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다원 (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원은 차나무를 재배하는 곳을 의미하며, 오랜 역사를 통해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다. 다원은 기상 조건, 토양 조성, 잎의 상태 등을 고려하여 관리되며, 연간 계획에 따라 재배가 이루어진다. 수확량은 싹 수, 싹 무게, 채취 면적, 채취 방법에 따라 달라지며, 기상 조건과 토양, 병충해 등 다양한 요인에 영향을 받는다. 한국의 차 생산지는 온대 기후 지역에 분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차 - 버블티
    버블티는 1980년대 후반 대만에서 시작되어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은 타피오카 펄이 들어간 차 음료로, 다양한 차 종류를 기반으로 우유, 과일 등 여러 토핑과 함께 제공되지만 높은 설탕 함량과 타피오카 펄 안전성 문제가 제기되기도 한다.
  • 차 - 찻집
    찻집은 전 세계 여러 문화권에서 차와 음식, 사회적 교류를 제공하는 장소로, 아시아의 차관, 차실, 라페예잔, 차이하나, 유럽의 티룸, 살롱 드 테, 티하우스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각 지역의 문화와 역사를 반영하는 복합적인 공간이다.
다원 (차)
개요
무나르의 차밭
무나르의 차밭
유형농장
작물
주요 생산 지역중국
인도
케냐
스리랑카
베트남
일본
인도네시아
터키
아르헨티나
대만
상세 정보
설명차 재배를 목적으로 조성된 농장
환경 조건높은 강수량
적절한 고도
배수가 잘 되는 산성 토양
재배 방식계단식 밭
그늘 재배
역사수천 년의 역사를 가지며, 특히 중국에서 기원
문화적 중요성차 문화와 관련된 관광 명소로 기능
경제적 중요성
고용 창출지역 경제에 기여
관광 수입차밭 자체 또는 주변 지역 관광을 통해 발생
차 생산량전 세계 차 무역에 중요한 역할

2. 역사

일본의 다원은 과거 한 그루씩 나무를 심어 가꾸는 재래 다원 형태가 오랫동안 이어져 왔다. 밭둑에 차나무를 한 줄로 심는 둑길 차[1] 또는 둑길 다원 형태도 흔했는데, 이는 이웃과의 경계를 표시하거나 바람을 막고 흙이 쓸려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목적도 있었다. 농가에서 직접 소비하고 남은 찻잎은 도매상에 판매되기도 했다.

재래 다원은 주로 씨앗을 뿌려 번식시키는 실생 방식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실생원이라고도 불린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꺾꽂이 기술이 확립되고 재래종을 개량한 새로운 품종이 도입되면서 많은 다원의 모습이 크게 변화했다. (자세한 내용은 차의 재배 항목 참조) 특정 차 품종만으로 구성된 다원은 품종원이라고 부른다.

3. 종류

일본의 차밭은 차나무의 형태, 재배 방식, 지리적 조건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 재래차밭: 한 그루씩 재래종으로 키우는 나무 형태의 차밭이다.
  • 아치형 차밭: 차나무 잎의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나무를 이랑 형태로 줄지어 심고 아치 모양으로 다듬은 차밭이다.
  • 삼각형 차밭: 차나무를 삼각형 모양으로 다듬어 관리하는 차밭이다.
  • 수평형 차밭: 차나무를 수평으로 다듬어 관리하는 차밭이다.
  • 자연형 차밭: 특별한 형태를 만들지 않고 자연 상태 그대로 차나무를 키우는 차밭이다.
  • 급경사지 차밭: 급경사지에 조성된 차밭이다.
  • 묘목원: 차나무 묘목을 전문적으로 키우는 곳이다.

4. 차밭 관리 (園相)

원상(園相)은 좋은 차밭을 만드는 여러 요소를 종합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기상 조건, 토양의 적합성, 찻잎의 모양이나 잎이 가진 힘(엽력) 등을 통해 차밭의 상태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사용되며, 상태가 좋을 경우 '원상이 좋다'와 같이 표현한다. 따라서 재배와 차밭 관리에 있어 원상을 제대로 파악하는 안목은 매우 중요하다.

5. 주기

(차잎으로 갈 영양이 꽃으로 가지 않도록 관리)
뿌리 및 어린 나무 생육 준비 시작11월차밭 기록 정리, 어린 나무 생육 관리12월한해(寒害) 대책


6. 수확량

차밭의 수확량은 차나무에서 새로 돋아나는 '''싹 수''', 각 싹의 품질을 나타내는 '''싹 무게''', 그리고 차를 따는 전체 면적인 '''채취 면적'''에 따라 결정된다. 그러나 싹 수를 늘리면 싹 무게가 줄어들고, 싹 무게를 늘리면 싹 수가 줄어드는 상충 관계가 있어, 품종 특성에 맞춰 어떤 요소를 중시할지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차 수확량은 채취 방법에 따라서도 달라지는데, 주로 손 따기, 가위 따기, 기계 따기로 나뉜다.



일본의 경우, 지역(도도부현)별로 단위 면적당 차 수확량에 차이가 있다. 2007년 주요 현의 10a당 생잎 수확량과 총 생잎 수확량은 아래 표와 같다.

