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도부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도부현은 일본의 지방 행정 구역으로, 메이지 시대에 폐번치현을 통해 현재의 제도가 확립되었다. 일본은 47개의 도도부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都), 도(道), 부(府), 현(県)의 네 가지 종류가 있다. 각 도도부현은 지방 자치권을 가지며, 중앙 정부의 통제를 받는다. 도도부현은 8개의 지방으로 묶이며, 각 도도부현은 고유의 상징물을 가지고 있다. 도도부현의 명칭은 청사 소재지의 이름을 따르는 것이 원칙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도도부현 - ISO 3166-2:JP
ISO 3166-2:JP는 ISO 3166-2 표준에 따라 일본 현에 고유한 두 자리 숫자 코드를 할당하여 행정 구역을 식별하는 데 사용되는 코드 목록이다. - 행정 구역 목록 - 송파구의 행정 구역
송파구의 행정 구역은 13개의 법정동(풍납동, 거여동, 마천동 등)과 27개의 행정동(풍납1·2동, 거여1·2동, 마천1·2동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동은 고유의 유래와 역사를 가지고 다양한 배경을 바탕으로 형성되었다. - 일본의 행정 구역 - 간토 지방
간토 지방은 일본 혼슈 중부 태평양 연안에 위치하며 도쿄도를 포함한 1도 6현으로 구성되지만 관할에 따라 범위가 유동적이고, 일본 최대 평야인 간토 평야를 중심으로 다양한 지형과 습윤 아열대 기후를 가지며, 역사적으로 막부의 중심지였고 현재는 일본의 경제, 정치, 문화 중심지이다. - 일본의 행정 구역 - 홋카이도
홋카이도는 일본 최북단에 위치한 일본 최대의 섬이자 '도'라는 명칭을 사용하는 유일한 행정 구역으로, 다양한 지형과 기후를 바탕으로 농업, 수산업, 관광업이 발달했으며 아이누족의 전통 거주지이자 러시아와 인접한 지역이다.
| 도도부현 | |
|---|---|
| 개요 | |
![]() | |
| 명칭 | |
| 한국어 | 도도부현 |
| 일본어 | 都道府県 (とどうふけん) |
| 로마자 표기 | Todōfuken |
| 행정 구역 정보 | |
| 국가 | 일본 |
| 종류 | 제1단계 행정 구역 |
| 정부 | 현 정부, 중앙 정부 |
| 하위 행정 구역 | 연속: 시정촌 |
| 현재 개수 | 47개 현 |
| 인구 범위 | 605,000명 (돗토리) – 14,135,000명 (도쿄) |
| 면적 범위 | 1,861.7km² (가가와) – 83,453.6km² (홋카이도) |
| 정치 | |
| 지방 정부 | 지사 |
| 지방 의회 | 의회 |
| 역사적 배경 | |
| 관련 법령 | 부현제(府県制), 군제(郡制), 시제(市制), 정촌제(町村制) |
| 하위 행정 구역 종류 | |
| 종류 | 시, 군, 정, 촌 |
| 추가 정보 | |
| 관련 기관 | 종합진흥국, 진흥국 |
2. 역사
메이지 시대 일본 정부는 1871년 7월 폐번치현을 통해 현재의 도도부현 제도를 확립했다. 처음에는 300개 이상의 현(대부분 이전 번 영토)이 있었지만, 1871년 후반에 72개, 1888년에는 47개로 줄었다.
1947년 (쇼와 22년) 5월 3일 일본국 헌법 시행에 맞춰 같은 날 지방자치법도 시행되어 도도부현과 시정촌을 중심으로 하는 지방 자치 제도가 시작되었다. 지방자치법에는 통일적인 도도부현 제도가 규정되었다. 다만, 도도부현 중 도는 특별구에 대한 일정한 조정 권한을 갖는다는 특징이 있다. 부현 간에는 법률상의 차이가 없으며, 명칭의 차이는 주로 역사적인 것이다. 도는 지방자치법상 부현과 같은 취급을 받지만, 부현과는 약간 다른 경찰 조직 (경찰법 46조·51조)등을 갖는다.[3]
1947년 지방자치법은 현에 더 많은 정치적 권한을 부여하고 현 지사와 의회를 설치했다.[3] 2003년,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는 현재의 현을 약 10개의 광역 행정 구역(''도슈세이'')으로 통합할 것을 제안했다. 이 계획은 각 지역이 기존 현보다 더 큰 자율성을 갖도록 했으나, 2012년 8월 현재 폐기되었다.[3][4]
2. 1. 메이지 시대
에도 시대에는 막번체제로 대표되는 영지 지배·분할 통치가 이루어졌지만, 메이지 유신 이후 단계적으로 중앙집권 체제가 확립되기 시작했다. 1871년 폐번치현을 전후로 설치된 부(府), 현(県), 청(庁), 도(都)는 모두 일본 내무성 소속으로 내무성에서 파견된 관선 지사가 행정을 담당하는 국가의 지방행정기관이었다. 다만 민선 의회가 설치되어 어느 정도 지방자치가 이루어지기도 했다.1868년 에도 막부의 직할령이 메이지 신정부의 직할령으로 편입되면서, 중요 지역에 부를, 나머지 지역에 현을 설치하고, 번은 존치하였다. 1869년 제후들의 판적봉환 청원으로 전국의 다이묘들이 번지사로 신분이 바뀌었지만, 실질적으로는 명칭만 바뀐 부번현 체제가 되었다.
1871년 폐번치현으로 번들이 모두 현이 되면서 전국이 메이지 정부의 직할령으로 변모했다. (1사 3부 302현) 이후 부현 통합을 통해 1888년에는 3부 43현 1청이 되었다.
1878년 「군구정촌 편제법」, 「부현회 규칙」, 「지방세 규칙」, 「부현관 직제」, 1889년~1890년 「시제」, 「정촌제」, 「군제」, 「부현제」 제정으로 지방 제도가 정비되었다. 1902년 내무부는 19개 현을 폐지하여 도부현 수를 28개로 줄이고자 했으나, 러일 전쟁 등으로 인해 불발되었다.
폐번치현 이후 현의 수장은 지현사에서 현령으로, 부의 수장은 지부사에서 지사로 개칭되었다가 1886년부터 모두 지사로 통일되었다. 1889년 「시제」 제정으로 시장이 아닌 시회가 시를 대표하게 되었으며, 부에 속한 시에는 시장이 존재하지 않아 지사가 겸임했으나 1898년에 시장이 탄생했다.
