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덴만 여명 작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덴만 여명 작전은 2011년 1월, 소말리아 해적에게 피랍된 삼호해운 소속 선박 삼호 주얼리호의 한국인 선원 등 21명을 구출하기 위해 대한민국 해군 특수전여단이 투입되어 수행한 군사 작전이다. 2011년 1월 21일, 최영함과 해군특수전여단이 투입되어 2차 구출 작전을 통해 해적 8명을 사살하고 5명을 체포하여 인질 전원을 구출했다. 작전 과정에서 석해균 선장이 부상을 입었으며, 이후 해적 처벌, 군사 기밀 누출 및 홍보 논란, 엠바고 위반 논란, 석해균 선장 부상 관련 논란 등이 발생했다. 이 작전은 대한민국 해군의 군사 작전 능력을 과시하고 해적 행위에 대한 강력한 대응 의지를 보여준 사례로 평가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말리아의 해적 - 캡틴 필립스
    2009년 머스크 앨라배마호 납치 사건을 배경으로 폴 그린그래스가 감독하고 톰 행크스가 리처드 필립스 선장 역을 맡아 소말리아 해적에게 납치된 선박과 선원들을 구출하는 용감한 노력을 그린 2013년 미국 스릴러 영화이다.
  • 소말리아의 해적 - 연합기동부대 151
    연합기동부대 151은 소말리아 해역의 해적 행위 억제와 해상 안보 증진을 목적으로 2008년에 창설된 다국적 해군 연합 부대로, 아덴 만 해상 안보 순찰 구역 설정 및 푼트랜드 정부 협력 등을 통해 해상 안전 확보에 기여했으나, 작전 실효성에 대한 논란도 있다.
  • 한국이 참가한 해전 - 운요호 사건
    운요호 사건은 1875년 일본 군함 운요호가 조선 강화도를 침략하여 발생한 무력 충돌로, 조선 개항을 강요하려는 일본의 도발 의혹이 있으며, 강화도 조약 체결을 통해 일본 제국주의의 조선 침략 발판을 마련하고 동아시아 국제 정세에 영향을 미쳤다.
  • 한국이 참가한 해전 - 여수 반잠수정 침투 사건
    여수 반잠수정 침투 사건은 1998년 12월 여수시 해안에서 대한민국 해군이 북한의 반잠수정을 격침한 사건으로, 남북 관계 긴장 고조 및 제1차 연평해전의 배경이 되었으며, 현재 격침된 반잠수정은 여수시에 전시되어 있다.
아덴만 여명 작전 - [전쟁]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작전 정보
명칭아덴만 여명 작전
일부소말리아 해적 소탕 작전
해양 방패 작전
항구적 자유 작전 - 아프리카의 뿔
대한민국 해군 특수부대 요원들이 화학물질 운반선 MV 삼호 주얼리호에 탑승하여 전투 준비를 하고 있다. 배에는 깨진 유리와 구멍이 뚫린 흔적이 보인다.
아덴만 여명 작전 중 대한민국 해군 특수부대 요원들이 MV 삼호 주얼리호에 탑승하고 있다.
날짜2011년 1월 18일 ~ 21일
장소아라비아 해, 아덴만 인근
결과대한민국 승리, 인질 21명 전원 구출
교전 세력
교전국 1대한민국 해군
지원국:
오만 왕립 해군
미국 해군
교전국 2소말리아 해적
지휘관
지휘관 1조영주 대령
지휘관 2아브디 리스케 샤크 KIA
수티 알리 하루트 KIA
병력
병력 1구축함 1척
헬리콥터 1대
대한민국 해군 특수전여단 30명
병력 2화학 물질 운반선 1척
해적 17 ~ 20명
사상자
사상자 12011년 1월 18일:
해군 3명 부상
2011년 1월 21일:
없음
사상자 22011년 1월 18일:
해적 4명 이상 사망 또는 실종
2011년 1월 21일:
해적 8명 사망, 5명 생포
사상자 3민간인 1명 부상

2. 발단

2011년 1월, 대한민국의 삼호해운 소속 선박 삼호 주얼리호가 소말리아 해적들에게 피랍되었다. 대한민국 기업 소속 선박이 납치되는 일이 계속해서 발생하자, 대한민국 국민들 사이에서는 해적에 대한 몸값 지불을 반대하는 여론이 생겨났다.[34] 이에 따라 정부는 청해부대 소속 최영함을 투입해 인질 구출 작전을 시행하기로 결정하고 현장에 급파했다.

