방과 남아라비아 보호령은 해체되었다.

3. 구성국

남아라비아 연방은 1962년부터 1967년까지 남예멘에 존재했던 국가로, 17개의 술탄국, 토후국, 셰이크국으로 구성되었다.

국가마지막 통치자폐위가문재위 기간참고
알라위살리 이븐 사이일1967년 8월 28일알 알라위1940년–1967년[7]
아크라비마흐무드 이븐 무함마드1967년 8월 28일알 아크라비1957년–1967년[8]
아우달리살리 이븐 알-후사인1967년 9월 17일알 아우달리1928년–1967년[9]
하부 아울라키나시르 이븐 아이드루스1967년 11월 29일알 아울라키1947년–1967년[7]
상부 아울라키아와드 이븐 살리1967년 11월 29일알 아울라키1935년–1967년[7]
베이한살레 빈 알-후사인1967년 8월 28일알 하비엘리1935년–1967년[7]
달라샤파울 이븐 알리 샤이프1967년 8월 17일알 아미리1954년–1967년[7]
파들리나시르 빈 압둘라1967년 11월 29일알 파들리1964년–1967년[7]
하우샤비파이살 빈 수루르1967년 11월 29일알 하우샤비1955년–1967년[7]
라헤지파들 6세 빈 알리1967년 8월 17일알 압달리1958년–1967년[7]
와히디 발하프알리 이븐 무함마드1967년 8월 17일알 와히디1967년[7]
와히디 비르 알리알라위 이븐 살리1967년 11월 29일1955년–1967년[7]
와히디 하반후세인 이븐 압둘라1967년 11월 29일1967년까지[7]
하부 야파마흐무드 이븐 아이드루스1967년 8월 28일알 아피피1954년–1967년[7]


3. 1. 구성국 목록

남아라비아 연방의 구성국
국기이름설립참가비고
아덴국의 기
아덴국1963년1963년
알라위 셰이크국의 기
알라위 세습 군주국미상
아크라비 셰이크국의 기
아크라비 세습 군주국1770년
아우달리 술탄국의 기
아우달리 술탄국18세기
베이한 토후국의 기
베이한 토후국1680년
다티나 셰이크국의 기
다티나 세습 군주국18세기
달라 토후국의 기
달라 토후국19세기 초
파들리 술탄국의 기
파들리 술탄국17세기
하우샤비 술탄국의 기
하우샤비 술탄국18세기
라헤즈 술탄국의 기
라헤즈 술탄국1728년1872년이전에는 아덴을 지배했음
로워 아울라키 술탄국의 기
로워 아울라키 술탄국18세기
로워 야파 술탄국의 기
로워 야파 술탄국1800년경
--무플라히 세습 군주국1850년
--샤이프 세습 군주국18세기
--어퍼 아울라키 세습 군주국18세기
--어퍼 아울라키 술탄국18세기
와히디 술탄국의 기
와히디 술탄국1830년원래는 와히디 발하프, 와히디 아잔, 와히디 비르 알리, 와히디 하반의 4개 하위 술탄국으로 구성됨



남아라비아 연방 가맹국 지도


초기 연방은 전신인 남아라비아 토후국 연방의 15개국이었다. 이후 아덴 식민지와 상아울라키 술탄국의 가입으로 17개국이 되었다. 한편, 연방에 가입하지 않은 다른 영국의 보호국은 남아라비아 보호령의 일부가 되었다.

3. 2. 구성국 지도


4. 우표

남아라비아 연방은 1963년부터 1966년까지 자체적인 아덴 우표를 발행했다. 발행된 우표의 대부분은 모든 영연방 영토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합동 발행의 일부였지만, 1965년 4월 1일에 자체적인 기본 우표를 발행했다. 14종으로 구성된 이 세트는 5에서 75 필스까지 10가지 액면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우표에는 단색으로 연방의 문장이 묘사되었다. 최고 액면 4종(100 필스, 250 필스, 500 필스, 1 디나르)에는 연방의 국기가 묘사되었다.[1]

위에 언급된 우표는 스콧 표준 우표 목록에 등재된 우표들이다. 스탠리 기번스 및 기타 널리 사용되는 우표 목록에도 다수의 다른 우표가 발행되어 등재되어 있다. 남아라비아의 일부 우표는 주로 우편용으로 발행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1]

참조

[1] 웹사이트 Parliament Building in Al Ittihad, the capital of the Federation of South Arabia https://discovery.na[...]
[2] 뉴스 The Times The Times 1962-07-24
[3] 뉴스 Aden Chronicle Aden Chronicle 1962-07-12
[4] 뉴스 Aden Chronicle Aden Chronicle 1962-08-23
[5] 뉴스 Aden Chronicle Aden Chronicle 1962-10-04
[6] 서적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Routledge 2004
[7] 웹사이트 States of the Aden Protectorates http://www.worldstat[...] 2010-04-27
[8] 웹사이트 States of the Aden Protectorates http://www.worldstat[...] 2010-04-27
[9] 웹사이트 States of the Aden Protectorates http://www.worldstat[...] 2010-04-27
[10] 서적 A Collection of First World War Military Handbooks of Arabia, 1913–1917 Archive Editions
[11] 웹사이트 www.worldstatesmen.org/Yemen http://www.worldstat[...] 2017-06-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