1869년 홋카이도에 개척사가 처음 파견되면서 일본의 지방 행정에 본격적으로 편입되었다. 1882년에는 개척사를 폐지하고 3현을 설치했다가 1886년 홋카이도청으로 통합했다. 당시 홋카이도는 지역 호칭이었을 뿐, 도(道)라는 행정 구역 단위는 아니었다. 1886년 「홋카이도청 관제」 공포로 홋카이도청 장관은 다른 부현지사에 상응하는 관직이 되었다. 1901년에는 「홋카이도회법」이 공포되면서 의회가 만들어지고, 함께 공포된 「홋카이도 지방비법」에 따라 홋카이도 지방비라는 법인격을 가진 지방자치체가 되었다. 1907년에는 가라후토청을 만들면서 청의 수는 2개가 되었다.
2. 1. 1. 부와 현
1868년 에도 막부의 직할령이 메이지 신정부의 직할령으로 편입되면서, 중요 지역에 부(府)를, 나머지 지역에 현(県)을 설치하고, 번은 존치했다. 1869년 제후들의 판적봉환 청원으로 전국의 다이묘들이 번지사로 신분이 바뀌었지만, 실질적으로는 명칭만 바뀐 것에 불과했다. (부번현 체제)1871년 폐번치현으로 번들이 모두 현이 되면서 전국이 메이지 정부의 직할령으로 변모했다. (1사 3부 302현) 이후 부현 통합을 통해 1888년에는 3부 43현 1청이 되었다.
1878년 「군구정촌 편제법」, 「부현회 규칙」, 「지방세 규칙」, 「부현관 직제」, 1889년~1890년 「시제」, 「정촌제」, 「군제」, 「부현제」 제정으로 지방 제도가 정비되었다. 1902년 내무부는 19개 현을 폐지하여 도부현 수를 28개로 줄이고자 했으나, 러일 전쟁 등으로 인해 불발되었다.
폐번치현 이후 현의 수장은 지현사에서 현령으로, 부의 수장은 지부사에서 지사로 개칭되었다가 1886년부터 모두 지사로 통일되었다. 1889년 「시제」 제정으로 시장이 아닌 시회가 시를 대표하게 되었으며, 부에 속한 시에는 시장이 존재하지 않아 지사가 겸임했으나 1898년에 시장이 탄생했다.
2. 1. 2. 청
1869년 7월 개척사가 홋카이도에 처음 파견되면서 일본의 지방 행정에 본격적으로 편입되었다. 1882년에는 개척사를 폐지하고 하코다테현, 삿포로현, 네무로현을 설치했다가 1886년 홋카이도청으로 통합했다.[3]당시 홋카이도는 지역 호칭이었을 뿐, '도'(道)라는 행정 구역 단위는 아니었다. 따라서 지방행정관청으로서 다른 부현과 함께 언급할 때는 '청부현'으로 표현했다.[3]
1886년 「홋카이도청 관제」 공포로 홋카이도청 장관은 다른 부현지사에 상응하는 관직이 되었다. 1901년에는 「홋카이도회법」이 공포되면서 의회가 만들어지고, 함께 공포된 「홋카이도 지방비법」에 따라 홋카이도 지방비라는 법인격을 가진 지방자치체가 되었다. 다만 홋카이도회는 부현회에 비해 의회로서의 권한이 많지 않았다.[3]
1907년에는 사할린섬 남부를 통치하던 가라후토 민정서를 폐지하고 가라후토청을 만들면서 청의 수는 2개가 되었다.[3]
2. 2. 쇼와 시대
1943년 (쇼와 18년) 7월 1일, 도쿄도제에 따라 도쿄부와 도쿄시가 통합되어 도쿄도가 탄생했다. 도쿄도의 수장은 장관이라 불렀다.[17] 도쿄도의회가 설치되었고, 옛 도쿄시는 도쿄도 구부로 재편된 뒤 각 구마다 구회가 설치되었으나, 구는 시와 달리 자치권을 가지지 않았다.[17]1946년 9월, 「홋카이도회법」과 「홋카이도 지방비법」이 폐지되어 「부현제」로 흡수되었고, 「도부현제」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개정법 부칙에 따라 홋카이도 지방비라 불리던 자치단체는 홋카이도가 되었다.[17]
1947년 5월 3일, 「지방자치법」 시행으로 「홋카이도청 관제」도 폐지되어 홋카이도청이 사라지고, 보통지방공공단체의 하나인 홋카이도가 탄생했다. 이때부터 일본의 행정 구역을 나타내는 도도부현이 완전히 성립되었다.[17]
가라후토청은 1946년 6월 1일 「국가행정조직법」 개정으로 폐지되었지만, 사실상 1945년 소련에 반환되었을 때 실질적으로 소멸했다.[17]
2. 3. 「지방자치법」 시행 이후
1947년 5월 3일, 「일본국 헌법」의 위임을 받아 제정된 「지방자치법」이 시행되면서 도도부현은 중앙정부의 하부기관에서 벗어나 시정촌과 같은 보통지방공공단체로 규정되었다.[17] 의회 의원들뿐만 아니라 지사도 모두 선거로 선출하게 되었다.[17] 다만 최초로 진행된 지사 선거는 「지방자치법」이 발효되기 전이었기에 「도부현제」와 「도쿄도제」를 개정하여 직선제를 시행했으며, 오키나와현은 미국의 시정하에 편입되었기에 선거가 이루어지지 않았다.[17]지방자치가 확대되었지만 도도부현은 여전히 기관위임사무를 수행하고 있어 일정 부분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기관위임사무는 2000년에 와서야 폐지되었다.[17]
「지방자치법」 자체에는 도도부현이라는 행정 구역의 단위가 명기되어 있지 않으며, '지방공공단체의 명칭은 종래의 명칭을 따른다'는 제3조 제1항의 규정만 있을 뿐이다.[17] 또한 도(都)는 단순한 명칭이 아니고 다른 도부현과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도의 산하에 특별구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이다.[17]
오키나와현은 1945년(정확히는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이 발효된 1952년)부터 1972년까지 일본이 아닌 미국의 통치를 받았다.[17] 이 시기 오키나와현의 취급은 미묘한 점이 있어 일본 국회는 오키나와현을 류큐 정부나 난세이 제도라 칭했고, 도도부현의 수에서도 오키나와현은 빠져 있었다.[35] 이후 1972년 오키나와 반환이 실현된 후에 지금의 47도도부현이 완성되었다.[17]
| 날짜 | 도도부현의 수 | 비고 | 제도 |
|---|---|---|---|
| 1947년 5월 3일 | 46개(1도 1도 2부 42현) | 「지방자치법」이 시행되면서 도도부현이 보통지방공공단체로 규정됨 | 「지방자치법」하 |
| 1972년 5월 15일 | 47개(1도 1도 2부 43현) | 오키나와 반환 | 「지방자치법」하 |
일본은 단일 국가이며, 중앙 정부는 도도부현과 시정촌에 교육, 경찰력 등 많은 기능을 위임하지만 전반적인 통제 권한을 유지한다.[5] 도도부현 정부는 도도부현 경찰력 조직, 학교 감독 및 도도부현 학교(주로 고등학교) 유지, 도도부현 병원, 도도부현도 유지, 도도부현 수로 감독, 지역 도시 계획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5] 또한 국가 정부로부터 위임된 업무를 수행하며, 시정촌의 기능을 조정하고 지원한다.[5]
에도 시대에는 막번체제로 대표되는 영지 지배·분할 통치가 이루어졌지만, 메이지 유신 이후 단계적으로 중앙집권 체제가 확립되기 시작했다. 1871년에 단행된 폐번치현을 전후로 한 시기에 설치된 부(府), 현(県), 청(庁), 도(都)는 모두 일본 내무성 소관으로 내무성에서 파견된 관선 지사가 행정을 관장하는 국가의 지방행정기관에 해당했다. 다만 민선 의회가 설치되어 어느 정도 지방자치가 이루어지기도 했다.
