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콜 데이비드는 말레이시아의 여자 프로 스쿼시 선수로, 2006년부터 2015년까지 109개월 연속 여자 세계 랭킹 1위를 기록하며 최장 기간 1위 기록을 보유했다. 2005년부터 2012년까지 8번의 세계 오픈 우승, 브리티시 오픈 5회 우승을 달성했으며, 월드 게임, 코먼웰스 게임, 아시안 게임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1999년 세계 주니어 챔피언이 되었으며, 2000년 프로로 전향하여 81개의 WISPA 타이틀을 획득했다. 2019년 은퇴했으며, 주요 수상 경력으로 공로 훈장, 다툭 칭호, 명예 박사 학위 등이 있다.
우승 (2005, 2006, 2008, 2009, 2010, 2011, 2012, 2014)
메달 기록
세계 선수권 대회
금 8, 은 0, 동 3
세계 팀 선수권 대회
금 0, 은 1, 동 4
월드 게임
금 3, 은 0, 동 1
코먼웰스 게임
금 2, 은 1, 동 1
아시안 게임
금 7, 은 1, 동 1
세계 선수권 대회
2005 홍콩
금메달 (단식)
2006 벨파스트
금메달 (단식)
2008 맨체스터
금메달 (단식)
2009 암스테르담
금메달 (단식)
2010 샤름 엘 셰이크
금메달 (단식)
2011 로테르담
금메달 (단식)
2012 그랜드 케이맨
금메달 (단식)
2014 카이로
금메달 (단식)
2003 홍콩
동메달 (단식)
2004 쿠알라룸푸르
동메달 (단식)
2013 페낭
동메달 (단식)
세계 팀 선수권 대회
2014 나이아가라온더레이크
은메달 (단체)
2006 에드먼턴
동메달 (단체)
2008 카이로
동메달 (단체)
2010 파머스턴
동메달 (단체)
2012 님
동메달 (단체)
월드 게임
2005 뒤스부르크
금메달 (단식)
2009 가오슝
금메달 (단식)
2013 칼리
금메달 (단식)
2017 브로츠와프
동메달 (단식)
코먼웰스 게임
2010 델리
금메달 (단식)
2014 글래스고
금메달 (단식)
2002 맨체스터
은메달 (혼합 복식)
2010 델리
동메달 (혼합 복식)
아시안 게임
1998 방콕
금메달 (단식)
2006 도하
금메달 (단식)
2010 광저우
금메달 (단식)
2010 광저우
금메달 (단체)
2014 인천
금메달 (단식)
2014 인천
금메달 (단체)
2018 자카르타-팔렘방
금메달 (단식)
2002 부산
은메달 (단식)
2018 자카르타-팔렘방
동메달 (단체)
서훈
작위
Yang Berbahagia Datuk
훈장
DB PJN DSPN KMN AMN
2. 유년 시절 및 가족
니콜 데이비드는 말레이시아 화교 출신 호클로-객가계 은퇴한 학교 교사인 앤 마리 데이비드와 타밀계 말레이시아계 인도인 엔지니어이자 전직 주 선수이자 축구 선수인 데스몬드 데이비드의 딸로 페낭에서 태어났다.[12][13][14][15][24] 그녀에게는 리앤과 체릴, 두 명의 자매가 있는데,[16] 이들은 모두 전국 수준의 뛰어난 스쿼시 선수이다.[17] 어릴 적 데이비드는 학교에서 수학을 가장 잘했고,[18] 장래에 엔지니어가 되는 것을 꿈꿨다.[18] Sekolah Kebangsaan Convent Green Lane (컨벤트 그린 레인 초등학교)에서 초등 교육을 받았고, Penilaian Menengah Rendah (PMR)와 Sijil Pelajaran Malaysia (SPM)에서 각각 7개의 A를 받았다. 이는 중등학교 졸업 증명서와 동일하며, 페낭 그린 레인에 있는 컨벤트 그린 레인 중학교에서 공부했다.[19][20] 로마 가톨릭 신자로 자랐다.[21]
2. 1. 출생 및 가족 배경
