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아티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푸아티에는 켈트족 부족에 의해 건설되었으며, 로마 시대에는 아키타니아 갈리아의 수도였다. 로마 시대의 유적과 350년경부터 복음화를 시작한 초대 주교 푸아티에의 힐라리우스의 활동으로 기독교가 전파되었다. 중세 시대에는 푸아투 백작령의 수도였으며, 732년에는 투르 전투가 벌어진 곳으로, 1152년에는 아키텐의 엘레오노르와 헨리 2세의 결혼이 이루어졌다. 백년 전쟁과 종교 개혁을 거치며 대학교가 설립되었고, 19세기에는 군사 기지가 건설되어 주둔 도시가 되었다. 20세기에는 미슐랭 공장 유치 등 산업 분권화의 혜택을 받았으며, 1980년대에는 푸아티에 세관을 통한 수입 제한 정책으로 "푸아티에의 전투"라는 용어가 사용되기도 했다. 현재는 첨단 기술 개발과 연구 기관이 집중된 도시이며, 퓌튀로스코프 테마파크가 위치해 관광 명소로도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잔 다르크 - 샤를 7세
샤를 7세는 백년 전쟁 시기에 프랑스를 통치했으며, 잔 다르크의 도움으로 잉글랜드와의 전쟁에서 승리하고 프랑스를 재건했으나 아들과의 갈등으로 비판을 받기도 한다. - 잔 다르크 - 교황 베네딕토 15세
자코모 델라 키에사라는 본명을 가진 교황 베네딕토 15세는 제1차 세계 대전 중 평화 중재 노력을 펼쳤으나 실패하였고, 전후 인도주의 활동, 외교 관계 수립, 교회법 개정, 선교 활동 강조 등 교회 발전에 기여하였다. - 프랑스의 주도 - 몽펠리에
몽펠리에는 프랑스 에로주에 위치한 중세 시대에 성립된 도시로,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순례길의 숙박 도시로 번영했으며, 1220년 설립된 의학부가 몽펠리에 대학교의 기원이 되었고, 아라곤 왕국과 프랑스 합병, 격변기를 거쳐 현재는 프랑스에서 큰 도시 중 하나이며 대학 문화와 관광 명소를 지닌 도시이다. - 프랑스의 주도 - 스트라스부르
스트라스부르는 프랑스 동부 알자스 지방의 일 강과 라인 강이 만나는 지점에 위치한 도시로, 로마 요새에서 시작하여 프랑스와 독일 영토를 오가며 상업 및 종교 개혁의 중심지로 발전, 현재는 유럽 기관들이 위치한 국제 도시이자 유럽 통합의 상징이다. - 프랑스의 도시 - 몽펠리에
몽펠리에는 프랑스 에로주에 위치한 중세 시대에 성립된 도시로,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순례길의 숙박 도시로 번영했으며, 1220년 설립된 의학부가 몽펠리에 대학교의 기원이 되었고, 아라곤 왕국과 프랑스 합병, 격변기를 거쳐 현재는 프랑스에서 큰 도시 중 하나이며 대학 문화와 관광 명소를 지닌 도시이다. - 프랑스의 도시 - 스트라스부르
스트라스부르는 프랑스 동부 알자스 지방의 일 강과 라인 강이 만나는 지점에 위치한 도시로, 로마 요새에서 시작하여 프랑스와 독일 영토를 오가며 상업 및 종교 개혁의 중심지로 발전, 현재는 유럽 기관들이 위치한 국제 도시이자 유럽 통합의 상징이다.
푸아티에 | |
---|---|
지도 | |
일반 정보 | |
이름 | 푸아티에 |
현지 이름 | Poetàe (포에테) |
푸아트뱅-생통주아어 | Poetàe |
별칭 | Ville aux cent clochers (100개의 종탑이 있는 도시) |
국가 | 프랑스 |
레지옹 | 누벨아키텐 |
데파르트망 | 비엔주 |
아롱디스망 | 푸아티에 |
코뮌 상태 | 현(Prefecture) 및 코뮌 |
면적 | 42.11km² |
인구 (2017년) | 88,291명 |
인구 밀도 | 2,097명/km² |
해발고도 | 75m |
최소 해발고도 | 65m |
최대 해발고도 | 144m |
시간대 | CET (UTC+1) |
여름 시간대 | CEST (UTC+2) |
INSEE 코드 | 86194 |
우편 번호 | 86000 |
주민 | 푸아트뱅인 |
![]() | |
![]() | |
정치 | |
시장 | 레오노르 몽콩뒤이 |
소속 정당 | 녹색당 |
임기 | 2020–2026년 |
자치 공동체 | 그랑 푸아티에 |
교통 | |
철도역 | 푸아티에역 |
웹사이트 | |
공식 웹사이트 | poitiers.fr |
2. 역사
푸아티에는 역사적으로 세 차례의 큰 전투가 벌어진 곳으로 유명하다.
