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르웨이의 국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르웨이의 국가는 'Ja, vi elsker dette landet'(예, 우리는 이 나라를 사랑하네)이며, 1860년대 중반부터 국가로 인정받기 시작했다. 19세기 초에는 'Norges Skaal'이 사실상 국가로 여겨졌고, 'Sønner av Norge'(노르웨이의 아들들)가 널리 사용되었으나, 20세기 초까지 두 곡이 함께 사용되었다. 이 곡은 노르웨이의 애국심, 자유, 평화를 담고 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점령기에 사용이 금지되기도 했다. 2006년에는 우르두어 번역 제안이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64년 노래 - 룩셈부르크의 국가
룩셈부르크의 국가는 미셸 렌츠 작사, 장 앙투안 지넨 작곡의 "Ons Heemecht"이며, 아름다운 자연, 조국에 대한 사랑, 외세의 억압으로부터의 보호를 기원하는 내용을 담아 1993년 공식 국가 상징으로 채택되었고 룩셈부르크어, 독일어, 프랑스어, 영어 가사로 감상할 수 있다. - 비에른스티에르네 비에른손의 작품 - 양지바른 언덕의 소녀
《양지바른 언덕의 소녀》는 토르비욘이 신뇌베와의 사랑을 통해 성장하고 갈등하는 이야기를 그린 작품으로, 사회적 편견에 맞서 진심을 증명하려 노력하며 새로운 미래를 맞이하는 과정을 담고 있으며 영화로도 제작되었다. - 노르웨이의 상징 - 노르웨이의 국기
노르웨이 국기는 붉은 바탕에 흰색 스칸디나비아 십자가가 있는 8:11 비율의 깃발로, 1821년 프레드리크 멜처가 디자인하여 스토르팅에서 채택되었으나 초기에는 민간용으로만 사용되다가 1899년 연합 문장 제거 후 공식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스칸디나비아 디자인 요소와 노르웨이 정체성을 반영한다. - 노르웨이의 상징 - 노르웨이의 국장
노르웨이의 국장은 스베르 왕조의 문장에서 유래되었으며, 금관을 쓰고 도끼를 든 사자 문양으로 1905년 노르웨이-스웨덴 연합 해체 이후 현재의 디자인이 확정되어 국가를 상징한다.
노르웨이의 국가 | |
---|---|
곡 정보 | |
![]() | |
영어 제목 | 'Yes, We Love This Country' (그래, 우리는 이 나라를 사랑해) |
종류 | 국가 |
국가 | 노르웨이 |
작곡가 | 리칼트 노르드라크 |
작곡 연도 | 1864년 |
작사가 | 비에른스티에르네 비에른손 |
작사 연도 | 1859년–1868년경 |
채택 | 1864년 (사실상) 2019년 12월 11일 (법률상) |
발표 | 1864년 5월 17일 |
이전 국가 | Sønner av Norge(노르웨이의 아들들) |
의미 | (그래, 우리는 이 나라를 사랑해) |
참고 자료 | 노르웨이 의회 문서 |
2. 역사
1860년대 중반까지 노르웨이의 아들들(Sønner av Norge)과 노르웨이의 건배(Norges Skaal)가 노르웨이 국가로 널리 여겨졌으며, 이 중 노르웨이의 아들들이 가장 널리 인정받았다. 예, 우리는 이 나라를 사랑하네(Ja, vi elsker dette landet)는 1860년대 중반부터 점차 국가로 인정받기 시작했다. 그러나 20세기 초까지 노르웨이의 아들들과 예, 우리는 이 나라를 사랑하네가 모두 사용되었으며, 공식적인 자리에서는 노르웨이의 아들들이 선호되었다.
