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의 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프리카의 뿔은 아프리카 대륙 동부에 위치한 지역으로, 소말리아, 지부티, 에리트레아, 에티오피아를 포함한다. 이 지역은 고대 그리스와 로마 시대에는 향기로운 식물이 자라는 곳으로 알려졌으며, 지리적으로는 건조한 기후와 고산 지형이 특징이다. 다양한 언어와 민족이 공존하며, 쿠시트어군, 셈어파, 오모트어군 등의 언어가 사용된다. 경제적으로는 가축 거래가 활발하며, 2020년부터 이어진 심각한 가뭄으로 인해 많은 인구가 식량 위기에 직면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프리카의 뿔 - 에티오피아
에티오피아는 아프리카의 뿔 지역에 위치한 공화국으로, 여러 나라와 국경을 접하며 아프리카에서 두 번째로 인구가 많고, 인류 초기 발상지 중 하나로 기원전 980년경 다못 왕국이 건국되었으며, 악숨 왕국, 기독교 국교 채택, 독립 유지, 사회주의 정권, 연방 공화국 수립, 에리트레아 분리 독립, BRICS 가입 등의 역사를 거쳤다. - 아프리카의 뿔 - 2011년 아프리카의 뿔 가뭄
2011년 아프리카의 뿔 가뭄은 강우 부족, 곡물 가격 상승, 가축 손실, 알 샤바브의 반군 활동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 심각한 가뭄으로, 소말리아 남부에 기근이 선포되고 수백만 명의 난민이 발생하는 등 심각한 인도주의적 위기를 초래했다. - 아덴만 - 아덴만 여명 작전
아덴만 여명 작전은 2011년 1월 대한민국 해군 특수전여단이 소말리아 해적에게 피랍된 삼호 주얼리호 선원 21명을 구출하는 과정에서 교전 끝에 해적 사살 및 생포에 성공했으나, 석해균 선장이 중상을 입었고 엠바고 위반, 부상 경위 의혹, 과도한 홍보 논란 등이 있었다. - 아덴만 - 타주라
지부티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 중 하나인 타주라는 타주라 만에 위치한 아파르족 술탄국의 중심지이자 항구로서, 노예 무역 중심지, 에티오피아 교역의 요충지, 그리고 현대화된 항구를 통한 에티오피아와의 교역 증진을 도모하는 주요 항구 도시이다. - 홍해 - 수에즈 운하
수에즈 운하는 이집트를 통과하여 지중해와 홍해를 잇는 193.3km의 인공 수로로, 세계 무역의 핵심 항로이지만, 건설 과정의 환경 및 인권 문제, 그리고 사고 발생 시 전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려도 존재하며 이집트 경제에 중요한 수입원이다. - 홍해 - 수에즈주
수에즈주는 이집트의 주로, 수에즈 운하와 인접한 지리적 중요성을 가지며, 주요 도시 지역과 항구를 통해 경제 활동을 활발히 하고, 아인 숙나와 같은 관광 명소와 자유 지역도 존재한다.
아프리카의 뿔 | |
---|---|
지도 | |
![]() | |
기본 정보 | |
지역 | 동아프리카 |
다른 이름 | 소말리 반도 소말리 지역 |
포함 국가 | 지부티 에리트레아 에티오피아 소말리아 |
미승인 국가 | 소말릴란드 푼틀란드 |
인구 (2020년 추정) | 140,683,144 명 |
면적 | 1,882,757 km² |
전략적 중요성 | |
지정학적 중요성 | 유럽 걸프 국가 그 외 지역에 대한 전략적 요충지 |
주요 원유 수송로 | 바브엘만데브 해협 아덴만 |
해상 요충지 | 홍해 |
경제적 중요성 | 벙커링 시설 및 투자 유치 |
언어 | |
주요 언어 | 소말리어 암하라어 아랍어 오로모어 티그리냐어 |
영어 이름 | Horn of Africa |
소말리어 이름 | Geeska Afrika |
암하라어 이름 | የአፍሪካ ቀንድ |
아랍어 이름 | القرن الأفريقي |
오로모어 이름 | Gaaffaa Afriikaa |
티그리냐어 이름 | ቀርኒ ኣፍሪቃ |
소말릴란드 이름 | Somaliland |
소말리 반도 이름 | Somali Peninsula |
소말리 지역 이름 | Somali Area |
소말리 지방 이름 | Somali Region |
문화어 이름 | 아프리카뿔 지역 |
2. 명칭
이 반도는 다양한 이름으로 알려져 왔다. 고대 그리스와 로마 제국 사람들은 향기로운 식물들 때문에 아로마티카 지역 또는 '시나모니포라 지역'이라고 불렀거나, 미지의 영토였기 때문에 '인코그니타 지역'이라고 불렀다. 고대와 중세 시대에는 아프리카의 뿔을 바르바리아(Bilad al Barbar) 즉 "베르베르인의 땅"이라고 불렀다.[15][16][20] 또한 소말리아 반도로 알려져 있으며, 소말리아어로는 게스카 아프리카(Geeska Afrika) 또는 자시라다 소말리(Jasiiradda Soomaali)라고 한다.[17] 다른 지역 언어로는 "아프리카의 뿔" 또는 "아프리칸 혼"이라고 불리는데, 암하라어로는 የአፍሪካ ቀንድ|yäafrika qändam, 아랍어로는 القرن الأفريقي|al-qarn al-'afrīqīar, 오로모어로는 Gaanfaa Afrikaa, 티그리냐어로는 ቀርኒ ኣፍሪቃ|q'ärnī afīrīqati이다.[18][19]
3. 지리
아프리카의 뿔은 적도와 북회귀선의 중간쯤 위치하고 있으며 매우 건조한 지역이다. 이 지역은 동아프리카 지구대가 지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형성된 고산지대와 협곡이 주를 이룬다. 홍해 연안은 지구상에서 가장 더운 곳 중 하나이며, 고산지대는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다.