도도부현10a당
생잎 수확량
(kg)
생잎 수확량
(t)
사이타마4484310
기후5283550
시즈오카957179900
아이치9004800
미에117034700
시가9004030
교토97813400
나라155011000
후쿠오카80611600
사가9058630
나가사키7144710
구마모토6038560
미야자키137018800
가고시마1520118800
주요 현 계1050430200



(자료: 2008년 2월 21일 공표 농림수산 통계)

7. 기상 조건

차나무는 저온에 약하여 기온이 영하 10°C에서 영하 13°C 사이에서 잎이 변색될 수 있으며, 그 이하로 내려가면 잎이나 가지가 죽을 수도 있다.

이러한 저온 피해를 막기 위해 다원에는 높은 기둥 위에 온도 센서가 달린 대형 선풍기인 방상 팬이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방상 팬은 밤 동안 지표면 근처에 머무는 차가운 공기를 순환시켜 피해를 예방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냉기는 낮은 곳에 모이는 경향이 있으므로, 지형의 고저 차가 있는 다원에서는 냉기가 쌓이기 쉬운 곳을 파악하여 방상 팬을 설치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른 저온 피해 대책으로는 살수 빙결법과 피복법이 있다. '''살수 빙결법'''은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기 쉬운 시기에 미리 잎 표면에 물을 뿌려 얼리는 방식이다. 물이 얼면서 방출하는 잠열을 이용하여 잎의 온도가 급격히 떨어지는 것을 막는다. '''피복법'''은 차나무 위를 덮어 차나무 자체나 지열을 이용해 온도 저하를 방지하는 방법으로, 덮개용 가대를 설치하는 선반식 피복이나 아치형 지주를 세워 덮는 터널 피복 등이 사용된다.

한편, 차나무는 고온과 건조에도 취약하다. 생육에 적합한 온도는 20°C에서 28°C 사이이며, 30°C를 넘어가면 생육에 지장을 받는다. 따라서 고온으로 인한 토양 및 차나무의 수분 부족이나 강한 햇빛으로 인한 일소 피해 등에도 주의가 필요하다. 일본의 경우 여름철 기온이 30°C를 넘는 기간이 짧아 심각한 건조 피해는 드물지만, 잎이 햇볕에 타는 피해는 발생할 수 있다.

7. 1. 한해 피해

한해로 인한 피해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7. 2. 건조 피해

건조로 인한 피해에는 수분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는 '''가지 마름''', 장시간 햇빛 노출로 인한 '''일소''', 그리고 '''낙엽''' 등이 있다.

8. 토양

차나무 재배에서 질소는 중요한 비료 성분이다. 그러나 과도한 질소 비료 사용은 수질 오염과 같은 환경 문제를 일으킬 수 있어, 최근에는 비료 사용량을 줄이면서 차나무의 질소 흡수율을 높이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토양의 질소 흡수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액상(수분 함량), 기상(공기 함량), 고상(토양 입자)의 세 가지 요소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

차나무의 뿌리는 토양 속 양분을 흡수하여 나무 전체에 공급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뿌리가 더 깊고 넓게 뻗을수록 양분 흡수 효율이 높아진다. 이를 위해 경작을 통해 흙을 부드럽게 하여 공기가 잘 통하게 하고(기상 증대), 퇴비, 깎은 풀, 볏짚 등 유기물을 토양에 넣어 미생물의 분해 활동을 촉진한다. 이러한 방법은 토양의 양분 보유 능력(보비력)과 수분 유지 능력(보수력)을 향상시켜 뿌리가 잘 자랄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데 도움을 준다.

9. 병충해

차나무는 시기별로 다양한 병충해의 영향을 받을 수 있어 적절한 관리가 필요하다. 주요 병충해 발생 시기와 내용은 다음과 같다.

시기주요 병충해비고 및 방제
4월 (1번 차 수확기)동륜병, 새순고사병동륜병균에 의해 발생하며, 2번 차 수확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살균제 살포 등 방제가 필요하다.
5월 ~ 장마 전 (2번 차 수확기)탄저병, 그물무늬병, 차나무노랑총채벌레 (총채벌레), 차녹색매미충 (매미충), 차잎말이 (차잎말이나방)해당 병충해 발생에 주의해야 한다.
6월차애모무늬잎말이 (차애모무늬잎말이나방), 차잎말이 (차잎말이나방), 선충해충의 부화 전에 페로몬 트랩(페로몬으로 산란하는 벌레를 유인하여 일괄 구제하는 것) 등을 이용한 방제가 효과적이다.
7월뽕나무깍지벌레, 차응애, 혹응애, 탄저병, 떡병고온 건조 시 뽕나무깍지벌레, 차응애 등이 9월경 재발할 수 있다. 반대로 비가 많고 저온이 지속되면 탄저병, 떡병 발생 가능성이 높아진다. 혹응애도 발생할 수 있다.
8월적소병, 차잎말이, 혹응애, 탄저병, 떡병, 쑥가지나방태풍으로 인한 상처를 통해 적소병균이 침투하여 적소병이 발생할 수 있다. 기존 병충해와 더불어 쑥가지나방 등의 충해도 발생하는 시기이다.
10월 (개화기)잿빛곰팡이병차나무 꽃이 떨어져 찻잎 위에서 부패하면서 발생할 수 있다. 개화 및 낙화 시기에 맞추어 살균제 살포가 필요하다.


참조

[1] 웹사이트 http://www.jade.dti.[...]
[2] 웹사이트 http://www.maff.go.j[...]
[3] 웹사이트 http://www.maff.go.j[...]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