3. 도도부현의 권한
4. 도도부현의 종류
1868년 에도 막부의 직할령이 모두 메이지 신정부의 직할령으로 편입됐다. 정부는 삼도(三都, 에도·오사카·교토)와 개항 5항(하코다테·나가사키·요코하마·고베·니가타) 등 중요 지역에 부를 설치했고 나머지 지역엔 현을 뒀으며 번은 존치했다. 부와 현에는 지사가 파견됐으며 번은 여전히 다이묘가 통치했다.
1869년 9월 1일 제후들이 판적봉환을 청하자 이것이 받아들여져 전국의 모든 다이묘들은 일제히 번지사로 신분이 바뀌었다. 이 시기를 부번현 체제라 한다. 9월 29일 발령된 태정관 포고에 따라 교토부, 도쿄부, 오사카부만 존치하고 가나가와부·니가타부·에치고부·가이부·와타라이부·나라부·하코다테부·나가사키부는 모두 현으로 바뀌었다.
1871년 8월 29일 폐번치현이 단행돼 남아 있던 번들도 모두 현이 되었고 이로써 전국이 메이지 정부의 직할령으로 변모했다. 이 무렵의 행정 구역은 1사 3부 302현이었다. 같은 해 12월 제1차 부현통합을 추진해 302현을 72현으로 줄였다.
1876년에 제2차 부현통합이 추진돼 72현을 37현으로 줄였지만 각지에서 분할 운동이 일어나 결과적으로 43현이 되었다. 1878년에는 「군구정촌 편제법」, 「부현회 규칙」, 「지방세 규칙」, 「부현관 직제」를, 1889년~1890년에는 「시제」, 「정촌제」, 「군제」, 「부현제」를 제정하는 것으로 지방 제도가 정비되어갔다. 또한 1888년 에히메현에서 가가와현이 분리된 것을 끝으로 1943년까지 부현의 합병과 분할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1902년 내무부는 19개의 현을 폐지하여 도부현의 수를 28개로 줄이고자 했다. 1903년 11월 제1차 가쓰라 내각은 이를 각의결정했고 다음 해 4월에 시행하고자 했지만 다음 달에 중의원이 해산하고 다시 2개월 뒤에는 러일 전쟁이 일어나면서 법률안을 의회에 제출조차 하지 못한 채 불발로 그쳤다.
폐번치현 이후 현의 수장은 지현사에서 현령으로, 부의 수장은 지부사에서 지사로 개칭됐다. 그러다가 1886년부터 모두 지사로 명칭을 통일했다.
1889년 「시제」가 제정되면서 시장이 아닌 시회가 시를 대표하게 됐다. 현에 속한 시는 그나마 시회가 추천한 시장이 존재했지만 부에 속한 시는 시장이 존재하지 않아 지사가 그 역할을 겸임했다. 부에 속한 시에 시장이 탄생한 건 1898년 10월의 일이다.
홋카이도에는 1869년 7월 개척사가 처음 파견되면서 일본의 지방 행정에 본격적으로 편입됐다. 1882년에는 개척사를 폐지하고 하코다테현, 삿포로현, 네무로현을 설치했다가 1886년 홋카이도청으로 통합했다.
1886년 「홋카이도청 관제」가 공포되면서 홋카이도청 장관은 다른 부현지사에 상응하는 관직이 되었다. 1901년에는 「홋카이도회법」이 공포되면서 의회가 만들어지고 함께 공포된 「홋카이도 지방비법」에 따라 홋카이도 지방비라는 법인격을 가진 지방자치체가 되었다.
1907년에는 사할린섬 남부를 통치하던 가라후토 민정서를 폐지하고 가라후토청을 만들면서 청의 수는 2개가 되었다.
과거 에도 시대에 도쿠가와 막부는 일본의 9개 대도시 주변에 부교 지배지를 설치하고, 다른 지역에는 302개의 군대 지배지를 설치했다. 메이지 시대 정부가 1868년에 도도부현 체제를 만들기 시작했을 때, 9개의 부교 지배지는 부(府)가 되었고, 군대 지배지와 나머지 부교 지배지는 현(県)이 되었다. 이후 1871년에 정부는 도쿄, 오사카, 교토를 ''부''로 지정하고, 나머지 ''부''를 ''현''으로 격하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3년에 도쿄는 새로운 유형의 준(準) 도도부현인 ''도''(都)가 되었다.
용어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네 가지 유형의 지방 정부 간에는 기능적인 차이가 거의 없다. 이러한 하위 국가 정부는 때때로 일본어에서 네 가지 용어를 결합하여 도도부현(都道府県)이라고 통칭된다.
4. 1. 도 (都)
1943년 도쿄도제 시행에 따라 도쿄시는 도쿄부에 흡수되어 도쿄도가 되었고, 시제와 자치권을 박탈당했다. 도쿄도 장관은 내무 관료인 오오다테 시게오가 초대 장관으로 임명되었다.[16]
도쿄도제에 의해 도의회가 설치되었고, 구 도쿄 시내의 각 구에도 구회가 설치되었지만, 특히 구부에 대한 국가의 통제는 강력했다.
1947년 지방자치법이 공포되면서 도도부현은 시정촌과 마찬가지로 보통지방공공단체로 규정되어, 지사도 선거로 선출하게 되었다. 다만, 1947년에 실시된 첫 지사 선거는 지방자치법이 아닌 부현제·도쿄도제 개정에 따른 것이었다.
지방자치법상 도의 구는 특별구로 취급되어 도도부현과는 다르게 취급된다.