3. 1. 지형
아프리카의 뿔은 적도와 북회귀선의 중간쯤 위치하고 있으며 매우 건조한 지역이다. 이 지역의 지형은 주로 고산지대와 협곡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터키에서 모잠비크에 이르는 동아프리카 지구대가 지나고 있다. 산악지형은 이 대 지구대로 인해 형성된 것이다. 가장 높은 산은 에티오피아 북서쪽의 시미엔 산인데, 광활한 빙하가 시미엔 산과 베일 산을 덮고 있었으나 홀로세 때 녹아버렸다. 산악 지대는 홍해 방향으로 경사가 급하고 인도양쪽은 완만한 편이다. 소코트라섬은 인도양에 접한 소말리아 해안에 위치한 작은 섬으로 아프리카의 일부로 분류된다. 크기는 약 3600km2이며 아라비아 반도 최남단의 국가 예멘의 영토이다.[1]
저지대는 적도에 가까운데도 보통 건조한 편이다. 우기에 열대 계절풍(몬순)이 사헬과 수단 지역에 비를 뿌리고 난 후, 지부티와 소말리아에 도달하면 습기를 잃기 때문이다. 그 때문에 우기에도 이 지역의 강수량은 매우 적다. 하지만 계절풍이 불어오는 방향인 에티오피아 중서부와 에리트리아 남쪽 끝은 매우 많은 양의 비가 내린다. 에티오피아 산악지대의 연간 강수량은 2000mm에 달한다. 하지만 아스마라의 연간 강수량은 570mm에 불과하다. 이 비는 에티오피아 대부분 지역과 이집트에 이르는, 지구상에서 (강수량만을 따졌을 때) 가장 건조한 지역에 수분을 공급하는 유일한 원천이 된다.[1]
겨울철에는 북동 무역풍이 불어오지만 북 소말리아의 일부 산악지대를 제외하곤 수분이 전혀 공급되지 않는다. 소말리아엔 늦가을 약간의 비가 내리는데, 그것이 500mm에 불과한 연간 강수량의 전부가 된다. 동부 해안지역은 상승기류와 해안에 평행하게 부는 바람으로 인해 연간 강수량이 51mm까지 떨어지는 곳도 있다.[1]
홍해 연안은 지구상에서 가장 더운 곳 중에 하나로, 7월 평균 기온이 41°C에 달하며 1월에도 32°C를 유지한다. 동부 해안 지대는 해안풍으로 약간 기온이 낮지만 덥기는 마찬가지이다. 하지만 고산지대는 온도가 낮다. 아스마라 지역은 연 최고 기온이 20°C 정도이며 구름 없는 밤에 결빙 현상이 일어나기도 한다. 가장 높은 산인 시미엔 산은 연간 기온이 -10°C ~ 14°C 정도이다.[1]
3. 2. 기후
아프리카의 뿔은 적도와 북회귀선의 중간쯤 위치하고 있으며 매우 건조한 지역이다. 이 지역의 지형은 주로 고산지대와 협곡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터키에서 모잠비크에 이르는 동아프리카 지구대가 지나고 있다. 산악지형은 이 대 지구대로 인해 형성된 것이다. 가장 높은 산은 에티오피아 북서쪽의 시미엔 산인데, 광활한 빙하가 시미엔 산과 베일 산을 덮고 있었으나 홀로세 때 녹아버렸다. 산악 지대는 홍해 방향으로 경사가 급하고 인도양쪽은 완만한 편이다. 소코트라섬은 인도양에 접한 소말리아 해안에 위치한 작은 섬으로 아프리카의 일부로 분류된다. 크기는 약 3600km2이며 아라비아 반도 최남단의 국가 예멘의 영토이다.
저지대는 적도에 가까운데도 보통 건조한 편이다. 우기에 열대 계절풍(몬순)이 사헬과 수단 지역에 비를 뿌리고 난 후, 지부티와 소말리아에 도달하면 습기를 잃기 때문이다. 그 때문에 우기에도 이 지역의 강수량은 매우 적다. 하지만 계절풍이 불어오는 방향인 에티오피아 중서부와 에리트리아 남쪽 끝은 매우 많은 양의 비가 내린다. 에티오피아 산악지대의 연간 강수량은 2000mm에 달한다. 하지만 아스마라의 연간 강수량은 570mm에 불과하다. 이 비는 에티오피아 대부분 지역과 이집트에 이르는, 지구상에서 (강수량만을 따졌을 때) 가장 건조한 지역에 수분을 공급하는 유일한 원천이 된다.
겨울철에는 북동 무역풍이 불어오지만 북 소말리아의 일부 산악지대를 제외하곤 수분이 전혀 공급되지 않는다. 소말리아엔 늦가을 약간의 비가 내리는데, 그것이 500mm에 불과한 연간 강수량의 전부가 된다. 동부 해안지역은 상승기류와 해안에 평행하게 부는 바람으로 인해 연간 강수량이 51mm까지 떨어지는 곳도 있다.
홍해 연안은 지구상에서 가장 더운 곳 중에 하나로, 7월 평균 기온이 41°C (약 41.1°C)에 달하며 1월에도 32°C (약 32.2°C)를 유지한다. 동부 해안 지대는 해안풍으로 약간 기온이 낮지만 덥기는 마찬가지이다. 하지만 고산지대는 온도가 낮다. 아스마라 지역은 연 최고 기온이 20°C 정도이며 구름 없는 밤에 결빙 현상이 일어나기도 한다. 가장 높은 산인 시미엔 산은 연간 기온이 -10°C ~ 14°C 정도이다.
3. 3. 생태
아프리카의 뿔 지역에는 약 220종의 포유류가 서식한다. 이 지역의 멸종 위기에 처한 종들 중에는 베이라 영양, 디바타그, 은색듀이커, 스피크가젤과 같은 여러 영양들이 있다. 다른 주목할 만한 종으로는 소말리아 야생 당나귀, 사막멧돼지, 하마드리아스개코원숭이, 소말리아쥐(Somali pygmy gerbil), 모래쥐, 스피크의 펙티네이터가 있다. 그레비얼룩말은 이 지역에서 유일하게 서식하는 야생 말과 동물이다. 얼룩하이에나, 줄무늬하이에나, 아프리카 표범과 같은 포식자들도 있다. 멸종위기종인 회색개는 아프리카의 뿔 지역에 서식했지만, 서식지 파괴와 전쟁으로 인한 인간의 착취로 이 지역에서 개체 수가 감소하거나 절멸되었다.[112]
아프리카의 뿔 지역의 중요한 조류 종으로는 검은부시까치, 금날개멧새, 워상리참새, 지부티꿩이 있다.
