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표현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표현형은 유전자형의 영향을 받아 나타나는 관찰 가능한 모든 특성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분자 수준에서부터 행동, 생리적 특성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나타나며, 유전 물질에 의해 암호화된 분자나 구조가 기술적 방법을 통해 관찰될 경우에도 표현형으로 간주된다. 표현형은 유전 물질과 환경의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되며, 유전자 발현, 후성 유전학적 수정 등 다양한 요인이 영향을 미친다. 표현형 변이는 자연 선택에 의한 진화의 기본적인 전제 조건이며, 확장된 표현형은 유전자가 다른 생물체를 포함한 주변에 미치는 모든 영향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최근에는 표현체학 연구를 통해 유전자 변이가 표현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농업, 맞춤형 의료 분야에 활용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다형성 (생물학) - 의태
    의태는 생물이 생존과 번식을 위해 다른 생물이나 무생물과 유사한 형태, 색깔, 행동 등을 갖추는 전략으로, 베이츠 의태와 뮬러 의태 등 다양한 유형이 존재하며 시각적 외형 외에 화학적 신호나 행동도 포함되지만, 효과는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생물학적 적응의 한 형태이다.
  • 다형성 (생물학) - 다윈의 핀치
    다윈의 핀치는 갈라파고스 제도에 서식하며 자연 선택에 의한 진화의 대표적인 사례로 꼽히는 핀치새들로,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여 부리 모양과 크기가 다른 여러 종으로 분화되었고, 뼈 형태 형성 단백질 4(BMP4) 및 칼모듈린 유전자와 같은 분자적 기반 연구를 통해 부리 형태 변이의 유전적 메커니즘이 밝혀지고 있다.
  • 유전학 - 우생학
    우생학은 인간의 유전적 특질 개선을 목표로 19세기 후반 골턴에 의해 체계화되었으며, 긍정적·부정적 방식으로 전개되었으나, 나치 독일의 인종정책과 결부되어 비판받으며 쇠퇴하였지만, 현대 사회에서도 유전자 선별과 관련된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 유전학 - 행동유전학
    행동유전학은 행동에 영향을 주는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프랜시스 골턴의 연구에서 시작되었으나 우생학 논란을 겪었으며, 가족 연구, 쌍둥이 연구 등을 통해 발전해 왔지만 사회적 논쟁과 방법론적 한계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표현형
개요
유전자형과 표현형의 관계를 보여주는 다이어그램
유전자형(유전적 구성)과 환경이 상호 작용하여 표현형(관찰 가능한 특성)을 생성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다이어그램
정의유기체의 관찰 가능한 특성 또는 특성의 합성
상세 정보
영향 요인유전자형
환경
예시혈액형
눈 색깔
관련 개념
유전자형유전적 구성
후성유전학유전자 발현 변화
중간 표현형유전자와 질병 사이의 연결고리
표현형의 예시
형태적 특징키, 몸무게, 눈 색깔 등
생화학적 특징혈액형, 효소 활성 등
행동적 특징성격, 학습 능력 등
발달 단계성장 속도, 사춘기 시기 등
표현형 가소성
정의동일한 유전자형을 가진 개체가 환경에 따라 다른 표현형을 나타내는 능력
예시식물의 키가 햇빛의 양에 따라 달라짐
동물의 털 색깔이 계절에 따라 달라짐
참고 용어
유전체학유전체 연구
단일염기 다형성 (SNP)DNA 서열의 변이
중요성
유전 연구유전자 기능 및 유전 질환 연구
진화 연구자연 선택 과정 이해
농업 및 의학품종 개량 및 질병 진단/치료

2. 정의

겉보기에는 간단한 정의에도 불구하고, 표현형 개념에는 미묘한 점이 숨겨져 있다. 유전자형에 의존하는 모든 것은 RNA단백질과 같은 분자를 포함하여 표현형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유전 물질에 의해 코드화된 대부분의 분자나 구조는 생물의 외관으로는 보이지 않지만, 웨스턴 블롯과 같은 방법으로 관찰 가능하며 따라서 표현형의 일부이다. 인간의 ABO식 혈액형이 그 예시이다.