- 507년 뷔에 전투에서 클로비스 1세가 서고트 왕국을 격파했다.
- 732년 투르 푸아티에 전투에서는 카를 마르텔이 이슬람 세력을 막아냈다.
- 1356년 푸아티에 전투에서는 흑태자 에드워드가 이끄는 잉글랜드 군이 프랑스 군에 승리했다.[7]
카이사르 시대 이전에는 켈트족의 도시 레모눔이었으며, 로마 시대에는 '''피크타비움'''으로 불렸다. 로마의 영향을 받아 1세기에 도시가 개조되었고, 2세기에는 아키텐의 주도가 되었다. 4세기에는 성벽으로 둘러싸였고, 푸아티에의 힐라리 주교에 의해 기독교화되었다.
중세 시대 푸아티에는 군사적 요충지이자 푸아투 백작의 본거지였다. 9세기에는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거리 이름 중 하나인 그랑뤼(Grand-Rue)가 헌장에 기록되었다. 12세기 아키텐의 엘레오노르는 새로운 성벽을 쌓았고, 1199년 자치 헌장을 승인했다.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순례길이 푸아티에를 통과하면서 많은 순례자들이 방문했다.
14세기에는 장 2세의 아들 베리 공작 장 1세의 영지가 되어 중세 궁전이 더욱 화려하게 장식되었다. 백년 전쟁 중인 1418년에는 왕국 의회가 푸아티에에서 열렸고, 1429년에는 잔 다르크가 이곳에서 심문을 받았다. 1431년에는 푸아티에 대학교가 설립되었다.
르네상스 시대 푸아티에는 왕립 법원, 주교좌, 수도원 등이 위치하며 행정 기능으로 번영했다. 18세기에는 블로사크 백작이 프랑스 정원을 조성하고 성벽을 허물어 대로를 건설했다.
19세기에는 많은 병영이 건설되어 주둔 도시가 되었고, 1850년대에는 철도역이 세워졌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폭격을 받기도 했다. 1970년대부터는 지방 산업 분산 정책의 혜택을 받아 미쉐린 공장 등이 설치되었고, 1980년대 후반에는 푸투로스코프 테마파크가 건설되어 첨단 기술 도시로 발전했다.
2. 1. 고대
푸아티에는 켈트 부족인 피크토네스에 의해 건설되었으며, 로마의 영향력 이전에는 오피둠 ''레모눔''으로 알려졌다. 이 이름은 켈트어 단어 느릅나무를 뜻하는 ''레모''에서 유래했다. 카이사르가 도착했을 때, 켈트족의 오피둠인 레모눔(Lemonum) 또는 리모눔(Limonum)으로 이미 이 지역에 도시가 있었다. lemo- 또는 limo-는 갈리아어가 기원으로, 느릅나무 (프랑스어로 orme)를 의미했다. 느릅나무를 의미하는 라틴어 ulmus와 같은, 인도유럽어 기원이다. 로마의 영향력이 강해진 후, 이 도시는 원래의 피크토네스 주민들을 기리기 위해 ''피크타비움'' 또는 나중에 "피크타비스"로 알려지게 되었다.푸아티에는 로마 시대의 고고학적 발견물이 풍부하다. 1857년까지 푸아티에는 님의 것보다 더 큰 광대한 로마 원형극장의 유적을 보유하고 있었다. 1세기에 건설되어 3세기에 파괴된 로마 목욕탕의 유적이 1877년에 발굴되었다.[7] 1세기에 로마를 본떠 도시가 개조되었으며, 큰 원형 경기장 (1857년에 남아 있던 원형 경기장은 파괴되었다), 욕장, 적어도 3개의 수도교를 갖추고 있었다. 2세기에 도시는 아키텐의 주도가 될 수 있었다. 로마인들은 또한 최소 3개의 수로교를 건설했다. 이 광범위한 로마 건축물은 푸아티에가 2세기 동안 ''아키타니아 갈리아'' 로마 속주의 수도였을 정도로 중요한 도시였음을 시사한다.