페낭에서 태어난 니콜 데이비드는[12]말레이시아 화교 출신 호클로-객가계 은퇴한 학교 교사인 앤 마리 데이비드와 타밀계 말레이시아계 인도인 엔지니어이자 전직 주 선수이자 축구 선수인 데스몬드 데이비드의 딸이다.[13][24][14][15] 그녀에게는 두 명의 자매 리앤과 체릴이 있는데,[16] 두 사람 모두 전국 수준의 뛰어난 스쿼시 선수이다.[17]
어릴 적 데이비드가 학교에서 가장 잘하는 과목은 수학이었고,[18] 장래에 엔지니어가 되는 것을 꿈꿨다.[18] 초등 교육은 Sekolah Kebangsaan Convent Green Lane (컨벤트 그린 레인 초등학교)에서 받았다. Penilaian Menengah Rendah (PMR)에서 7개의 A를 받았고 Sijil Pelajaran Malaysia (SPM)에서 7개의 A를 받았다. 이는 중등학교 졸업 증명서와 동일하며, 페낭 그린 레인에 있는 컨벤트 그린 레인 중학교에서 공부했다.[19][20] 로마 가톨릭 신자로 자랐다.[21]
2. 2. 학창 시절
페낭에서 태어난 데이비드는[12] 말레이시아 화교 출신 호클로-객가계 은퇴한 학교 교사인 앤 마리 데이비드와 타밀계 말레이시아계 인도인 엔지니어이자 전직 주 선수이자 축구 선수인 데스몬드 데이비드의 딸이다.[13][14][15][24] 그녀에게는 리앤과 체릴, 두 명의 자매가 있는데,[16] 이들 모두 전국 수준의 뛰어난 스쿼시 선수이다.[17] 어릴 적 데이비드는 학교에서 수학을 가장 잘했고,[18] 장래에 엔지니어가 되는 것을 꿈꿨다.[18] 초등 교육은 Sekolah Kebangsaan Convent Green Lane (컨벤트 그린 레인 초등학교)에서 받았다. Penilaian Menengah Rendah (PMR)에서 7개의 A를 받았고 Sijil Pelajaran Malaysia (SPM)에서 7개의 A를 받았는데, 이는 중등학교 졸업 증명서와 동일하다. 페낭 그린 레인에 있는 컨벤트 그린 레인 중학교에서 공부했으며,[19][20] 로마 가톨릭 신자로 자랐다.[21]
3. 스쿼시 경력
니콜 데이비드는 2000년 WISPA에 가입하여 프로로 전향했고, 투어 참가 한 달 만에 사브코르 핀란드 오픈에서 살마 샤바나를 꺾고 첫 WISPA 타이틀을 획득했다.[30] 2001년에는 옴네야 압델 카위를 꺾고 두 번째 세계 주니어 타이틀을 획득했는데, 이는 여자 스쿼시 선수 중 유일한 기록이다.[33][25][34]
2005년, 데이비드는 세계 선수권 대회와 영국 오픈에서 우승하며, 아시아 선수 최초로 영국 오픈 여자부 우승을 차지했다.[50] 2006년 1월에는 23세의 나이로 여자 스쿼시 세계 랭킹 1위에 올라, 말레이시아인 및 아시아 여성 최초로 이 자리에 올랐다.[52][53] 2006년 벨파스트에서 열린 세계 오픈에서 나탈리 그린햄을 꺾고 2회 연속 세계 선수권 대회 우승을 달성한 최초의 말레이시아 선수가 되었다.[56][110]
2008년에는 10개 투어 대회에서 무패 우승을 기록하며, 여자 스쿼시 세계 1위 자리를 30개월 연속 유지했다.[128][69][70] 2009년 쿠알라룸푸르 오픈에서 나탈리 그레인저에게 패하며 56경기 연승 행진이 중단되었지만,[73] 세계 오픈에서 통산 4번째 우승을 차지했다.[134]
2010년 세계 오픈에서 5번째 우승을 달성하며 사라 피츠제럴드와 최다 우승 기록(5회)과 동률을 이루었고,[142][89] 같은 해 코먼웰스 게임 여자 단식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90]
니콜 데이비드와 뉴질랜드의 셸리 키친이 2007년 CIMB 말레이시아 오픈에서 경기를 하고 있다.
니콜 앤 데이비드가 2007년 CIMB 말레이시아 스쿼시 오픈 트로피를 들고 있다.
