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해군은 한반도 남해 연안에 위치한 섬들로 구성된 지역이다. 삼국시대에는 백제에 속했으며, 2014년 남해군 고현면에서 백제 석실과 유물이 발견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노량해전이 벌어졌고, 서포 김만중이 유배되기도 했다. 1895년 진주부 남해군으로 시작하여 경상남도 남해군으로 변경되었으며, 1979년 남해면이 남해읍으로 승격되었다. 남해군은 1읍 9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남해도, 창선도 등 여러 섬으로 이루어져 있다. 주요 관광지로는 관음포, 금산, 독일마을, 물건리 방조어부림 등이 있으며, 남해대교, 창선·삼천포대교 등을 통해 육지와 연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18년 폐지 - 거창군
거창군은 경상남도 서북부에 위치하며 신라 경덕왕 때 명명된 이후 행정구역을 형성, 거창읍과 11개 면으로 이루어져 있고, 다양한 농축산물 생산과 문화 행사를 개최하며, 고속도로와 국도를 통해 연결되나 철도는 없는 군이다. - 1018년 폐지 - 안산군
안산군은 현재의 안산시, 시흥시, 군포시, 의왕시, 수원시 일부를 포함하는 과거 경기도의 행정구역으로, 삼국시대 이전부터 존재하며 백제, 고구려, 신라를 거쳐 고려시대에 안산군으로 개칭되었고, 조선시대에는 인천부에 속했다가 경기도로 이관, 일제강점기에 폐지되었으나 안산시 승격으로 그 일부 지역이 안산시로 편입되어 역사적 흔적이 이어지고 있다. - 757년 설치 - 고성군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은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안 북부에 위치하며, 농업과 어업이 주요 산업이고, 금강산 등 관광 자원을 보유한 군이다. - 757년 설치 - 고성군 (경상남도)
고성군은 경상남도 중남부에 위치한 군으로, 삼한시대 고자미동국에서 소가야의 중심지를 거쳐 조선시대 고성현을 지나 1895년 고성군이 되었으며, 상족암군립공원, 공룡 발자국 화석 산지, 당항포 등의 관광지가 있다. - 경상남도의 군 - 의령군
의령군은 경상남도에 위치하며, 낙동강과 남강을 접하고 있으며, 삼국시대에는 임례국이 있었고, 곽재우 의병의 기원이자, 삼성그룹 창업자 이병철의 출신지이다. - 경상남도의 군 - 창녕군
창녕군은 경상남도 중앙 북단에 위치하여 낙동강을 따라 비옥한 땅을 이루고 오랜 역사를 지닌 군으로, 우포늪과 부곡온천 등 관광자원이 풍부하며 충신과 학자를 많이 배출한 학문의 고장으로서 지역 경제 발전을 도모하고 있다.
남해군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남해군 |
한자 표기 | 南海郡 |
로마자 표기 | Namhae-gun |
맥큔-라이샤워 표기 | Namhae-gun |
위치 | 대한민국 경상남도 |
면적 | 357 km² |
인구 (2024년 9월) | 40,060명 |
인구 밀도 | 152.4명/km² |
방언 | 경상 방언 |
![]() | |
![]() | |
행정 구역 | |
하위 행정 구역 | 1읍 9면 |
상징 | |
군 나무 | 비자나무 |
군 꽃 | 치자꽃 |
군 새 | 백로 |
정치 | |
군수 | 장충남 (더불어민주당) |
국회의원 | 서천호 (국민의힘, 사천시·남해군·하동군) |
기타 | |
홈페이지 | 남해군청 |
2. 역사
삼국시대에 인접 지역인 하동이 백제의 '한다사군(韓多沙郡)'이고, 광양이 백제의 마로였기 때문에, 남해 지역도 백제에 속했던 것으로 추정된다.[14] 2014년 남해군 고현면 남치리 분묘군 발굴조사에서 백제의 석실이 발견됐다. 부장품으로 백제의 고위 관인(관료)인 나솔(6품) 이상이 착용했던 장식품인 은화관식과 관고리가 출토됐다. 이런 부장품은 백제 사비시대의 도읍지인 부여지역을 중심으로 12점 만이 출토된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14]
- 1895년 : 진주부 남해군
- 1896년 : 경상남도 남해군
- 1914년 4월 1일 - 군면병합에 따라, '''남해군'''에 남해면·고현면·설천면·남면·서면·이동면·삼동면·창선면이 설치됨.(8면)
- 1973년 7월 1일 : 이동면 상주리 갈도를 통영군 욕지면에 편입하였다.[15](8면)
- 1979년 5월 1일 : 남해면이 남해읍으로 승격하였다.[16](1읍 7면)
- 1983년 2월 15일 (1읍 7면)
- * 삼동면의 일부가 이동면에 편입.