2010년 7월의 ROKS 최영함(DDH-981)(6번함)


2011년 1월 15일, 노르웨이 소유의 화학제품 운반선 삼호주얼리호가 아랍해를 항해 중이었다. 아랍에미리트에서 스리랑카로 향하던 중 오만 무스카트 항구 남동쪽 약 350nmi 지점에서 소말리아 해적들의 공격을 받았다.[1][2][3] 선장인 석해균은 국제 해역에 머무르기 위해 배의 항로를 변경했다.[4] 결국 해적들은 선박을 장악하여 다른 선박을 공격하는 기지로 사용했다.[5]

1월 16일, 이명박 대한민국 대통령은 이 위기에 "포괄적으로 대처하라"는 명령을 내렸다.[9] 청해부대장 조영주 대령이 지휘하는 충무공 이순신급 구축함 최영함이 파견되었다.[10] 부대에는 대한민국 해군 특수전여단 대원들이 포함되었다.[11] 최영함에 탑승한 30명의 특수부대원들은 여러 대의 소형 보트와 웨스트랜드 슈퍼 링스 헬리콥터를 이용하여 투입될 수 있었다.[17][12]

3. 전개

최영함이 삼호 주얼리호를 추격하여 해적들이 지칠 때까지 기다렸다.[8] 해적들의 체력을 소모시키기 위해 여러 차례 가짜 공격을 했고, 통신 방해를 이용하여 지원 요청을 막았다.[15][16]

3. 1. 1차 구출 작전 (2011년 1월 18일)

2011년 1월 18일 20시 9분(KST), 최영함이 해적들을 뒤쫓던 중 해적들이 몽골 선박을 추가로 피랍하기 위해 자선(子船)을 내리는 것을 포착하고, 해적들이 분열된 틈을 타 1차 구출 작전이 시행되었다. 청해부대 소속 해군특수전여단 요원들이 고속정으로 삼호 주얼리호에 접근하는 동안, 링스 헬기가 자선에 위협사격을 가하여 해적들의 관심을 끌었다. 그러나 해적들은 흰 깃발을 들고 항복하는 척하다가 AK 소총을 발포하였고, 이 과정에서 특수부대원 3명이 총상과 찰과상 등 부상을 입었다. 결국 작전은 중지되었고, 특수부대원들은 최영함으로 복귀했다. 확보된 해적의 자선에서는 AK-47 3정과 사다리, 해적 자선(子船)이 있었으며, 경고 사격 과정에서 해적 여러 명이 바다에 빠져 실종되었다.[17][18]

2006년 중반의 대한민국 해군 링스 헬리콥터


이 교전에서 해적들은 몽골 화물선을 나포하려다 11km 떨어진 곳에서 링스 헬리콥터의 추격을 받고 4명이 사망하거나 실종되었다.[17][18] 몽골 선박이 안전하게 이동한 후, 최영함 승조원들은 해적들의 모터보트 잔해를 인양하여 녹슨 AK-47 소총 3정과 탄창 1개, 작은 철제 사다리 3개, 드라이버, 스패너, 여러 개의 낚시칼 등을 발견했다. 해적들이 총 6정의 AK-47 소총을 가지고 있었고 그중 3정이 압수되었으므로, 해적들은 소총의 절반과 인원의 약 4분의 1을 잃게 되었다.[19][20]