4. 2. 도 (道)
홋카이도(Hokkaidō)는 ''도''(道) 또는 도라고 불린다. 이 용어는 원래 도카이도(Tōkaidō) 동해안 지역, 사이카이도(Saikaido) 서해안 지역과 같이 여러 국으로 구성된 일본 지역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는 중국에서 이 문자의 역사적인 사용법이기도 했다. (한국에서는 이 역사적 용법이 오늘날까지 사용되고 있으며, 일제강점기에도 유지되었다.)[13]
오늘날 유일하게 남아있는 ''도''인 (Hokkai-dō)는 원래 7개의 ''도'' 중 하나가 아니었다(근대 이전에는 에조(Ezo)로 알려져 있었다). 현재 이름은 이 섬의 초기 일본 탐험가인 마츠우라 타케시로(Matsuura Takeshiro)에서 유래된 것으로 여겨진다. 홋카이도가 기존의 ''도'' 분류에 맞지 않아서, 이를 포괄하기 위해 새로운 ''도''가 만들어졌다.[13]
메이지 정부는 원래 홋카이도를 (Settlement Envoyship)로 분류했고, 나중에 이 섬을 삿포로현, 하코다테현, 네무로현의 3개 현으로 나누었다. 이들은 1886년 현 수준에서 하나의 (Hokkaido Department)으로 통합되었지만, 더 영토적인 방식으로 조직되었다. 1947년에는 이 부서가 해체되었고, 홋카이도는 완전한 현이 되었다. ''-켄''(-ken) 접미사가 이름에 추가된 적이 없어서, ''-도''(-dō) 접미사는 "현"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게 되었다.[13]
홋카이도가 편입되었을 때, 섬의 교통은 여전히 개발되지 않았기 때문에, 현은 현 정부의 행정 업무를 수행하고 개발 중인 섬을 엄격하게 통제할 수 있는 여러 (subprefectures)으로 나뉘었다. 이 지청들은 오늘날에도 존재하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이전과 당시보다 권한이 훨씬 적다. 현재는 주로 서류 작업 및 기타 관료적 기능을 처리하기 위해 존재한다.[13]
"홋카이도 현"은, 기술적으로 말해서 ''도'' 자체가 현을 나타내기 때문에 중복된 용어이지만, 정부를 섬 자체와 구별하기 위해 가끔 사용된다. 현의 정부는 "홋카이도 현 정부"가 아닌 "홋카이도 정부"라고 부른다.[13]
「홋카이도」라는 명칭은 1869년(메이지 2년)7월의 개척사 설치와 같은 해, 「마츠마에지」와 「에조치」라고 불린 지역을 개칭하여, 홋카이도 11국 86군을 제정한 데서 시작되었다. 이는 율령제 아래에서 68개의 국을 오기칠도로 구분한 용법과 일치한다. 도지마국의 일부에 대해서는 폐번치현으로 성립된 다테현이 히로사키현에 흡수되어 아오모리현의 일부가 되었지만, 후에 개척사로 이관되었다. 1882년(메이지 15년)에 개척사가 폐지되어 도내를 3분하는 하코다테현・삿포로현・네무로현의 3현이 설치되었지만, 1886년(메이지 19년)에 폐지되고 「홋카이도청」이 설치되었다.
당시, 홋카이도청의 관할 구역을 "홋카이도"라고 불렀지만, "홋카이도"는 단순한 지역 호칭・지방 명칭이며, 현재와 같은 "도"라는 자치단체 명칭은 아니다(내지에 편입된 가라후토청의 명명법과 공통된다). 따라서, 지방 행정 관청으로서 다른 부현과 병렬할 때에는 "청부현"이라는 표현이 사용되었다.
홋카이도청 관제(메이지 19년 칙령 제83호(후에 전면 개정))에 의해 홋카이도청 장관을 다른 부현의 지사에 해당하는 관직으로 했다. 1901년(메이지 34년), 홋카이도회법(메이지 34년 법률 제2호) 및 홋카이도 지방비법(메이지 34년 법률 제3호)이 공포되어 의회가 설치되었으며, "홋카이도 지방비"라는 명칭의 법인격을 가진 지방 자치 단체가 되었다. 또한, 홋카이도회는 부현회에 비해 의회의 권한은 좁았다. 그 후, 가라후토(공통법 1조 2항에서는 내지에 포함되었다)에서의 법령상 특례가 폐지되어, 새롭게 가라후토청이 정식으로 더해져 2청이 되었다.
4. 3. 부 (府)
오사카부와 교토부는 부(府)로 불리며, 여기서 파생된 고전 중국어 문자는 국가적으로 중요한 핵심 도시 지역을 의미한다.[13]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는 부와 현에 다른 법이 적용되었지만, 이 구분은 전쟁 이후 폐지되었고, 현재 두 종류의 현은 기능적으로 동일하다.[13]
4. 4. 현 (県)
47개 도도부현 중 43개는 현(県)으로 불린다. 여기서 파생된 고전 중국어 문자는 시골 또는 지방의 의미를 담고 있으며, 중국의 현, 타이완의 현, 베트남의 현을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29]
1868년 에도 막부의 직할령이 메이지 신정부의 직할령으로 편입되면서, 정부는 중요 지역에 부(府)를 설치하고 나머지 지역엔 현(県)을 두었다. 1871년 폐번치현이 단행되면서 번들이 모두 현이 되었고, 전국이 메이지 정부의 직할령으로 변모했다. 이 무렵의 행정 구역은 1사 3부 302현이었다. 이후 부현 통합을 거쳐 1888년 가가와현이 분리된 것을 끝으로 현의 개수는 총 43개가 되었다.[29]
폐번치현 이후 현의 수장은 지현사에서 현령으로, 부의 수장은 지부사에서 지사로 개칭됐다가 1886년부터 모두 지사로 명칭이 통일됐다. 이들은 내무성에서 파견된 관료들이었지만, 부현회 규칙에 근거해 설치된 민선 부현회의 견제를 받았다.
1902년 내무부는 19개의 현을 폐지하여 도부현의 수를 28개로 줄이고자 했으나, 러일 전쟁 등으로 인해 법률안이 의회에 제출되지 못하고 불발로 그쳤다.
오키나와현은 다른 42현과 달리 류큐 처분이라는 특수한 과정을 거쳐 설치되었다.