2007년 부킷 잘릴, 셀랑고르에 있는 국립 스쿼시 콤플렉스에서 열린 2007년 CIMB 오픈에서 제니 던컬프에게 공을 넘기는 니콜 데이비드
니콜 데이비드가 2009년 홍콩 오픈 6일차에 경기하는 모습
니콜 데이비드가 2009년 홍콩 오픈 7일차에 경기하는 모습
니콜 앤 데이비드가 2009년 CIMB 말레이시아 스쿼시 오픈 트로피를 들고 있다.
3. 1. 주니어 시절 (1992-2001)
데이비드는 다섯 살 때 스쿼시를 시작했으며, 여덟 살 때 코칭을 받았다.[18] 부킷 덤바 스쿼시 센터에서 훈련을 받던 중, 데이비드는 이 포에 훈에 의해 발탁되었고,[22] 그녀는 데이비드가 자매들과 함께 고향인 페낭을 대표하도록 이끌었다.[17] 데이비드의 스쿼시 경력은 1992년 페낭 주 주니어 선수권 대회 14세 이하 부문에서 은메달을 획득하면서 시작되었다.[23] 그녀의 첫 전국 대회 우승은 1992년 밀로-던롭 스포츠 전국 주니어 인터스테이트 선수권 대회에서 16세 이하 부문 은메달을 획득하면서 이루어졌다.[23] 1994년 데이비드는 당시 몸이 좋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말레이시아 게임 (SUKMA) 토너먼트를 위해 페낭 주 스쿼시 팀에 합류하여 팀 이벤트에서 페낭이 금메달을 획득하는 데 기여했다.[24] 같은 해 그녀는 홍콩 U-13과 스코틀랜드 주니어 오픈 12세 이하 부문에서 처음으로 2개의 국제 타이틀을 획득했다.[23]
1999년 벨기에 앤트워프에서 열린 여자 세계 주니어 스쿼시 선수권 대회에서 동료 린 리옹을 결승에서 꺾고 우승하여 15세의 나이로 세계 주니어 챔피언이 된 최연소 여성 선수가 되었다.[27] 이 과정에서 그녀는 세계 랭킹 20위 안에 드는 선수 3명을 물리쳤다.[27] 그녀는 2001년 페낭에서 타이틀 방어에 성공하여 스쿼시 역사상 두 번이나 우승한 두 명의 선수 중 한 명이 되었다.[25][33] 그녀의 코치는 리처드 글랜필드였다.[26]
1999년 데이비드는 브리티시 주니어 오픈(17세 이하 챔피언),[28] 독일 주니어 오픈(19세 이하 챔피언),[24] 동남아시아 경기대회(시니어 및 팀 부문 챔피언),[24] 아시아 주니어 챔피언 개인 및 팀 이벤트 등 주요 주니어 토너먼트에서 우승하기 시작했다.[31]
데이비드의 가장 큰 승리는 앤트워프에서 열린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였다. 당시 15세였던 데이비드는 린 리옹을 9–5, 9–3, 9–2로 꺾고 결승에서 승리하여 역대 최연소 우승자가 되었다.[24][27] 데이비드는 13세였던 1997년 8월 브라질에서 열린 이전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에서 8강에 진출했고, 이후 아시아 주니어 및 시니어 타이틀과 1998년 12월 아시안 게임 금메달을 모두 획득했다.[27] 데이비드는 또한 브리티시 주니어 오픈에서 모든 연령대 부문에서 우승한 몇 안 되는 스쿼시 선수 중 한 명이다.[28]
Nicol David영어는 2000년에 WISPA에 가입하여 프로로 전향했고,[24][29] 투어에 참가한 지 불과 한 달 만에 첫 WISPA 타이틀을 획득했다.[30] 그해 2월에 열린 사브코르 핀란드 오픈 결승에서 살마 샤바나를 9–1, 9–0, 9–5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30] 한 달 안에 [https://www.equatorial.com/ 호텔 에콰토리아]는 그녀에 대한 2년 간의 전 세계 후원을 발표했다.[31] 또한 던롭 스쿼시로부터 WISPA 투어 후원을 받았다.[23]