대한민국 군 당국은 정보 보고서를 통해 남은 해적들이 지쳐 있고 소말리아에서 추가 해적들이 증원될 것이라는 정보를 바탕으로 함정 탑승 작전을 개시하기로 결정했다.[8]

3. 2. 2차 구출 작전 (2011년 1월 21일)

2011년 1월 21일, 대한민국 해군특수전여단(UDT/SEAL)이 투입되어 약 5시간의 교전을 거쳐 해적들을 제압하고 21명의 선원들을 전원 구출했다. 해적 8명을 사살하고 5명을 생포했으며, 대한민국 해군의 사망자는 없었다. 인질 중 사망자는 없었으나, 석해균 선장이 복부에 관통상을 입었다.[35]

작전 과정 중에 해적이 발사한 총탄에 부상을 입은 삼호 주얼리호의 석해균 선장은 응급 처치 후 오만의 술탄카부스 병원에서 수술을 받았다. 이후 석 선장은 오만 살랄라 공항에서 환자이송 전용기를 통해 대한민국 서울공항에 도착, 아주대학교병원으로 옮겨져 치료를 받았다.

'삼호주얼리호' 탑승 작전은 현지 시각 1월 21일 04시 58분에 시작되었으며, 소말리아 해안에서 약 700nmi 떨어진 해상에서 이루어졌다.[8][21] 해군 특수부대는 고속단정 3척을 이용하여 유조선에 접근했고, 최영함의 헬기는 유조선에 사격을 가해 일부 해적들을 사살했다.[21] 특수부대가 선박에 탑승하자 AK-47 돌격소총과 로켓추진유탄으로 무장한 해적들은 총격전을 시작했고, 그 결과 해적 8명이 사망하고 5명이 체포되었다. 유조선 선장은 부상을 입었지만 생명에는 지장이 없는 것으로 예상되었다.[21][22] 미국 해군 구축함 도 작전을 지원하여 총격전이 끝난 후 헬기를 이용해 유조선 선장을 후송했다.[13] 전체 작전 시간은 약 5시간이었다.[5] 이 구출 작전은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 이성호 중장에 의해 "완벽한 군사 작전"으로 평가받았다.[8]

4. 해적 처벌

대한민국 정부는 생포한 해적 5명을 제3국에 넘겨 국제 공조를 통해 대신 처벌하도록 할 예정이었으나, 주변 국가들이 이를 거부하여 처음으로 한국으로 데려와 처벌하게 되었다.[36] 이명박 대통령은 이들을 한국으로 데려와 처벌하도록 지시했다.[38] 2011년 1월 29일, 작전 중 체포된 해적 5명은 살인미수 및 해상강도 혐의로 기소되었다.[25] ''삼호주얼리호''와 석해균 선장이 부산에 거주했기 때문에, 부산에서 수사가 진행되었다.[25]

대한민국 해양경찰청은 체포된 해적들을 심문한 결과, 28세의 리더 압디 리스케 샤크(Abdi Risqe Shakh)와 그의 부관 수티 알리 하룻(Suti Ali Harut)이 두 차례의 급습 과정에서 사망했다고 결론지었다.[26] 생존한 해적들은 서로 알지 못하며, 유조선 선장을 쏜 사람도 모른다고 부인했지만, 수사관들은 아라이 마호메드(Arai Mahomed)가 총을 쐈을 가능성이 있다고 의심했다.[27] 이들은 해상강도, 살인미수, 선박 납치 혐의를 받았다.[28]

2011년 5월 27일, 1심 재판부는 석해균 선장에게 총을 쏜 혐의를 받는 아라이 마호메드(Arai Mahomed)에게 무기징역을 선고했고, 다른 3명에게는 징역 13년에서 15년을 선고했다.[29] 마지막 해적은 별도로 재판을 받아 15년형을 선고받았다.[30]