1879년에는 도시의 남동쪽 고지대에서 여러 기독교 순교자의 매장지와 무덤이 발견되었다.[7] 일부 기독교인의 이름은 그림과 비문에 보존되어 있었다.[7] 이 무덤에서 멀지 않은 곳에는 6.7m 길이, 4.9m 너비, 2.1m 높이의 거대한 돌멘 (''피에르 레베'')이 있으며, 그 주변에서 과거 성 루카 축제가 열렸다.[7]
3세기와 4세기 동안 기독교가 공식적으로 채택되고 로마 제국 전역에 점차적으로 도입되면서, 350년부터 367년까지 초대 푸아티에 주교인 푸아티에의 힐라리 또는 성 일라리우스[7]는 도시를 복음화했다. 콘스탄티우스 2세에 의해 추방된 그는 주교로 푸아티에로 돌아오기 위해 죽음의 위험을 감수했다. 생장 세례당의 첫 번째 기초는 기독교 복음화가 이루어진 그 시대에서 찾을 수 있다. 그는 교황 비오 9세에 의해 "교회의 박사"로 임명되었다. 4세기, 높이 6m의 두꺼운 벽으로 2.5km에 걸쳐 푸아티에(Poitiers)는 둘러싸였다. 같은 시기에 성 일라리우스가 도시를 기독교화했으며, 이 시기부터 생 장 세례당의 기초가 세워졌다. 도시는 최종적으로 푸아티에라는 이름을 채택했다. 이는 갈리아 부족 픽톤족과 관련이 있다.
4세기에는 폭 6m, 높이 10m의 두꺼운 성벽이 도시 주변에 건설되었다. 그것은 2.5km 길이였으며, 자연적으로 방어된 동쪽 측면과 곶의 꼭대기에서 낮게 서 있었다. 이 무렵, 이 도시는 푸아티에로 알려지기 시작했다.
2. 2. 중세
초기 중세 시대 대부분의 기간 동안 푸아티에는 방어 전술적 요충지였으며, 프랑크 왕국의 중심에서 멀리 떨어진 지리적 이점을 활용했다. 4세기부터 주교가 있는 도시로서, 푸아티에는 푸아투 백작령의 수도였다. 푸아티에 백작들은 누벨아키텐과 푸아투를 포함한 광대한 영토를 다스렸다.732년 10월 10일, 샤를 마르텔의 군대에 의해 푸아티에 인근에서 투르 전투가 벌어졌다.
아키텐의 엘레오노르는 이 도시에서 자주 거주하며 도시를 장식하고 요새화했으며, 1199년에는 공동체의 권리를 부여했다.[7] 1152년 그녀는 푸아티에 대성당에서 미래의 잉글랜드 왕 헨리 2세와 결혼했다.
백년 전쟁 동안, 1356년 9월 19일 푸아티에 인근에서 푸아티에 전투가 벌어졌다. 이후 1418년, 왕립 의회는 파리에서 푸아티에로 강제로 옮겨졌고, 1436년까지 망명 생활을 했다.[7] 1429년 푸아티에는 잔 다르크의 공식 심문이 이루어진 장소였다.[7]
푸아티에 대학교는 1431년에 설립되었다. 종교 개혁 기간과 그 이후, 장 칼뱅은 푸아티에에서 많은 개종자를 얻었다.
1569년 푸아티에는 기 드 다이용, 뤼드 백작에 의해 가스파르 2세 드 콜리니에 맞서 방어되었다. 콜리니는 실패한 포격과 7주간의 포위 끝에 도시를 포기하고 철수했다.[7]
푸아티에는 세 차례의 큰 전투로 그 이름을 남겼다.
- 507년 - 푸아티에 전투 또는 뷔에 전투는 푸아티에 북서부에서 클로비스 1세가 서고트 왕국의 왕 알라릭 2세에게 승리한 전투이다.
- 732년 - 투르 푸아티에 전투. 푸아티에 북쪽에 접한 뵈누이유쉬르비엔에서 일어난 전투로, 카를 마르텔이 지휘하는 프랑크 왕국이 무어인과 그 동맹군에게 승리했다.
- 1356년 - 푸아티에 전투. 푸아티에 남부 누아예모페르튀에서 일어난 전투. 흑태자 에드워드가 이끄는 잉글랜드 왕국 군대가 장 2세가 이끄는 프랑스 군대에 승리했다.
중세의 푸아티에는 군사 방어의 요충지였으며, 프랑스 권력의 중심지에서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었다. 4세기부터 가톨릭 교회의 주교좌가 설치되었으며, 푸아투 백작의 본거지였다.
9세기에는 그랑뤼(Grand-Rue, 大通り)라는 이름이 헌장에 기록되었는데, 이는 유럽에 남아있는 거리 이름 중 가장 오래된 것이다.
1138년에 코뮌을 만들려는 첫 번째 시도가 있었다.[20] 아키텐의 엘레오노르는 12세기에 6,000m 길이의 새로운 벽을 쌓았다.
헨리 2세의 왕자들이 아버지에게 반역했을 때, 푸아티에 도시는 잉글랜드에 충실했기 때문에 1175년에 자치체 헌장을 얻을 수 있었다.[21][22] 헌장은 1199년에 아키텐의 엘레오노르, 그리고 이후의 프랑스 왕들이 승인했다. 엘레오노르는 아키텐 공작으로서 새로운 시장을 만들기도 했다. 엘레오노르가 1204년에 사망하자, 도시는 같은 해에 필리프 2세에게 넘어갔다.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순례길이 푸아티에를 통과했다.