아프리카의 뿔 지역은 아프리카의 다른 어떤 지역보다 많은 고유종 파충류를 보유하고 있으며, 총 285종 이상이 있고, 약 90종은 이 지역에서만 발견된다. 고유 파충류 속으로는 ''하크그레리우스'', ''헤모드라콘'', ''디티포피스'', ''파키칼라무스'', ''엘루로그레나''가 있다. 이 속의 절반은 소코트라 섬에서만 독점적으로 발견된다. 파충류와 달리 양서류는 이 지역에서 그 수가 적다.
아프리카의 뿔 지역에는 약 100종의 담수 어류가 있으며, 그중 약 10종이 고유종이다. 고유종 중에는 세 종의 동굴어, 소말리아맹인붕어, ''프레아티크티스 안드루지'', ''우에깃글라니스 자마라노이''가 있다.
아프리카의 뿔 지역에는 약 5,000종의 관속식물이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그중 절반 정도가 고유종이다. 고유종은 소코트라 섬과 소말리아 북부에서 가장 많이 발견된다. 이 지역에는 바르베야과와 디라크마과라는 두 개의 고유 식물 과가 있다. 다른 주목할 만한 종으로는 소코트라 섬에서만 발견되는 오이 나무, 뱅쿠알레 야자, 예헤브 너트, 소말리아 사이클라멘이 있다.
아프리카의 뿔 지역은 반건조하고 건조한 기후 때문에 가뭄이 드물지 않다. 기후 변화와 농업 관행의 변화로 인해 가뭄이 더욱 복잡해지고 있다. 수세기 동안 이 지역의 목축민들은 과방목을 피하거나 어린 동물이나 병든 동물을 위해 땅을 따로 비워두는 등 가뭄의 영향을 완화하기 위해 신중한 목초지 관리 관행을 준수해 왔다. 그러나 인구 증가로 인해 제한된 토지에 대한 압력이 증가하여 이러한 관행이 더 이상 유지되지 않고 있다. 1983~85년, 1991~92년, 1998~99년, 2011년의 가뭄은 가축 수의 점진적인 증가 기간을 방해하여 가축 개체 수가 37~62% 감소했다. ECHO와 USAID의 노력으로 목초지 관리를 통해 수백 헥타르의 목초지를 되찾는 데 성공하여 2004년 디칼레 목초지를 조성했다.[113]
2023년 현재, 아프리카의 뿔 지역은 특히 소말리아에서 6년 연속 지속되고 있는 심각한 가뭄과 기근의 영향을 받고 있으며, 연간 강우량의 60%가 발생하는 3월부터 5월까지의 몇 달 동안 특히 심각하다. 2,200만명[114]에서 5,800만명[115]에 이르는 많은 사람들의 생명이 위험에 처해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4. 역사
아프리카의 뿔 지역은 고대부터 인류 문명의 중요한 무대였다. 소말리아, 지부티, 에리트레아와 수단의 홍해 연안 지역은 고대 이집트인들에게 '푼트'(Ta Netjeru, 즉 신들의 땅)로 알려졌으며, 기원전 25세기에 처음 언급되었다.[41]
기원전 8세기와 7세기에는 에리트레아와 에티오피아 북부에 드엠트(Dʿmt) 왕국이 존재했다. 이 왕국은 예하(Yeha)에 수도를 두고 관개 시설, 쟁기, 기장 재배, 철제 도구 및 무기 제작 기술을 발전시켰다. 기원전 5세기에 드엠트가 멸망한 후, 고원 지대는 여러 작은 왕국들로 나뉘었다가 1세기에 악숨 왕국(Kingdom of Aksum)이 부상하여 이 지역을 재통일했다.[42]
악숨 왕국은 1세기부터 7세기까지 번영했던 고대 국가로, 에리트레아와 에티오피아 고원을 중심으로 발전했다. 로마 제국과 고대 인도 간의 무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으며, 자체 통화를 주조하여 무역을 촉진했다. 악숨 왕국은 쿠시 왕국에 대한 헤게모니를 확립하고 아라비아 반도의 왕국 정치에 개입했으며, 힘야르 왕국을 정복하여 지배권을 확장했다. 에자나(재위 기원후 320~360년경) 치하에서 악숨 왕국은 기독교를 채택한 최초의 주요 제국이 되었으며, 마니(예언자)에 의해 사산 제국(페르시아), 로마 제국(로마), 한나라(중국)과 함께 당시 4대 강국 중 하나로 꼽혔다.
소말리아는 아프리카의 뿔에서 중요한 연결 고리 역할을 하며, 이 지역의 상업을 고대 세계의 다른 지역과 연결했다. 소말리아 선원과 상인들은 유향, 몰약, 향신료의 주요 공급자였으며, 이들은 고대 이집트인, 페니키아인, 미케네인, 바빌로니아인, 로마인들에게 귀중한 사치품이었다.[43][44] 로마인들은 이 지역을 'Regio Aromatica'(향기로운 지역)라고 불렀다. 오포네(Opone), 모실론(Mosylon), 말라오(Malao)와 같은 번영했던 소말리아 도시 국가들은 사바인(Sabaeans), 파르티아인(Parthians), 악숨인(Axumites)과 인도-그리스-로마 무역을 놓고 경쟁했다.[45]
아프리카의 뿔 지역 맞은편 아라비아 반도에서 이슬람이 탄생하면서, 현지 상인과 선원들은 아랍 무슬림 무역 파트너들의 영향을 받아 점차 이슬람교로 개종했다. 초기 이슬람 시대에 무슬림 가족들이 아프리카의 뿔로 이주하고, 이후 수세기 동안 무슬림 학자들이 현지 주민들을 평화롭게 개종시키면서, 고대 도시 국가들은 이슬람화된 모가디슈, 베르베라, 제일라, 바라와, 메르카로 변모했으며, 이들은 바르바리아 문명의 일부였다.[46][47] 모가디슈는 "이슬람 도시"[48]로 알려지게 되었고, 수세기 동안 동아프리카 금 무역을 장악했다.[49]
중세 시대에는 아달 술탄국(Adal Sultanate), 아주란 술탄국(Ajuran Sultanate), 에티오피아 제국(Ethiopian Empire), 자그웨 왕조(Zagwe dynasty), 겔레디 술탄국(Sultanate of the Geledi) 등 여러 강력한 제국들이 아프리카의 뿔 지역 무역을 지배했다.