5. 도도부현 목록
도도부현은 8개 지방 (홋카이도, 도호쿠, 간토, 주부, 간사이, 주고쿠, 시코쿠, 규슈)으로 묶인다.[1] 이러한 정렬은 일본의 국제 표준화 기구(ISO) 코드에도 반영되어 있다.[14]
| ISO/JIS 번호 | 도도부현 | 일본어 표기 | 도도부현청 소재지 | 최대 도시 | 기 | 지방 | 인구 (명) | 면적 (km2) | 인구 밀도 (명/km2) | 시정촌의 수 | 의원 정수 중의원 / 참의원 |
|---|---|---|---|---|---|---|---|---|---|---|---|
| 01 | 홋카이도 | 北海道|홋카이도일본어 | 삿포로시 | 삿포로시 | -- | 홋카이도 | 5,224,614 | 83424.44km2 | 66.6 | 179 | 12 / 6 |
| 02 | 아오모리현 | 青森県|아오모리켄일본어 | 아오모리시 | 아오모리시 | -- | 도호쿠 | 1,237,984 | 9645.64km2 | 128.4 | 40 | 3 / 2 |
| 03 | 이와테현 | 岩手県|이와테켄일본어 | 모리오카시 | 모리오카시 | -- | 도호쿠 | 1,210,534 | 15275.01km2 | 79.3 | 33 | 3 / 2 |
| 04 | 미야기현 | 宮城県|미야기켄일본어 | 센다이시 | 센다이시 | -- | 도호쿠 | 2,301,996 | 7282.29km2 | 316.1 | 35 | 6 / 2 |
| 05 | 아키타현 | 秋田県|아키타켄일본어 | 아키타시 | 아키타시 | -- | 도호쿠 | 959,502 | 11637.52km2 | 82.5 | 25 | 3 / 2 |
| 06 | 야마가타현 | 山形県|야마가타켄일본어 | 야마가타시 | 야마가타시 | -- | 도호쿠 | 1,068,027 | 9323.15km2 | 114.6 | 35 | 3 / 2 |
| 07 | 후쿠시마현 | 福島県|후쿠시마켄일본어 | 후쿠시마시 | 고리야마시 | -- | 도호쿠 | 1,833,152 | 13784.14km2 | 133.0 | 59 | 5 / 2 |
| 08 | 이바라키현 | 茨城県|이바라키켄일본어 | 미토시 | 미토시 | -- | 간토 | 2,867,009 | 6097.39km2 | 470.2 | 44 | 7 / 4 |
| 09 | 도치기현 | 栃木県|토치기켄일본어 | 우쓰노미야시 | 우쓰노미야시 | -- | 간토 | 1,933,146 | 6408.09km2 | 301.7 | 25 | 5 / 2 |
| 10 | 군마현 | 群馬県|군마켄일본어 | 마에바시시 | 다카사키시 | -- | 간토 | 1,939,110 | 6362.28km2 | 304.8 | 35 | 5 / 2 |
| 11 | 사이타마현 | 埼玉県|사이타마켄일본어 | 사이타마시 | 사이타마시 | -- | 간토 | 7,344,765 | 3797.75km2 | 1,934.0 | 63 | 15 / 8 |
| 12 | 지바현 | 千葉県|치바켄일본어 | 지바시 | 지바시 | -- | 간토 | 6,284,480 | 5157.57km2 | 1,218.5 | 54 | 13 / 6 |
| 13 | 도쿄도 | 東京都|도쿄토일본어 | 도쿄 (신주쿠구) | 세타가야구 | -- | 간토 | 14,047,594 | 2194.03km2 | 6,402.6 | 62 | 25 / 12 |
| 14 | 가나가와현 | 神奈川県|가나가와켄일본어 | 요코하마시 | 요코하마시 | -- | 간토 | 9,237,337 | 2416.11km2 | 3,823.2 | 33 | 18 / 8 |
| 15 | 니가타현 | 新潟県|니가타켄일본어 | 니가타시 | 니가타시 | -- | 주부 | 2,201,272 | 12583.96km2 | 174.9 | 30 | 6 / 2 |
| 16 | 도야마현 | 富山県|토야마켄일본어 | 도야마시 | 도야마시 | -- | 주부 | 1,034,814 | 4247.58km2 | 243.6 | 15 | 3 / 2 |
| 17 | 이시카와현 | 石川県|이시카와켄일본어 | 가나자와시 | 가나자와시 | -- | 주부 | 1,132,526 | 4186.21km2 | 270.5 | 19 | 3 / 2 |
| 18 | 후쿠이현 | 福井県|후쿠이켄일본어 | 후쿠이시 | 후쿠이시 | -- | 주부 | 766,863 | 4190.52km2 | 183.0 | 17 | 2 / 2 |
| 19 | 야마나시현 | 山梨県|야마나시켄일본어 | 고후시 | 고후시 | -- | 주부 | 809,974 | 4465.27km2 | 181.4 | 27 | 2 / 2 |
| 20 | 나가노현 | 長野県|나가노켄일본어 | 나가노시 | 나가노시 | -- | 주부 | 2,048,011 | 13561.56km2 | 151.0 | 77 | 5 / 2 |
| 21 | 기후현 | 岐阜県|기후켄일본어 | 기후시 | 기후시 | -- | 주부 | 1,978,742 | 10621.29km2 | 186.3 | 42 | 5 / 2 |
| 22 | 시즈오카현 | 静岡県|시즈오카켄일본어 | 시즈오카시 | 하마마쓰시 | -- | 주부 | 3,633,202 | 7777.35km2 | 467.2 | 35 | 8 / 4 |
| 23 | 아이치현 | 愛知県|아이치켄일본어 | 나고야시 | 나고야시 | -- | 주부 | 7,542,415 | 5173.07km2 | 1,458.0 | 54 | 15 / 8 |
| 24 | 미에현 | 三重県|미에켄일본어 | 쓰시 | 욧카이치시 | -- | 긴키 | 1,770,254 | 5774.49km2 | 306.6 | 29 | 4 / 2 |
| 25 | 시가현 | 滋賀県|시가켄일본어 | 오쓰시 | 오쓰시 | -- | 긴키 | 1,413,610 | 4017.38km2 | 351.9 | 19 | 4 / 2 |
| 26 | 교토부 | 京都府|교토후일본어 | 교토시 | 교토시 | -- | 긴키 | 2,578,087 | 4612.2km2 | 559.0 | 26 | 6 / 4 |
| 27 | 오사카부 | 大阪府|오사카후일본어 | 오사카시 | 오사카시 | -- | 긴키 | 8,837,685 | 1905.32km2 | 4,638.4 | 43 | 19 / 8 |
| 28 | 효고현 | 兵庫県|효고켄일본어 | 고베시 | 고베시 | -- | 긴키 | 5,465,002 | 8401.02km2 | 650.5 | 41 | 12 / 6 |
| 29 | 나라현 | 奈良県|나라켄일본어 | 나라시 | 나라시 | -- | 긴키 | 1,324,473 | 3690.94km2 | 358.8 | 39 | 3 / 2 |