5. 논란

대한민국 국방부가 아덴만 여명 작전을 정부 홍보에 사용하면서 군사 기밀을 과도하게 공개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구출 작전 직후 UDT 대원들의 사진, 작전 내용, 최영함의 위성 좌표, 헬기 대응 등이 공개된 점이 대표적으로 지적되었다.[45] 자유선진당 이진삼 의원 등은 이러한 기밀 누출이 향후 작전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고 우려했다.[45] 한나라당 홍준표 의원 역시 군사 작전 내용 공개에 대해 우려를 표했고, 민주당 박지원 원내대표는 언론 보도가 지나치다고 비판했다.[46][47]

국방부와 출입기자단은 인질 안전을 위해 엠바고에 합의했으나, 부산일보, 아시아투데이, 미디어오늘이 이를 어기고 보도했다. 국방부는 징계를 내렸으나, 해당 언론사들은 반발했다.[49] 최상재 언론노조위원장은 엠바고 요청 자체가 무의미하며 징계가 부당하다고 주장했다.[50] KBS 《미디어비평》은 엠바고를 어긴 언론사에 대한 징계가 이례적이며 언론 자유를 침해할 소지가 있다고 보도했다.[51]

석해균 선장이 대한민국 UDT 대원들의 총에 맞아 부상을 입었다는 논란이 있었다. 한나라당은 유언비어라고 주장했으나,[53] 석 선장의 몸에서 대한민국 UDT 대원들이 사용하는 총알이 발견되면서 논란이 일었다.[54] 의료진이 탄환을 분실하면서 의혹이 증폭되기도 했다.[55]

5. 1. 군사 기밀 누출 및 홍보 논란

대한민국 국방부가 이 작전에 대해 정부 홍보에 사용하면서, 군사작전 등 군사기밀을 과도하게 공개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대표적으로 구출 작전 직후 찍은 UDT 대원들의 사진, 작전 내용, 최영함의 위성 좌표, 헬기의 대응 등이 공개된 점이 지적되었다.[45]

자유선진당 이진삼 의원은 "앞으로 우리 이거(기밀 누설) 때문에 (추가)작전에 성공한다는 보장이 없다"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이성호 합참 군사지원본부장은 비밀사항이 아니기 때문에 공개했다고 해명했으나 비판은 사그라들지 않았다. 당초 최영함이 대한민국에 도착하면 내부까지 공개하려던 군은 인터뷰만 하기로 계획을 변경했다.[45]

한나라당 홍준표 의원은 "군사비밀이 적나라하게 TV화면에 비춰지고 작전 내용이 공개되는 것이 참으로 걱정스럽다”면서 “군의 작전 내용은 홍보 수단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민주당 박지원 원내대표는 "언론들이 아덴만 기사로 꽉 채워서 도대체 그 외에 우리 나라에서, 세계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판단하기 지극히 어렵다"고 비판했다.[46][47]

결국 국군 기무사령부는 기밀 누설에 대해 조사에 착수했다. 한겨레는 사설에서 '이명박 대통령이 국방부장관에게 인질 구출을 지시했다'고 담화문을 발표한 것은 썩 보기 좋은 모습이 아니라고 지적하며, 작전 초기 부대가 알아서 할 일이라는 청와대의 입장이 작전 성공 후 정반대로 바뀌었다고 비판했다.[48]

5. 2. 엠바고 논란

대한민국 국방부와 출입기자단은 인질들의 안전을 우려해 작전 진행 상황이 언론에 노출되면 안 된다고 판단해 엠바고에 합의했으나 부산일보, 아시아투데이, 미디어오늘은 그대로 보도했다. 국방부는 부산일보에 대해서는 요청을 받아들여 기사를 삭제한 점을 감안해 1개월 출입정지를, 재차 요청에도 기사를 게재한 미디어오늘과 아시아투데이에는 등록 취소 결정을 각각 내렸다.[49] 그러나 미디어오늘, 아시아투데이는 지면을 통해 반발했다. 최상재 언론노조위원장은 "부산일보를 통해 이미 보도된 상황에서 엠바고를 요청한다는 것 자체가 무의미하며, 엠바고는 종료됐다고 봐야 함에도 이를 인용 보도한 매체마저 중징계한다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며 이번 징계가 부당함을 지적했다.[50]