- * 서면의 일부가 남해읍에 편입.
- 1986년 4월 1일 : 이동면 상주출장소가 상주면으로, 삼동면 미조출장소가 미조면으로 각각 승격하였다.[17](1읍 9면)
2. 1. 삼국시대
삼국시대에 인접 지역인 하동이 백제의 '한다사군(韓多沙郡)'이고, 광양이 백제의 마로였기 때문에, 남해 지역도 백제에 속했던 것으로 추정된다.[14] 2014년 남해군 고현면 남치리 분묘군 발굴조사에서 백제의 석실과 은화관식, 관고리 등의 부장품이 출토되었다. 이러한 부장품은 백제 사비시대의 도읍지인 부여지역을 중심으로 12점 만이 출토된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14]2. 2. 고려시대
고려대장경 판각 장소로 추정되는 남해 전 선원사지가 있다.2. 3. 조선시대
노량해전은 1598년 정유재란 때 조명 연합수군이 남해현 노량 앞바다에서 왜군 함대와 싸운 전투이다. 서포 김만중의 유배지인 노도가 있다.2. 4. 일제강점기
1919년 4월 2일부터 4월 6일까지 남해군민들이 일제에 항거하여 독립만세운동을 벌인 남해 3·1독립운동이 일어났다. 이 운동은 남해읍 장날에 시작되어 남해군 전역으로 확산되었다.2. 5. 대한민국
1895년 진주부 남해군이 되었다가, 1896년 경상남도 남해군이 되었다.[15] 1979년 5월 1일 남해면이 남해읍으로 승격하였다.[16] 1986년 4월 1일 이동면 상주출장소가 상주면으로, 삼동면 미조출장소가 미조면으로 각각 승격하였다.[17] 1973년 7월 1일 이동면 상주리 갈도가 통영군 욕지면에 편입되었다.[15]1980년 12월 1일에는 남해군 무장공비 간첩선 침투 사건이 발생하였고, 1992년 7월 30일에는 남해 창선대교 붕괴사고가 발생하였다.
3. 지리
남해군은 한반도 남해 연안의 중앙에 위치한 섬들로 구성되어 있다. 남해도는 대한민국에서 다섯 번째로 넓은 섬이다.[19] 창선도, 조도(鳥島), 호도(虎島), 노도(櫓島) 등 유인도 5개, 무인도 76개가 있다.
3. 1. 지형
남해군은 한반도 남해 연안의 중앙에 위치한 섬들로 구성되어 있다. 북쪽으로는 하동군과 사천시에, 동쪽은 통영시, 서쪽은 전라남도 광양시, 여수시, 남으로는 망망한 대한해협과 이웃하고 있다.[18] 남해도는 면적이 301 km2로 대한민국에서 제주도, 거제도, 진도, 강화도에 이어 다섯 번째로 넓은 섬이다.[19]지세는 망운산(786m), 금산(681m), 원산(627m) 등 산악이 많고 하천은 짧으며 평야는 협소하다. 해안은 굴곡이 심하고 302km에 달하는 긴 해안선이 있어서 어족 자원이 풍부하고 연근해 어업의 전진기지로서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다. 남해도, 창선도, 조도(鳥島), 호도(虎島), 노도(櫓島) 등 유인도 5개와 무인도 76개가 있으며, 서북부에는 섬진강 하구에서 형성된 대사주(大砂洲)가 많다.