| 30 | 와카야마현 | 和歌山県|와카야마켄일본어 | 와카야마시 | 와카야마시 | -- | 긴키 | 922,584 | 4724.65km2 | 195.3 | 30 | 3 / 2 |
| 31 | 돗토리현 | 鳥取県|돗토리켄일본어 | 돗토리시 | 돗토리시 | -- | 주고쿠 | 553,407 | 3507.14km2 | 157.8 | 19 | 2 / ※ |
| 32 | 시마네현 | 島根県|시마네켄일본어 | 마쓰에시 | 마쓰에시 | -- | 주고쿠 | 671,126 | 6707.89km2 | 100.1 | 19 | 2 / ※ |
| 33 | 오카야마현 | 岡山県|오카야마켄일본어 | 오카야마시 | 오카야마시 | -- | 주고쿠 | 1,888,432 | 7114.33km2 | 265.4 | 27 | 5 / 2 |
| 34 | 히로시마현 | 広島県|히로시마켄일본어 | 히로시마시 | 히로시마시 | -- | 주고쿠 | 2,799,702 | 8479.65km2 | 330.2 | 23 | 7 / 4 |
| 35 | 야마구치현 | 山口県|야마구치켄일본어 | 야마구치시 | 시모노세키시 | -- | 주고쿠 | 1,342,059 | 6112.54km2 | 219.6 | 19 | 4 / 2 |
| 36 | 도쿠시마현 | 徳島県|토쿠시마켄일본어 | 도쿠시마시 | 도쿠시마시 | -- | 시코쿠 | 719,559 | 4146.75km2 | 173.5 | 24 | 2 / ※ |
| 37 | 가가와현 | 香川県|가가와켄일본어 | 다카마쓰시 | 다카마쓰시 | -- | 시코쿠 | 950,244 | 1876.78km2 | 506.3 | 17 | 3 / 2 |
| 38 | 에히메현 | 愛媛県|에히메켄일본어 | 마쓰야마시 | 마쓰야마시 | -- | 시코쿠 | 1,334,841 | 5676.19km2 | 235.2 | 20 | 4 / 2 |
| 39 | 고치현 | 高知県|코치켄일본어 | 고치시 | 고치시 | -- | 시코쿠 | 691,527 | 7103.63km2 | 97.4 | 34 | 2 / ※ |
| 40 | 후쿠오카현 | 福岡県|후쿠오카켄일본어 | 후쿠오카시 | 후쿠오카시 | -- | 규슈 | 5,135,214 | 4986.51km2 | 1,029.8 | 60 | 11 / 6 |
| 41 | 사가현 | 佐賀県|사가켄일본어 | 사가시 | 사가시 | -- | 규슈 | 811,442 | 2440.69km2 | 332.5 | 20 | 2 / 2 |
| 42 | 나가사키현 | 長崎県|나가사키켄일본어 | 나가사키시 | 나가사키시 | -- | 규슈 | 1,312,317 | 4130.98km2 | 317.7 | 21 | 4 / 2 |
| 43 | 구마모토현 | 熊本県|쿠마모토켄일본어 | 구마모토시 | 구마모토시 | -- | 규슈 | 1,738,301 | 7409.46km2 | 234.6 | 45 | 4 / 2 |
| 44 | 오이타현 | 大分県|오이타켄일본어 | 오이타시 | 오이타시 | -- | 규슈 | 1,123,852 | 6340.76km2 | 177.2 | 18 | 3 / 2 |
| 45 | 미야자키현 | 宮崎県|미야자키켄일본어 | 미야자키시 | 미야자키시 | -- | 규슈 | 1,069,576 | 7735.22km2 | 138.3 | 26 | 3 / 2 |
| 46 | 가고시마현 | 鹿児島県|가고시마켄일본어 | 가고시마시 | 가고시마시 | -- | 규슈 | 1,588,256 | 9187.06km2 | 172.9 | 43 | 4 / 2 |
| 47 | 오키나와현 | 沖縄県|오키나와켄일본어 | 나하시 | 나하시 | -- | 오키나와 | 1,467,480 | 2282.59km2 | 642.9 | 41 | 4 / 2 |
- 돗토리현과 시마네현, 도쿠시마현과 고치현은 참의원 의원 선거구가 합구로 정수는 모두 2석이다.
6. 폐치분합
도도부현을 합병하거나 신설하는 것을 통틀어 폐치분합이라고 한다.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유형이 있다.
- 합체: 여러 도도부현을 없애고 하나의 새로운 도도부현을 만든다.
- 편입: 하나의 도도부현을 없애고, 그 지역을 다른 도도부현에 포함시킨다.
- 분할: 하나의 도도부현을 없애고, 그 지역에 여러 개의 새로운 도도부현을 만든다.
- 분립: 도도부현의 일부를 분리하여 새로운 도도부현을 만든다.
도도부현을 폐지하거나 신설하지 않고 단순히 구역만 바꾸거나 시정촌의 소속을 옮기는 것은 '경계 변경'이라고 하며, 폐치분합과는 다른 개념이다.
폐치분합을 하려면 관련된 모든 도도부현에서 주민 투표를 실시하여 각각 과반수의 찬성을 얻어야 한다. 다만, 합체와 편입의 경우에는 관계 도도부현 의회의 의결을 거쳐 신청하고, 국회의 승인을 받아 내각이 동의하면 절차가 간단하게 끝난다.
폐치분합 과정에서 사라지는 도도부현은 의회 의원과 지사가 모두 직을 잃게 되고, 신설되는 도도부현은 즉시 의회 의원과 지사를 선출해야 한다. 편입·분할하는 경우는 그 직을 잃지 않고 선거도 새로 시행하지 않는다.
서로 다른 도도부현에 속한 시정촌이 합쳐질 경우에는 관련된 모든 도도부현과 시정촌에서 의회 의결을 거친 뒤 총무대신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
1888년(메이지 21년) 말에 가가와현이 에히메현에서 분리된 이후, 도도부현의 분할 또는 분립은 실시되지 않았다.
7. 명칭
도도부현의 명칭은 원칙적으로 청사 소재지의 이름에서 기원했다. 다만 몇몇 이유로 청사 소재지의 이름과 다른 명칭을 취한 경우도 있는데, 이는 청사가 위치한 도시와 군의 이름이 일치하지 않아 군의 이름을 취했거나 청사를 한 차례 옮겼거나 지금은 사라진 구의 이름을 취했기 때문이다. 홋카이도, 에히메현, 오키나와현은 도도부현의 명칭을 완전히 새로 만든 경우에 해당한다.[41]
1888년 이래 도도부현의 명칭이 변경된 적은 없다. 지금은 도도부현을 생략한 표현이 도시보다는 도도부현을 가리키는 경우가 일반적인데, 예를 들어 아오모리의 경우 아오모리시보다는 아오모리현을 가리키는 경우가 더 많다.
청사 소재지의 이름을 도도부현의 명칭으로 삼은 것은 「부번현 3체제의 명명 규칙」이 폐번치현 이후에도 유지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에도 시대에는 번의 이름을 짓기 위한 별도의 방침이 없었기에 조카마치의 이름을 따오거나 율령국과 같은 광역 지명을 사용하거나 심지어 번주의 성을 번의 이름으로 칭하기도 했다. 그러던 것이 부번현 3체제가 성립한 이후부터 청사 소재지의 이름을 도도부현의 명칭으로 사용하는 방법만이 사용되기 시작했다.