"표현형"이라는 용어는 때로는 야생형과의 표현형 차이를 줄여서 표현하는 방식으로 잘못 사용되어, "돌연변이는 표현형을 가지지 않는다"라는 문장을 만들어내기도 한다.[38] 행동과 그 결과 또한 관찰 가능한 특성이므로 표현형이다. '''행동 표현형'''에는 인지, 성격 및 행동 패턴이 포함된다. 일부 행동 표현형은 정신 질환[6] 또는 증후군을 특징지을 수 있다.[7][8]

어쨌든, 표현형이라는 용어에는 관찰 가능한 고유한 형질이나 특징, 혹은 기술적인 방법으로 가시화할 수 있는 형질이 포함되어 있다.

2. 1. 표현형의 범위

유전자형에 의존하는 모든 것은 RNA, 단백질과 같은 분자를 포함하여 표현형으로 볼 수 있다. 유전 물질에 의해 암호화된 대부분의 분자와 구조는 유기체의 외형에서는 보이지 않지만, 웨스턴 블롯과 같은 방법으로 관찰 가능하며 표현형의 일부이다. 인간의 ABO식 혈액형이 그 예시인데, 이는 생명체 자체에 초점을 맞춘 원래 개념을 넘어선 것처럼 보일 수 있다. 표현형이라는 용어는 관찰 가능한 고유 특성 또는 특징이나, 어떤 기술적 절차를 통해 보이게 할 수 있는 특성을 포함한다.[5]

2. 2. 표현형과 유전자형의 관계

생물의 표현형은 유전 물질의 총합과 환경의 영향으로 결정된다. 이는 다양한 생물학적 메커니즘으로 매개되는데, 유전자 산물의 직접적인 활동이나 그 하위 효과로 결정된다.[21] 예를 들어, 백색증 표현형은 티로시나제를 암호화하는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멜라닌 형성의 핵심 효소이다. 그러나 자외선 노출은 멜라닌 생산을 증가시키므로, 환경 역시 이 표현형에 영향을 준다.[21]

유전자 발현은 생물의 표현형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정 효소를 코딩하는 유전자가 높은 수준으로 발현되면, 생물은 해당 효소를 더 많이 생성하여 특정 형질을 나타낼 수 있다. 반면에, 해당 유전자가 낮은 수준으로 발현되면, 생물은 효소를 적게 생성하여 다른 형질을 나타낼 수 있다.[22] 유전자 발현은 전사 및 전사 후 조절을 포함한 다양한 수준에서 조절될 수 있다.

유전자 발현 수준의 변화는 환경 조건, 유전적 변이, 후성 유전학적 수정과 같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수정은 식단, 스트레스, 독소 노출과 같은 환경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개인의 표현형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23]

ABO식 혈액형의 표현형과 유전자형(파네트 사각형으로 확정)


RNA나 단백질 등의 분자를 포함하여, 유전자형에 의존하는 것은 모두 표현형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전 물질에 의해 코드화된 대부분의 분자나 구조는 생물의 외관으로는 보이지 않지만, 관찰 가능하며 (예: 웨스턴 블롯), 따라서 표현형의 일부이다.

그러나 어떤 유전자를 가지고 있어도, 그것이 열성이면, 동일 유전자좌의 우성 유전자와 헤테로인 경우에는 표현형에 나타나지 않는다 (멘델의 법칙의 "우성의 법칙"). 하나의 형질 표현형에는 여러 유전자좌가 영향을 미치는 경우도 있다. 이처럼, 어떤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지와 그 개체가 어떤 형질을 나타내는지는 같지 않다. 인간의 혈액형이 그 한 예이다.

3. 표현형의 다양성과 변이

표현형은 유전자형과 환경 요인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다양하게 나타난다. 유전자형(G)과 환경(E)의 상호작용은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유전자형(G) + 환경(E) → 표현형(P)

더 자세하게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도 있다.

