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니엘 틸레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니엘 틸레누스는 16-17세기 활동한 신학자로, 실레시아에서 태어나 프랑스로 귀화했다. 그는 세당 아카데미의 신학 교수로 활동하며 알미니안주의를 지지했으나, 도르트레흐트 총회 이후 개혁교회에서 비주류가 되었다. 틸레누스는 존 캐머런 등과 신학적 논쟁을 벌였으며, 1620년 후반 세당에서 쫓겨난 후 영국으로 건너가 장로교에 반대하는 글을 발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의 개신교 신학자 - 장 칼뱅
장 칼뱅은 프랑스 출신의 종교 개혁가로, 《기독교 강요》를 저술하여 칼뱅주의를 확립하고 제네바에서 종교 개혁을 추진했으며, 개신교 신학과 서구 사회 전반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프랑스의 개신교 신학자 - 테오도르 드 베즈
테오도르 드 베즈는 프랑스 개신교 신학자이자 종교 개혁가로, 법학을 공부했으나 개혁 신앙에 귀의하여 제네바 아카데미 교수로 활동하며 칼뱅의 후계자가 되어 제네바 교회를 이끌었고, 칼뱅주의 신학 발전에 기여하다가 1605년에 사망했다. - 17세기 개신교 신학자 - 코튼 매더
코튼 매더는 미국의 회중교회 목사이자 저술가로, 뉴잉글랜드 청교도 사회에서 중요한 인물이었으며, 『미국 그리스도의 위대한 업적』을 저술하고 세일럼 마녀 재판 당시 마녀 혐의자 처형을 옹호하기도 했다. - 17세기 개신교 신학자 - 존 번연
존 번연은 영국의 대장장이 출신 작가로, 옥중에서 기독교인의 천국 여정을 그린 우화 소설 《천로역정》을 집필하여 성경 다음으로 가장 많이 번역된 종교 서적을 남겼다. - 1633년 사망 - 조지 허버트
조지 허버트는 17세기 영국의 시인이자 성직자로, 종교 시집 『성전』을 통해 깊은 신앙과 영적 갈등을 독창적인 형식과 메타포로 표현했으며, 영국 문학과 종교 사상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다. - 1633년 사망 - 이사벨 클라라 에우헤니아
스페인 인판타 이사벨 클라라 에우헤니아는 펠리페 2세와 엘리자베트 드 발루아의 딸로, 알브레히트 7세 대공과 결혼하여 스페인령 네덜란드의 공동 통치자가 되었고, 사후에는 총독으로서 통치하며 예술을 후원하고 세속 프란치스코 수도회에 가입했다.
다니엘 틸레누스 | |
---|---|
기본 정보 | |
이름 | 다니엘 틸레누스 |
출생 | 1563년 |
사망 | 1633년 12월 29일 (향년 70세) |
직업 | 신학자 |
국적 | 독일, 프랑스 (정확한 소속은 불분명) |
활동 시기 | 17세기 초 |
생애 및 경력 | |
출생지 | 슐레지엔의 코나르트 (현재 폴란드 호이나) |
교육 | 프랑크푸르트 (오데르) 대학교 |
교수 활동 | 제다인스크 대학교 (제다인스크) 몽토방 신학 아카데미 (몽토방) |
주요 활동 | 초기에는 루터교 신봉 이후 개혁 교회로 전향 아르미니우스주의 반대 도르트 신조 지지 |
신학적 입장 | |
주요 논쟁 | 아르미니우스주의 논쟁 |
관련 인물 | 야코부스 아르미니우스 (반대) 요한 칼빈 (지지) 테오도르 베자 (지지) 프란시스쿠스 고마루스 (지지) |
참고 문헌 | |
저서 | "Assertio Perpetuae Concordiae" (1609) Consideratio dogmatum theologicorum Commentarius in Epistolam ad Romanos De persona, statu, et officio Christi 그 외 다수의 논문 및 신학 서적 |
관련 정보 | |
기타 | 프랑스 개혁 교회에서 중요한 인물 도르트 신조 형성에 기여 신학적 논쟁에 적극 참여 |
2. 전기
다니엘 틸레누스는 실레시아 출신으로,[13] 조지 틸레누스(Georges Tilenus)와 마르테 루벨리앙(Marthe Lubelian)의 아들이다. 실레시아에서 학업을 마친 후, 1590년경 프랑스로 이주하였다.[14] 프랑스로 건너온 뒤에는 앙리 4세에 의해 귀화하였다.[1]
프랑스에서 그는 처음으로 로쉬포세이(Rocheposay) 가문의 아들(훗날 1611년 푸아티에의 대주교가 됨)의 가정교사로 일했다. 그는 에브뢰의 주교인 자크 다비 뒤페롱과 함께 1597년 파리에서 사도적 전통에 관한 강의 내용을 출판하며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다.
