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에이 유니언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이에이 유니언스는 1946년 창단되어 1958년 마이니치 오리온스와 합병된 일본 프로 야구팀이다. 골드 스타, 긴세이 스타스, 다이에이 스타스를 거쳐 다이에이 유니언스로 팀명을 변경했다. 1957년에는 퍼시픽 리그에서 최하위를 기록하여 구단주에 의해 소멸되었고, 이듬해 마이니치 오리온스와 합병되었다. 다이에이 유니언스는 쓰보우치 미치노리, 후지모토 사다요시, 마쓰키 겐지로가 감독을 맡았으며, 고라쿠엔 구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6년 설립된 야구팀 -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는 1946년 창단되어 여러 구단명 변경과 연고지 이전을 거쳐 2004년부터 홋카이도를 연고지로 하며, 1962년, 1981년, 2006년, 2007년, 2009년, 2012년, 2016년에 리그 우승, 1962년, 2006년, 2016년에 일본 시리즈 우승, 2006년에는 아시아 시리즈 우승을 기록한 일본 프로 야구 팀이다. - 1957년 해체된 야구팀 - 샌프란시스코 실스 (야구)
샌프란시스코 실스는 1903년 퍼시픽 코스트 리그 창립 멤버로 시작하여 1957년까지 샌프란시스코를 연고로 존속했던 미국의 프로 야구팀으로, 조 디마지오와 같은 유명 선수를 배출했으며, 전후 일본 야구계에 영향을 미친 일본 방문 경기를 가졌고, 뉴욕 자이언츠 이전으로 해체되었으나 대학 우드 배트 팀으로 재건되어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다. - 도쿄도의 야구팀 - 요미우리 자이언츠
쇼리키 마쓰타로가 1934년 창단한 요미우리 자이언츠는 일본 프로야구 센트럴 리그 소속의 명문 구단으로, 리그 우승 48회와 일본 시리즈 우승 22회를 기록하며 일본 프로야구를 대표하지만, 우승 경쟁, 선수 부상, 구단 내 갈등 등 어려움과 논란도 겪었다. - 도쿄도의 야구팀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는 1950년 창단되어 국철, 산케이 시대를 거쳐 야쿠르트가 인수 후 현재의 팀명으로 변경되었으며, 노무라 가쓰야 감독 시절을 포함하여 일본 시리즈 우승 6회를 기록하는 등 센트럴리그의 강팀으로, 독특한 응원 문화와 마스코트로도 유명하다.
다이에이 유니언스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구단 정보 | |
구단 이름 | 다이에이 유니언스 |
구단 이름 (영문) | Daiei Unions |
구단명 | 다이에이 유니언스 |
회사명 | 해당 없음 |
로고 | 해당 없음 |
가맹 단체 | 퍼시픽 리그(1군) 이스턴 리그(2군) |
설립 연도 | 1946년(1군) 1948년(2군) |
해단 연도 | 1957년 |
연고지 | 도쿄도(1952년 ~ 1957년) |
홈구장 | 고라쿠엔 구장 |
수용 인원 | 30,000명(고라쿠엔 구장) |
영구 결번 | 없음 |
구단주 | 나가타 마사이치(해체 당시) |
스폰서 | 다이에이(해체 당시) |
감독 | 마쓰키 겐지로(해체 당시) |
성적 | |
리그 우승 횟수 | 0 |
리그 우승 | 없음 |
플레이오프 | 0 |
시리즈 | 일본 시리즈 |
시리즈 우승 횟수 | 0 |
시리즈 우승 | 없음 |
시리즈 출장 횟수 | 0 |
시리즈 출장 | 없음 |
이전 구단명 | |
이전 구단명 | 골드 스타(1946년) 긴세이 스타스(1947년 ~ 1948년) 다이에이 스타스(1949년 ~ 1956년) 다카하시 유니온스를 흡수 합병 다이에이 유니온스(1957년) 마이니치 오리온스에 흡수 합병(1958년) |
이전 홈구장 | 해당 없음 |
마스코트 | 해당 없음 |
2. 구단의 역사
다이에이 유니언스는 1946년 창단된 골드 스타(ゴールドスター)를 전신으로 하는 일본 프로 야구 구단이다. 골드 스타는 1947년 긴세이 스타스(金星スターズ)로 팀명을 변경했으며, 1948년 말 영화사 다이에이에 인수되어 다이에이 스타스(大映スターズ)로 새롭게 출발했다.