폐번치현 직후 단행된 제1차 부현통합과 그 이후에 도도부현의 명칭을 도시명에서 군명으로 바꾼 사례가 다수 있는데, 개칭 이유는 불분명하다. 보신 전쟁 당시 정부군에 협조했는지, 정부군을 적대했는지를 표시하기 위해 정치적 의사를 가지고 단행했다는 설이 있지만, 여러 반론이 있다.
제1차 부현통합 이후 청사 소재지가 바뀌지 않았는데도 도도부현의 명칭이 바뀐 사례는 극히 소수에 불과하다. 통폐합된 도도부현도 청사 소재지에서 유래한 도도부현의 명칭을 그대로 계승했다. 이에 대한 예외 사례로는 이시즈치현와 가미야마현이 합병해 에히메현이 탄생한 것과 시라카와현으로 명명했던 것을 원칙을 좇아 구마모토현으로 개칭한 것 정도다. 또한 폐지되었던 니카와현, 아스와현, 묘도현이 부활할 때 도야마현, 후쿠이현, 도쿠시마현으로 다른 명칭을 취한 사례도 있다.
제2차 부현통합 이후에는 청사 소재지를 이전하거나 청사가 위치한 도시가 합병된 경우를 제외하곤 도도부현의 명칭이 바뀐 사례는 없다.
도도부현을 언급할 때 도부현은 생략하고 말하는 경우가 많지만, 홋카이도는 도를 생략할 수 없다. 이는 도부현은 행정기관의 종별을 나타내는 표현이지만, 도(道)는 행정기관의 종별이 아니라 홋카이도 자체가 하나의 지명이고 행정기관명이기 때문이다.[54][55]
신문처럼 지면에 한계가 있어 문자 수를 줄일 필요가 있을 때에는 아예 한 글자만 남기기도 한다. 구마모토에서 왔다는 표현은 '来熊'라고 하며, 오사카에 돌아갔다는 표현은 '帰阪'라고 하는 식이다.[56]
8. 상징
많은 도도부현에서 도도부현기, 도도부현장과 같은 상징물을 제정해 사용하고 있다. 이들은 도도부현에서 설치한 각종 시설물에 부착되거나 표식으로 활용된다. 그 외에도 도도부현을 상징하는 꽃, 나무, 새 등도 정해진 경우가 많으며 물고기나 짐승을 규정한 사례도 있고 노래, 기념일, 마스코트 등도 있다.
참조
[1]
서적
Provinces and prefectures
https://books.google[...]
Japan encyclopedia
2002
[2]
문서
nihongo
[3]
간행물
Municipal Amalgamation in Japan
http://siteresources[...]
World Bank
2001
[4]
웹사이트
"''Doshusei'' Regional System"
http://www.nira.go.j[...]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Advancement
[5]
서적
Local Governance in Industrial Countries
http://web.worldbank[...]
World Bank
2013-12-01
[6]
웹사이트
『明治東京全図』
http://www.archives.[...]
National Archives of Japan
[7]
웹사이트
大東京35区物語~15区から23区へ~東京23区の歴史
http://www.soumu.met[...]
Tokyo Metropolitan Archives
[8]
뉴스
Few warm to greater-Tokyo assembly idea. Kanagawa chief pushes new administrative body to deal with regional issues
http://www.japantime[...]
The Japan Times
2003-12-04
[9]
웹사이트
関東地方知事会
http://www.pref.kana[...]
Kanagawa prefectural government
[10]
웹사이트
関東地方知事会
https://www.pref.sai[...]
Saitama prefectural government
[11]
웹사이트
九都県市首脳会議
http://www.9tokenshi[...]
2017-07-26
[12]
웹사이트
ホーム-関西広域連合
https://www.kouiki-k[...]
2017-07-26
[13]
뉴스
Osaka metropolis plan rejected by slim margin in 2nd referendum
https://english.kyod[...]
2021-07-14
[14]
문서
See ISO 3166
[15]
웹사이트
全国都道府県市区町村別面積調 (10月1日時点)
https://www.gsi.go.j[...]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Transport, and Tourism
2020-10-01
[16]
웹사이트
都庁は新宿区
http://www.chijihon.[...]
Tokyo Metropolitan Government
2014-04-12
[17]
문서
Post-war administrative division changes are not reflected in this table. The capital of the former Japanese administration is not necessarily the capital of the present-day equivalent.
[18]
문서
Administered by the United States Military Government of the Ryukyu Islands. Returned to Japan in 1972
[19]
문서
Due to the division of Korea, Kōgen (Kangwon/Gangwon), Keiki (Gyeonggi) and Kōkai (Hwanghae) are divided between North Korea and South Korea. While each Korea has its own Kangwon/Gangwon Province, the North Korean portion of Gyeonggi and the South Korean portion of Hwanghae have been absorbed into other provinces.
[20]
문서
Shunsen (Chuncheon) is in present-day South Korea.
[21]
문서
After World War II, the islands of Taiwan and Penghu were placed under the administration of the Republic of China under General Order No. 1, although they nominally remained part of Japan. Before the post-war treaties were to be signed by the ROC and Japan, the ROC government was defeated in the Chinese Civil War to the Chinese Communist Party (CCP) and decamped to the island of Taiwan. Japan relinquished the claims to Taiwan and Penghu in the Treaty of San Francisco on 28 April 1952, but the sovereignty of the islands remained undetermined to this day. Excluding Kinmen and Matsu, which form the rump Fujian Province, Taiwan and Penghu are still today governed by the Republic of China in a post-war capacity recognized by a few states as the sole legitimate government of "China". See also Political status of Taiwan and Theory of the Undetermined Status of Taiwan.
[22]
문서
Leased from Qing dynasty, subsequently Republic of China (1912–1949)|Republic of China and Manchukuo.
[23]
문서
After World War II, the Soviet Union occupied the territory. The Soviet Union turned it over to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in 1955.
[24]
문서
League of Nations mandate
[25]
문서
Then administered by the Trust Territory of the Pacific Islands
[26]
문서
ただし、[[東京都]]はprefecturesに含まれるが、Tokyo Metropolisと表現する。
[27]
웹사이트
市町村数を調べる|政府統計の総合窓口
https://www.e-stat.g[...]
2020-10-29
[28]
서적
行政法Ⅲ第3版
有斐閣
[29]
문서
大規模な境界変更としては1893年(明治26年)に多摩地方が神奈川県から東京府へ編入された事例があるが、府県自体の設置や廃止は伴っていない。
[30]
웹사이트
府県廃置法律案(解散ノ為提出ニ至ラサリシモノ)
https://www.digital.[...]