896년에 건설된 쇼와 술탄국(Sultanate of Showa)은 에티오피아 중부의 옛 쇼와 지방을 중심으로 한 초기 이슬람 국가였다. 이 정치체는 약 1285년경 이파트 술탄국(Sultanate of Ifat)에 계승되었다. 이파트는 소말릴란드의 제일라에 수도를 두고 옛 쇼와 술탄국의 동쪽 끝 지역을 통치했다.[50]
아달 술탄국(Adal Sultanate)은 아프리카의 뿔 지역을 중심으로 한 중세 다민족 무슬림 국가였다. 전성기에는 소말리아, 에티오피아, 지부티, 에리트레아의 광대한 지역을 지배했으며, 아무드, 마두나, 아바사, 베르베라, 제일라, 하라르와 같은 역사적 도시들이 번영했다. 아달 군대는 솔로몬 왕조(Solomonic dynasty)와의 투쟁을 계속했는데, 이는 역사적으로 아비시니아-아달 전쟁(아비시니아 정복 또는 ''푸투 알 하바시(Futuh al Habash)'')로 알려져 있다.
아주란 술탄국(Ajuran Sultanate)은 강력한 중앙 집중식 행정과 침입자에 대한 공격적인 군사적 태도를 통해 서쪽의 오로모(Oromo) 침략과 동쪽의 포르투갈 침입을 성공적으로 저지했다. 국가는 광범위한 소말리아 건축 유산을 남겼으며, 오늘날 소말리아의 풍경을 점찍고 있는 수백 개의 폐허가 된 성과 요새 중 많은 부분이 아주란의 기술자들에 의해 건설된 것으로 여겨진다.[51] 여기에는 그 시대에 건설된 많은 기둥 무덤(pillar tomb) 들판, 묘지(necropolis), 폐허가 된 도시들이 포함된다. 가린 가문(House of Gareen)인 왕족은 영토를 확장하고 전쟁, 무역 연계, 동맹의 노련한 조합을 통해 패권적 지배를 확립했다.[52]
자그웨 왕조(Zagwe dynasty)는 약 1137년부터 1270년까지 현대 에티오피아와 에리트레아의 많은 지역을 통치했다. 이 왕조의 이름은 에티오피아 북부의 쿠시어를 사용하는 아가우족(Agaw people)에서 유래했다. 1270년 이후 수세기 동안 솔로몬 왕조(Solomonic dynasty)가 에티오피아 제국(Ethiopian Empire)을 통치했다.
15세기 초, 에티오피아는 악숨 시대 이후 처음으로 유럽 왕국들과 외교적 접촉을 시도했다. 1428년에 예샤크 1세(Yeshaq I of Ethiopia) 황제는 아라곤의 알폰소 5세(Alfonso V of Aragon)에게 두 명의 사절을 보냈으나, 귀환 여정을 완료하지 못했다.[56]
유럽 국가와의 첫 지속적인 관계는 1508년에 포르투갈과 시작되었으며, 아비시니아가 아달 술탄국(Adal Sultanate)의 공격을 받았을 때, 포르투갈은 무기와 400명의 병력을 보내 에티오피아 황제를 지원했다.[57] 이 에티오피아-아달 전쟁은 오스만 제국과 포르투갈이 개입한 이 지역 최초의 대리 전쟁 중 하나였다.
수세니오스(Susenyos of Ethiopia) 황제가 1624년에 로마 가톨릭으로 개종했을 때, 수년간의 반란과 내란이 이어져 수천 명의 사망자를 냈다.[59] 1632년, 파실리데스(Fasilides of Ethiopia) 황제는 국가 종교를 다시 에티오피아 정교로 선포하고 예수회 선교사들과 다른 유럽인들을 추방했다.[60][61]
18세기 말과 19세기 초에 예주 왕조(Yejju dynasty)가 북부 에티오피아를 통치하면서 암하라족(Amhara people)의 공용어를 아파안 오로모(Afaan Oromo)로 바꾸었다.
겔레디 술탄국(Sultanate of the Geledi)은 고브룬 왕조(Gobroon dynasty)가 통치한 소말리아 왕국으로, 18세기와 19세기 동안 아프리카의 뿔 지역을 통치했다. 이 왕조는 바르데라 전쟁(Bardera wars) 중에 고브룬의 권력을 성공적으로 통합한 술탄 유수프 마하무드 이브라힘(Yusuf Mahamud Ibrahim)과 지역 세력인 오만 제국이 조공(tribute)을 바치도록 강요한 아흐메드 유수프(Ahmed Yusuf (Gobroon)) 술탄의 연이은 통치 아래 절정에 달했다.
이사크 술탄국(Isaaq Sultanate)은 18세기와 19세기 동안 아프리카의 뿔 지역을 통치한 소말리아 왕국으로, 현대 소말릴란드의 식민지 이전 전신이다.[64][65][66]
마제르테인 술탄국(Majeerteen Sultanate)은 아프리카의 뿔 지역을 기반으로 한 또 다른 소말리아 술탄국이었다. 이 정치체는 통합된 현대 국가의 모든 기관을 갖추었고 견고한 무역 네트워크를 유지했다. 또한 외국 세력과 조약을 체결하고 국내적으로 강력한 중앙 권력을 행사했다.[71][72] 이 술탄국의 옛 영토 대부분은 오늘날 소말리아 북부의 자치 지역인 푼트랜드와 일치한다.[73]
호비오 술탄국(Sultanate of Hobyo)은 19세기에 유수프 알리 케나디드(Yusuf Ali Kenadid) 술탄이 건설한 소말리아 왕국이었다.
19세기 말, 유럽 열강의 아프리카 분할(Scramble for Africa) 경쟁 속에서 이탈리아는 에리트레아를 침략하여 점령했다. 1890년 에리트레아는 공식적으로 이탈리아의 식민지가 되었다. 1896년 이탈리아의 추가 침략은 에티오피아군에 의해 저지되었으나, 1936년 에리트레아는 에티오피아, 이탈리아 소말리아와 함께 이탈리아 동아프리카(Africa Orientale Italiana)의 일부가 되었다. 1941년 영국군은 에티오피아 애국 저항군과 함께 이탈리아군을 축출[76]하고 지역 행정을 장악했다. 영국은 1951년 에리트레아가 에티오피아와 연방으로 편입될 때까지 유엔 위임통치령 하에 영토를 관리했다.