3. 2. 기후
남해군은 온화한 해양성 기후를 나타낸다. 연평균 기온은 14.3℃, 연 강수량은 1921.2mm이다.[10][11]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 |
---|---|---|---|---|---|---|---|---|---|---|---|---|---|
평균 기온 (℃) | 2.2 | 4.0 | 8.2 | 13.5 | 18.2 | 21.6 | 25.1 | 26.0 | 21.9 | 16.6 | 10.4 | 4.3 | 14.3 |
평균 최고 기온 (℃) | 6.9 | 9.2 | 13.7 | 19.3 | 23.9 | 26.5 | 29.2 | 30.4 | 26.6 | 21.9 | 15.4 | 9.1 | 19.3 |
평균 최저 기온 (℃) | -2.0 | -0.8 | 3.2 | 8.2 | 13.2 | 17.8 | 22.1 | 22.9 | 18.4 | 12.3 | 5.9 | -0.1 | 10.1 |
최고 기온 기록 (℃) | 18.6 | 22.1 | 24.4 | 28.7 | 34.1 | 34.1 | 37.8 | 37.7 | 34.6 | 29.0 | 25.1 | 20.5 | 37.8 |
최저 기온 기록 (℃) | -12.8 | -11.6 | -7.7 | -2.3 | 3.4 | 10.6 | 15.0 | 12.5 | 8.4 | 1.2 | -4.6 | -11.6 | -12.8 |
강수량 (mm) | 33.6 | 65.2 | 113.1 | 179.7 | 196.3 | 243.8 | 353.9 | 319.7 | 221.9 | 95.9 | 62.9 | 35.2 | 1921.2 |
평균 강수일수 (0.1 mm 이상) | 4.8 | 5.2 | 7.5 | 8.8 | 9.2 | 10.4 | 13.6 | 12.2 | 8.9 | 4.9 | 5.9 | 4.5 | 95.9 |
평균 상대 습도 (%) | 56.3 | 55.2 | 57.4 | 59.5 | 64.3 | 72.7 | 79.4 | 77.7 | 74.3 | 65.9 | 63.4 | 58.5 | 65.4 |
평균 일조시간 | 189.0 | 188.2 | 211.9 | 221.0 | 234.3 | 182.9 | 167.8 | 184.2 | 172.7 | 206.9 | 182.8 | 186.7 | 2328.4 |
4. 행정 구역
남해군의 행정 구역은 1읍 9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21개의 리가 있다.[22] 면적은 357.62 km2로 경상남도의 약 3%를 차지하며, 한려해상국립공원의 면적이 78.9 km2에 이른다.[22] 1965년 12만 8655명을 정점으로 인구가 계속 감소하여 2017년 12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4만 4642 명, 2만 2135 가구이다.[23] 이 중 30%가 남해읍에 거주하며, 남녀 성비는 0.92로 여자가 많다.[23]
읍면 | 한자 | 면적 (km2) | 인구 | 세대 | 지도 |
---|---|---|---|---|---|
남해읍 | 南海邑 | 27.2 | 13,357 | 5,669 | ![]() |
이동면 | 二東面 | 47.0 | 4,042 | 2,073 | |
상주면 | 尙州面 | 23.8 | 1,666 | 889 | |
삼동면 | 三東面 | 51.2 | 4,000 | 2,137 | |
미조면 | 彌助面 | 15.7 | 2,533 | 1,257 | |
남면 | 南面 | 43.5 | 3,701 | 2,064 | |
서면 | 西面 | 41.0 | 2,824 | 1,523 | |
고현면 | 古縣面 | 28.9 | 3,726 | 1,910 | |
설천면 | 雪川面 | 24.9 | 3,085 | 1,624 | |
창선면 | 昌善面 | 54.4 | 5,708 | 2,989 | |
남해군 | 南海郡 | 357.6 | 44,642 | 22,135 |
각 읍면의 세부 법정리는 다음과 같다.