:유전자형(G) + 환경(E) + 유전자형과 환경의 상호 작용(GE) → 표현형(P)

이러한 표현형은 생물의 생존과 번식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자 수준 이하의 변이로 확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전자의 아미노산 서열을 변경하지 않는 사일런트 돌연변이는 구아닌-시토신 염기쌍(GC 함량)의 빈도를 변경할 수 있다. 아데닌-티민보다 열 안정성이 높은 이러한 염기쌍은 고온 환경에 서식하는 유기체에게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42]

3. 1. 표현형 변이의 중요성

표현형 변이(내재된 유전적 변이로 인한)는 자연 선택에 의한 진화의 기본적인 전제 조건이다. 다음 세대에 기여하는 것은 전체 생물체이므로, 자연 선택은 표현형의 기여를 통해 간접적으로 개체군의 유전적 구조에 영향을 미친다. 표현형 변이가 없으면 자연 선택에 의한 진화는 없을 것이다.[16]

유전자형과 표현형 간의 상호 작용은 종종 다음과 같은 관계를 통해 개념화된다.

: 유전자형(G) + 환경(E) → 표현형(P)

이 관계의 보다 미묘한 버전은 다음과 같다.

: 유전자형(G) + 환경(E) + 유전자형 & 환경 상호 작용(GE) → 표현형(P)

유전자형은 표현형의 수정과 발현에 있어 많은 유연성을 갖는 경우가 많으며, 많은 유기체에서 이러한 표현형은 다양한 환경 조건에서 매우 다르다. 식물 ''흰제비꽃속''(Hieracium umbellatum)은 스웨덴의 두 가지 다른 서식지에서 발견된다. 한 서식지는 바위가 많은 해안 절벽으로, 식물은 덤불형으로 넓은 잎과 팽창된 꽃차례를 가지고 있고, 다른 하나는 사구에 있으며, 식물은 좁은 잎과 콤팩트한 꽃차례를 가지고 기는 형태이다. 이러한 서식지는 스웨덴 해안을 따라 번갈아 나타나며 흰제비꽃속의 씨앗이 착륙하는 서식지가 성장하는 표현형을 결정한다.[17]

초파리에서 무작위 변이의 예로는 겹눈의 수가 있는데, 이는 단일 개체 내에서 왼쪽 눈과 오른쪽 눈 사이에서 전반적으로 서로 다른 유전자형 사이 또는 서로 다른 환경에서 길러진 클론 사이에서 발생하는 변이만큼 많이 (무작위로) 변할 수 있다.

표현형의 개념은 생물의 적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자 수준 이하의 변이로 확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전자의 해당 아미노산 서열을 변경하지 않는 사일런트 돌연변이는 구아닌-시토신 염기쌍(GC 함량)의 빈도를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염기쌍은 아데닌-티민보다 열적 안정성(융점)이 높으며, 이는 고온 환경에서 생활하는 유기체에서 GC 함량이 풍부한 변이에 선택적 이점을 제공할 수 있는 특성이다.

3. 2. 표현형 변이의 예시

버들해라키움(영어: ''Hieracium umbellatum'')은 스웨덴의 두 서식지에서 자란다. 하나는 해안가 바위 절벽으로, 넓은 잎과 확대된 꽃차례를 가진 덤불 형태이다. 다른 하나는 사구 안으로, 가늘고 긴 잎과 콤팩트한 꽃차례를 가지고 땅에 붙어 자란다. 이러한 서식지는 스웨덴 해안을 따라 번갈아 나타나며, 흰제비꽃속의 종자가 어느 곳에 떨어지는지에 따라 자라는 표현형이 결정된다.[43]

초파리(영어: ''Drosophila'')의 무작위 변동은 홑눈의 수에서 나타난다. 홑눈의 수는 다른 유전자형 간, 또는 다른 환경에서 자란 클론 간에서뿐만 아니라, 단일 개체의 좌우 눈 사이에서도 무작위로 다를 수 있다.

4. 표현형의 확장: 확장된 표현형

리처드 도킨스는 유전자가 다른 생물을 포함해 주변에 미치는 모든 영향을 포함하는 표현형을 확장된 표현형(EP: Extended Phenotype)이라고 표현했다. 그는 "동물의 행동은, 그 행동을 하는 특정 동물의 체내에 그 유전자가 존재하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그 행동을 위한 유전자의 생존을 최대화하는 경향이 있다."라고 주장했다.[44]

2008년에 개최된 유럽 과학 재단의 회의에서는, 확장된 표현형 개념의 역할은 의미 있는 실험을 설계하기 위한 도구라기보다는 설명적인 것에 한정될 것이라고 결론지었다.[46]

