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이샤(大社)는 원래 엔기시키 신명초에 기록된 명칭으로, 일본 제국 시대에는 이즈모타이샤를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과거 '대사' 칭호를 가졌던 많은 신사들이 스스로를 '타이샤'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이즈모타이샤는 이러한 현상에 대해 신의 위엄을 해치는 행위라고 비판하며, 역사적으로 '대사'는 이즈모타이샤만을 지칭하는 고유 명칭이라고 주장한다. 다이샤 목록에는 이즈모타이샤를 포함하여 다양한 신사들이 있으며, 이들은 신사 서열에 따라 관폐대사, 국폐대사 등으로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사 - 신토
신토는 일본 고유의 종교적 관념으로, 창시자나 경전 없이 자연스럽게 형성되어 '가미'에 대한 믿음을 중심으로 다양한 의례와 신앙 형태를 갖추고 있으며, 역사적으로 격변을 거쳐 현재는 신사신도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 신사 - 후시미 이나리 신사
후시미 이나리 신사는 교토 후시미구에 있는 신사로, 헤이안 시대 초기에 창건되어 다섯 신을 모시며, 에도 시대에는 상인 신앙의 중심지였고, 현재는 수천 개의 붉은 토리이와 여우 숭배로 유명하며, 많은 참배객이 방문하는 서일본 최대 규모의 신사이다.
다이샤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종류 | 신사 |
종교 | 신토 |
로마자 표기 | Taisha |
다른 이름 | 묘진 대사 (明神大社) |
설명 | 큰 신사를 지칭하는 용어이다. 사격의 하나이다. 광사원의 설명에 따르면 신사 격식의 하나로, 예전에는 최고 격식의 신사를 가리키는 명칭이었다. |
역사 | |
역사적 의미 | 과거에는 최고 격식의 신사를 가리키는 명칭이었다. |
현대적 의미 | 현재는 특정 신사의 이름에 사용된다. |
2. 역사
원래 다이샤(大社)는 엔기시키 신명초(神名帳)에 기록된 203개의 명신대사[4] 또는 492개의 시키나이샤를 가리켰다.
일본 제국 시대에는 이 용어가 더 엄격해져서, 거의 항상 이즈모타이샤를 가리켰다. 제2차 세계 대전 후에는 칸페이타이샤와 코쿠헤이타이샤 등, 과거 '대사' 칭호를 가졌던 많은 신사들이 스스로 '다이샤'(大社)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이즈모타이샤는 '대사'라는 명칭을 사용할 수 있는 유일한 신사가 되기를 원한다고 알려져 있다.
2. 1. 명칭의 기원과 변천
