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다산부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산부대는 2003년 2월 6일, 미국의 테러와의 전쟁 지원 요청에 따라 대한민국 육군 제100건설공병단으로 창설되었다. 아프가니스탄 바그람 공군 기지에 주둔하며 도로 및 건물 복구, 학교 신축 등 건설 및 인도적 지원 활동을 수행했다. 2007년 2월 바그람 공군 기지 폭탄 테러로 윤장호 하사가 사망하고, 탈레반의 한국인 납치 사건으로 인해 한국군 철수 요구가 발생하여, 같은 해 12월 14일 아프가니스탄에서 철수 후 해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공병부대 - 대한민국 아이티 재건지원단
    대한민국 아이티 재건지원단은 2010년 아이티 지진 피해 복구를 위해 파견되어 도로 및 교량 복구, 학교 및 병원 건설, 의료 지원 등의 임무를 수행하고 2012년 철수한 대한민국 군 부대이다.
  • 대한민국의 공병부대 - 서희부대
    서희부대는 2003년 이라크 파병 결정에 따라 건설 및 복구 지원을 위해 파병된 대한민국 국군 부대로, 미군 및 연합군 기지 건설 지원, 이라크 전후 복구 건설 지원 등의 임무를 수행했으며, 이후 자이툰 부대에 통합되어 2008년 철수했다.
  • 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년~2021년)에 참전한 대한민국의 부대 및 편성 - 동의부대
    동의부대는 대한민국 국군의 의료지원 부대로, 1970년 8월 창설되어 베트남에 파병되었고 1973년 3월 철수하였으며, 고현석, 안종설, 김상태 등 여러 지휘관을 거쳤다.
  • 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년~2021년)에 참전한 대한민국의 부대 및 편성 - 청마부대
    청마부대는 2001년 김해기지에서 창설되어 미국 중부사령부 작전지역에 전개되어 병력, 물자, 화물 수송 및 자국민 보호를 수행하고, 이라크 파병 부대 지원, 다국적 연합작전 참여, 인도적 구호작전을 통해 국제공조체제를 유지했다.
  • 대한민국 육군의 단 - 제1경비단
    대한민국 대통령과 청와대 및 주변 지역 경호를 주요 임무로 하는 육군 부대인 제1경비단은 5.16 군사 정변 당시 친위대를 모태로 1996년 창설되었으며, 용산 집무실 이전 후 중요성이 감소, 병력이 축소되어 현재 본부와 제30경비대대("청룡"), 제33경비대대("백호")로 구성되어 장비들을 운용한다.
  • 대한민국 육군의 단 - 국제평화지원단
    국제평화지원단은 대한민국 육군특수전사령부 예하 부대로, UN PKO 및 다국적군 평화유지활동 임무를 수행하며 상시 파병 준비 태세를 유지하고 과거 다양한 해외 파병을 통해 국제 평화 유지에 기여해왔으며 '온누리 부대'라고도 불린다.
다산부대
기본 정보
이름대한민국 제100건설공병단
원어 이름大韓民國 第100建設工兵團
활동 기간2003년 2월 6일 ~ 2007년 12월
병과공병
종류비전투부대
역할건설지원
규모1,360명
별명다산부대(茶山部隊)
지휘
본부바그람 공군 기지
지휘관육군 대령
참전
참전아프가니스탄 전쟁

2. 창설 배경 및 목적

9·11 테러 이후 테러와의 전쟁을 진행 중인 미국의 요청으로 대한민국정약용의 호를 따서 다산부대를 창설하였다.[1]

2. 1. 미국의 테러와의 전쟁 지원

대한민국은 미국의 동맹국으로서 테러와의 전쟁에 대한 국제적 노력에 동참하였다. 9·11 테러 이후 미국의 요청을 받아 2003년 2월 6일 경기도 광주 특수전교육단에서 제100건설공병단으로서 창설되었다.[1] 지원자 위주로 선발된 건설 공병과 운전, 정비 병과의 150명 규모의 공병으로 구성되었으며, 정약용의 호를 따서 다산부대라고 명명하였다.