KBS 《미디어비평》도 엠바고 요청을 지키지 않은 언론들에 대한 징계에 대해 보도했다. 《미디어비평》은 '그동안 엠바고가 지켜지지 않은 언론사들에 대해서는 기자단들이 자체 징계를 내리는 행태로 이루어졌다'고 지적하면서 정부에 의한 출입등록 취소는 이례적인 일이라고 보도했다. 또한 징계를 받은 언론들은 국방부 정식 출입 기자단에 등록되지 않은 상태였기 때문에 엠바고를 깬 것은 아니었다는 주장도 보도하면서, 정부에 의해 이러한 징계가 이루어질 경우 언론 자유를 침해할 소지가 있다고 보도했다. 반면 전문가들은 원칙적으로 국가 위난과 관련한 엠바고는 언론에서 수용해야 한다는데 이견이 없는데 엠바고를 어겼다고 해서 기자단 차원의 출입 제한 등의 조치 외에는 별다른 제재 수단도 없다고 보도했다.[51]

이후 아시아투데이는 정부의 등록취소 조치에 불복하며 법원에 등록 취소 효력 정지 가처분신청을 냈고, 법원은 아시아투데이의 제안을 받아들여 2개월 등록정지하라는 권고안을 내놓았고 양 당사자는 이를 수용했다. 청와대는 미디어오늘에 대해서도 같은 방법으로 처리할 방침이라고 밝혔다.[52]

5. 3. 석해균 선장 부상 관련 논란

석해균 선장이 대한민국 UDT 대원들의 총에 맞아 부상을 입었다는 이야기가 나돌던 가운데 한나라당은 공식 논평을 통해 '인터넷에 떠도는 유언비어'라고 주장했다.[53] 하지만 석 선장을 치료하는 과정에서 총상 중 대한민국 UDT 대원들이 사용하는 총알도 한 발이 끼어있던 것으로 드러나면서 유탄인지, 오인 사격인지에 대한 논란이 일었고, 한나라당의 논평이 성급했던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왔다.[54] 의료진이 치료 과정에서 석 선장의 총상에서 발견된 탄을 분실하면서 '무리한 작전으로 인해 오인 사격을 가해놓고 비판 여론을 숨기려 일부러 탄환을 숨기려 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55] 또한 정부가 작전 성공을 홍보하는 과정에서 석해균 선장의 부상을 축소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민주당에 의해 제기되기도 했다.[56]

6. 결과 및 영향

소말리아 해적들은 살해된 해적 8명에 대한 보복으로 "앞으로 대한민국 선박을 납치하면 돈을 요구하지 않고 선박을 불태우고 선원을 죽일 것"이며, "대한민국은 우리 동료를 살해한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이라고 위협하였다고 로이터 통신이 23일 전했다.[40][41][42] 이에 대한민국 삼성중공업은 비살상 무기를 사용해 해적을 퇴치하는 해적 퇴치 통합 시스템을 개발했다. 이 시스템은 항해 정보 분석을 통해 해적선을 판별하고, 고화질 나이트 비전을 이용한 추적 감시, 조타실 등 안전한 장소에서 CCTV를 통해 원격 제어하여 물대포를 발사한다.[43]

대한민국은 사망한 해적들의 시신을 수장하는 방안을 검토하였으나, 소말리아 정부에 시신을 인계하는 방안에 합의했다.[44]

이명박 대통령은 텔레비전에 출연하여 작전에서 한국군의 행동을 칭찬하고 한국 국민을 위협하는 자에게는 강력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경고했다.[13] 이 작전은 연평도 포격 사건과 같은 북한의 여러 도발에 대한 한국 정부의 대응과 대조적으로 해적에 대한 강력한 대응을 보여주었기 때문에 언론에 의해 큰 성공으로 여겨졌다.[23] 한국의 강력한 무력 시위로 인해 일부 소말리아 해적들이 한국 해군의 행동에 대한 "복수"를 시도하려 한다는 보도가 있었다. 해적들은 더 이상 한국 국적 선박과 선원들을 인질로 잡아 몸값을 요구하는 시도를 하지 않고, 대신 선박을 공격하고 선원들을 살해할 것이라고 말했다.[24]