4. 1. 확장된 표현형의 예시

리처드 도킨스는 유전자가 주변 환경, 다른 유기체를 포함하여 미치는 모든 영향을 확장된 표현형으로 묘사하며, "동물의 행동은 해당 행동 '을 위한' 유전자가 해당 행동을 수행하는 특정 동물의 몸 안에 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해당 유전자의 생존을 최대화하는 경향이 있다"고 주장했다.[18]

예를 들어, 비버는 비버 댐을 건설하여 환경을 수정하는데, 이는 환경을 수정하는 데 사용하는 앞니와 마찬가지로 유전자 발현의 한 형태로 간주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새가 뻐꾸기와 같은 탁란에게 먹이를 줄 때, 그것은 자신도 모르게 자신의 표현형을 확장하는 것이며, 난초의 유전자가 수분을 증가시키기 위해 난초벌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거나, 공작의 유전자가 암공작의 교미 결정에 영향을 미칠 때도 표현형이 확장되는 것이다. 도킨스의 관점에서 유전자는 표현형 효과에 의해 선택된다.[19]

다른 생물학자들은 확장된 표현형 개념이 관련성이 있다는 데 대체로 동의하지만, 그 역할이 실험 테스트 설계를 돕기보다는 주로 설명을 위한 것이라고 생각한다.[20]

5. 표현형과 유전체 연구

'''표현체'''(Phenome|페놈영어)는 한 생물이 나타내는 모든 표현형의 집합이며, '''표현체학'''(Phenomics|페노믹스영어)은 이를 종합적으로 연구하는 분야이다.[47][48] 표현체는 세포, 조직, 기관, 유기체, 또는 에 의해 발현되는 모든 특성의 집합으로, 1949년 데이비스(Davis)에 의해 처음으로 사용되었다.[9]

표현체는 수년간 사용되어 왔지만, 표현체와 표현형의 정확한 구별은 명확하지 않다. 1997년 Mahner와 Kary는 두 용어를 "유기체 또는 그 하위 시스템 중 하나의 모든 특성의 물리적 총체성"으로 제안했지만, 실제로는 과학자들이 직관적으로 용어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으며, 용어의 정의와 사용이 일관되지 않다고 주장한다.[10]

2009년, 한 연구팀은 DNA 생물은행에 연결된 전자의무기록(EHR)을 사용하여 유전자형-표현형 연관성을 식별하는 방법인 표현체 전체 연관 연구(PheWAS)를 제안했다.[14] 2023년에는 팬게놈에서 영감을 받아 팬-표현체, 팬게놈, 그리고 팬-환경 간의 관계를 탐구하는 개념이 제안되었다.[15]

384x384px

5. 1. 표현체학과 응용

페노믹스는 유전체 변이가 표현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여 건강, 질병, 진화 적합성 등을 설명할 수 있는 중요한 연구 분야이다.[26] 인간 게놈 프로젝트의 큰 부분을 차지한다.[27]

농업 분야에서는 페노믹스를 활용하여 가뭄 및 내열성 같은 유전체 변이를 식별하고, 이를 통해 더 내구성이 강한 유전자 변형 생물체(GMO)를 만들 수 있다.[28][13]

특히 약물 치료와 관련하여 맞춤형 의료로 가는 발판이 될 수 있다.[29] 페노믹 데이터베이스가 충분한 데이터를 확보하면, 개인의 페노믹 정보를 바탕으로 개인에게 맞는 특정 약물을 선택할 수 있다.[29]

5. 2. 대규모 표현형 분석과 유전자 스크리닝

대규모 유전자 스크리닝은 유기체의 표현형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자나 돌연변이를 식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30] 돌연변이 유전자의 표현형을 분석하면 유전자 기능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30] 대부분의 유전자 스크리닝은 유전자를 쉽게 제거할 수 있는 미생물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예를 들어, 거의 모든 유전자가 ''E. coli''[31]와 여러 세균에서 제거되었으며, 빵 효모[32]와 분열 효모[33] 같은 진핵 모델 유기체에서도 제거되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필수 유전자 목록을 밝혀낼 수 있었다.

최근에는 동물, 특히 행동과 같이 잘 알려지지 않은 표현형 연구에도 대규모 표현형 스크리닝이 활용되고 있다. 한 연구에서는 학습 및 기억, 일주기 리듬, 시력, 스트레스 반응, 자극제 반응 등 다양한 영역에서 마우스 돌연변이의 역할을 조사했다.

