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남해대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해대교는 1973년 6월 22일 준공된 현수교로, 한일 청구권 협정에 따른 일제강점기 피해 보상 자금으로 건설되었다. 개통 당시 아시아에서 가장 긴 현수교였으나, 6개월 후 간몬교 개통으로 그 자리를 내주었다. 남해군 사람들에게는 고향의 상징으로, 주탑의 붉은색은 1994년 회색으로 변경되었다가 2003년 다시 붉은색으로 칠해졌다. 2003년 9월 1일부터는 안전을 위해 통행 제한 하중이 변경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현수교 - 광안대교
    부산 수영구와 해운대구를 잇는 총 길이 7.42km의 2층 복층 구조 사장교인 광안대교는 1994년 착공되어 2003년 개통된 왕복 8차선 도로로, 교통 흐름 개선에 기여하고 아름다운 야경으로 유명하지만, 자동차 전용도로로 보행자 및 자전거 통행이 제한된다.
  • 대한민국의 현수교 - 팔영대교
    팔영대교는 2004년 착공하여 2016년 개통된 교량으로, 고흥군과 여수시의 명칭 갈등 끝에 팔영대교로 명칭이 결정되었다.
  • 1973년 완공된 교량 - 영동대교
    영동대교는 서울 성동구와 강남구를 잇는 다리로, 강남 개발 시기 '영동'에서 유래되었으며 강변북로와 연결되어 강북과 강남 동부 지역을 잇는 간선도로이자 국도 제47호선의 일부이고, 문화적으로도 의미를 지닌다.
  • 1973년 완공된 교량 - 구포낙동강교
    구포낙동강교는 부산광역시와 김해시를 잇는 다리로, 1973년에 준공되었으며, 대한민국 최초로 리버스 서큘레이션 공법을 도입하여 건설되었고, 개통 당시 국내 최장의 교량이었다.
  • 남해군의 교통 - 국도 제3호선
    국도 제3호선은 경상남도 남해군에서 강원도 철원군까지 이어지는 일반 국도로, 1971년 삼천포-초산선으로 지정된 후 노선 변경 및 확장을 거쳐 현재에 이르며, 여러 도시를 경유하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 남해군의 교통 - 국도 제77호선
    국도 제77호선은 부산광역시 중구에서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까지 국토 서쪽 해안선을 따라 이어지는 897km의 장거리 국도로, 주요 교량과 터널을 포함하며 경제 활성화와 교통 편의 증진에 기여하고 일부 구간은 건설 중에 있다.
남해대교 - [지명]에 관한 문서
위치 정보
남해대교
남해대교
기본 정보
교량 이름남해대교
공식 명칭남해대교
종류현수교
위치경상남도 하동군 노량 - 남해군 남해 노량 노량해협
좌표34°56′39.0″N 127°52′19.4″E
구 국도 노선구 국도 제19호선
규모
전체 길이660m
9.6m
높이80m
주 경간404m
운행 높이52m
연혁
착공1968년 5월
완공1973년 6월 22일
개통1973년 6월 22일
관리 및 설계/시공
관리부산지방국토관리청
설계자알 수 없음
시공자알 수 없음

2. 연혁

1968년 5월 착공되어[10] 1973년 6월 22일에 준공식을 가졌다. 준공식에는 박정희 대통령이 참석하였다.[10] 1994년 주탑에 칠한 빨간 페인트가 많이 부식되어 부산국토관리청에서 주탑을 회색으로 칠했다. 2003년에 다시 빨간색으로 칠했으며,[10] 2003년 9월 1일부터 남해대교 안전을 위해 통행제한하중을 40ton에서 32.4ton으로 변경했다.[10]

2. 1. 건설 과정

1968년 5월 착공하였다.[10] 1973년 6월 22일에 준공식을 가졌으며, 박정희 대통령이 참석하였다.[10]

2. 2. 유지 보수

1994년 주탑에 칠한 빨간 페인트가 많이 부식되어 부산국토관리청에서 주탑을 회색으로 칠했다. 2003년에 남해군 주민들의 요구로 주탑을 다시 빨간색으로 칠했다.[10] 2003년 9월 1일부터 남해대교 안전을 위해 통행제한하중을 40ton에서 32.4ton으로 변경했다.[10]

3. 역사

남해대교는 한일 청구권 협정에 따라 일제강점기 식민지 피해 보상금으로 일본에서 받은 자금이 투입되어 건설되었다. 주요 자재는 일본에서 현물로 받은 청구권 자금이었고, 부자재 역시 일본 기업에서 수입했으며, 공사 설비도 대부분 일본에서 빌려왔다.[6]

개통 당시 아시아에서 가장 긴 현수교였으나, 6개월 뒤 간몬교가 개통되면서 그 자리를 넘겨주었다.[6] 붉은색 주탑은 남해군 사람들에게 고향의 상징과도 같아, 1994년 회색으로 칠해졌다가 2003년 주민들의 요구로 다시 붉은색으로 돌아왔다.[6]

3. 1. 한일 관계와 남해대교

한일 청구권 협정에 근거하여 일제강점기식민지 피해 보상으로 일본으로부터 받은 자금이 이 다리 건설에 많이 투입되었다. 철제 주탑, 페인트, 케이블 등 주요 자재는 모두 현물로 일본에서 받은 청구권 자금이며, 부자재도 신일본제철, 이토추 상사, IHI에서 수입했다. 해상 크레인예인선 등 공사에 필요한 설비도 대부분 일본에서 빌렸다.[6]

3. 2. 상징성

이 다리는 개통 당시 "아시아에서 가장 긴 현수교"로 여겨졌지만, 불과 6개월 후에 간몬교가 개통되면서 그 자리를 내주었다.[6]

남해군 사람들에게 남해대교는 "고향의 문"이며, 붉은색 주탑은 고향의 상징이다. 1994년, 대교의 주탑은 방청 공사로 회색으로 다시 칠해졌지만, "빨강이야말로 남해대교"라는 주민들의 불만이 쏟아져 2003년에 다시 붉은색으로 도색되었다.[6]

참조

[1] Structurae
[2] 웹사이트 Namhae Bridge http://www.lifeinkor[...] 2011-04-05
[3] 웹사이트 Namhae Bridge http://www.kinemetri[...] 2011-04-05
[4] 웹사이트 Namhae Bridge http://www.lifeinkor[...] 2011-04-05
[5] Structurae
[6] 웹사이트 역사의 건널목이자 성장의 트로피…‘다리’에 깃든 사연을 건너다 https://www.munhwa.c[...] 2021-10-14
[7] 문서 대한민국의 최초 현수교는 당시 강원도 춘성군 강촌에 위치했던 '등선교'이다.
[8] 웹인용 이충무공 노량해전 승첩제(http://www.leesunsin.net) http://www.leesunsin[...] 2008-09-16
[9] 웹인용 노후화된 남해대교 추억·힐링·엑티비티 장소로 탈바꿈(http://https://newsis.com/view/?id=NISX20210908_0001576297&cID=10812&pID=10800) http://https://newsi[...] 2022-05-11
[10] 뉴스 〈남해대교 1일부터 통행하중 제한〉 남해신문 2003-08-23
[11] 웹사이트 2015년 도로교량 및 터널현황 https://stat.kosis.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