1962년 에리트레아는 에티오피아의 14번째 주로 합병되었고[77], 이는 1961년 부터 시작된 에리트레아 독립 전쟁으로 이어졌다. 1993년 에리트레아는 독립을 선언하고 국제적인 승인을 받았다.[77] 1998년 에티오피아와의 국경 분쟁은 에리트레아-에티오피아 전쟁으로 이어졌다.[78]
1862년부터 1894년까지, 오늘날 지부티에 위치한 타주라 만 북쪽의 땅은 '오복'으로 불렸으며, 프랑스가 1883년과 1887년 사이에 여러 조약을 체결하여 이 지역에 발판을 마련했다.[79][80][81] 1894년 레옹스 라가르드는 지부티 시에 상설 프랑스 행정부를 설치하고 이 지역을 '프랑스 소말리아 해안(Côte française des Somalis)'이라고 명명하였으며, 이 이름은 1967년까지 사용되었다.
1958년, 소말리아가 1960년 독립을 앞두고 이 지역에서는 소말리아 공화국에 합류할 것인지 아니면 프랑스에 남을 것인지 결정하기 위한 국민투표가 실시되었다. 이 국민투표는 프랑스와의 지속적인 연관을 선호하는 결과가 나왔다.[82] 지부티는 1977년 프랑스로부터 독립을 쟁취했다.
데르비시 운동(Dervish movement)은 1895년부터 1920년까지 25년 동안 존재했다. 영국을 25년 동안 저지한 데르비시들은 마침내 1920년 영국의 공중 폭격 정책의 결과로 패배했다.[86] 이전 데르비시 영토는 영국의 보호령이 되었다. 이탈리아는 1927년 후반 파시즘 시대까지 현대 소말리아에 대한 완전한 통제권을 획득하지 못했다. 이 점령은 1941년까지 지속되었고, 영국의 군사 행정으로 대체되었다. 이전 영국 소말릴란드는 이탈리아 소말리아와 함께 1950년부터 1960년 사이에 이탈리아의 유엔 신탁통치령으로 남아 있었다. 1960년 두 국가의 연합은 소말리아 공화국을 형성했다. 1961년, 국민투표를 통해 1960년에 초안이 작성된 헌법이 비준되었다.[87]
소말리아 공화국은 1974년 아랍 연맹 회원으로 받아들여졌다.[88] 같은 해, 이 나라의 이전 사회주의 정부는 아프리카 통일 기구(아프리카 연합의 전신) 의장직을 맡았다.[89] 1991년 소말리아 내전이 발발하여 연합이 해체되고 소말릴란드가 독립을 회복했으며, 중앙 정부가 붕괴되고 푼트랜드를 포함한 수많은 자치 정부가 등장했다.[90] 2004년 과도 연방 정부가 수립되었다.[91] 소말리아 연방 정부는 2012년 8월 20일 과도 연방 정부의 임시 권한이 종료됨과 동시에 수립되었다.[92] 이는 내전 시작 이후 이 나라 최초의 상설 중앙 정부를 대표한다.[92] 소말리아 연방 의회는 정부의 입법부 역할을 한다.[93]
현대 에티오피아와 그 현재 국경은 특히 메넬리크 2세와 라스 고베나에 의한 여러 차례의 이주, 상업 통합, 조약 및 정복으로 인해 북쪽의 상당한 영토 감소와 동쪽과 남쪽으로의 확장의 결과이다.[94] 메넬리크는 1889년 5월 이탈리아와 위찰레 조약을 체결하여 이탈리아가 에티오피아의 주권을 인정하는 내용이었다.[97] 이탈리아는 에리트레아에 이탈리아인들을 위한 국가 지원 이주 프로그램을 시작하여 에리트레아 농민과 이탈리아인 간의 긴장을 고조시켰다.[98] 이 갈등은 1896년 3월 1일 아드와 전투에서 폭발하여 이탈리아 식민군이 에티오피아군에게 패배했다.[99]
20세기 초 에티오피아는 하일레 셀라시에 1세 황제의 통치로 특징지어졌으며, 1935년 이탈리아가 에티오피아를 이탈리아 동아프리카에 합병하면서 중단되었다.[100] 하일레 셀라시에는 국제 연맹에 호소하여 연설을 통해 세계적인 인물이 되었고 1935년 타임지 올해의 인물이 되었다.[101] 1941년 영국 제국군은 에티오피아 전사들과 함께 에티오피아를 해방시켰다.[102]
하일레 셀라시에의 통치는 1974년 소련의 지원을 받는 군사 쿠데타인 데르그가 멩기스투 하일레 마리암의 지휘 아래 그를 폐위시키고 에티오피아 인민민주공화국을 수립하면서 끝났다. 1977년 7월 오가덴 전쟁이 발발하여 소말리아 정부가 오가덴 지역을 대소말리아에 통합하려고 시도했다.
1989년 티그라이 인민해방전선(TPLF)은 다른 민족 기반 반대 세력과 합쳐 에티오피아 인민혁명민주전선(EPRDF)을 결성하여 1991년 멩기스투의 독재 정권을 전복시켰다. 1995년에 첫 번째 자유 민주 선거가 실시되었다.
4. 1. 선사 시대

가장 초기의 *호모 사피엔스* 화석 중 일부인 오모 유적(약 23만 년 전)과 헤르토 두개골(약 16만 년 전)은 모두 에티오피아에서 발견되었다.[33]
27만 9천 년 전보다 더 오래된 에티오피아 리프트 밸리(Great Rift Valley, Ethiopia)에서 발견된 최초의 석기 첨두 투사체는 "기존의 고고학적, 화석 및 유전적 증거와 결합하여 동아프리카를 현대 문화와 생물학의 근원지로 분리한다."[34][35][36]
남부 확산설에 따르면, 아프리카 밖으로의 이동 경로 중 남부 경로는 바브엘만데브 해협을 통해 아프리카의 뿔 지역을 통과했다. 오늘날 바브엘만데브 해협에서 홍해는 약 약 19.31km 폭이지만, 5만 년 전에는 훨씬 좁았고 해수면은 70미터 더 낮았다. 해협이 완전히 닫힌 적은 없었지만, 간단한 뗏목을 사용하여 도달할 수 있는 섬들이 있었을 수 있다. 에리트레아에서는 12만 5천 년 된 조개더미가 발견되었는데,[37] 이는 초기 인류의 식단에 해변을 따라 채집한 해산물이 포함되었음을 나타낸다.
