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누피디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누피디아는 1999년 지미 웨일스가 구상하고 2000년 래리 생어가 개발을 감독하여 시작된 온라인 백과사전 프로젝트이다. 전문가 중심의 엄격한 편집 과정을 거쳐 자유 콘텐츠 백과사전을 지향했으나, 기사 생산 속도가 느리고 위키백과의 등장으로 인해 쇠퇴했다. 2001년 위키백과가 사이드 프로젝트로 시작되었고, 위키백과의 급성장으로 인해 누피디아는 점차 활동을 중단, 2003년 서버가 크래시되면서 완전히 종료되었다. 누피디아의 백과사전 내용은 위키백과에 통합되었으며, 누피디아는 위키백과의 성공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유 온라인 백과사전 - 스탠퍼드 철학 백과사전
    스탠퍼드 철학 백과사전은 에드워드 N. 잘타가 1995년에 창간한 온라인 철학 백과사전으로, 전문가 기고와 동료 평가를 거쳐 갱신되며 다양한 견해를 제공하고, 현재는 대학 도서관과 개인 기부를 통해 오픈 액세스를 유지한다.
  • 자유 온라인 백과사전 - 백괴사전
    백괴사전은 위키백과의 패러디를 목적으로 조너선 황과 스틸워터스에 의해 2005년 설립된 위키 기반 웹사이트로, 위키백과와 유사한 인터페이스와 편집 시스템을 갖추고 유머, 왜곡, 패러디, 풍자를 통해 웃음을 유발하는 문서가 주된 콘텐츠이다.
  • 위키백과의 역사 - 헨리크 바투타 사건
    헨리크 바투타 사건은 폴란드어 위키백과에 가상 인물에 대한 허위 정보가 유포되어 위키백과의 신뢰성 문제와 허위 정보 확산 가능성을 보여준 사건이다.
  • 위키백과의 역사 - 보미스
    보미스는 지미 웨일스 등이 공동 설립한 영리 기업으로 남성 중심 웹 포털로 시작하여 성인물 등으로 수익을 창출했으며, 누피디아와 위키백과 창작을 지원했지만 위키백과 인기로 재정적 부담이 커져 위키미디어 재단으로 이전되었다.
  • 2000년 설립된 단체 - 아름다운재단
    아름다운재단은 1% 나눔 운동, 아름다운Day, 공감 운영, 희망가게 등 다양한 시민 참여 캠페인과 사업을 통해 사회 문제 해결과 기부 문화 확산에 기여하는 한국의 공익재단이다.
  • 2000년 설립된 단체 - 국민건강보험공단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국민건강보험법에 따라 설립된 보건복지부 산하 준정부기관으로, 건강보험, 노인장기요양보험 사업을 관장하며, 2000년 국민의료보험관리공단과 직장 의료보험조합의 통합으로 출범하여 현재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에 본부를 두고 건강보험료 부과·징수, 보험급여 관리, 건강검진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누피디아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누피디아 로고
누피디아 로고
유형온라인 백과사전
언어영어
독일어
스페인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등록해당 없음
소유주보미스(이전)
제작자지미 웨일스
래리 생어
해산일2003년 9월
출시일2000년 3월 9일
URLnupedia.org
상세 정보
항목 수27개(2003년 8월 8일 기준, 심사 완료)
열람무료
저작권초기: 누피디아 오픈 콘텐츠 라이선스, 이후: GFDL
자금보미스 출자
영리성광고 게재, 수익 창출 예정
설립일2000년 3월
설립자지미 웨일스
편집위원래리 생어(편집 주간), 기타
심사있음
상태폐쇄 (2003년 9월 중단)

2. 역사

1999년 10월, 지미 웨일스는 자원 봉사자들이 만드는 온라인 백과사전을 구상하기 시작했고, 2000년 1월 래리 생어를 고용하여 개발을 감독하게 했다.[2] 이 프로젝트는 2000년 3월 9일 공식적으로 온라인에 게시되었으나,[10] 2000년 11월까지 단 두 개의 전체 길이 기사만 출판되었다.[11]