원래 다이샤(大社)는 엔기시키(延喜式) 신명초(神名帳)에 기록된 203개의 명신대사(明神大社)[4] 또는 492개의 시키나이샤(式内社)를 가리켰다.일본 제국 시대에는 이 용어가 더 엄격해져서, 거의 항상 이즈모타이샤(出雲大社)를 가리켰다. 제2차 세계 대전 후에는 칸페이타이샤(官幣大社)와 코쿠헤이타이샤(国幣大社) 등, 과거 '대사' 칭호를 가졌던 많은 신사들이 스스로 '다이샤'(大社)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이즈모타이샤는 각지의 신사가 '대사'를 명칭으로 사용하는 것을 신덕을 더럽히는 것이라고 표명하고 있다. 이즈모타이샤의 기관지 「유현」에서는 그 이유를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우리의 어버이이신 대신께서는 「오오야시로(おおやしろ)」로 경앙받으십니다. 「기쓰키의 대사」라는 존칭으로 「이즈모산(出雲さん)」으로 친애하였습니다. 나라 시대와 헤이안 시대부터 「대사」라고 명기되어 온 신사는 이즈모타이샤가 유일했습니다. 대사라고 하면 우리의 「이즈모 오오야시로(いづもおおやしろ)」이며, 어버이이신 대신께서 거처하시는 미야시로(ミヤシロ)였습니다. 이것도 세월의 흐름 속에서, 이 명칭을 사용하는 신사가 생겨났습니다. 오직 신앙에 적합하다고는 생각되지 않습니다. 수많은 세대에 걸쳐 선조들의 기도를 바르게 전하지 못하고, 현재 사람들의 임의대로 자기流의 명칭은 오히려 신덕을 더럽히는 것이 될까 걱정합니다】[7]
2. 2. 이즈모타이샤의 입장
이즈모타이샤는 각지의 신사가 '''대사'''라는 명칭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신의 위엄을 해치는 것이라고 비판한다. 이즈모타이샤의 기관지 「유현」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우리의 어버이이신 대신께서는 「오오야시로(おおやしろ)」로 경앙받으십니다. 「기쓰키의 대사」라는 존칭으로 「이즈모산(出雲さん)」으로 친애하였습니다. 나라 시대와 헤이안 시대부터 「대사」라고 명기되어 온 신사는 이즈모타이샤가 유일했습니다. 대사라고 하면 우리의 「이즈모 오오야시로(いづもおおやしろ)」이며, 어버이이신 대신께서 거처하시는 미야시로(ミヤシロ)였습니다. 이것도 세월의 흐름 속에서, 이 명칭을 사용하는 신사가 생겨났습니다. 오직 신앙에 적합하다고는 생각되지 않습니다. 수많은 세대에 걸쳐 선조들의 기도를 바르게 전하지 못하고, 현재 사람들의 임의대로 자기流의 명칭은 오히려 신덕을 더럽히는 것이 될까 걱정합니다】|우리의 어버이신 대신께서는 「오야시로(おおやしろ)」로 우러러 받들어 모셔지고 있습니다. 「기쓰키의 대사」라는 존칭으로 「이즈모산(出雲さん)」으로 친근하게 불리고 있습니다. 나라 시대와 헤이안 시대부터 「대사」라고 명기되어 온 신사는 이즈모타이샤가 유일했습니다. 대사라고 하면 우리의 「이즈모 오오야시로(いづもおおやしろ)」이며, 어버이신 대신께서 거처하시는 미야시로(ミヤシロ)였습니다. 이것도 세월의 흐름 속에서, 이 명칭을 사용하는 신사가 생겨났습니다. 오직 신앙에 합당하다고는 생각되지 않습니다. 수많은 세대에 걸쳐 선조들의 기도를 바르게 전하지 못하고, 현재 사람들의 임의대로 자기 나름의 명칭은 오히려 신의 위엄을 더럽히는 것이 될까 걱정합니다일본어[7]
3. 다이샤 목록
다이샤(大社) 칭호를 사용했던 신사 목록은 다음과 같다.