마우스의 신경계 및 행동에 대한 대규모 돌연변이 유발 및 표현형 스크리닝
표현형 도메인검사참고 사항소프트웨어 패키지
일주기 리듬바퀴 달리기 행동ClockLab
학습 및 기억공포 조건화비디오 이미지 기반 동결 점수 매기기FreezeFrame
예비 평가열린 공간 활동 및 상승 플러스 미로비디오 이미지 기반 탐색 점수 매기기LimeLight
정신 자극제 반응과운동 행동비디오 이미지 기반 운동 추적BigBrother
시력망막 전위도 및 안저 사진술L. Pinto 및 동료



이 실험은 강력한 점 돌연변이를 유발하는 ENU, 또는 N-에틸-N-니트로소우레아로 처리된 마우스의 자손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마우스는 다양한 행동 영역에서 변형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표현형 스크리닝을 거쳤으며, 이를 통해 잠재적 돌연변이체를 발견했다(자세한 내용은 표 참조). 유전 양상을 확인하고 돌연변이를 매핑하기 위해 유전성 검사를 실시했다. 돌연변이가 매핑, 복제, 식별되면 해당 돌연변이가 새로운 유전자를 나타내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었다.

표현형 도메인ENU 스크리닝 자손잠재적 돌연변이체자손이 있는 잠재적 돌연변이 라인확인된 돌연변이체
일반 평가29860803814
학습 및 기억2312316510619
정신 자극제 반응20997168869
스트레스에 대한 신경 내분비 반응13118126542
시력15582108606



이 실험을 통해 로돕신 유전자 돌연변이가 시력에 영향을 미치고, 마우스에서 망막 변성을 유발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34] 동일한 아미노산 변화가 실명을 유발한다는 점에서, 동물 표현형 분석이 의학적 진단 및 치료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6. 표현형의 진화적 기원

RNA 세계DNA와 단백질이 진화하기 전, 자기 복제 RNA 분자가 증식했던 시기로, 지구 생명체의 진화 역사에서 세포 이전 단계로 추정되는 가설이다.[35] 리보자임 활성을 갖는 최초의 RNA 분자는 복제를 촉진하고 파괴를 막는 3차원 물리적 구조를 가졌을 것이며, 이것이 최초의 표현형이 되었을 것이다.[3]

6. 1. 분자 계통과 표현형

분자유전학의 발달로 다양한 생물에서 DNA 염기 서열을 직접 비교할 수 있게 되었다. 이로 인해, 염기 서열 비교를 통해 직접 계통을 파악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를 '''분자계통학'''이라고 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기존에는 구별하기 어려웠던 분류군의 분류가 이루어진 사례가 많다. 이 경우, 분류군의 구별은 염기 서열에 의존하게 된다. 하지만, 유전적 차이는 형태나 성질에 반영된다고 생각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처럼 구별된 그룹에서 유전자 이외의 형질에 차이를 찾는 것도 흔하다. 이러한 차이가 발견될 경우, 이를 가리켜 '표현형의 차이'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7. 표현형 가소성

표현형 가소성은 동일한 유전자형을 가진 개체가 환경 조건에 따라 다른 표현형을 나타내는 현상이다. Ecophenotypic variation영어라고도 한다.

7. 1. 표현형 가소성의 예시

많은 생물에서 표현형은 환경 조건의 변화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이를 표현형 가소성이라고 한다. 이러한 상태에 있는 집단에서 본래의 표현형을 나타내는 개체의 비율을 침투도 또는 침투율이라고 부르며, 각 개체에서의 표현 정도를 표현도라고 부른다.