14세기, 푸아티에는 장 2세의 셋째 아들인 베리 공작 장 1세의 영지였다. 그는 푸아티에의 이전 백작들이 지은 중세 궁전을 더욱 장식했다.
1360년 브레티니 조약에 의해 푸아투 도시는 잉글랜드 영토가 되었다. 백년 전쟁 시기, 1418년에는 왕국 의회가 열렸다. 푸아티에는 1429년에 잔 다르크가 상황을 관찰한 곳이며, 프랑스 왕국 군대의 지휘를 맡기 전이었다. 왕가로부터의 호의와 수도 파리를 탈출한 많은 지식인들의 존재로 인해 푸아티에에는 1431년에 대학교가 설립되었다.
2. 3. 근세
후기 중세 시대 또는 초기 근대 시대에 푸아티에에 존재했던 정치 조직은 1595년 7월 14일 푸아티에 시장 모리스 로탱의 연설을 통해 엿볼 수 있다. 그는 푸아티에를 군주제, 귀족제, 민주주의가 결합된 로마 국가에 비유했다. 그는 로마의 집정관은 푸아티에의 시장, 로마 원로원은 도시의 귀족과 "에슈뱅(échevins)", 로마의 민주적 요소는 "가장 중요한 문제는 'Mois et Cent'(광범위한 의회)의 조언 없이는 결정될 수 없다"는 사실에 해당한다고 말했다.[1] 시장은 혼합 헌법 옹호자였던 것으로 보이나, 당시 모든 프랑스인이 그에게 동의하지는 않았고, 많은 사람들이 절대 군주제를 옹호했다.시장의 말처럼 민주적 요소가 강하지는 않았다. 푸아티에는 파리, 낭트, 마르세유 등 다른 프랑스 도시와 유사하게 도시 통치 기구(corps de ville)는 "매우 배타적이고 과두제적"이었다. 즉 소수의 전문적이고 가족적인 집단이 대부분의 도시 사무소를 통제했으며, 푸아티에에서는 이러한 직위의 대부분이 직위 보유자의 평생 동안 부여되었다.[2]
푸아티에의 시정부는 시장과 "에슈뱅"이 왕으로부터 도시의 일을 봉토로 관할한다는 정부 이론에 기반하여 정당성을 주장했다. 즉, 그들은 충성을 맹세하고 왕을 지원하겠다고 약속했고, 그 대가로 왕은 그들에게 지역 권한을 부여했다. 이는 그들에게 그들의 권위에 도전하는 모든 시민이 왕에게 불충하다고 주장할 수 있는 이점을 주었다. 매년 시장과 24명의 "에슈뱅"은 왕 또는 그의 대표자의 "손 사이에서" 충성 서약을 했다.[2] 1567년 메셍트 푸아트뱅이 시장이었을 때 앙리 3세가 방문했는데, 일부 시민들이 그의 측근의 방탕한 행동에 불만을 품었지만, 앙리는 그들의 충성을 인정하고 감사하는 따뜻한 연설로 상황을 원만하게 해결했다.[2]
이 시대에 푸아티에 시장은 가는 곳마다 하사관의 호위를 받았고, 심의 기구와 상담했으며, 그들의 결정을 수행했고, "1심에서 민사 및 형사 소송을 심리"했으며, 식량 공급이 적절하도록 노력했고, 시장을 방문했다.[2]
16세기에 푸아티에는 큰 규모와 "왕실 법원, 대학교, 다수의 인쇄소, 부유한 종교 기관, 대성당, 수많은 교구, 시장, 인상적인 건축물, 광범위한 요새 및 성"을 포함한 중요한 특징으로 방문객들에게 깊은 인상을 주었다.[3]

16세기 푸아티에는 프랑수아 라블레의 생애와 비타르 공동체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르네상스 시대 동안 푸아티에는 활동이 둔화되었다. 도시의 모습은 거의 변하지 않았고, 단지 트랑셰 거리를 건설하기 위한 준비가 이루어졌을 뿐이다. 주민들이 어도를 사용하던 곳에는 다리가 건설되었다. 장 보세, 퓌메, 베르트로 호텔과 같은 몇몇 저택이 이 시기에 건설되었다. 시인 조아생 뒤 벨레와 피에르 드 롱사르는 푸아티에 대학교에서 만나 파리로 떠났다.
17세기 동안, 많은 사람들이 푸아티에와 푸아투를 떠나 신세계의 프랑스 식민지로 이주했고, 그 결과 오늘날 북아메리카에 거주하는 많은 아카디아인 또는 케이준들이 이 지역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조상을 가지고 있다.