신사명 | 옛 신사명 | 신사 서열 | 연희식 | 위치 |
---|---|---|---|---|
이즈모타이샤 | 이즈모타이샤(出雲大社) | 관폐대사(官幣大社) | 명신대사 | 시마네현(島根県) 이즈모시(出雲市) |
구마노타이샤 | 구마노 신사(熊野神社) | 국폐대사(国幣大社) | 명신대사 | 시마네현(島根県) 마쓰에시(松江市) |
미시마타이샤(三嶋大社) | 미시마 신사(三嶋神社) | 관폐대사(官幣大社) | 명신대사 | 시즈오카현(静岡県) 미시마시(三島市) |
후지산혼구센겐타이샤(富士山本宮浅間大社) | 센겐 신사(浅間神社) | 관폐대사(官幣大社) | 명신대사 | 시즈오카현(静岡県) 후지노미야시(富士宮市) |
스와타이샤(諏訪大社) | 스와 신사(諏訪神社) | 관폐대사(官幣大社) | 명신대사 | 나가노현(長野県) 스와시(諏訪市) |
케타타이샤(気多大社) | 케타 신사(気多神社) | 국폐대사(国幣大社) | 명신대사 | 이시카와현(石川県) 하쿠이시(羽咋市) |
난구타이샤(南宮大社) | 난구 신사(南宮神社) | 국폐대사(国幣大社) | 명신대사 | 기후현(岐阜県) 후와군(不破郡) 타루이정(垂井町) |
타도타이샤(多度大社) | 타도 신사(多度神社) | 국폐대사(国幣大社) | 명신대사 | 미에현(三重県) 구와나시(桑名市) |
타가타이샤(多賀大社) | 타가 신사(多賀神社) | 관폐대사(官幣大社) | 식내소사 | 시가현(滋賀県) 이누카미군(犬上郡) 타가정(多賀町) |
타케베타이샤(建部大社) | 타케베 신사(建部神社) | 관폐대사(官幣大社) | 명신대사 | 시가현(滋賀県) 오쓰시(大津市) |
히요시타이샤(日吉大社) | 히요시 신사(日吉神社) | 관폐대사(官幣大社) | 명신대사 | 시가현(滋賀県) 오쓰시(大津市) |
카스가타이샤(春日大社) | 카스가 신사(春日神社) | 관폐대사(官幣大社) | 명신대사 | 나라현(奈良県) 나라시(奈良市) |
타츠타타이샤(龍田大社) | 타츠타 신사(龍田神社) | 관폐대사(官幣大社) | 명신대사 | 나라현(奈良県) 이코마군(生駒郡) 미사토정(三郷町) |
히로세타이샤(廣瀬大社) | 히로세 신사(廣瀬神社) | 관폐대사(官幣大社) | 명신대사 | 나라현(奈良県) 기타카쓰라기군(北葛城郡) 가와이정(河合町) |
후시미이나리타이샤(伏見稲荷大社) | 이나리 신사(稲荷神社) | 관폐대사(官幣大社) | 명신대사 | 교토부(京都府) 교토시(京都市) 후시미구(伏見区) |
마츠노오타이샤(松尾大社) | 마츠오 신사(松尾神社) | 관폐대사(官幣大社) | 명신대사 | 교토부(京都府) 교토시(京都市) 니시쿄구(西京区) |
우메노미야타이샤(梅宮大社) | 우메노미야 신사(梅宮神社) | 관폐중사(官幣中社) | 명신대사 | 교토부(京都府) 교토시(京都市) 우쿄구(右京区) |
스미요시타이샤(住吉大社) | 스미요시 신사(住吉神社) | 관폐대사(官幣大社) | 명신대사 | 오사카부(大阪府) 오사카시(大阪市) 스미요시구(住吉区) |
오오토리타이샤(大鳥大社) | 오토리 신사(大鳥神社) | 관폐대사(官幣大社) | 명신대사 | 오사카부(大阪府) 사카이시(堺市) 니시구(西区) |
쿠마노혼구타이샤(熊野本宮大社) | 쿠마노이마스 신사(熊野坐神社) | 관폐대사(官幣大社) | 명신대사 | 와카야마현(和歌山県) 다나베시(田辺市) |
쿠마노하야타마타이샤(熊野速玉大社) | 쿠마노하야타마 신사(熊野速玉神社) | 관폐대사(官幣大社) | 식내대사 | 와카야마현(和歌山県) 신구시(新宮市) |
쿠마노나치타이샤(熊野那智大社) | 쿠마노나치 신사(熊野那智神社) | 관폐중사(官幣中社) | 국사현재사 | 와카야마현(和歌山県) 히가시무로군(東牟婁郡) 나치카쓰우라정(那智勝浦町) |
무나카타타이샤(宗像大社) | 무나카타 신사(宗像神社) | 관폐대사(官幣大社) | 명신대사 | 후쿠오카현(福岡県) 무나카타시(宗像市) |
코라타이샤(高良大社) | 코라 신사(高良神社) | 국폐대사(国幣大社) | 명신대사 | 후쿠오카현(福岡県) 구루메시(久留米市) |
이 외에도, 과거에 다이샤를 칭했던 신사는 다음과 같다.