누피디아는 처음부터 자유 콘텐츠 백과사전이었으며,[10] 보미스는 Nupedia.com의 온라인 광고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고자 했다.[11] 초기에는 자체 제작한 누피디아 오픈 콘텐츠 라이선스를 사용했으나, 2001년 1월 리처드 스톨먼자유 소프트웨어 재단의 권유로 GNU 자유 문서 라이선스로 전환했다.[12]

2001년 1월, 누피디아는 기사 협업을 위해 위키백과를 사이드 프로젝트로 시작했다.[13] 이는 GNE 백과사전 옹호자들이 선호하는 덜 관료적인 구조를 제공하여 양쪽 모두의 관심을 끌었다. 결과적으로 GNE는 발전하지 못했고, 프로젝트 간 경쟁 위협도 사라졌다. 위키백과는 빠르게 성장하여 누피디아와 독립적으로 기능하기 시작했다.

위키백과의 등장은 GNE 프로젝트 중단과 누피디아의 점진적인 종말을 초래했다. 인터넷 경제 붕괴로 2001년 12월 지미 웨일스는 유급 편집장 지원을 중단했고,[2] 래리 생어는 두 프로젝트에서 모두 사임했다.[14] 생어가 떠난 후, 누피디아는 위키백과의 부속물로 여겨졌으며, 2001년 이후 완료된 기사는 단 두 개뿐이었다. 누피디아 활동 중단 후, 승인된 위키백과 기사의 안정적인 버전으로 전환하려는 아이디어가 제기되었지만 실행되지는 않았다. 2003년 9월 누피디아 서버가 충돌했고,[15] 누피디아의 백과사전 내용은 위키백과에 통합되었다.[16]

2. 1. 누피디아의 설립

1990년대 후반, 보미스에서 일하던 지미 웨일스인터넷에 접속하면 누구나 읽을 수 있는 백과사전을 구상했다.[26] 2000년 1월, 웨일스는 이 프로젝트를 이끌 사람으로 래리 생어를 고용했다.[2] 생어는 대학원에서 철학 박사 과정을 밟고 있었으며, 2000년 문제에 관한 뉴스 사이트를 운영한 경험도 있었다.[26]

생어는 웨일스의 제안을 받아들여 2000년 2월 샌디에이고로 이주하여 보미스에서 일하기 시작했다. 이들은 새로운 인터넷 백과사전의 운영 방침과 집필자를 확보하는 데 힘썼다.[26] 2000년 3월 9일, 누피디아 공식 웹사이트가 개설되었다.[10] 다음 날인 3월 10일에는 'PC World' 사이트에서 누피디아를 홍보하며 집필자를 모집했다.[26]

웨일스는 GNU와 같이 자유로운 배포와 수정이 가능한 라이선스로 누피디아의 기사를 공개하고자 했다. 그러나 기사 편집은 기존 백과사전처럼 전문가의 관리와 심사를 거치는 엄격한 과정을 따르고자 했다.[26]

2. 2. 누피디아의 운영 방식과 한계

누피디아는 전문가 중심의 엄격한 편집 과정을 거쳐 콘텐츠의 질을 확보하고자 했다. 초기에는 자체 제작한 누피디아 오픈 콘텐츠 라이선스를 사용했으나, 이후 GNU 자유 문서 라이선스로 전환했다.[29] 이 라이선스는 기사 작성자가 아닌 사이트에 출자하는 보미스가 저작권자가 되도록 했다.[29]

누피디아는 7단계의 편집 과정을 거쳤다.