7. 관련 방송


  • KBS 스페셜 〈긴급입체분석, 아덴만 여명 소말리아 인질 구출작전〉 (2011년 1월 23일) [13]
  • 미디어비평 〈영화 같은 구출작전 보도〉 (2011년 1월 29일) [14]

참조

[1] 웹사이트 South Korean commandos storm hijacked freighter https://www.ctvnews.[...] 2015-05-11
[2] 뉴스 South Korea delivers setback to Somali pirates, and a warning to North Korea http://www.csmonitor[...] 2011-01-21
[3] 뉴스 S Korean navy rescues hijacked vessel: East Africa agency https://web.archive.[...] 2011-01-21
[4] 뉴스 Wounded hero captain fights for life http://joongangdaily[...] 2011-01-25
[5] 뉴스 South Korea Rescues Crew and Ship From Pirates https://www.nytimes.[...] 2011-01-21
[6] 뉴스 Pirate battle frees Norwegian ship http://www.newsineng[...] 2011-01-24
[7] 뉴스 A heroic rescue for the ages http://joongangdaily[...] 2011-01-24
[8] 뉴스 South Korea rescues Samho Jewelry crew from pirates https://www.bbc.co.u[...] BBC News 2011-01-21
[9] 뉴스 Korean crew of Samho Jewelry expected to return home late next week http://english.yonha[...] 2011-01-16
[10] 뉴스 Remaining 7 S. Korean crew members of freed cargo ship to arrive home Wednesday http://english.yonha[...] 2011-01-31
[11] 뉴스 South Korean commando raid kills eight Somali pirates https://www.telegrap[...] 2011-01-21
[12] 문서 Watts, p. 125
[13] 뉴스 South Koreans pull off daring rescue of pirated ship http://edition.cnn.c[...] CNN 2011-01-21
[14] 뉴스 S. Korean Navy Frees Crew of Hijacked Chemical Tanker http://www.voanews.c[...] Voice of America 2011-01-21
[15] 뉴스 High-tech gear helped S. Korea raid on pirates https://web.archive.[...] StarAfrica.com 2011-01-24
[16] 뉴스 '아덴만 여명 작전' 300분의 재구성 http://news.chosun.c[...] 2011-01-22
[17] 뉴스 Navy storms hijacked ship, rescues all 21 sailors http://joongangdaily[...] 2011-02-07
[18] 뉴스 1차 작전 실패‥"해적 거짓항복에 속았다" http://news.naver.co[...] 2011-01-23
[19] 뉴스 노획한 소말리아 해적 보트와 소총 공개 http://news.naver.co[...] 2011-01-21
[20] 뉴스 S. Korean navy team frees hijacked cargo ship; kills Somali pirates http://www.seanews.c[...] 2011-01-21
[21] 뉴스 S. Korean Navy frees hijacked cargo ship, kills 8 Somali pirates http://english.yonha[...] 2011-01-21
[22] 뉴스 Eight Somali pirates killed as South Korea rescues freighter crew https://www.theguard[...] 2011-01-21
[23] 뉴스 South Korea delivers setback to Somali pirates, and a warning to North Korea http://www.csmonitor[...] 2011-01-21
[24] 뉴스 Somali pirates threaten to kill Korean hostages https://www.reuters.[...] 2011-01-23
[25] 웹사이트 Somalis accused of piracy are flown to South Korea https://www.bbc.co.u[...] BBC News 2011-02-01