신사 이름 | 신사의 격 | 延喜式 | 참고 |
---|---|---|---|
히카와 신사 | 관폐대사 | 명신대사 | 봉납물 가방에 "히카와 다이샤"라는 글자가 적혀 있다. |
히라노 신사 | 관폐대사 | 명신대사 | 과거에 신사 입구에 "히라노 다이샤"라고 적힌 표지판이 있었다. |
히라오카 신사 | 관폐대사 | 명신대사 | 히라오카 역(枚岡駅) 앞에 "히라오카 다이샤"라고 적힌 옛 표지판이 남아 있다. |
이코마 신사 | 부현사 | 식내대사 | 일반적으로 오우마타이샤(往馬大社)라고 불린다. |
3. 1. 전전(戰前) 시대
이즈모타이샤는 시마네현 이즈모시에 위치하며, 관폐대사이자 명신대사였다.[5] 구마노타이샤는 시마네현 마쓰에시에 위치하며, 국폐대사이자 명신대사였다.[6]3. 2. 전후(戰後) 시대
신사명 | 옛 신사명 | 신사 서열 | 연희식 | 위치 |
---|---|---|---|---|
미시마타이샤(三嶋大社) | 미시마 신사(三嶋神社) | 관폐대사(官幣大社) | 명신대사(明神大社) | 시즈오카현(静岡県) 미시마시(三島市) |
후지산혼구센겐타이샤(富士山本宮浅間大社) | 센겐 신사(浅間神社) | 관폐대사(官幣大社) | 명신대사(明神大社) | 시즈오카현(静岡県) 후지노미야시(富士宮市) |
스와타이샤(諏訪大社) | 스와 신사(諏訪神社) | 관폐대사(官幣大社) | 명신대사(明神大社) | 나가노현(長野県) 스와시(諏訪市) |
케타타이샤(気多大社) | 케타 신사(気多神社) | 국폐대사(国幣大社) | 명신대사(明神大社) | 이시카와현(石川県) 하쿠이시(羽咋市) |
난구타이샤(南宮大社) | 난구 신사(南宮神社) | 국폐대사(国幣大社) | 명신대사(明神大社) | 기후현(岐阜県) 후와군(不破郡) 타루이정(垂井町) |
타도타이샤(多度大社) | 타도 신사(多度神社) | 국폐대사(国幣大社) | 명신대사(明神大社) | 미에현(三重県) 구와나시(桑名市) |
타가타이샤(多賀大社) | 타가 신사(多賀神社) | 관폐대사(官幣大社) | 식내소사(式内小社) | 시가현(滋賀県) 이누카미군(犬上郡) 타가정(多賀町) |
타케베타이샤(建部大社) | 타케베 신사(建部神社) | 관폐대사(官幣大社) | 명신대사(明神大社) | 시가현(滋賀県) 오쓰시(大津市) |
히요시타이샤(日吉大社) | 히요시 신사(日吉神社) | 관폐대사(官幣大社) | 명신대사(明神大社) | 시가현(滋賀県) 오쓰시(大津市) |
카스가타이샤(春日大社) | 카스가 신사(春日神社) | 관폐대사(官幣大社) | 명신대사(明神大社) | 나라현(奈良県) 나라시(奈良市) |
타츠타타이샤(龍田大社) | 타츠타 신사(龍田神社) | 관폐대사(官幣大社) | 명신대사(明神大社) | 나라현(奈良県) 이코마군(生駒郡) 미사토정(三郷町) |
히로세타이샤(廣瀬大社) | 히로세 신사(廣瀬神社) | 관폐대사(官幣大社) | 명신대사(明神大社) | 나라현(奈良県) 기타카쓰라기군(北葛城郡) 가와이정(河合町) |
후시미이나리타이샤(伏見稲荷大社) | 이나리 신사(稲荷神社) | 관폐대사(官幣大社) | 명신대사(明神大社) | 교토부(京都府) 교토시(京都市) 후시미구(伏見区) |