순서단계
1할당
2주 심사자 선정
3주 심사
4공개 심사
5주 교정
6공개 교정
7최종 승인 및 마크업

[17]

이러한 엄격한 절차는 콘텐츠 생산 속도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참여 저자들은 대부분 해당 분야 박사 학위 소지자 또는 전문가들이었다.[18] 편집자는 "해당 분야의 진정한 전문가여야 하며 (예외는 거의 없으며) 박사 학위를 소지해야 한다"고 여겨졌다.[18]

지미 웨일스는 로버트 머튼과 "옵션 가격 결정 이론"에 대한 기사를 작성하고 게시하려 했으나, 자신의 기사가 두 명의 금융 경제학자로부터 심사를 받게 될 것을 떠올리며 부담을 느꼈다.[22] 그는 "학계를 몇 년 동안 떠나 있었기 때문에, 그것은 두려웠다. 숙제처럼 느껴졌다."라고 회상했다.[23] 결국 첫 해에 완성된 기사는 12개에 불과했다.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위키를 도입한 위키백과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 샌거는 캘리포니아주 샌디에고의 멕시코 음식점에서 친구 벤 코비츠와 저녁 식사를 하던 중 위키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었다고 밝혔다.[25] 샌거는 워드 커닝햄에 의해 발명된 위키 시스템에 대해 코비츠에게 설명을 들었고, 위키가 더 개방적이고 단순한 편집 절차를 가진 백과사전을 만드는 데 적합하다고 생각했다.[25]

2001년 1월 10일, 샌거는 누피디아 메일링 리스트에 "Let's make a wiki" (위키를 만들자)라는 제목의 메시지를 보내 위키 도입을 제안했다. 누피디아 전문가 투고자들의 저항으로 2001년 1월 15일에 wikipedia.com이 개설되었다. 누피디아와는 대조적으로, 위키백과는 급격하게 성장하여 2월 말까지 150개 항목, 2001년 말에는 약 15,000개 항목에 달했으며, 참가자는 약 350명에 달했다.[26]

사이트의 소프트웨어는 NupeCode라는 공동 작업용 소프트웨어였다.[29] 열람은 무료이며, 광고를 게재하여 수익을 확보할 예정이었다. 기사 집필 및 심사는 자원 봉사로 이루어졌다.[29] 래리 생어가 편집 주간 역할을 맡았으며, 그만이 보미스에 고용되어 유급으로 누피디아 편집에 관여했다. 박사 학위 취득자, 대학 교수, 기타 실적이 있는 전문가를 대상으로 참가자를 모집했다. 기사가 공개되기까지는 위에 언급된 엄격한 7단계의 공정을 거쳐야 했다. 집필 방침 및 가이드라인을 갖추고 있었으며, 위키백과의 핵심 정책 중 하나인 "중립적인 관점"의 원형도 이미 이 안에 존재했다. 기사의 난이도는 예비 지식이 없는 대학생이 읽고 이해할 수 있는 정도의 수준을 목표로 했다.

2. 3. 위키백과의 등장과 누피디아의 쇠퇴

2001년 1월, 누피디아는 콘텐츠 생산 속도를 높이기 위해 위키 기반의 협업 프로젝트인 위키백과를 시작했다.[13] 위키백과는 누구나 쉽게 참여하고 편집할 수 있는 개방성으로 인해 빠르게 성장했으며, 이는 누피디아의 존재 가치를 약화시켰다. 2001년 12월, 인터넷 경제 붕괴로 인해 지미 웨일스는 유급 편집장 지원을 중단했고,[2] 래리 생어는 두 프로젝트에서 모두 사임했다.[14]

생어가 떠난 후, 누피디아는 위키백과의 부속물로 점점 더 여겨졌다. 2001년 이후 누피디아에서 검토 과정을 완료하고 완료된 기사는 단 두 개뿐이었다. 누피디아가 활동을 멈추면서, 승인된 위키백과 기사의 안정적인 버전으로 전환하려는 아이디어가 가끔 제기되었지만 실행되지는 않았다. 2003년 9월 누피디아의 서버가 충돌했고,[15] 누피디아의 백과사전 내용은 위키백과에 통합되었다.[16]

2. 4. 누피디아의 폐쇄와 위키백과로의 통합

2001년 12월, 인터넷 경제 붕괴로 인해 지미 웨일스는 유급 편집장 지원을 중단하기로 결정했고,[2] 래리 생어는 곧 두 프로젝트에서 모두 사임했다.[14] 생어가 떠난 후, 누피디아는 위키백과의 부속물처럼 여겨졌다. 2001년 이후 누피디아에서 작성된 문서는 단 두 개뿐이었다.[26]

