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올렉타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올렉타속(Neolecta)은 자낭균문에 속하는 버섯의 한 속이다. 밝은 황색, 오렌지색 또는 옅은 황록색을 띠는 육질의 원주형 자실체를 가지며, 최대 7cm까지 자란다. 이 속은 계통발생학적으로 다른 자낭균류와 명확한 관계가 없고, 잎, 가지, 꽃차례에 기생하는 속들과 연관되어 있다. 배양이 불가능하여 의무적 기생 또는 공생 관계일 것으로 추정되며, 자낭균류의 진화적 역사에 중요한 증거를 제공하여 살아있는 화석으로 여겨진다. 네올렉타속은 아시아, 북유럽, 북아메리카, 브라질 남부 등지에서 발견되며, 나무와 연관되어 서식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81년 기재된 균류 - 잔나비버섯속
잔나비버섯속은 자실체 아랫면에 많은 구멍이 있는 목재 부후균으로, 갈색 부후를 일으키며 생태계 물질 순환에 기여하고 약용 및 환경 정화 가능성도 지닌다. - 자낭균류 - 자낭균문
자낭균문은 자낭이라는 생식 구조를 가지며 효모, 곰팡이 등 다양한 형태와 생태적 지위를 보이는 균류 문으로, 유성 및 무성생식을 하고 유용 물질을 제공하거나 질병을 일으키며, 분자계통 분석을 통해 세 개의 아문으로 분류된다. - 자낭균류 - 라보울베니아강
라보울베니아강에 대한 정보가 없어 위키백과 스타일의 한 문장 요약을 제공할 수 없습니다. - 살아있는 화석 - 투아타라
투아타라는 뉴질랜드 고유종 파충류이자 린코케팔리아목의 유일한 현존종으로, 오랜 진화 역사를 지니고 완전한 아래 측두궁 두개골, 첨생치, 두정안 등의 특징을 가지며 멸종 위기에 처해 뉴질랜드 정부의 보호를 받는다. - 살아있는 화석 - 코알라
코알라는 오스트레일리아에 서식하며 유칼립투스 잎을 주식으로 하는 유대류로,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물을 마시지 않는다는 의미의 이름과는 달리 실제로 물을 마시기도 하고, 호주를 대표하는 동물 중 하나로서 국제적인 인지도를 가지고 있다.
네올렉타속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Neolecta |
명명자 | Speg. 1881 |
분류 | |
역 | 진핵생물 |
계 | 균계 |
아계 | 쌍핵균아계 |
문 | 자낭균문 |
아문 | 외자낭균아문 |
강 | 네올렉타강 (Neolectomycetes) |
강 명명자 | O.E. Erikss. & Winka 1997 |
목 | 네올렉타목 (Neolectales) |
목 명명자 | Landvik, O.E. Erikss, Gargas & P. Gustaffs. 1993 |
과 | 네올렉타과 (Neolectaceae) |
과 명명자 | Redhead 1977 |
속 | 네올렉타속 (Neolecta) |
속 명명자 | Speg. 1881 |
하위 분류 | 종 (본문 참조) |
속 내 종 |
2. 분류
- '''네올렉타강''' (Neolectomycetes)
- * '''네올렉타목''' (Neolectales)
- ** '''네올렉타과''' (Neolectaceae)
'''네올렉타속''' (''Neolecta'')
* ''Neolecta flavovirescens''
* ''Neolecta irregularis''
* ''Neolecta vitellina'' (=''N. aurantiaca'')
''네올렉타속''은 가까운 친척이 없는 독특한 분류군이다. 계통발생학적으로 볼 때, 이 속은 자낭균류 내에서 초기에 분기한 그룹에 속하며[4][7], 다음과 같은 일부 다른 균류들과 느슨하게 연관된다.
- ''Taphrina'': 잎, 가지, 꽃차례에 기생하며 반 효모, 반 사상균 형태를 보이는 속.
- ''Schizosaccharomyces'': 분열 효모 속 (예: ''Schizosaccharomyces pombe'').
- ''Pneumocystis'': 포유류에 기생하는 효모 유사 속.