2003년 2월부터 아프가니스탄 바그람 공군 기지에는 다산부대와 동의 부대를 합쳐 200여 명이 주둔하고 있었다. 미군의 요청에 따라 2004년 2월 파병하는 3진부터 단으로 증편하였다.[2]

미국프랑스 등 동맹국들과 함께 도로와 건물 복구, 학교 신축까지 360여 건의 공사임무를 완수하였다. (2007년 2월 28일 기준) 이와 같이, 다산부대와 동의 부대는 각종 지원활동을 펼침에 따라, 테러 공격을 절대 받지 않을 것이라는 신뢰까지 받기도 했다. 그러나 2007년 2월 27일, 바그람 공군 기지 폭탄 테러에서 윤장호 병장(그는 사후 1계급 진급으로 하사로 임명되었다.)이 사망하였다.[3][4][5]

탈레반이 다수의 한국인을 납치하여 한국군의 철군을 요구하였다. 그에 따라 2007년 12월 14일, 다산부대와 동의부대는 아프가니스탄에서 철군하였다.[6]

2. 2. 아프가니스탄 재건 지원

9·11 테러 이후 테러와의 전쟁을 진행 중인 미국의 요청으로 2003년 2월 아프가니스탄에 파병되었다.[1] 정약용의 호를 따서 다산부대라 명명하였다.

다산부대는 미국, 프랑스 등 동맹국들과 함께 도로와 건물 복구, 학교 신축 등 360여 건의 공사 임무를 완수하였다. (2007년 2월 28일 기준)[2] 다산부대는 각종 지원활동을 펼쳐, 테러 공격을 절대 받지 않을 것이라는 신뢰까지 받기도 했다. 그러나 2007년 2월 27일, 바그람 공군 기지 폭탄 테러에서 윤장호 병장(사후 1계급 진급으로 하사)이 사망하였다.[3][4][5]

탈레반이 다수의 한국인을 납치하여 한국군의 철군을 요구하였다. 이에 따라 2007년 12월 14일, 다산부대는 아프가니스탄에서 철군하였다.[6]

3. 부대 연혁


  • 2003년
  • * 8월 27일 - 2진 파병 및 교대.
  • 2004년
  • * 2월 27일: 3진 파병 및 교대
  • * 8월 27일: 4진 파병 및 교대
  • 2005년
  • * 2월 27일: 5진 파병 및 교대
  • * 8월 25일: 6진 파병 및 교대
  • 2006년
  • * 2월 23일: 7진 파병 및 교대
  • * 9월 13일: 8진 파병 및 교대
  • 2007년
  • * 4월 3일 - 9진 파병 및 교대.
  • * 12월 14일 - 아프가니스탄에서 철수.[6]

3. 1. 창설 및 초기 활동 (2003년)

9·11 테러 이후 테러와의 전쟁을 진행 중인 미국의 요청을 받아 2003년 2월 6일 경기도 광주 특수전교육단에서 제100건설공병대대로 창설되었다.[1] 지원자 위주로 선발된 건설 공병, 운전, 정비 병과 150명 규모로 구성되었으며, 정약용의 호를 따서 다산부대라고 명명하였다.

3. 2. 부대 증편 및 임무 확대 (2004년)

2004년 2월, 미국의 요청에 따라 3진부터 다산부대는 제100건설공병단으로 증편되었다.[2]

2007년 2월 28일 기준으로, 다산부대는 미국, 프랑스 등 동맹국들과 함께 도로 및 건물 복구, 학교 신축 등 360여 건의 공사 임무를 수행하였다.[3]

3. 3. 바그람 공군 기지 폭탄 테러 (2007년)

2007년 2월 27일, 바그람 공군 기지 폭탄 테러윤장호 하사(사망 후 1계급 특진)가 전사하였다.[3][4][5] 당시 다산부대와 동의 부대는 각종 지원활동을 펼쳐, 테러 공격을 받지 않을 것이라는 신뢰를 받기도 했다.