2003년 9월, 누피디아 서버가 다운되었고,[15] 누피디아의 백과사전 내용은 위키백과로 통합되었다.[16]

3. 누피디아의 소프트웨어

누피디아는 NupeCode 공동 작업 소프트웨어로 구동되었다. NupeCode는 대규모 동료 검토 프로젝트를 위해 설계된 자유 소프트웨어/오픈 소스 모델 소프트웨어(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 하에 배포됨)이다. 이 코드는 누피디아의 CVS 저장소를 통해 이용 가능했다. 누피디아가 존속하는 동안 겪은 문제 중 하나는 소프트웨어의 기능 부족이었다.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원래 소프트웨어의 새로운 버전("NuNupedia"라고 불림)이 개발 중이었다. NuNupedia는 SourceForge에서 테스트를 위해 구현되었지만, 원래 소프트웨어를 대체할 만큼 충분한 개발 단계에 도달하지 못했다.[20]

4. 누피디아가 남긴 유산과 한국 사회에 주는 시사점

누피디아는 비록 실패했지만, 자유 콘텐츠와 협업을 통한 지식 공유라는 중요한 가치를 제시했다. 이러한 가치는 위키백과를 통해 계승되어, 전 세계적인 지식 공유 플랫폼으로 발전하는 데 기여했다. 특히 한국 사회에서는 누피디아와 위키백과의 사례를 통해 시민 참여형 지식 공유 모델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이를 사회 다양한 영역에 적용하려는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더불어민주당은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집단 지성을 활용하여 정책을 개발하고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플랫폼 구축을 지지한다. 반면, 보수 진영에서는 전문가 중심의 지식 생산 방식을 옹호하며, 위키백과와 같은 개방형 플랫폼의 신뢰성에 의문을 제기하기도 한다.

5. 완성된 기사 목록

누피디아는 운영 기간 동안 총 25개의 기사를 완성했다.[30] 완성된 기사 목록은 게시 순서대로 다음과 같다.

게시 순서기사참고 한국어 이름
1Atonality (간략 버전)무조 음악(짧은 버전)
2Hydatius (간략 버전)히다티우스(짧은 버전)
3The Donegal Fiddle Tradition (간략 버전)도니골 피들 음악 양식(짧은 버전)
4Irish Traditional Music (간략 버전)아일랜드 전통 음악(짧은 버전)
5Atonality (확장 버전)무조 음악(긴 버전)
6Classical Era (Music) (확장 버전)고전주의 음악(긴 버전)
7Classical Era (Music) (간략 버전)고전주의 음악(짧은 버전)
8Charles S. Peirce (간략 버전)찰스 샌더스 퍼스(짧은 버전)
9Herodotus of Halicarnassus (간략 버전)헤로도토스(짧은 버전)
10The SNOBOL 4 Programming Language (간략 버전)프로그래밍 언어 SNOBOL4(짧은 버전)
11Vergil (간략 버전)베르길리우스(짧은 버전)
12Procopius of Caesarea (간략 버전)프로코피우스(짧은 버전)
13Pylos (간략 버전)필로스(짧은 버전)
14Case-Based Reasoning (간략 버전)사례 기반 추론(짧은 버전)
15The Theory of Computation (간략 버전)계산 이론(짧은 버전)
16New Zealand (간략 버전)뉴질랜드(짧은 버전)
17Karl Raimund Popper (간략 버전)칼 라이문트 포퍼(짧은 버전)
18Functional Programming (간략 버전)함수형 프로그래밍(짧은 버전)
19Genotype and Phenotype (간략 버전)유전자형표현형(짧은 버전)
20Plasmids (중간 길이)플라스미드(중간 길이)
21Polymerase Chain Reaction (간략 버전)중합효소 연쇄 반응(짧은 버전)
22Foot-and-Mouth Disease (간략 버전)구제역(짧은 버전)
23Polymerase Chain Reaction (확장 버전)중합효소 연쇄 반응(긴 버전)
24Imperative Programming (간략 버전)명령형 프로그래밍(짧은 버전)
25The Quasispecies model (간략 버전)콰지종 모델(짧은 버전)
26Bacteria (간략 버전)세균(짧은 버전)
27source code (간략 버전)소스 코드(짧은 버전)