현재까지 ''네올렉타속'' 균류는 인공적으로 배양되지 않았는데, 이는 이들이 다른 생물과 반드시 함께 살아가야 하는 의무적 기생 또는 공생 관계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 속은 자낭균류의 진화 역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며, '살아있는 화석'으로 불리기도 한다.[8]
''N. irregularis'' 종의 유전체가 분석되었으며[9], 이 연구를 통해 초기 단계의 다세포성이 자낭균류 진화 역사에서 비교적 일찍 나타났음이 밝혀졌다.
3. 형태
자실체는 가지를 치지 않거나 잎 모양이며, 밝은 노란색, 주황색에서 옅은 황록색을 띤다. 표면은 매끄럽고 살이 많은 원기둥 모양으로, 높이는 최대 7cm 정도이다.[3][5]
네올렉타속의 자실체는 균사와 자실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자실층에는 측사(paraphyses)가 없고, 자낭(ascus)에는 고리갈고리(crozier)가 없다는 점이 다른 땅버섯과 구별되는 특징이다.[3][5] ''Neolecta vitellina'' 종은 싹이 트는 방식으로 분생포자 덩어리를 만드는데, 이는 효모와 같은 상태를 가질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3]
3. 1. 유사 종
클라불리놉시스속 및 스파툴라리아속의 종들과 유사할 수 있다.[6]4. 계통 분류 및 진화
''네올렉타속''은 가까운 친척이 없는 독특한 분류군이다. 계통발생학적으로 볼 때, 이 속은 몇몇 기저 자낭균류[4][7] 그룹과 약하게 연관되어 있다. 이 그룹에는 식물의 잎, 가지, 꽃차례에 기생하며 효모와 사상균의 중간 형태를 보이는 ''Taphrina'' 속, 분열 방식으로 증식하는 효모인 ''Schizosaccharomyces'' 속 (예: ''Schizosaccharomyces pombe''), 그리고 포유류에 기생하는 효모 유사 균류인 ''Pneumocystis'' 속 등이 포함된다.
현재까지 ''네올렉타속''은 인공적으로 배양되지 않았는데, 이는 이들이 자연 상태에서 다른 생물과 반드시 함께 살아가야 하는 의무적 기생체이거나 공생체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 속은 자낭균류의 진화 역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며, 이 때문에 '살아있는 화석'[8]으로 불리기도 한다.
''N. irregularis'' 종의 유전체 서열 분석 연구[9]는 초기 형태의 다세포성이 자낭균류 진화의 매우 초기 단계에서부터 나타났음을 밝혀냈다.
5. 분포 및 서식지
''네올렉타''는 아시아, 북유럽, 북아메리카, 그리고 브라질 남부에서 발견된다.[5] 이 종들은 모두 나무와 연관되어 서식하며, 적어도 한 종인 ''N. vitellina''는 숙주의 잔뿌리에서 자란다.[10] 그러나 이 균류가 기생, 부생, 또는 상리 공생 관계인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5] 식용 가능하다는 이야기가 있다.[3]
참조
[1]
논문
Supraordinal taxa of ''Ascomycota''
[2]
논문
Relationships of the genus ''Neolecta'' (''Neolectales'' ordo nov., ''Ascomycotina'') inferred from 18S rDNA sequences
http://www.symbiolog[...]
[3]
논문
The genus ''Neolecta'' (Neolectaceae fam. nov., Lecanorales, Ascomycetes) in Canada
[4]
논문
Assembling the fungal tree of life: progress, classification, and evolution of subcellular traits
[5]
논문
Morphology and ultrastructure of ''Neolecta'' species
[6]
서적
Mushrooms of North America
Knopf
2023
[7]
논문
''Neolecta'', a fruit-body-producing genus of the basal ascomycetes, as shown by SSU and LSU rDNA sequences
[8]
논문
''Neolecta''—a fungal dinosaur? Evidence from β-tubulin amino acid sequences
Mycological Society of America
[9]
논문
Innovation and constraint leading to complex multicellularity in the Ascomycota
[10]
논문
Mycological observations: 1, on ''Cristulariella''; 2, on ''Valdensinia''; 3, on ''Neolecta''
Mycological Society of America
[11]
논문
Supraordinal taxa of ''Ascomycota''
[12]
논문
Relationships of the genus ''Neolecta'' (''Neolectales'' ordo nov., ''Ascomycotina'') inferred from 18S rDNA sequences
[13]
논문
The genus ''Neolecta'' (Neolectaceae fam. nov., Lecanorales, Ascomycetes) in Canad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