[26] 뉴스 Pirates held in Busan like Korean food, legal system http://joongangdaily[...] 2011-02-02
[27] 뉴스 Somali Pirates Give Conflicting Evidence http://english.chosu[...] 2011-02-04
[28] 뉴스 Rescued Korea crew slam pirate brutality https://web.archive.[...] 2011-02-04
[29] 뉴스 '아라이 무기징역' 등 소말리아 해적 중형 선고 https://web.archive.[...] 2011-05-28
[30] 뉴스 South Korea Jails Somali Pirate For 15 Years https://www.capitalf[...] 2020-05-21
[31] 뉴스인용 청해부대 '삼호주얼리호 구출작전' 성공 뒤엔… 든든한 '중동 우방국' 오만이 있었다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1-01-24
[32] 뉴스 부상한 삼호선장, 해적이 보복 사격한 것 https://news.naver.c[...] mbc 2011-01-23
[33] 뉴스인용 소말리아 인질 구출작전명은 ‘아덴만 여명’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1-01-21
[34] 뉴스 소말리아 해적에 "한국은 여전히 봉"... 대책 시급 https://news.naver.c[...] 머니투데이 2011-01-21
[35] 뉴스 4시간58분 드라마 같은 작전 https://news.naver.c[...] 중앙일보 2011-01-22
[36] 뉴스 삼호주얼리호 오만으로 이동 중‥다음 주 초 도착 https://news.naver.c[...] mbc 2011-01-22
[37] 뉴스 피랍 금미호 선원-생포 해적 맞교환할 수도 https://news.naver.c[...] 한국일보 2011-01-24
[38] 뉴스 MB, 생포 해적 국내에서 처벌하라 지시 https://news.naver.c[...] 쿠키뉴스 2011-01-25
[39] 뉴스인용 '아라이 무기징역' 등 소말리아 해적 중형 선고 https://web.archive.[...] MBC 2011-05-28
[40] 뉴스인용 해적, 한국에 보복?…"앞으로 선원 죽일것" 협박 http://news.sbs.co.k[...] SBS 2011-01-23
[41] 뉴스인용 소말리아 해적" 복수위해 앞으로 한국인선원 모두 살해"협박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1-01-23
[42] 뉴스인용 소말리아 해적 “한국인 보복살해” https://web.archive.[...] 쿠키뉴스 2011-01-23
[43] 뉴스 삼성重, 해적 퇴치 통합시스템 개발 http://www.constimes[...] 건설타임즈 2011-01-24
[44] 뉴스 삼호주얼리호 선원 7명 '피랍에서 귀환까지' https://news.naver.c[...] mbn 2011
[45] 뉴스 아덴만 여명 작전' ‥기밀 누설 여부 조사 착수 https://news.naver.c[...] mbc 2011-01-26
[46] 뉴스 여야 “아덴만 마케팅 지나치다” 한 목소리 비판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1-01-24
[47] 뉴스 군사작전 과도한 공개 뒤탈 없을까 https://news.naver.c[...] 국민일보 2011-01-23
[48] 뉴스 소말리아 해적 제압 생색내기에 급급한 청와대 https://news.naver.c[...] 한겨레 2011-01-24
[49] 뉴스 엠바고 파기 언론사 중징계 http://news.mt.co.kr[...] MT
[50] 뉴스 청와대까지 팔걷고 언론 보복 http://www.mediatoda[...] 미디어오늘 2011-01-25
[51] 뉴스 영화 같은 구출작전 보도 http://news.kbs.co.k[...] 미디어비평 2011-01-29
[52] 뉴스 엠바고' 청와대-아시아투데이 '법원 조정권고 http://www.mediatoda[...] 미디어오늘 2011-02-21
[53] 뉴스 안형환 대변인 현안관련 브리핑 https://news.naver.c[...] 한나라당 공식 논평 2011-02-06
[54] 뉴스 한나라당, 석 선장 아군 사격 유언비어라더니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1-02-07
[55] 뉴스 오인 사격이냐 유탄이냐 ‘의문의 해군총알’ https://news.naver.c[...] 한겨레 2011-02-07
[56] 뉴스 민주당 “석해균 선장 병세 축소 의혹” https://news.naver.c[...] 경향신문 2011-01-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