2001년, Nicol David영어는 주니어 시절과 WISPA 경력의 대부분을 던롭 스포츠의 후원을 받으며, 현지 대기업인 멀파 스포츠와 함께 헤드 라켓을 사용하기로 2년 계약을 체결했다.[32] 그해 7월에는 옴네야 압델 카위를 결승에서 17분 만에 9–2, 9–4, 9–2로 꺾고 두 번째 세계 주니어 타이틀을 획득했다.[33] 그녀는 2007년 라님 엘 웰레일리가 두 번째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하기 전까지 이를 달성한 유일한 여성 스쿼시 선수였다.[25][34] Nicol David영어는 아시아 주니어 스쿼시 선수권 대회 개인전에서도 동료 선수인 트리샤 추아를 결승에서 9–5, 9–6, 9–0으로 꺾고 우승했으며, 말레이시아 팀이 단체전 우승을 차지하는 데 기여했다.[35]
2002년, Nicol David영어는 혼합 복식 파트너인 옹 벵 히와 함께 코먼웰스 게임에서 말레이시아를 위해 은메달을 획득했지만, 결승에서 글렌 윌슨과 레일라니 로라니에게 패했다.[36] 그해 초, 덴마크의 엘렌 페터슨을 9–2, 9–7, 8–10, 9–4로 꺾고 두 번째 쿠알라룸푸르 오픈 타이틀을 획득했다.[37] 같은 해 부산에서 열린 아시안 게임 결승전에서는 홍콩의 레베카 추에게 9–7, 9–5, 9–7로 패하며 금메달을 지키는 데 실패했다.[38]
2003년에는 두 번 결승에서 패했는데, 한 번은 홈그라운드에서 캐시 잭먼에게, 다른 한 번은 11월 몬테카를로 클래식에서 린다 엘리아니에게 패했다.[39] 홍콩에서 열린 월드 오픈 준결승에 진출했지만, 다시 캐시 잭먼에게 9–6, 9–3, 9–4로 패했다.[40] 다른 주요 WISPA 대회에서는 좋은 성적을 거두지 못하고, 캐롤 웨이뮬러 US 오픈[41], 브리티시 오픈[42], 텍사스 오픈[43]에서 모두 1라운드에서 탈락했다. 카타르 클래식 오픈에서는 2라운드에서 나탈리 그림햄에게 9–2, 7–9, 9–0, 9–4로 패했다.[44]
2004년, Nicol David영어는 다시 어떤 타이틀도 획득하지 못했지만, 쿠알라룸푸르 오픈[154]과 말레이시아 오픈[155]에서 모두 결승에 진출했다. 그해 마지막 달에 상하이 WISPA 월드스타 챔피언십 결승[45]과 월드 오픈 준결승[46]에 진출하여 2005년 1월 WISPA 랭킹에서 4위로 두 계단 상승하며 진전을 보이기 시작했다.[47]
3. 3. 세계 챔피언 등극 및 전성기 (2005-2015)
니콜 데이비드는 2000년에 WISPA에 가입하여 프로로 전향했고, 투어 참가 한 달 만에 사브코르 핀란드 오픈에서 살마 샤바나를 꺾고 첫 WISPA 타이틀을 획득했다.[30] 2001년에는 옴네야 압델 카위를 꺾고 두 번째 세계 주니어 타이틀을 획득했는데, 이는 여자 스쿼시 선수 중 유일한 기록이다.[33][25][34]
2005년, 데이비드는 세계 선수권 대회와 영국 오픈에서 우승하며, 아시아 선수 최초로 영국 오픈 여자부 우승을 차지했다.[50] 2006년 1월, 23세의 나이로 세계 랭킹 1위에 올라, 말레이시아인 및 아시아 여성 최초로 이 자리에 올랐다.[52][53]
2006년, 벨파스트에서 열린 세계 오픈에서 나탈리 그린햄을 꺾고 2회 연속 세계 선수권 대회 우승을 달성한 최초의 말레이시아 선수가 되었다.[56][110] 2008년에는 10개 투어 대회에서 무패 우승을 기록하며, 여자 스쿼시 세계 1위 자리를 30개월 연속 유지했다.[128][69][70]
2009년, 쿠알라룸푸르 오픈에서 나탈리 그레인저에게 패하며 56경기 연승 행진을 마감했지만,[73] 세계 오픈에서 통산 4번째 우승을 차지했다.[134]