独立行政法人 国立公文書館
2020-12-31
[31]
문서
ただし厳密には、法律案には北海道と沖縄県については記載がない。なお、当時の北海道は府県制とは別の「北海道地方費」が公法人で、[[北海道庁 (1886-1947)|北海道庁]]が統治していた。また「沖縄県」は[[1879年]](明治12年)に発足したが、[[1909年]](明治42年)までは他県のような府県制が施行されていなかった。
[32]
논문
第一次桂太郎内閣下の府県廃合計画と福岡世徳・松江市長の上京活動 (松江市史研究1)
https://coc.lib.shim[...]
松江市教育委員会
2023-04-25
[33]
웹사이트
日露戦争関連年表
https://www.jacar.go[...]
国立公文書館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2021-01-02
[34]
웹사이트
北関東3県は「宇都宮県」に 幻の28道府県案|エンタメ!|NIKKEI STYLE
https://style.nikkei[...]
2020-12-19
[35]
문서
국회의사록 제6회 중의원 지방행정위원회10호(쇼와24년 11월 25일)문사 위원, 또는 국회의사록 제38회 참의원 문교위원회9호(쇼와36년 03월 09일)[[야지마 삼의]]등 다수
[36]
웹사이트
北海道"分県論"が浮上 「新幹線が伸びないのは知事が1人しかいないせい」という指摘も
https://www.huffingt[...]
2016-01-08
[37]
웹사이트
北海道の未来に、熱く!
http://www.kitaryu.c[...]
喜多龍一
2021-09-06
[38]
웹사이트
北海道分県案を知事に提出 道議有志「3ないし2県」
https://sputniknews.[...]
2021-09-05
[39]
웹사이트
もしも北海道が4県になったら 自民道議ら「分県」提言: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ww.asahi.co[...]
2021-09-05
[40]
뉴스
兵庫ってヒョーゴスラビア連邦 SNS投稿に反響
https://www.kobe-np.[...]
2018-08-25
[41]
문서
地名部分を維持したまま種別のみ変更されたものについてのみ変更前まで遡っている。地名部分が同じ県が一旦廃止されている場合は復活したときの庁舎。東京・京都・大阪の郡としては[[江戸城]]・[[二条城]]・[[大坂城|大阪城]]の郡を記した。
[42]
문서
栃木県庁の移転
[43]
문서
埼玉県設置時には岩槻が県庁所在地に予定されていたが浦和に仮庁舎が設置され、岩槻に移転することなくそのまま浦和が県庁所在地として定着した。浦和は埼玉郡ではなく足立郡である。
[44]
문서
県庁所在地であった浦和市が大宮市、与野市と合併して成立した市である。後に、当初の県庁所在予定地であった岩槻市を編入している。
[45]
문서
新宿区も旧東京市の一部であり、現在の都庁の所在地は旧淀橋区で、東京市編入前は豊島郡(後の南豊島郡⇒豊多摩郡)であった。
[46]
문서
市町村名としての「神奈川」は消えたが、現在は横浜市「神奈川区」が県名の根拠地に存在する。
[47]
문서
大分と宮崎は県設置より後で県庁所在地名を郡名に合わせて改称している。秋田も明治に入ってからの郡名への改称だが、県設置より前である。
[48]
문서
第1次府県統合以降に庁舎所在地の「郡の名称」を県の名称とした事例で県として現存しないもの(一旦廃止されて異なる県の名称で復活したものを含む)は[[磐井県#沿革|磐井県]]・[[置賜県#沿革|置賜県]]・[[磐前県#沿革|磐前県]]・[[新治県#沿革|新治県]]・[[印旛県#概要|印旛県]]・[[入間県#沿革|入間県]]・[[足柄県#沿革|足柄県]]・[[新川県#概要|新川県]]・[[足羽県#沿革|足羽県]]・[[筑摩県#沿革|筑摩県]]・[[額田県#沿革|額田県]]・[[度会県#歴史|度会県]]・[[犬上県#沿革|犬上県]]・[[飾磨県#概要|飾磨県]]・[[北条県#設廃|北条県]]・[[小田県#概要|深津県]]・[[小田県#概要|小田県]]・[[名東県#沿革|名東県]]・[[三潴県#沿革|三潴県]]の19例(深津県→小田県は庁舎移転による改称なので正味18県)ある。
[49]
문서
石川県は現在の県庁所在地ではない美川(現・白山市)の所属郡が根拠であるが、現在の所在地の金沢も同じく石川郡内である。
[50]
문서
前橋市内の現[[群馬県#明治|群馬県]]庁所在地は、律令以来群馬郡に属していたが、明治初期には[[東群馬郡#前橋の所属郡の問題|実質的に勢多郡と一体の地域]]に含まれており、最終的にはそれに合わせて郡が再設定されたので、ここでは「現在の所在地の郡の名称ではない」に該当するものとみなした。
[51]
문서
県名の根拠である庁舎所在地が実際の所在地ではない事例は[[廃藩置県#第1次府県統合|第1次府県統合]]から[[廃藩置県#第2次府県統合|第2次府県統合]]までの間には多く、現存しない例としては予定地名を用いた[[水沢県]]・[[印旛県]]・[[深津県]]や隣接地名を用いた[[木更津県]]・[[浜田県]]などがある(短期間で齟齬が解消されるなど、該当するかどうかが自明でない事例が多いため、全てを過不足なく列挙することは困難)。
[52]
문서
「都市の名称」でも「郡の名称」でもない地名が用いられた現存しない事例は、[[廃藩置県#第1次府県統合|第1次府県統合]]以降では[[石鉄県#沿革|石鉄県]]・[[神山県_(日本)#概要|神山県]]・[[熊本県の歴史#廃藩置県|白川県]]の3例ある。ほかに[[七尾県#沿革|七尾県]]の例では「都市の通称=城の名称」が用いられている。
[53]
문서
具体的には、令制国全体が旧幕府領であった[[佐渡県]]、[[飛騨県]]、[[甲斐府]]、戊辰戦争の戦後処理の役割もあった[[越後府]]、比較的狭い範囲に多数点在していた直轄地(主に旧旗本領)を管轄していた[[河内県 (日本)|河内県]]、[[摂津県]]、[[三河県 (日本)|三河県]]があり、類例として[[武蔵知県事]]、[[常陸知県事]]、[[下総知県事]]、[[上総安房知県事]]があるが、佐渡県が[[廃藩置県#第1次府県統合|第1次府県統合]]まで残ったのを除いて、[[廃藩置県]]よりも前に名称の変更や統合で無くなっている。
[54]
웹사이트
「北海道」の由来
https://www.pref.hok[...]
北海道立文書館
2022-01-20
[55]
웹사이트
「北海道はなぜ“北海”と略さないのか?」#シラベルカ2
https://web.archive.[...]
NHK札幌放送局
2020-04-14
[56]
서적
生きている日本語
講談社
1988
[57]
문서
中華人民共和国の特別行政区
[58]
문서
ヨーロッパにも分類され得る。
[59]
문서
一部はアフリカに含まれ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