에티오피아와 에리트레아의 농업은 기원전 4000년에서 1000년 사이에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진 씨앗 풀인 테프(*Poa abyssinica*)의 사용을 확립했다.[38] 테프는 납작한 빵인 인제라/타이타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커피 또한 에티오피아에서 유래하여 전 세계적인 음료가 되었다.[39]
역사가 크리스토퍼 에레트(Christopher Ehret)는 아프리카의 뿔 지역을 유전자 표지 "M35/215" Y염색체 계보의 근원지로 확인한 유전적 증거를 인용했다. 이는 그 지역에서 북쪽으로 이집트와 레반트로 이동한 상당한 인구 집단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에레트는 이러한 유전적 분포가 아프라시아어족의 확산과 아프리카의 뿔 지역에서 이집트로 이동한 사람들의 이동과 평행하며, 1만 7천 년 전 이집트의 기존 인구에 새로운 인구 구성 요소를 추가했다고 주장했다.[40]
5. 인구, 민족, 언어
thumb을 사용하는 민족 분포 지도]]
아프리카의 뿔 지역 국가들은 대부분 언어적, 민족적으로 서로 연관되어 있으며,[21] 다양한 집단 간의 복잡한 상호 관계를 보여준다.[116] 이 지역의 두 주요 거대 집단은 저지대에서 쿠시트어를 사용하는 쿠시트계 민족과 에티오피아와 에리트레아 고지대에서 에티오셈어를 사용하는 하베샤인이다.
'''에스노로그'''에 따르면, 지부티에는 10개(2개는 토착어), 에리트레아에는 14개, 에티오피아에는 90개, 소말리아에는 15개(소말리어가 유일한 토착어)의 언어가 사용된다.[117] 이 지역 대부분의 사람들은 아프로아시아어족의 쿠시트어, 셈어, 오모트어를 사용한다. 쿠시트어에는 오로모족의 오로모어와 소말리아족의 소말리어가 있다. 셈어(특히 에티오셈어)에는 암하라족의 암하라어와 티그라이족 및 티그리냐족의 티그리냐어가 있다. 다른 아프로아시아어로는 쿠시트어인 아파르어, 사호어, 하디야어, 시다모어, 아가우어군 언어, 셈어인 티그레어, 아랍어, 구라게어, 하라리어, 실테어, 아르고바어가 있으며, 오모트어군은 에티오피아 남부의 오모트 공동체에서 사용된다.[118] 오모트어군에는 아리어, 디지어, 가모어, 카파어, 하머어, 울라이타어 등이 있다.[119]
니로사하라어족 언어는 주로 에티오피아와 에리트레아의 니롯족 소수 민족이 사용하며, 메엔어, 무르시어, 쿠나마어, 나라어 등이 있다.
니제르-콩고어족 언어는 소말리아의 반투족 소수 민족이 사용하며, 바주니족, 브라바네세족, 반투족은 스와힐리어와 무슝굴리어 변종을 사용한다.[120][121]
이 지역에는 여러 토착 문자 체계가 있는데, 그중 기즈 문자(ግዕዝ|Gəʿəzgez)는 2000년 이상 사용되었다.[122] 아부기다 문자인 기즈 문자는 원래 기즈어를 쓰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암하라어와 티그리냐어 등에서는 ''''(ፊደልgez)이라고 한다.
와다드 문자(아랍 알파벳 변형)는 소말리아의 셰이크와 술탄들이 사용했다. 20세기 초, 오스만 유수프 케나디드는 소말리어의 소리를 나타내는 오스마냐 문자(''far soomaali''; 오스마냐 문자: 𐒍𐒖𐒇 𐒈𐒝𐒑𐒛𐒐𐒘)를 고안했다.[124] 오스마냐 문자는 유니코드 범위 10480-104AF[U+10480 – U+104AF (66688–66735)]에서 사용할 수 있다.
에티오피아와 에리트레아 남부의 여러 소수 민족 집단은 다양한 전통 신앙을 따르며, 수르마족은 하늘의 신 ''투무''를 믿는다.[125]
6. 경제
국제통화기금(IMF)에 따르면, 2010년 아프리카의 뿔 지역의 총 국내총생산(GDP)은 구매력평가(PPP) 기준 1062.24억달러, 명목 GDP는 358.19억달러였다. 2010년 1인당 GDP는 구매력평가 기준 1,061달러, 명목 GDP는 358달러였다.[126][127][128][129]
이 지역 내 국경 간 무역의 95% 이상은 비공식적이고 기록되지 않은 것으로, 유목민들이 가축을 거래하면서 이루어진다.[130] 에티오피아에서 소말리아와 지부티를 포함한 아프리카의 뿔 지역과 더 넓은 동아프리카 지역의 다른 국가들에 판매되는 살아있는 소, 낙타, 양, 염소의 비공식 무역은 연간 2.5억달러에서 3억달러 사이로 추정된다(공식 수치보다 100배 더 많음). 소말릴란드의 부라오와 이로웨 마을은 아프리카의 뿔 지역에서 가장 큰 가축 시장으로, 매일 아프리카의 뿔 지역 전역에서 최대 1만 마리의 양과 염소가 판매되며, 그중 많은 수가 항구인 베르베라를 통해 걸프 국가로 운송된다.[130][131][132][133] 이러한 무역은 식량 가격을 낮추고, 식량 안보를 증진시키며, 국경 긴장을 완화하고, 지역 통합을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된다.[130] 그러나 규제되지 않고 기록되지 않은 이러한 무역의 성격은 질병이 국경을 넘어 더 쉽게 확산되는 것과 같은 위험을 야기한다. 게다가 정부는 세수입과 외환 수입의 손실에 대해 불만을 가지고 있다.[130]
참조
[1]
서적
The New Encyclopædia Britannica
Encyclopædia Britannica
[2]
서적
Encyclopedia of World Geography – Horn of Africa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3]
웹사이트
Rethinking Pastoralism and African Development: a case study of the Horn of Africa
https://web.archive.[...]
2021-12-13
[4]
서적
British Somaliland An Administrative History, 1920–1960
https://books.google[...]
Routledge
[5]
서적
Africa South of the Sahara, Second Edition: A Geographical Interpretation
The Guilford Press
[6]
웹사이트
The Horn of Africa - Its Strategic Importance for Europe, the Gulf States, and Beyond
http://www.cirsd.org[...]
2024-01-22
[7]
웹사이트
Between Somaliland and Puntland – Rift Valley Institute
https://riftvalley.n[...]
2024-06-22
[8]
서적
Somali
J. Benjamins
[9]
서적
Institutional Change in the Horn of Africa
Universal-Publishers
[10]
백과사전
Horn of Africa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22-04-04
[11]
웹사이트
Three important oil trade chokepoints are located around the Arabian Peninsula - U.S.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EIA)
https://www.eia.gov/[...]