18세기 동안, 푸아티에는 지방 중심지로서의 행정 기능에 주로 의존했다. 푸아티에는 왕실 사법부, 주교 관할 구역, 수도원 및 ''푸아투 지방''(Généralité du Poitou)의 인텐단스(intendance, 재정 책임자)의 소재지였다.
블로사크 백작 (Vicomte de Blossac)은 1750년부터 1784년까지 푸아투의 인텐단트였으며, 푸아티에에 프랑스 정원을 조성했다. 그는 또한 아키텐의 엘레오노르의 고대 성벽을 허물고 그 자리에 현대적인 대로를 건설했다.
2. 4. 근현대
19세기 동안, 푸아티에는 프랑스의 중앙에 위치하고 전략적 요충지였기 때문에 많은 군사 기지가 건설되었다. 푸아티에는 프랑스 국경에서 멀리 떨어져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주둔 도시가 되었다.[15]푸아티에역은 1850년대에 건설되어 푸아티에를 프랑스 나머지 지역과 연결했다. 시청은 1875년 마레샬-르클레르 광장에 완공되었다.[15]

푸아티에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폭격을 받았으며, 특히 1944년 6월 13일에 큰 피해를 입은 철도역 주변 지역이 심하게 공격받았다.[15]
1950년대 후반부터 샤를 드골이 미국의 군사 주둔을 끝낸 1960년대 후반까지, 미국 육군과 미국 공군은 프랑스에 다양한 군사 시설을 갖추고 있었으며, 그 중에는 푸아티에에 위치한 육군 물류 및 통신 허브도 있었다. 이는 통신 지구(ComZ)의 일부였으며, 도시 위에 있는 언덕에 위치한 아보빌 카세른에 물류 본부와 통신국을 두고 있었다. 미국 특수 작전 사령부의 최근 사령관인 육군 장군 브라이언(더그) 브라운을 포함하여, 국방부 학교 시스템(DODDS)이 운영하는 푸아티에 미국 고등학교 졸업생 수백 명이 성공적인 경력을 쌓았다.
이 도시는 1970년대에 산업 지방 분권화의 혜택을 받았으며, 예를 들어 그 10년 동안 미슐랭과 슐럼버거(Compagnie des compteurs Schlumberger) 공장이 설치되었다. 르네 모노리의 아이디어로 1986-1987년에 인근 샤스느유-뒤-푸아투에 건설된 푸투로스코프 테마파크 및 연구 단지 프로젝트는 푸아티에를 관광 명소이자 현대적인 대학교 중심지로 확고히 자리매김하게 했고, 정보 기술 시대를 열었다.
3. 지리
푸아티에 시는 파리 분지에서 아키텐 분지 사이를 쉽게 통행할 수 있는 저지대인 스이유 드 푸아티에(seuil de Poitiers)의 교차로에 위치해 있으며, 서쪽으로는 아르모리카 산괴, 동쪽으로는 중앙 고원으로 향한다. 이처럼 푸아티에는 상업적으로나 군사적으로 유리한 위치에 있다.
푸아티에는 보아브르 강과 클랑 강 계곡 사이의 넓은 곶에 위치하며, 해발 50m 정도이다. 하천은 깊은 계곡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 곶은 트랑셰(절개지)라고 불리는 좁은 통로로 평야와 연결되어 있다. '트랑셰'라는 이름은 이 통로를 도랑이 절단하는 것과, 푸아티에를 다른 지방에서 격리시키는 것에서 유래한다. 두 하천은 주베르 다리와 생 시프리앵 다리가 있는 얕은 여울에서 교차한다.
푸아티에의 시가지는 강 양안에 걸쳐 있으며, 특히 대학 캠퍼스, 병원 지구, 상업 지구, 주거 지역이 있는 동쪽, 퓌튀로스코프 테크노폴이 있는 북쪽으로 뻗어 있다.
3. 1. 위치
푸아티에 시는 푸아투 문턱에 전략적으로 위치해 있으며, 이곳은 아르모리칸과 중앙 산괴 사이의 얕은 간극이다. 푸아투 문턱은 남쪽의 아키텐 분지와 북쪽의 파리 분지를 연결한다. 이 지역은 프랑스와 서유럽의 중요한 지리적 교차로이다.푸아티에의 주요 지점은 부아브르 강과 클랭 강 계곡 사이의 광대한 곶에 위치해 있다. 구시가지는 주변을 둘러싼 시내보다 약 39.62m 높이 솟아 있는 고원의 경사면과 정상부를 차지하고 있어 매우 강력한 전술적 이점을 누리고 있다.

푸아티에는 파리에서 남서쪽으로 340km 떨어져 있으며, 리모주와는 130km, 낭트와는 180km, 보르도와는 220km 거리에 있다.