1599년에는 세당(Sedan)의 신학 교수이자 목회자로 초빙되어 활동을 시작했으며, 이는 그의 생애에서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그는 세당 아카데미의 설립에도 관여하며 부이용 공작의 신임을 얻었고, 그의 아들인 훗날의 튀렌 원수의 교육을 맡기도 했다.[15]
신학적으로 그는 네덜란드 개혁교회 내에서 벌어진 알미니안주의와 고마루스주의 사이의 논쟁에서 점차 알미니안주의를 지지하는 입장을 취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도르트 총회(1618-1619) 이후 개혁교회 내에서 비주류로 밀려나게 되었고, 결국 세당을 떠나 파리로 이주하는 등 후기 생애에 큰 영향을 받았다.
체르버리의 허버트 경은 틸레누스에게 자신의 저서 『진리에 관하여』(De Veritatelat)를 선물했으며, 그의 본래 이름을 틸레너스(Tieleners)로 기록하기도 했다.[2]
2. 1. 세당에서의 활동과 신학적 논쟁
1599년 틸레누스는 세당(Sedan)에 신학 교수이자 목회자로 초빙되었다. 1602년 세당 아카데미가 설립될 때, 설립자인 부이용 공작 앙리 들라 뚜흐는 틸레누스를 신임하여 신학 교수직과 아카데미 자문을 맡겼다. 또한 부이용 공작은 틸레누스에게 자신의 작은 아들 앙리, 즉 훗날 튀렌 원수가 되는 인물의 교육을 맡기기도 했다.[15]1605년 틸레누스는 세당 교회의 다른 목사들과 협력하여, 라발(Laval) 공작이 로마 가톨릭으로의 개종을 막고자 8개 항으로 구성된 신조를 보냈다. 이후 트리스탕 드 빌롱그(Tristan de Villelongue)가 이 신조에 대해 답변하는 글을 썼다.[16]
1612년에는 피에르 뒤 물랭과 기독론 및 칭의 교리에 대한 견해 차이로 논쟁을 벌였다.[3] 두 사람은 본래 1601년 이전에 가톨릭 신학자 자크-다비 뒤페롱 등과의 공개 토론에서 위그노 편에 서서 함께 활동했던 사이였다. 뒤 물랭은 틸레누스의 기독론적 입장이 칭의 교리를 위태롭게 한다고 보았다. 이 문제는 위그노 내부에서 상당한 논란과 공개적인 분열로 이어졌다. 잉글랜드의 제임스 1세는 프랑스 개신교의 통일을 회복하고자 위그노 귀족인 부용 공작과 필리프 드 모르네, 그리고 사절 데이비드 홈과 토마스 에드먼즈 등을 통해 중재를 시도했다. 이 논쟁은 1615년경에 이르러서야 마무리되었다.[4]
스코틀랜드 출신의 앤드루 멜빌은 1612년경 세당에 도착하여 틸레누스와 함께 신학 강의를 맡았는데, 때로는 의견 충돌을 빚기도 했다.[5]
한편, 1609년경부터 네덜란드 개혁교회는 알미니안주의와 고마루스주의(Gomarism) 사이의 신학적 논쟁으로 큰 혼란을 겪었다. 틸레누스는 이 논쟁에서 점차 고마루스주의에 반대하며 알미니안주의의 입장을 지지하게 되었다. 도르트 총회(1618-1619)가 열리고 도르트 신조가 채택되면서 알미니안주의가 정죄되자, 틸레누스는 개혁교회 내에서 비주류가 되었다. 보다 강경한 칼뱅주의자들의 압박이 심해지자, 그는 결국 1619년 겨울 세당을 떠나 파리로 이주했다.