참조

[1] 웹사이트 Nupedia.com WHOIS, DNS, & DomainTools http://whois.domaint[...] 2016
[2] 간행물 Can thousands of Wikipedians be wrong? How an attempt to build an online encyclopedia touched off history's biggest experiment in collaborative knowledge http://www.theatlant[...] The Atlantic 2006-09
[3] 뉴스 The Early History of Nupedia and Wikipedia: A Memoir http://features.slas[...] 2005-04-18
[4] 서적 The Wikipedia Revolution: How a Bunch of Nobodies Created the World's Greatest Encyclopedia Aurum 2009
[5] 문서 Craig 2013, p. 84
[6] 문서 Ayers 2008
[7] 문서 Myers 2006, p. 163
[8] 뉴스 When Wikipedia was young: the early years http://vator.tv/news[...] 2017-06-13
[9] 뉴스 Wikipedia founder forks Wikipedia https://www.theregis[...]
[10] 뉴스 Building the world's biggest encyclopedia http://www.pcworld.c[...] 2000-03-10
[11] 뉴스 The next generation of online encyclopedias http://www.cnn.com/2[...] The Industry Standard/CNN 2000-11-21
[12] 웹사이트 Re:GNUPedia = Nupedia? https://slashdot.org[...] Slashdot 2001-01-17
[13] 뉴스 Let's make a wiki http://www.nupedia.c[...] Internet Archive 2001-01-10
[14] 웹사이트 My Resignation https://lists.wikime[...] Bomis, Inc 2002-03
[15] 웹사이트 1 Nazis and Norms https://reagle.org/j[...]
[16] 문서 Waters 2010, pp. 179–180
[17] 웹사이트 Nupedia.com Editorial Policy Guidelines (Version 3.31) http://www.nupedia.c[...] 2000-11-16
[18] 웹사이트 How to be an editor or peer reviewer for Nupedia http://www.nupedia.c[...]
[19] 서적 The Wikipedia Revolution https://archive.org/[...] Hyperion 2009
[20] 웹사이트 NuNupedia https://sourceforge.[...] 2013-03-22
[21] 웹사이트 The greatest defunct Web sites and dotcom disasters http://www.cnet.com/[...] CBS Interactive 2008-06-05
[22] 웹사이트 Know It All: Can Wikipedia conquer expertise? http://www.newyorker[...] Condé Nas 2006-07-31
[23] 웹사이트 Know It All: Can Wikipedia conquer expertise? http://www.newyorker[...] Condé Nas 2006-07-31
[24] Mailing List LinkBacks? https://lists.wikime[...] 2001-10-30
[25] 웹사이트 Who Founded Wikipedia? These Two Need to Get Their Story Straight http://www.theepocht[...] The Epoch Times International 2015-03-04
[26] 웹사이트 The Hive http://www.theatlant[...] The Atlantic Monthly Group
[27] 웹사이트 Timeline: Wikipedia's history and milestones http://www.wired.co.[...] Conde Nast Publications 2011-01-11
[28] 웹사이트 インタビュー 「小さい頃,百科事典を全部読んだ」 https://xtech.nikkei[...] 日経BP 2007-03-22
[29] 웹사이트 The HTP Model: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 of Social Machines https://web.archive.[...] ACM 2011-01-11
[30] 웹사이트 NUPEDIA: NEWEST ARTICLES http://www.nupedia.c[...] Bomis
[31] 웹인용 The Hive http://www.theatlant[...] The Atlantic 2007-01-01
[32] 웹인용 The greatest defunct Web sites and dotcom disasters http://crave.cnet.co[...] CNET 2009-02-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