3. 2. 기후
푸아티에 지역의 기후는 온화하며, 온도 변화 폭이 작고, 연중 강수량이 적절하지만, 여름철에는 건조해지는 경향이 있다. 이 기후 유형은 쾨펜 기후 구분에서 "Cfb" (서안 해양성 기후/해양성 기후)로 분류된다.[10] 푸아티에는 바다와 충분히 가까워 해양성 기후이다.1981년부터 2010년까지 푸아티에의 기후 평균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33][34] 1961년부터 1990년까지의 습도 및 적설일 데이터는 Infoclimat.fr에서 확인할 수 있다.[35]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평균 최고 기온 (°C) | 7.8 | 9.3 | 12.9 | 15.5 | 19.5 | 23.2 | 25.8 | 25.7 | 22.2 | 17.4 | 11.5 | 8.2 | 16.6 |
평균 최저 기온 (°C) | 1.5 | 1.3 | 3.1 | 4.9 | 8.6 | 11.5 | 13.4 | 13.1 | 10.4 | 8.2 | 4.0 | 2.0 | 6.9 |
월 강수량 (mm) | 61.8 | 46.2 | 47.4 | 56.1 | 62.6 | 51.5 | 50.5 | 41.2 | 51.1 | 75.6 | 72.8 | 68.8 | 685.6 |
평균 강수일수 | 10.5 | 8.9 | 8.9 | 10.1 | 10.7 | 7.6 | 7.1 | 6.2 | 6.9 | 10.5 | 11.2 | 10.7 | 109.3 |
평균 적설일수 | 2.6 | 2.8 | 1.9 | 0.5 | 0.0 | 0.0 | 0.0 | 0.0 | 0.0 | 0.0 | 0.9 | 2.2 | 10.9 |
평균 상대 습도 (%) | 86 | 82 | 77 | 74 | 75 | 73 | 70 | 72 | 77 | 83 | 87 | 88 | 78.7 |
평균 일조 시간 | 69.7 | 96.1 | 153.8 | 174.6 | 206.5 | 232.9 | 242.7 | 241.8 | 194.2 | 128.8 | 82.6 | 65.2 | 1888.8 |
1991년부터 2020년까지 푸아티에-비아르 공항(PIS)의 기후 평균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1921년부터 현재 최고치, 최저치 기록)[11][12]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평균 최고 기온 (°C) | 8.2 | 9.6 | 13.4 | 16.3 | 20.0 | 23.7 | 26.1 | 26.3 | 22.5 | 17.5 | 12.0 | 8.7 | 17.0 |
평균 기온 (°C) | 5.2 | 5.6 | 8.4 | 10.8 | 14.4 | 17.9 | 19.9 | 20.0 | 16.6 | 13.0 | 8.4 | 5.6 | 12.2 |
평균 최저 기온 (°C) | 2.1 | 1.5 | 3.5 | 5.4 | 8.9 | 12.1 | 13.8 | 13.7 | 10.7 | 8.6 | 4.7 | 2.4 | 7.3 |
월 강수량 (mm) | 61.1 | 47.3 | 49.1 | 52.8 | 63.9 | 59.6 | 45.5 | 43.3 | 52.9 | 72.4 | 74.8 | 72.6 | 695.3 |
평균 강수일수 (≥ 1.0 mm) | 10.3 | 9.4 | 9.0 | 9.4 | 9.6 | 7.9 | 6.9 | 6.4 | 7.1 | 10.5 | 11.8 | 11.0 | 109.3 |
평균 적설일수 | 2.6 | 2.8 | 1.9 | 0.5 | 0.0 | 0.0 | 0.0 | 0.0 | 0.0 | 0.0 | 0.9 | 2.2 | 10.9 |
평균 상대 습도 (%) | 86 | 82 | 77 | 74 | 75 | 73 | 70 | 72 | 77 | 83 | 87 | 88 | 78.7 |
평균 일조 시간 | 70.3 | 101.6 | 157.8 | 183.1 | 213.2 | 232.5 | 250.5 | 244.3 | 199.5 | 130.8 | 86.6 | 70.5 | 1940.6 |
프랑스 기상청의 푸아티에 기상 관측소에서 관측한 1971-2000년 자료는 다음과 같다.[28][29][30]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평균 최고 기온 (°C) | 7.6 | 9.4 | 12.4 | 14.8 | 18.9 | 22.3 | 25.4 | 25.4 | 21.9 | 16.9 | 11.2 | 8.4 | 16.2 |
평균 기온 (°C) | 4.5 | 5.5 | 7.6 | 9.7 | 13.7 | 16.7 | 19.4 | 19.2 | 16.2 | 12.2 | 7.4 | 5.3 | 11.5 |
평균 최저 기온 (°C) | 1.4 | 1.5 | 2.8 | 4.5 | 8.4 | 11.0 | 13.3 | 12.9 | 10.4 | 7.5 | 3.5 | 2.2 | 6.6 |
월 강수량 (cm) | 62.7 | 54.3 | 46.8 | 53.9 | 69.9 | 46.4 | 47.3 | 39.8 | 59 | 64.5 | 69.9 | 72.9 | 687.4 |
4. 인구
푸아티에 주민은 '푸아티뱅'(Poitevins) 또는 '푸아티빈'(Poitevines)으로 불리며, 이 명칭은 푸아투 지역 출신이라면 누구에게나 사용될 수 있다.[31][32]
2017년 기준 코뮌의 인구는 88,291명으로, 2012년 당시 인구보다 0.74% 증가했다.