1950년 일본 프로 야구가 양대 리그로 분열되면서 다이에이 스타스는 퍼시픽 리그에 합류했다. 이후 1957년에는 재정난을 겪던 다카하시 유니온스를 흡수 합병하여 다이에이 유니온스(大映ユニオンズ)가 되었다. 그러나 다이에이 유니온스라는 이름은 오래가지 못했다. 1958년 마이니치 오리온스와 합병하여 마이니치 다이에이 오리온스(毎日大映オリオンズ)가 되면서 구단 역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하게 되었다. 현재 이 구단의 역사를 잇는 지바 롯데 마린스는 다이에이 유니온스를 방계로 취급하며 공식 역사에는 포함하지 않고 있다.
2. 1. 골드 스타·긴세이 스타스 (1946년 ~ 1948년)
전쟁 중에 남아있던 아사히군의 선수들이 중심이 되어 1946년에 골드 스타(ゴールドスター)를 창단했다. 같은 해 2월 18일 일본 야구 연맹에 가맹했으며, 애칭은 '금성(긴세이)'으로 긴세이 골드 스타(金星ゴールドスター)라고도 불렸다. 스폰서는 다무라 고마지로(쇼치쿠 로빈스 계통의 스폰서)가 운영하던 나라현 고세시의 공장이었다.1947년 닉네임 제도가 도입되자 통칭이었던 '긴세이'를 사용하여 긴세이 스타스(金星スターズ)로 팀명을 변경했다. 1948년 2월 26일, 구단은 경영난으로 인해 이전 국민 야구 연맹의 오쓰카 어슬레틱스를 이끌었던 오쓰카 고노스케에게 250만엔에 매각되었다. 매각 후 연맹 소속 선수 8명이 새로 합류했으나, 구단명은 그대로 유지되었다.
이 시기, 벤치에 있던 선수들을 모아 긴세이 리틀 스타(金星リトルスターズ)라는 이름으로 팀을 운영했다. 이 팀은 전국을 순회하며 각지의 세미 프로 구단 및 비영리 팀들과 경기를 가졌다. 당시에는 팜(2군)의 본격적인 리그가 없었지만, 이는 팜을 1군과 분리시켜 운영하며 흥행에 성공한 첫 사례로 알려져 있다. 리틀 스타의 감독은 국민 야구 연맹의 구 유키 브레이브스 감독이었던 이시모토 슈이치가 맡았다.
2. 2. 다이에이 스타스 (1948년 ~ 1957년)
원래 다이에이는 주니치 드래곤스에서 퇴단한 아카미네 마사시와 그의 동료들을 영입하여 1948년 1월 10일 '다이에이 야구'라는 이름의 새로운 구단을 결성했다. 이 구단은 오쓰카 어슬레틱스와 함께 전국 순회 경기를 가졌으며, 이후 규에이 플라이어스의 경영에도 참여했다.그러던 중 1948년 12월 21일, 다이에이는 긴세이 스타스를 인수하여 공식적으로 '''다이에이 스타스'''(大映スターズ)를 창단했다. 이 인수로 인해 다이에이는 규에이 플라이어스의 경영에서 손을 떼게 되었고, 이전에 규에이로 보냈던 선수들을 다시 다이에이 스타스로 이적시켰다. '스타스'라는 팀명은 훗날 1973년 시즌 후 샌디에이고 파드레스가 워싱턴 D.C.로 연고지를 이전하려 할 때 새로운 팀명 후보로 고려되기도 했다.[1]
1950년 일본 프로 야구가 양대 리그로 분리되면서 다이에이 스타스는 퍼시픽 리그에 소속되었다. 당시 발행된 다이에이 본사의 '다이에이 십년사'에는 '빛나는 다이에이 스타스'라는 제목의 페이지가 포함되어, 구단에 대한 회사의 기대를 보여주었다.
2. 3. 다이에이 유니온스 (1957년)
1957년 2월 25일 이전, 경영난을 겪던 다카하시 유니온스를 흡수 합병하여 '''다이에이 유니온스'''(大映ユニオンズ)가 창단되었다. 이후 1958년 3월 10일에는 마이니치 오리온스와 합병하여 '''마이니치 다이에이 오리온스'''(毎日大映オリオンズ)가 되었다. 이 합병은 2004년 오사카 긴테쓰 버펄로스와 오릭스 블루웨이브가 합병하기 전까지 46년 동안 일본 프로 야구에서 유일한 구단 합병 사례였다.한편, 마이니치 다이에이 오리온스의 후신에 해당하는 지바 롯데 마린스는 구단 역사에서 다이에이 유니온스를 방계로 취급하며, 결성 연도나 기타 기록을 공식 역사에 포함하지 않고 있다.