읍·면 | 법정리 |
---|---|
남해읍 (南海邑) | 남변리, 평리, 차산리, 평현리, 서변리, 심천리, 아산리, 갑현리, 선소리, 북변리 |
고현면 (古県面) | 갈화리, 남치리, 대곡리, 대사리, 이어리, 포상리, 차면리, 오곡리, 도마리 |
설천면 (雪川面 (南海郡)) | 비란리, 진목리, 금음리, 남양리, 노량리, 문항리, 문의리, 덕신리 |
남면 (南面 (南海郡)) | 당항리, 상가리, 덕월리, 석교리, 엄포리, 평산리, 홍현리, 죽전리, 선구리 |
서면 (西面 (南海郡)) | 남상리, 정포리, 연죽리, 중현리, 삭장리, 대정리, 서상리, 서호리, 노구리 |
이동면 (二東面 (南海郡)) | 난음리, 초음리, 화계리, 용주리, 무림리, 석평리, 신전리, 다정리 |
상주면 (尚州面) | 상주리, 양아리 |
삼동면 (三東面) | 금송리, 지족리, 동천리, 물금리, 봉화리, 영지리 |
미조면 (弥助面) | 미조리, 송정리 |
창선면 (昌善面) | 가인리, 동달리, 상신리, 상죽리, 서달리, 옥천리, 진동리, 지족리, 율도리, 오용리, 수산리, 부윤리, 대벽리, 광천리, 당저리, 당항리 |
5. 인구
남해군의 인구는 2005년 기준 54,392명이었다.[2] 그러나 1964년 137,914명에 달했던 인구는 지속적인 감소와 고령화를 겪고 있다. 2017년 12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4만4642 명, 2만2135 가구이다.
6. 교통
1973년 남해대교가 개통되기 전에는 연락선을 이용해야만 남해군에 들어갈 수 있었다. 남해대교 개통 이후 국도 제19호선의 선형이 개량되고 일부 구간이 4차선으로 확장되는 등 남해군의 교통이 점차 개선되었다.[27] 2003년에는 창선·삼천포대교가 개통되어 사천 나들목을 통해 국도 제3호선으로 남해군에 진입할 수 있게 되었다. 이 대교 개통으로 창선 단항에서 삼천포까지 운행하던 연락선은 운행이 중단되었다.[27]
남해군 내 국도 제77호선은 고현면 탑동리에서 국도 제19호선과 중복되어 미조면 초전리까지 이어지며, 다시 국도 제3호선과 중복되어 삼동면과 창선면을 거쳐 사천시로 연결된다.[27]
남해시외버스터미널에서는 시외버스와 군내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주요 버스 운송 업체는 남흥여객이다.[27] 과거 남해여객도 운송을 담당했으나, 경영 악화로 2007년 폐업하여 운행 편수가 감소했다.[27] 시외버스 노선은 서울, 부산, 진주, 광양, 순천, 마산, 창원을 연결하며, 일부는 하동군 진교면 진교정류장을 경유한다.[27] 2009년부터는 수원 노선이 신설되었다.[27]
군내 버스는 남해군 내 각 지역을 연결한다. 남해읍과 주변 마을을 잇는 공영 버스는 하루 12회 운행하며, 농어촌 버스는 창선면을 중심으로 운행한다.[27]
노량~이동 구간 국도 제19호선 4차선 확장 공사로 기존 남해대교 옆에 노량대교가 신설되었고, 설천면 덕신리 감암부락 고개에는 터널이 신설되었다.
현재 여수시와는 연락선이 운항 중이며, 교량 또는 해저 터널 개설이 계획되어 있다.
7. 관광
'''관음포'''는 고현면 북쪽 바닷가에 있는 포구로, 노량 해전이 벌어진 곳이다. '''이락포'''(李落浦)라고도 불리며, 이순신 장군 관련 유적이 있다. 남해 관음포 이충무공 유적 외에도 이순신영상관, 호국광장, 관음포광장 등이 있다.[24] 관음포는 '''호국성지'''(護國聖地)라고도 할 수 있는데, 이곳은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된 국보 제32호인 '''팔만대장경'''이 판각된 곳이기 때문이다.