연도 | 인구 |
---|---|
1793 | 18,284 |
1800 | 18,223 |
1806 | 21,465 |
1821 | 21,315 |
1831 | 23,128 |
1836 | 22,000 |
1841 | 22,376 |
1846 | 26,764 |
1851 | 29,277 |
1856 | 30,873 |
1861 | 30,563 |
1866 | 31,034 |
1872 | 30,036 |
1876 | 33,253 |
1881 | 36,210 |
1886 | 36,878 |
1891 | 37,497 |
1896 | 38,518 |
1901 | 39,886 |
1906 | 39,302 |
1911 | 41,242 |
1921 | 37,663 |
1926 | 42,347 |
1931 | 41,546 |
1936 | 44,235 |
1946 | 48,546 |
1954 | 52,633 |
1962 | 62,178 |
1968 | 70,681 |
1975 | 81,313 |
1982 | 79,350 |
1990 | 78,894 |
1999 | 83,448 |
2007 | 89,253 |
2012 | 87,646 |
2017 | 88,291 |
2021 | 90,240 |
5. 문화
푸아티에 근교에는 영상 테마파크인 퓌튀로스코프가 있다.
5. 1. 랜드마크와 관광지

- 생장 세례당 (4세기) - 프랑스에서 가장 오래된 교회이다. 중심부는 360년대에 건축되었다.
- 푸아티에 궁전 - 아키텐 공작들의 거처였으며 현재는 푸아티에 법원이다.
- 노트르담 라 그랑드 성당 -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로마네스크 건축 양식 교회이다.
- 푸아티에 대성당 (12세기) - 플랜태저넷 왕조 시대의 고딕 양식 성당으로, 푸아티에 대주교좌가 위치해 있다.
- 생트 크루아 박물관 - 푸아티에 최대 규모 박물관이다.
- 생트 라드공드 교회 (6세기) - 로마네스크 양식 교회이다.
- 생 일레르 르 그랑 교회 (11세기)
- 이모제 데 뒤네 (지하 채플)
- 푸아티에 식물원 - 공원이자 식물원이다.
- 몽티에누프 교회
- 푸아티에 시립 극장 - 프랑스 건축가 에두아르 라르딜리에가 감독하였다.
- 퓌튀로스코프 - 푸아티에에서 북쪽으로 10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유럽 영상 공원으로, 최첨단 건물에서 시각 커뮤니케이션 기술을 주제로 한다.

역사적인 교회, 특히 로마네스크 양식의 교회 건물들은 푸아티에 시내의 주요 관광 명소이다. 시내는 그림 같은 풍경을 자랑하며, 대체로 잘 보존된 건축물과 최근에 재정비된 보행자 구역이 있다. 시내 중심가에는 수많은 상점, 카페, 레스토랑이 있다.
1987년 이후, 푸아티에의 관광 산업은 인근 샤세뇌유-뒤-푸아투에 위치한 퓌튀로스코프 테마파크와 연구 단지로부터 간접적인 혜택을 받아왔다. 시내 중심가는 테마파크 방문객과 함께 방문하며, 특히 영국을 비롯한 유럽 관광객의 비율이 높다. 이와 더불어, 푸아티에의 관광은 파리행 TGV 고속철도 연결편으로부터 직접적인 혜택을 받았다.
5. 2. 스포츠
스타드 푸아티뱅은 1900년에 창단된 종합 스포츠 클럽으로, 배구, 농구, 아마추어 축구, 프로 럭비(2008-2009 시즌 기준) 등 다양한 스포츠 종목에서 여러 최상위 팀을 운영하고 있다.PB86 또는 푸아티에 바스켓 86은 프랑스 프로 A 농구 리그에서 활동한다. 2009-10 시즌에 PB86에서는 라시드 라이트, 케니 영거, 토미 건 등 3명의 미국 선수가 뛰었다. 팀은 2009-10 시즌에 프랑스 챔피언십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며, 2008-2009 시즌에는 프로 B 프랑스 챔피언이었다. 팀의 홍보 전략은 프랑스 농구 리그에서 최고 중 하나로 여겨진다.
피겨 스케이팅 챔피언 브라이언 쥬베르는 푸아티에의 아이스링크에서 훈련하며 가족과 함께 이 도시에 거주한다.