마츠노오타이샤(松尾大社) | 마츠오 신사(松尾神社) | 관폐대사(官幣大社) | 명신대사(明神大社) | 교토부(京都府) 교토시(京都市) 니시쿄구(西京区) |
우메노미야타이샤(梅宮大社) | 우메노미야 신사(梅宮神社) | 관폐중사(官幣中社) | 명신대사(明神大社) | 교토부(京都府) 교토시(京都市) 우쿄구(右京区) |
스미요시타이샤(住吉大社) | 스미요시 신사(住吉神社) | 관폐대사(官幣大社) | 명신대사(明神大社) | 오사카부(大阪府) 오사카시(大阪市) 스미요시구(住吉区) |
오오토리타이샤(大鳥大社) | 오토리 신사(大鳥神社) | 관폐대사(官幣大社) | 명신대사(明神大社) | 오사카부(大阪府) 사카이시(堺市) 니시구(西区) |
쿠마노혼구타이샤(熊野本宮大社) | 쿠마노이마스 신사(熊野坐神社) | 관폐대사(官幣大社) | 명신대사(明神大社) | 와카야마현(和歌山県) 다나베시(田辺市) |
쿠마노하야타마타이샤(熊野速玉大社) | 쿠마노하야타마 신사(熊野速玉神社) | 관폐대사(官幣大社) | 식내대사(式内大社) | 와카야마현(和歌山県) 신구시(新宮市) |
쿠마노나치타이샤(熊野那智大社) | 쿠마노나치 신사(熊野那智神社) | 관폐중사(官幣中社) | 국사현재사(国史現在社) | 와카야마현(和歌山県) 히가시무로군(東牟婁郡) 나치카쓰우라정(那智勝浦町) |
무나카타타이샤(宗像大社) | 무나카타 신사(宗像神社) | 관폐대사(官幣大社) | 명신대사(明神大社) | 후쿠오카현(福岡県) 무나카타시(宗像市) |
코라타이샤(高良大社) | 코라 신사(高良神社) | 국폐대사(国幣大社) | 명신대사(明神大社) | 후쿠오카현(福岡県) 구루메시(久留米市) |
3. 3. 과거에 다이샤를 칭했던 신사
신사 이름 | 신사의 격 | 延喜式 | 참고 |
---|---|---|---|
히카와 신사 | 관폐대사 | 명신대사 | 봉납물 가방에 "히카와 다이샤"라는 글자가 적혀 있다. |
히라노 신사 | 관폐대사 | 명신대사 | 과거에 신사 입구에 "히라노 다이샤"라고 적힌 표지판이 있었다. |
히라오카 신사 | 관폐대사 | 명신대사 | 히라오카 옛 역 앞에 "히라오카 다이샤"라고 적힌 표지판이 아직 남아 있다. |
이코마 신사 | 부현사 | 식내대사 | 일반적으로 오우마타이샤(往馬大社)라고 불린다. |
참조
[1]
웹사이트
Encyclopedia of Shinto詳細
https://d-museum.kok[...]
2023-04-10
[2]
서적
Kōjien
Iwanami
[3]
웹사이트
Myōjin taisha
http://eos.kokugakui[...]
2023-04-10
[4]
웹사이트
Myōjin taisha
https://d-museum.kok[...]
2023-04-10
[5]
문서
近代社格制度下における神社名
[6]
문서
現在の地名で表記
[7]
간행물
幽顕
出雲大社教務本庁
[8]
웹인용
Encyclopedia of Shinto詳細
https://d-museum.kok[...]
2023-04-10
[9]
서적
Kōjien
Iwanami
[10]
웹인용
Myōjin taisha
http://eos.kokugakui[...]
2023-04-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