'''금산'''은 한려해상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금강산을 닮아 소금강 또는 남해금강이라 불린다. 조선 태조 이성계가 건국신화를 간직한 명산이며, 금산의 보리암은 전국 3대 기도 도량으로 유명하다.[24]
'''독일마을'''은 1960년대 독일에 간호사와 광부로 파견되었던 독일 거주 교포들의 정착을 위해 조성된 곳이다. 독일의 이국적인 문화와 전통문화 예술촌을 연계한 관광지로 개발되었다.[25]
'''남해 물건리 방조어부림(南海 勿巾里 防潮魚付林)'''은 길이가 1500m이고 폭은 30m인 숲이다. 바다를 앞에 두고 뒤편에는 농경지가 있으며, 1640년경 마을 주민들이 심어 놓은 것이다. 숲이 그늘을 만들어 물고기를 불러들이는 어부림(魚付林)역할을 하며 천연기념물 제150호이다.
이 외에도 남해유배문학관,[26] 충렬사, 은모래해변, 지족해협, 남해죽방렴, 가천 암수바위, 정지석탑, 남면해안, 서포 김만중 선생 유허, 섬이정원, 송정솔바람해변, 남해국제탈공연예술촌, 노량대교, 창선·삼천포대교, 남해대교, 창선교 등이 있다. 남해 전 선원사지는 고려대장경을 판각한 장소로 추정되며, 노도는 김만중의 유배지이다.
8. 문화
9. 교육
남해군에는 경남도립남해대학과 남해제일고등학교, 남해정보산업고등학교, 남해해성고등학교, 남해고등학교, 경남해양과학고등학교, 창선고등학교가 있다. 이 중 남해해성고등학교와 창선고등학교는 사립학교이고, 나머지는 공립학교이다.
10. 출신 인물
최산은 인기 K팝 보이그룹 ATEEZ의 멤버이다. 그는 2021년 남해군 홍보대사로 선정되었다.[3] 이봉조는 작곡가이자 색소폰 연주자이다.
11. 자매 도시
인천광역시 강화군
서울특별시 금천구, 동대문구
경상남도 김해시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라남도 함평군
가고시마현 이사시
간쑤성 둔황 시
후난성 이양 시
장시성 징강산 시
노르트프리슬란트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
[2]
웹사이트
The leading Namhae that is a good place to live
http://english.namha[...]
2005-04-08
[3]
웹사이트
ATEEZ Choi San Selected As Namhae's Public Relations Ambassador
https://www.hellokpo[...]
2021-04-14
[4]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5]
웹사이트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6]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http://www.kma.go.kr[...]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1
[7]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8]
법률
미금읍등53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79-04-07
[9]
법률
대통령령 제11874호
[10]
웹사이트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남해(295)
https://data.kma.go.[...]
한국기상청
[11]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남해(295)
https://data.kma.go.[...]
한국기상청
[12]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13]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14]
뉴스
남해서 백제 귀족 무덤 확인…고위 관료 장식품 출토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4-01-08
[15]
법률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73-03-12
[16]
법률
미금읍등53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79-04-07
[17]
법률
대통령령 제11874호
[18]
웹사이트
남해군의 지리
http://www.namhae.go[...]
2011-07-13
[19]
웹사이트
남해군의 교통
http://www.namhae.go[...]
2011-07-12
[20]
웹인용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남해(295)
https://data.kma.go.[...]
기상청
[21]
웹인용
순위값 - 구역별조회 남해(295)
https://data.kma.go.[...]
기상청
[22]
웹사이트
일반현황
http://www.namhae.go[...]
2018-05-09
[23]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http://www.mois.go.k[...]
행정안전부
2018-05-09
[24]
웹사이트
남해군 문화관광
http://www.namhae.go[...]
2011-07-12
[25]
웹사이트
남해관광 - 독일 마을
http://tour.namhae.g[...]
2011-07-12
[26]
기타
[27]
뉴스
남해여객 41년 역사 마침표 찍어.
남해신문
2007-07-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