2011년 노르웨이 테러 이후 추모식에서 올레 포스의 나의 작은 나라(Mitt lille land)가 자주 사용되면서 '새로운 국가'로 언급되기도 했다.[2] 2012년 노르웨이 제헌절에는 NRK 방송이 나의 작은 나라(Mitt lille land)로 시작했다.[3]
2. 1. 국가 제정 이전의 국가들
19세기 초, Norges Skaal이 사실상의 국가로 여겨졌다.[4][5][6] 1820년부터는 "Norsk Nationalsang"(Norsk Nationalsang|노르웨이 국가no)이 가장 널리 알려진 국가가 되었다. 이 노래는 첫 번째 연 이후 Sønner av Norge(원래 "Sønner af Norge")로 알려지게 되었다. Sønner av Norge는 헨리크 안케르 비에르레고르가 작사하고, 크리스티안 블롬이 작곡했으며, 이는 왕립 노르웨이 개발 협회가 1819년에 노르웨이 국가 작곡 공모전을 발표한 후에 이루어졌다. "Norsk Nationalsang"(Sønner av Norge)이 우승작으로 발표되었다.[4][5][6] 올레 빅의 Blant alle Lande|Blant alle Landeno(또한 "Nordmandssang"이라고도 함)도 국가로 사용되었다. 헨리크 베르겔란은 "Smaagutternes Nationalsang"(Smaagutternes Nationalsang|어린 소년들의 국가no)이라는 제목의 국가를 썼으며, 일반적으로 Vi ere en Nation, vi med로 알려져 있다.2. 2. 국가 제정 과정
비에른스티에르네 비에른손이 작사하고 리카르 노르드라크가 작곡한 '예, 우리는 이 나라를 사랑하네(Ja, vi elsker dette landet)'는 1860년대부터 점차 국가로 인정받았다.[2] 20세기 초까지 "노르웨이의 아들들(Sønner av Norge)"과 함께 사용되었으며, 공식적인 상황에서는 "노르웨이의 아들들(Sønner av Norge)"이 선호되었다.[2]19세기 초에는 "Norges Skaal"(노르게스 스콜)이 많은 사람들에게 사실상 국가로 여겨졌다. 1820년부터는 "Norsk Nationalsang"(Norsk Nationalsang|노르웨이 국가no)가 가장 널리 알려진 국가가 되었으며, 첫 번째 연 이후 "Sønner av Norge"(쇠네르 아브 노르게, 원래 "Sønner af Norge")로 알려지게 되었다. "Sønner av Norge"는 헨리크 안케르 비에르레고르가 작사하고 크리스티안 블롬이 작곡했으며, 왕립 노르웨이 개발 협회가 1819년에 노르웨이 국가 작곡 공모전을 발표한 후 우승작으로 선정되었다.[4][5][6]
"예, 우리는 이 나라를 사랑하네(Ja, vi elsker dette landet)"는 비에른스티에르네 비에른손이 작사하고 리카르 노르드라크가 1859년과 1868년 사이에 작곡했으며, 점차 "Sønner av Norge"를 대체하여 가장 널리 알려진 국가가 되었다.[7]
2. 3. 현대의 국가
2011년 노르웨이 테러 이후 추모식에서 올레 포스의 "나의 작은 나라"가 자주 사용되면서 '새로운 국가'로 언급되기도 했다.[2] 2012년 노르웨이 제헌절에는 NRK 방송이 "나의 작은 나라"로 시작했다.[3]구스타브 옌센이 작사한 "Kongesangen"과 엘리아스 블릭스가 작사한 "Gud signe vårt dyre fedreland"도 비공식적으로 사용된다.
3. 가사
원 노르웨이어 가사 | 현대 노르웨이어 가사 | 국제 음성 기호 | 한국어 번역 |
---|---|---|---|
4. 논란
"예, 우리는 사랑하네"는 원래 칼 4세에게 경의를 표하는 구절을 포함하고 있었으나, 1864년 제2차 슐레스비히 전쟁 이후 통합 스칸디나비아 이상이 무너지면서 해당 구절은 삭제되었다. 삭제된 가사는 노르웨이, 스웨덴, 덴마크 간의 군사 조약을 언급하며, 이 조약이 제2차 슐레스비히 전쟁에서 지켜지지 않은 것을 비판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1905년 스웨덴-노르웨이 연합 해체 당시, 스웨덴 사회민주당은 "Ja, vi elsker dette landet"(예, 우리는 이 나라를 사랑합니다)를 부르며 노르웨이 국민의 연합 탈퇴 권리를 지지했다.