3. 4. 철수 및 해체 (2007년)

탈레반의 한국인 납치 사건으로 한국군의 철군 요구가 있었다. 이에 따라 2007년 12월 14일, 다산부대와 동의 부대는 아프가니스탄에서 철수하고, 육군종합행정학교에서 부대 해산식을 가지면서 다산부대는 공식적으로 해체되었다.[6]

4. 주요 임무 및 활동

9·11 테러 이후 테러와의 전쟁을 진행 중인 미국의 요청에 따라, 2003년 2월 대한민국 국군 건설 공병 위주로 다산부대가 창설되었다.[1] 다산부대는 아프가니스탄 바그람 공군 기지에 주둔하며 미국, 프랑스 등 동맹국들과 함께 건설 및 복구 지원, 인도적 지원 활동 등 연합 작전을 수행했다.[3][4][5]

4. 1. 건설 및 복구 지원

9·11 테러 이후 테러와의 전쟁을 진행 중인 미국의 요청으로 2003년 2월 건설 공병 위주로 다산부대가 창설되었다.[1] 다산부대는 아프가니스탄 바그람 공군 기지에 주둔하며 미국, 프랑스 등 동맹국들과 함께 도로와 건물 복구, 학교 신축 등 360여 건의 공사 임무를 완수하였다(2007년 2월 28일 기준).[3][4][5]

4. 2. 인도적 지원 활동

미국, 프랑스 등 동맹국들과 함께 도로와 건물 복구, 학교 신축 등 360여 건의 공사 임무를 완수하였다. (2007년 2월 28일 기준)[1] 이러한 지원 활동으로 다산부대는 테러 공격을 받지 않을 것이라는 신뢰를 얻기도 했다.

4. 3. 연합 작전 수행

9·11 테러 이후 테러와의 전쟁을 진행 중인 미국의 요청으로 창설된 다산부대는 미국, 프랑스 등 동맹국들과 함께 도로 및 건물 복구, 학교 신축 등 360여 건의 공사 임무를 완수하며 연합 작전을 수행했다.[3] 이러한 지원 활동을 통해 다산부대는 테러 공격을 받지 않을 것이라는 신뢰를 얻기도 했다.

5. 논란 및 비판

다산부대는 아프가니스탄 파병 기간 동안 여러 논란과 비판에 직면했다. 특히 2007년 바그람 공군 기지 폭탄 테러로 윤장호 하사가 전사한 사건과 탈레반의 한국인 납치 사건은 한국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고, 파병의 위험성과 정부의 외교적 대응 능력에 대한 비판을 불러일으켰다.

5. 1. 윤장호 하사 전사 사건

2007년 바그람 공군 기지 폭탄 테러로 윤장호 하사(사후 1계급 특진)가 사망하였다.[3][4][5] 당시 다산부대와 동의 부대는 각종 지원활동을 펼쳐 테러 공격을 받지 않을 것이라는 신뢰를 받고 있었으나, 이 사건으로 한국 사회는 큰 충격을 받았고 파병의 위험성에 대한 논란이 일어났다.

5. 2. 2007년 탈레반 한국인 납치 사건

탈레반의 한국인 납치 사건은 한국 정부의 외교적 대응 능력에 대한 비판을 야기했고, 한국군의 아프가니스탄 파병에 대한 반대 여론을 높였다. 이 사건으로 2007년 12월 14일, 다산부대와 동의 부대는 아프가니스탄에서 철군하였다.[6]

6. 의의 및 영향

(결과물이 제공되지 않았으므로, 수정 작업을 수행할 수 없습니다.)

7. 계보


  • 2003년 2월 6일: 제100건설공병대대
  • 2004년 2월 27일: 제100건설공병단

참조

[1] 뉴스 "아프간으로 가자" http://article.joins[...] 중앙일보 2012-04-19
[2] 간행물 다산부대 6진 아프가니스탄 파병 성과 http://www.jcs.mil.k[...] 합동참모본부 2012-04-19
[3] 웹인용 영웅 STORY > 알림마당 > https://dnc.go.kr/_p[...] 2023-10-28
[4] 웹인용 고 윤장호 하사 순직관련 아프가니스탄 대통령 친서 접수 상세보기 https://www.mofa.go.[...] 외교부 2023-10-28
[5] 웹인용 e영상역사관 » 영상관 » 대통령기록영상 https://www.ehistory[...] 2023-10-28
[6] 뉴스 아프간 파병 동의·다산부대, 14일 전원 귀국 http://www.hani.co.k[...] 한겨레 2012-10-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