5. 3. 교육
푸아티에는 중세 시대부터 시작된 오랜 대학 도시 전통을 가지고 있다. 푸아티에 대학교는 1431년에 설립되었으며, 프랑수아 라블레, 르네 데카르트, 프랜시스 베이컨, 사미르 아민 등 많은 유명한 철학자와 과학자들을 배출했다.오늘날 푸아티에는 프랑스의 다른 대도시나 도시보다 인구당 학생 수가 더 많다. 푸아티에에는 27,000명 이상의 대학생이 있으며, 이 중 약 4,000명은 117개국에서 온 외국인이다. 이 대학교는 과학에서 지리학, 역사, 언어, 경제, 법학에 이르기까지 모든 주요 분야를 다루고 있다.
푸아티에 대학교의 법학 학위는 프랑스에서 최고 중 하나로 여겨진다.
푸아티에에는 대학교 외에도 두 개의 공학 학교와 두 개의 경영 학교가 있다.
- 국립 기계 및 항공 기술 고등 공학 학교(ENSMA)
- 푸아티에 국립 고등 공과 대학(ENSIP)
- 프랑스 비즈니스 스쿨(FBS)
- 푸아티에 경영 연구소(IAE)
2001년부터 푸아티에 시는 파리 정치대학(Sciences Po)의 "남미, 스페인 및 포르투갈" 프로그램의 첫 번째 사이클을 개최해 왔다.
- 푸아티에 대학교
- 파리 정치대학 - 푸아티에 캠퍼스
- 국립 푸아티에 기계 공학 항공 기술 고등 학교 - 현재는 퓌튀로스코프 테크노폴로 이전했다.
6. 국제 관계
푸아티에는 다음과 같은 자매 도시를 맺고 있다.[16]
참조
[1]
웹사이트
Répertoire national des élus: les maires
https://www.data.gou[...]
data.gouv.fr, Plateforme ouverte des données publiques françaises
2023-10-08
[2]
간행물
3
cite LPD
[3]
간행물
18
cite EPD
[4]
서적
Poitiers
Cite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2019-05-03
[5]
웹사이트
Poitiers
https://web.archive.[...]
[6]
서적
Poitiers
Cite Merriam-Webster
2019-05-03
[7]
서적
Poitiers
cite EB1911
[8]
간행물
Poitiers
Cassini-Ehess
[9]
뉴스
Population en historique depuis 1968
https://www.insee.fr[...]
INSEE
[10]
웹사이트
Climate Summary for Poitiers, France
http://www.weatherba[...]
[11]
웹사이트
Normales et records pour Poitiers-Biard (86)
https://www.meteocie[...]
Meteociel
2024-11-21
[12]
웹사이트
Normes et records 1961–1990: Poitiers-Biard (86) – altitude 123m
https://www.infoclim[...]
Infoclimat
2019-02-14
[13]
서적
Writing Places: Sixteenth-century City Culture and the Des Roches Salon
https://books.google[...]
Associated University Presse
[14]
문서
[15]
간행물
PA00105619
Base Mérimée
[16]
웹사이트
Poitiers et ses villes jumelles
https://www.poitiers[...]
Poitiers
2019-11-16
[17]
웹사이트
Eleanor of Aquitaine
https://www.britanni[...]
2017-06-23
[18]
서적
Who Was Who in America, Historical Volume, 1607–1896
Marquis Who's Who
[19]
뉴스
Insee - Résultats du recensement de la population de 2016 - Aire urbaine de Poitiers
https://www.insee.fr[...]
[20]
문서
[21]
문서
[22]
문서
[23]
문서
[24]
웹사이트
Recensement de la population au 1er janvier 2008
http://www.recenseme[...]
2011-10-20
[25]
웹사이트
http://cassini.ehess[...]
[26]
웹사이트
https://www.insee.fr[...]
[27]
웹사이트
http://www.insee.fr
[28]
웹사이트
Données mensuelles de janvier 2008 pour Poitiers
http://www.meteociel[...]
2009-12-24
[29]
웹사이트
Conditions climatiques de la ville de Poitiers dans la Vienne
http://france.meteof[...]
2010-01-11
[30]
웹사이트
Relevés climatiques de Poitiers 1971-2000
http://climat.meteof[...]
2012-01-07
[31]
웹사이트
EHESS
http://cassini.ehess[...]
[32]
웹사이트
INSEE
https://www.insee.fr[...]
[33]
웹인용
Données climatiques de la station de Poitiers
http://www.meteofran[...]
Meteo France
2016-01-14
[34]
웹인용
Climat Poitou-Charentes
https://web.archive.[...]
Meteo France
2016-01-14
[35]
웹인용
Normes et records 1961-1990: Poitiers-Biard (86) - altitude 117m
http://www.infoclima[...]
Infoclimat
2016-01-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