2010년, 세계 오픈에서 5번째 우승을 달성하며 사라 피츠제럴드와 최다 우승 기록(5회)과 동률을 이루었다.[142][89] 같은 해 코먼웰스 게임 여자 단식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90]
3. 3. 1. 니콜 데이비드 대 내털리 그린햄 라이벌 관계
나탈리 그린햄과 오랜 라이벌 관계를 가지고 있다. 2012년 3월 기준으로 두 사람은 36번의 경기를 가졌으며, 데이비드가 29승 7패로 우위를 점하고 있다.[92][93] 그린햄은 데이비드가 투어에서 가장 자주 만난 상대이며,[93] 16번의 경기는 토너먼트 결승전에서 치러졌고, 그 중 두 번은 세계 오픈 토너먼트였다.[92] 데이비드와 그린햄 간의 2006년 세계 오픈 결승전은 "여자 세계 오픈의 위대한 결승전 중 하나"라고 불렸다.[56]
두 사람의 가장 긴 경기는 2007년 CIMB 쿠알라룸푸르 오픈 스쿼시 선수권 대회에서 열렸으며, 데이비드가 102분간 이어진 5세트 경기에서 승리했다. 데이비드는 6–9, 9–3, 9–6, 7–9, 9–6으로 승리했다.[94] 2009년 9월 27일, 118000USD 규모의[95] 2009년 여자 세계 오픈 결승전에서[134] 데이비드는 3–11, 11–6, 11–3, 11–8로 4세트 만에 승리하여, 호주의 사라 피츠제럴드와 뉴질랜드의 수잔 데보이에 이어 선수권 역사상 네 번의 우승을 차지한 세 번째 선수가 되었다.[95]
4. 주요 수상 및 서훈
니콜 데이비드는 선수 생활 동안 여러 대회에서 우승하거나 준우승했으며, 다양한 훈장과 명예 학위를 받았다.
'''주요 대회 성적'''
순위
번호
날짜
토너먼트
결승 상대
결승 점수
경기 시간
준우승
1
1998년 4월 19일
밀로 오픈
제니 테커
5–9, 4–9 (기권)
알 수 없음
준우승
2
1999년 7월 4일
쿠알라룸푸르 오픈
캐롤 오웬스
0–9, 2–9, 5–9
알 수 없음
준우승
3
2000년 4월 16일
밀로 오픈
레이첼 그린함
2–9, 4–9, 6–9
알 수 없음
준우승
4
2000년 6월 24일
YTL 오픈
캐롤 오웬스
1–9, 5–9, 2–9
0:35[151]
준우승
5
2001년 3월 16일
DMC 오픈
레이첼 그린함
4–9, 2–9, 4–9
알 수 없음
준우승
6
2003년 8월 23일
말레이시아 여자 오픈
카시 재크먼
5–9, 9–1, 4–9, 7–9
0:47[152]
준우승
7
2003년 11월 22일
몬테카를로 클래식 오픈
린다 엘리아니
10–8, 1–9, 6–9, 1–9
0:42[153]
준우승
8
2004년 2월 15일
쿠알라룸푸르 오픈
바네사 앳킨슨
0–9, 7–9, 9–1, 2–9
0:28[154]
준우승
9
2004년 7월 24일
말레이시아 여자 오픈
바네사 앳킨슨
2–9, 4–9, 0–9
0:25[155]
준우승
10
2004년 11월 21일
상하이 WISPA 월드스타 오픈
카시 재크먼
2–9, 3–9, 0–9
0:27[156]
준우승
11
2006년 2월 6일
아파와미스 오픈
바네사 앳킨슨
6–9, 2–9, 10–9, 7–9
1:05[157]
준우승
12
2006년 2월 18일
쿠알라룸푸르 오픈
바네사 앳킨슨
7–9, 9–4, 1–9, 3–9
0:42[158]
준우승
13
2007년 4월 28일
서울 시티 오픈
나탈리 그린함
4–9, 4–9, 0–9
0:43[159]
준우승
14
2007년 9월 24일
브리티시 오픈
레이첼 그린함
9–7, 9–4, 3–9, 8–10, 1–9
1:27[64]
준우승
15
2009년 3월 7일
쿠알라룸푸르 오픈
나탈리 그레인저
8–11, 12–10, 7–11, 11–5, 6–11
0:51[160]
준우승
16
2011년 2월 2일
클리블랜드 클래식
로라 마사로
9–11, 7–11, 11–9, 8–11
1:01[161]
준우승
17
2012년 9월 15일