4. 1. 나치 점령 시기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이 국가(國歌)는 노르웨이 저항군과 나치 협력자 모두에게 사용되었으며, 후자는 주로 선전 목적으로 사용했다.[4] 결국 독일 점령군은 이 국가의 사용을 공식적으로 금지했다.[4]4. 2. 우르두어 번역 논란
2006년 5월, 다문화 신문인 우트롭은 파키스탄인의 모국어이자 노르웨이로 이주한 가장 많은 집단 중 하나의 언어인 우르두어로 국가를 번역할 것을 제안했다.[15] 편집자는 다른 민족 출신도 노르웨이어에 능숙하지 않더라도 자신이 선택한 국가에 헌신적으로 존경을 표할 수 있어야 한다는 생각을 제시했다.이 제안은 다른 널리 읽히는 신문에서도 언급되었고, 스토르팅의 한 의원은 이 제안을 "역통합"이라고 비판했다.[16] 국가 번역을 지지하는 한 사람은 반역자라고 비난하며 참수하겠다는 내용의 혐오 메일을 대량으로 받기도 했다.[17]
참조
[1]
웹사이트
Representantforslag om å vedta at "Ja, vi elsker dette landet" skal anerkjennes som Norges offisielle nasjonalsang
https://www.storting[...]
2019-06-04
[2]
뉴스
Verdig tilstandsrapport fra nasjonalartistene
http://www.bt.no/ber[...]
BT.no
2013-12-29
[3]
뉴스
Norsk festyra fick ny dimension
http://www.svd.se/ny[...]
2001-09-11
[4]
서적
Sangen har lysning : studentersang i Norge på 1800-tallet
[5]
서적
Viktige trekk fra Norges vels historie 1809-1995
[6]
서적
Norsk litteraturkritikks historie 1770-1940, Bind 1
[7]
뉴스
Verdig tilstandsrapport fra nasjonalartistene
http://www.bt.no/ber[...]
BT.no
2013-12-29
[8]
뉴스
Norsk festyra fick ny dimension
http://www.svd.se/ny[...]
2001-09-11
[9]
웹사이트
Ja, vi elsker dette landet
https://hojskolesang[...]
2022-02-13
[10]
웹사이트
Ja, vi elsker dette landet
https://www.studente[...]
2022-02-13
[11]
웹사이트
"Blåøyd"
https://naob.no/ordb[...]
Det Norske Akademis Ordbok (Dictionary of the Norwegian Academy)
2024-04-13
[12]
문서
Torolv Hustad, born around 1930.
[13]
서적
Sange og digte paa dansk og engelsk
"Nordlysets" forlag
[14]
서적
Kongstanken
J.W. Cappelen
[15]
뉴스
Vil ha «Ja vi elsker» på urdu
http://web3.aftenbla[...]
2008-05-11
[16]
웹사이트
Fr.p. sier nei til "Ja vi elsker" på urdu
http://www.aftenpost[...]
[17]
웹사이트
Oslo - Aftenposten
http://oslopuls.no/n[...]
[18]
서적
世界の国歌総覧―全楽譜付き
悠書館
[19]
서적
国旗・国歌の世界地図
文藝春秋
[20]
문서
Samlede digte
[21]
문서
Tekst, staving og punktsetting følger «Bjørnstjerne Bjørnson, Samlede verker, Bind IV» side 278-280, ISBN 82-05-23483-3, hvor språket er noe revidert fra Bjørnsons originale teks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