2024-01-22
[12]
웹사이트
Red Sea chokepoints are critical for international oil and natural gas flows - U.S.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EIA)
https://www.eia.gov/[...]
2024-01-22
[13]
웹사이트
Horn of Africa {{!}} Countries, Map, & Fact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1-12-19
[14]
웹사이트
the Chairman of DPFZA and CEO of Red Sea Bunkering signed an investment with Afreximbank {{!}} DPFZA
http://dpfza.gov.dj/[...]
2024-01-22
[15]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Afric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
서적
The Periplus of the Erythraean Sea: With Some Extracts from Agatharkhidēs "On the Erythraean Sea"
Hakluyt Society
[17]
서적
Taariikhdii daraawiishta iyo Sayid Maxamad Cabdille Xasan, 1895–1920
[18]
논문
A Mobile Based Tigrigna Language Learning Tool
[19]
서적
Refugees and Forced Migration in the Horn and Eastern Africa: Trends,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9-05-13
[20]
서적
Somali
J. Benjamins
[21]
서적
Institutional Change in the Horn of Africa
Universal-Publishers
[22]
웹사이트
Somaliland: The Horn of Africa's Breakaway State
https://www.cfr.org/[...]
2018-02-01
[23]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Judaism in the Somali Peninsula
https://www.research[...]
2021-05-00
[24]
웹사이트
Horn of Africa
https://web.archive.[...]
2021-06-04
[25]
웹사이트
Britannica School
https://web.archive.[...]
[26]
뉴스
Somalia: Africa Insight – Why Talk in Hotels Won't Yield Long Term Peace
https://web.archive.[...]
2007-09-06
[27]
백과사전
Horn of Africa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22-04-04
[28]
서적
Regional Integration, Identity and Citizenship in the Greater Horn of Africa
https://www.jstor.or[...]
Boydell & Brewer
[29]
논문
Variability of the recent climate of eastern Africa
[30]
웹사이트
Somalia | Election, President, News, Capital, & Economy | Britannica
https://web.archive.[...]
[31]
서적
Regional Integration, Identity and Citizenship in the Greater Horn of Africa
https://www.jstor.or[...]
Boydell & Brewer
[32]
웹사이트
Horn of Africa (Somalia, Ethiopia, Kenya)
https://web.archive.[...]
[33]
논문
Age of the oldest known Homo sapiens from eastern Africa
2022-01-00
[34]
논문
Earliest Stone-Tipped Projectiles from the Ethiopian Rift Date to >279,000 Years Ago
2013-11-13
[35]
논문
The Dallol Geothermal Area, Northern Afar (Ethiopia)—An Exceptional Planetary Field Analog on Earth
2019-04-01
[36]
서적
The Cradle of Humanity: How the changing landscape of Africa made us so smart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0-10-18
[37]
학술지
Early human occupation of the Red Sea coast of Eritrea during the last interglacial
2000-05-00
[38]
서적
The Agricultural System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C.U.P.
2013-07-25
[39]
서적
Plant Genetic Resources of Ethiopi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10-18
[40]
서적
Ancient Africa: A Global History, to 300 CE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3-12-22
[41]
서적
Egypt, trunk of the tree, Volume 2
Algora Publishing
2004-00-00
[42]
웹사이트
Let's Look Across the Red Sea I
https://web.archive.[...]
Addis Tribune
2003-01-17
[43]
서적
Phoenicia
[44]
서적
The Aromatherapy Book
[45]
서적
Oman in History
[46]
서적
Somalia: Nation in Search of a State
Westview Press
1987-00-00
[47]
서적
A modern history of Somalia: nation and state in the Horn of Africa
Westview Press
1988-00-00
[48]
서적
Society, Security, Sovereignty and the State in Somalia: From Statelessness to Statelessness?
2003-00-00
[49]
서적
East Africa: Its Peoples and Resources
1969-00-00
[50]
서적
The History of Islam in Africa
https://books.google[...]
Ohio University Press
2016-11-11
[51]
서적
Shaping of Somali Society
[52]
서적
Horn and Crescent: Cultural Change and Traditional Islam on the East African Coast, 800–1900 (African Studies)
[53]
서적
The Nile Histories, Cultures, Myths
https://books.google[...]
Lynne Rienner Publishers
2023-12-19
[54]
서적
Oromo of Ethiopia with special emphasis on the Gibe region
https://eprints.soas[...]
University of London
2023-11-04
[55]
서적
The Fears of Henry IV
2007-00-00
[56]
서적
(Unspecified)
1964-00-00
[57]
서적
(Unspecified)
1964-00-00
[58]
서적
(Unspecified)
1964-00-00
[59]
서적
(Unspecified)
1964-00-00
[60]
서적
(Unspecified)
1964-00-00
[61]
서적
Fasilädäs
Harrassowitz Verlag
2005-00-00
[62]
서적
The Ethiopian Royal Chronicles
Oxford University Press
1967-00-00
[63]
서적
A pastoral democracy: a study of pastoralism and politics among the Northern Somali of the Horn of Africa
LIT Verlag Münster
1999-00-00
[64]
웹사이트
Taariikhda Beerta Suldaan Cabdilaahi ee Hargeysa
http://www.qurbejoog[...]
2021-01-09
[65]
서적
Genealogies of the Somal
Eyre and Spottiswoode (London)
1896-00-00
[66]
웹사이트
Taariikhda Saldanada Reer Guuleed Ee Somaliland.Abwaan:Ibraahim-rashiid Cismaan Guure (aboor)
http://togdheernews.[...]
2021-08-09
[67]
웹사이트
Degmada Cusub Ee Dacarta Oo Loogu Wanqalay Munaasibad Kulmisay Madaxda Iyo Haldoorka Somaliland
https://web.archive.[...]
2017-10-07
[68]
웹사이트
Taariikhda Toljecle
https://www.tashiwan[...]
2021-08-09
[69]
Youtube
Taariikhda Boqortooyadii Axmed Sheikh Isaxaaq ee Toljecle 1787
https://www.youtube.[...]
2021-08-15
[70]
간행물
Pastoral society and transnational refugees: population movements in Somaliland and eastern Ethiopia 1988 – 2000
[71]
간행물
Horn of Africa
Horn of Africa Journal
[72]
간행물
Northeast African studies
Michigan State University Press
[73]
간행물
Africa: rivista trimestrale di studi e documentazione
Edizioni africane
[74]
서적
Somalia: a country study
The Division
[75]
서적
Emergent Eritrea: challenges of economic development
https://books.google[...]