말레이시아 오픈
라님 엘 웰리
10–12, 13–11, 6–11, 2–11
0:36
준우승
18
2013년 2월 5일
클리블랜드 클래식
라님 엘 웰리
11–3, 5–11, 11–9, 5–11, 9–11
1:00
준우승
19
2013년 5월 26일
브리티시 오픈
로라 마사로
4–11, 11–3, 10–12, 7–11
0:44
준우승
20
2015년 3월 4일
윈디 시티 오픈
라님 엘 웰리
16–14, 10–12, 7–11, 7–11
0:57
준우승
21
2017년 9월 30일
오라클 넷스위트 오픈
새라 제인 페리
11–8, 11–8, 7–11, 12–14, 7–11
알 수 없음
'''수상 및 서훈'''
2008년 6월 7일: 말레이시아 국왕으로부터 공로 훈장(Darjah Bakti, D.B.) 수여[163][164] (1975년 제정된 이 상의 첫 번째 수상자)[164]
2008년 7월 12일: 페낭 주지사로부터 Darjah Setia Pangkuan Negeri 훈장(DSPN) 및 다툭 칭호 수여[165][166] (페낭 최연소 다툭)[165]
2008년 6월 7일, 데이비드는 국왕 투앙쿠 미잔 자이날 아비딘의 생일을 기념하여 공로 훈장(Darjah Bakti)을 수여받았다.[163][164] 그녀는 1975년 6월 26일에 제정된 이 상의 첫 번째 수상자였다.[164] 이 상은 예술, 과학, 인문학 분야에 상당한 공헌을 한 10명의 수상자에게 수여된다.[163][164]
2008년 7월 12일, 데이비드는 페낭 주지사 툰 압둘 라만 아바스의 70번째 생일을 기념하여 훈장을 받은 497명 중 한 명이었다.[165] 데이비드는 또한 다툭 칭호를 수여하는 Darjah Setia Pangkuan Negeri 훈장(DSPN)을 받은 28명 중 한 명이었으며,[166] 페낭에서 다툭십을 받은 최연소 인물이 되었다.[165] 말레이시아 전 총리 툰 압둘라 아흐마드 바다위는 페낭 출신으로, 데이비드가 "이제 나보다 더 유명해졌다"고 농담을 한 적이 있다.[14]
2007년 7월, 데이비드는 노팅엄 대학교에서 명예 문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19] 데이비드는 또한 2005년부터 2010년까지 6년 연속으로 WISPA 올해의 선수 상을 수상했다.[168]
데이비드는 2004년 아테네 올림픽을 앞두고 말레이시아를 대표하여 올림픽 성화를 봉송하는 영예를 안았으며,[169][170]UNDP 말레이시아 국가 친선 대사로 임명되었다.[171]
2019년 9월 23일, 데이비드는 말레이시아 과학 대학교에서 스포츠 과학 명예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172][173]
6. 대중문화
결과
연도
결승전 상대
결승전 점수
우승
2005
레이첼 그린햄
8–10, 9–2, 9–6, 9–7
우승
2006
나탈리 그린햄
1–9, 9–7, 3–9, 9–5, 9–2
우승
2008
비키 보트라이트
5–11, 11–1, 11–6, 11–9
우승
2009
나탈리 그린햄
3–11, 11–6, 11–3, 11–8
우승
2010
옴네야 아브델 카위
11–5, 11–8, 11–6
우승
2011
제니 던칼프
11–2, 11–5, 11–0
우승
2012
로라 마사로
11–6, 11–8, 11–6
우승
2014
라님 엘 웰릴리
5–11, 11–8, 7–11, 14–12, 11–5
ACE 픽처스는 2021년 6월 7일 데이비드의 삶을 바탕으로 한 전기 영화 '아이 엠 니콜 데이비드'(I am Nicol David)를 곧 제작할 것이라고 발표했다.[180][18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