세당을 떠난 후인 1620년 4월 24일부터 28일까지, 틸레누스는 오를레앙 근교의 릴(L'Isle) 성에서 존 캐머런, 테오필 브라셰 드 라 밀티에르(Théophile Brachet de La Milletière), 루이 카펠(Louis Cappel) 등과 함께 도르트 신조의 내용에 관해 다시 한번 신학 토론을 가졌다. 캐머런은 이 토론 내용을 바탕으로 자신의 입장을 정리한 ''Amica collatio de gratia et voluntatis humanae concursu in vocatione''(1622)라는 저서를 출판했다.[6]
2. 2. 후기 생애
1609년 화란 개혁교회는 알미니안주의와 고마루스주의 사이의 논쟁으로 인해 흔들렸다. 틸레누스는 결국 고마루스주의에 반대하여 알미니안주의의 입장을 취하게 된다. 도르트레흐트 총회(1618-1619)가 끝나고 도르트 신경이 적용된 후, 그는 개혁교회에서 비주류가 되었다. 가장 강경한 칼뱅주의자들은 그를 뒤쫓아 세당까지 왔고, 이로 인해 그는 1619년 한겨울에 세당을 떠나 파리로 가야 했다.틸레누스는 1620년 4월 24일부터 28일까지 오를레앙 근교 샤토 드 릴에서 존 카메홍, 테오필 브라쉐 들라 밀티에르, 루이 카펠과 함께 또 다른 신학 논쟁에 참여했다. 같은 해 12월에는 부이용 공작의 위임을 받아 라로셸 총회에 모인 개신교 공화당원들의 과열된 분위기를 진정시키고자 노력했다.
그는 점차 칼뱅주의(개혁주의)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갖게 된 것으로 보인다. 레오 아르마냑(Léo Armagnac)[17]은 그의 발언을 다음과 같이 인용한다: ["만약 내가 무슬림이나 칼뱅주의자 중에 어느 하나를 불가피하게 선택해야 한다면, 나는 차라리 무슬림이 되고 싶다. 왜냐하면 그래도 무슬림은 선하시고 자비하신 하나님을 경배하는 반면, 칼뱅주의자들은 우리에게 확고한 의지를 가지고 당신의 피조물들을 지옥에 떨어뜨리는 냉혹하고 비정한 하나님을 제시하기 때문이다."]
1620년 후반, 틸레누스는 결국 전반적인 적대감으로 인해 세당에서 완전히 쫓겨났다.[1] 이후 그는 파리에서 휴고 그로티우스와 친밀한 관계를 유지했으며, 1622년에서 1623년 사이에는 같은 집을 사용하기도 했다.[7] 또한 철학자 월터 도널드슨과도 가까운 사이였다.[8]
이후 틸레누스는 영국으로 건너가, 그곳에서 장로교에 반대하는 글을 발표했다. 그의 저서 중에는 ''스코틀랜드 제네바 규율 열성가에게 보내는 권고''(Paraenesis ad Scotos Genevensis disciplinae zelotaseng)가 있다.[1][9] 이러한 활동으로 인해 그는 멜빌의 친구였던 제임스 셈필로부터 개인적인 공격을 받았다.[10] 데이비드 칼더우드는 그의 저서 ''다마스쿠스 제단''(Altare Damascenumlat, 1623)에서 틸레누스를 비판했으며,[11] 기스베르투스 보에티우스 또한 틸레누스를 공격했는데, 이는 휴고 그로티우스에 의해 언급되기도 했다.[12]
참조
[1]
웹사이트
WORDS: BIOG: Tilenus, Daniel
http://words.fromold[...]
[2]
서적
The Life of Lord Herbert of Cherbury
1976
[3]
서적
King James VI and I and the Reunion of Christendom
1997
[4]
ODNBweb
Du Moulin, Pierre
[5]
문서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Melville or Melvill, Andrew (1545–1622), Scottish presbyterian leader and scholar, by Alexander Gordon
Published 1894
[6]
ODNBweb
Cameron, John
[7]
웹사이트
The Project Gutenberg eBook, The Life of the Truly Eminent and Learned Hugo Grotius, by Jean Lévesque de Burigny
https://www.gutenber[...]
2019-09-04
[8]
ODNBweb
Donaldson, Walter
[9]
웹사이트
Semple
https://www.electric[...]
2019-09-04
[10]
ODNBweb
Sempill, James
[11]
웹사이트
Read the eBook An essay on the warrant, nature, and duties of the office of the ruling elder in the Presbyterian Church by Samuel Miller online for free (page 22 of 24)
http://www.ebooksrea[...]
2019-09-04
[12]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2008-05-11
[13]
문서
Georges Tilenus
[14]
인용
où les ducs de ce nom faisoient alors fleurir les études
[15]
인용
calviniste rigide
[16]
문서
Response a hvit articles que le Sieur Tilenus et les ministres de Sedan ont envoié à hault et puissant seigneur, Comte de Laval, pour empescher sa saincte et heureuse conversion au giron de l'Eglise Catholique, apostolique et romaine : Au tres-chrestien Roy de France et de Navarre Henri IIII
Veuve Iean de Foigny
1605
[17]
서적
Histoire de Turenne, maréchal de France
https://archive.org/[...]
Mame
188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