The Red Sea Press
2015-10-14
[76]
웹사이트
Regions of Eritrea
http://www.statoids.[...]
2009-11-17
[77]
웹사이트
Eritrea – The spreading revolution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Article
2007-10-16
[78]
뉴스
Eritrea orders Westerners in UN mission out in 10 days
http://www.iht.com/a[...]
International Herald Tribune
2005-12-07
[79]
서적
Africa year book and who's who
Africa Journal Ltd.
[80]
서적
The encyclopædia britannica: a dictionary of arts, sciences, literature and general information
At the University press
[81]
서적
A Political Chronology of Africa
Taylor & Francis
[82]
서적
After Independence: Making and Protecting the Nation in Postcolonial and Postcommunist States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83]
서적
(페이지 번호만 제공됨)
[84]
서적
The modern history of Somaliland: from nation to state
Weidenfeld & Nicolson
[85]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Ethiopia
The Scarecrow Press, Inc.
[86]
서적
Oral Poetry and Somali Nationalism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87]
서적
The Illustrated Library of The World and Its Peoples: Africa, North and East
Greystone Press
[88]
서적
The Cold War, 1945–1991: Leaders and other important figures in the Soviet Union, Eastern Europe, China, and the Third World
Gale Research
[89]
서적
Africa South of the Sahara 2001
Taylor and Francis
[90]
뉴스
The Signs Say Somaliland, but the World Says Somalia
https://www.nytimes.[...]
2010-02-02
[91]
웹사이트
Somalia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09-05-31
[92]
뉴스
Somalia: UN Envoy Says Inauguration of New Parliament in Somalia 'Historic Moment'
http://allafrica.com[...]
2012-08-24
[93]
웹사이트
Guidebook to the Somali Draft Provisional Constitution
http://unpos.unmissi[...]
2012-08-02
[94]
간행물
Regionalism and Democracy in Ethiopia
[95]
간행물
Ethiopia: Ethnic Federalism and its Discontents
International Crisis Group
[96]
간행물
Great Britain and Ethiopia 1897–1910: Competition for Empire
[97]
서적
(페이지 번호만 제공됨)
[98]
서적
(페이지 번호만 제공됨)
[99]
서적
(페이지 번호만 제공됨)
[100]
서적
Encyclopaedia Aethiopica: D-Ha
Harrassowitz Verlag
[101]
잡지
Man of the Year
http://www.time.com/[...]
2009-03-16
[102]
서적
Encyclopaedia Aethiopica
[103]
서적
The commitment of the German Democratic Republic in Ethiopia: a study based on Ethiopian sources
Lit; Global
[104]
웹사이트
Core Principles of Ethiopia's Foreign Policy: Ethiopia-Yemen relations
http://www.ethioemba[...]
Ethioembassy.org.uk
2013-07-25
[105]
웹사이트
2007 Annual Report
http://www.rangereso[...]
Range Resources
2012-07-14
[106]
웹사이트
Oil and Gas Exploration and Production – Playing a Better Hand
https://web.archive.[...]
Range Resources
2012-07-14
[107]
서적
Tropical Glaciers
[108]
서적
Desert Meteorology
[109]
서적
Deserts
https://archive.org/[...]
Firefly Books
2003
[110]
서적
Encyclopedia of the Peoples of Africa and the Middle East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009
[111]
간행물
The Geology of Somalia: A Selected Bibliography of Somalian Geology, Geography and Earth Science
https://web.archive.[...]
Engineer Research and Development Laboratories, Topographic Engineering Center
[112]
웹사이트
'Painted Hunting Dog: Lycaon pictus', GlobalTwitcher.com, ed. N. Stromberg
https://web.archive.[...]
Globaltwitcher.auderis.se
2009-01-31
[113]
웹사이트
Taking drought into account Addressing chronic vulnerability among pastoralists in the Horn of Africa
http://www.odi.org.u[...]
Overseas Development Institute
2009
[114]
웹사이트
22 million people at risk of hunger in horn of Africa due to drought
https://www.africane[...]
Africanews
2023-01-31
[115]
웹사이트
Horn of Africa. Death grip
https://www-osservat[...]
L'Osservatore Romano
2023-01-17
[116]
서적
Ethnicity & Conflict in the Horn of Africa
https://archive.org/[...]
James Currey Publishers
[117]
웹사이트
Languages – Summary by country
Ethnologue.com
1999-02-19
[118]
웹사이트
Languages of Ethiopia
http://www.ethnologu[...]
SIL International
[119]
웹사이트
Country Level
https://web.archive.[...]
CSA
2010-07-13
[120]
웹사이트
Ethnologue – Mushungulu
http://www.ethnologu[...]
Ethnologue.com
1999-02-19
[121]
서적
Culture and customs of Somalia
https://archive.org/[...]
Greenwood
[122]
서적
Akkälä Guzay
Otto Harrassowitz KG
[123]
간행물
The writing of the Somali language
Ministry of Information and National Guidance, Somalia
[124]
서적
Dictionary of African Biography: Abach – Brand, Volume 1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125]
서적
The Practice of War: Production, Reproduction and Communication of Armed Violence
https://books.google[...]
Berghahn Books
[126]
웹사이트
Report for Selected Countries and Subjects
http://www.imf.org/e[...]
Imf.org
2006-09-14
[127]
웹사이트
Report for Selected Countries and Subjects
http://www.imf.org/e[...]
Imf.org
2006-09-14
[128]
웹사이트
Report for Selected Countries and Subjects
http://www.imf.org/e[...]
Imf.org
2006-09-14
[129]
웹사이트
The World Factbook
https://web.archive.[...]
Cia.gov
[130]
웹사이트
working across borders harnessing potential cross-border activities improve livelihood security horn africa drylands
http://www.odi.org.u[...]
Overseas Development Institute
2010
[131]
서적
Regulating the Livestock Economy of Somaliland
https://books.google[...]
Academy for Peace and Development
2002
[132]
서적
Rebuilding Somaliland: Issues and Possibilities
https://books.google[...]
Red Sea Press
2005
[133]
서적
A Self-portrait of Somaliland: Rebuilding from the Ruins
https://books.google[...]
Somaliland Centre for Peace and Development
199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