참조

[1] 웹사이트 Phenotype adjective – Definition, pictures, pronunciation and usage notes https://www.oxfordle[...] 2020-04-29
[2] 웹사이트 Genotype versus phenotype https://evolution.be[...] 2020-04-29
[3] 논문 William Johannsen and the genotype concept
[4] 논문 The genotype conception of heredity. 1911 2014-08
[5] 논문 'My mouse has no phenotype' 2002-05
[6] 논문 Behavioral phenotypes in genetic syndromes: genetic clues to human behavior 2002-01-01
[7] 서적 Behavioural Phenotype Mac Keith Press
[8] 서적 Behavioural Phenotypes in Clinical Practice https://books.google[...] Mac Keith Press 2010-09-27
[9] 논문 The Isolation of Biochemically Deficient Mutants of Bacteria by Means of Penicillin 1949-01
[10] 논문 Clonality and life cycles of intestinal crypts explained by a state dependent stochastic model of epithelial stem cell organization 1997-05
[11] 논문 Comparing the human and chimpanzee genomes: searching for needles in a haystack 2005-12
[12] 논문 From the genome to the phenome and back: linking genes with human brain function and structure using genetically informed neuroimaging 2009-11
[13] 논문 Phenomics--technologies to relieve the phenotyping bottleneck 2011-12
[14] 논문 PheWAS: demonstrating the feasibility of a phenome-wide scan to discover gene-disease associations 2010-05-01
[15] 논문 Machine learning for predicting phenotype from genotype and environment 2023
[16] 논문 The Units of Selection http://joelvelasco.n[...] 1970-11
[17] 웹사이트 Phenotypic and Genetic Variation; Ecotypes http://www.biologie.[...] 2009-12-29
[18] 논문 Replicator selection and the extended phenotype 1978-05
[19] 서적 The Extended Phenotype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20] 논문 Extended phenotype redux. How far can the reach of genes extend in manipulating the environment of an organism? 2009-03
[21] 서적 Threshold Concepts in Biochemistry La Trobe eBureau
[22] 논문 Linking tissues to phenotypes using gene expression profiles 2014
[23] 논문 Protein ensembles link genotype to phenotype 2019
[24] 논문 What exactly are genomes, genotypes and phenotypes? And what about phenomes? 1997-05
[25] 논문 Great Ape Phenome Project? 1998-10
[26] 논문 Phenomics: the next challenge 2010-12
[27] 논문 The human phenome project 2003-05
[28] 서적 PlantOmics: The Omics of Plant Science Springer 2015-01-01
[29] 논문 Improved drug therapy: triangulating phenomics with genomics and metabolomics 2014-09
[30] 논문 A large-scale insertional mutagenesis screen in zebrafish 1999-10
[31] 논문 Construction of ''Escherichia coli'' K-12 in-frame, single-gene knockout mutants: the Keio collection 2006-01
[32] 논문 Functional genomics using the ''Saccharomyces cerevisiae'' yeast deletion collections 2016-09
[33] 논문 Analysis of a genome-wide set of gene deletions in the fission yeast ''Schizosaccharomyces pombe'' 2010-06
[34] 논문 Large-scale mutagenesis and phenotypic screens for the nervous system and behavior in mice 2006-04
[35] 논문 Population biology of the first replicators: on the origin of the genotype, phenotype and organism. 1983-02
[36] 논문 William Johannsen and the genotype concept
[37] 논문 The genotype conception of heredity
[38] 논문 My mouse has no phenotype 2002-05
[39] 논문 Behavioral phenotypes in genetic syndromes: genetic clues to human behavior 2002-01-01
[40] 서적 Behavioural Phenotype Mac Keith Press
[41] 서적 Behavioural Phenotypes in Clinical Practice https://books.google[...] Mac Keith Press null
[42] 논문 The Units of Selection http://joelvelasco.n[...] 1970-11
[43] 웹사이트 Botany online: Evolution: The Modern Synthesis - Phenotypic and Genetic Variation; Ecotypes http://www.biologie.[...] 2009-12-29
[44] 논문 Replicator Selection and the Extended Phenotype 1978-01-12
[45] 서적 The Extended Phenotype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46] 논문 Extended phenotype redux. How far can the reach of genes extend in manipulating the environment of an organism?
[47] 논문 What exactly are genomes, genotypes and phenotypes? And what about phenomes?
[48] 논문 Great Ape Phenome Project?
[49] 논문 Phenomics: the next challenge 2010-12
[50] 논문 The Human Phenome Project 2003-05
[51] 서적 PlantOmics: The Omics of Plant Science Springer India 2015-01-01
[52] 논문 Phenomics – technologies to relieve the phenotyping bottleneck 2011-12-01
[53] 논문 Improved drug therapy: triangulating phenomics with genomics and metabolomics 2014-1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