3. 팀의 특징
전쟁 이전과 도중에 활동했던 선수들 중에는 주니치 드래건스의 외야수였던 쓰보우치 미치노리, 나중에 주니치로 복귀해 중심 타자가 된 니시자와 미치오, 이후 쇼치쿠 로빈스의 중심 타자가 된 고즈루 마코토와 이이지마 시게야,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주력 투수 빅토르 스타루힌, 일본 태생 선수로는 최초로 퍼시픽 리그에서 노히트 노런을 달성한 하야시 기이치 등이 있었다. 감독으로는 선수 겸임이었던 쓰보우치를 시작으로 후지모토 사다요시와 마쓰키 겐지로 등이 팀을 이끌었다.
4. 에피소드
(내용 없음)
4. 1. 팀 이름의 유래
- '''스타''': 다이에이가 영화사였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 아니라, 이전 구단주였던 나가타 마사이치가 경영했던 팀의 이름 '스타'를 그대로 사용한 것이다.
- '''유니언스''': 초대 구단주인 다카하시 료타로가 경영하던 대일본 맥주의 브랜드 중 하나인 '유니온 맥주'에서 따온 이름이다.
4. 2. 도난 소동
1946년 6월 1일, 쇼치쿠 로빈스(당시 팀명 퍼시픽)와의 3차전 경기를 앞두고 오전 10시에 선수단이 고라쿠엔 구장에 도착했다. 이때 감독인 쓰보우치 미치노리와 하시모토 사부로 구단 대표는 선수단 사물함에서 유니폼, 모자, 양말, 스파이크, 글러브, 배트 등 야구 용품 일체가 도난당한 것을 발견했다. 급히 도쿄 시내의 용품 가게를 찾아다녔지만, 전후 혼란기였기 때문에 제대로 된 용품을 구할 수 없었다. 결국 상대 팀 퍼시픽의 감독이었던 후지모토 사다요시에게 사정을 설명하고 남는 용품을 빌렸으며, 그래도 부족한 부분은 고라쿠엔 구장 직원 야구팀에게서 빌려야 했다. 선수들은 유니폼을 뒤집어 입고 경기에 나섰고, 경기는 가까스로 예정대로 열릴 수 있었다.4. 3. 구단 소멸
다카하시 유니온스를 합병한 다음 해인 1957년, 퍼시픽 리그는 7팀 체제가 되었다. 이로 인해 경기 당일 경기가 없는 팀이 발생하는 등 일정 편성에 어려움이 생기자, 당시 다이에이 유니언스의 구단주였던 나가타 마사이치는 "그 해 리그 최하위 팀을 소멸시켜 6팀 체제로 만들자"고 제안했다. 나가타는 당시 최하위를 맴돌던 긴테쓰 펄스가 소멸 대상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이러한 제안을 했으나, 예상과 달리 긴테쓰는 6위를 기록했고 정작 다이에이 유니언스가 최하위인 7위를 차지했다. 결국 나가타는 자신이 제안한 방침에 따라 스스로 구단주로 있던 다이에이 유니언스를 해체하게 되었다.4. 4. 니시쿄고쿠 구장
다이에이는 도쿄 도가 본거지였지만, 구단주 나가타 마사이치가 교토 출신이었고 다이에이가 교토 우즈마사에 촬영소를 두고 있었기 때문에 1954년부터 1957년까지 교토의 니시쿄고쿠 구장(현재의 와카사 스타디움 교토)에서도 일부 주최 공식 경기를 개최하였다.연도 | 경기 수 | 비고 |
---|---|---|
1954년 | 5경기 | |
1955년 | 15경기 | 준 본거지로 사용 |
1956년 | 4경기 | |
1957년 | 4경기 |
특히 1955년에는 15경기를 개최하며 준 본거지로 자리매김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후에는 고라쿠엔 구장과 고마자와 야구장에서의 경기 개최에 중점을 두면서 1956년과 1957년에는 각각 4경기 개최에 그쳤다.
5. 역대 감독
6. 팀 성적·기록
wikitext
기록 종류 | 내용/횟수 | 해당 연도 |
---|---|---|
A클래스 진입 | 3회 | 1949년 ~ 1950년, 1953년 |
B클래스 진입 | 9회 | 1946년 ~ 1948년, 1951년 ~ 1952년, 1954년 ~ 1957년 |
최다 승리 | 67승 | 1949년 |
최다 패배 | 94패 | 1956년 |
최다 무승부 | 8무 | 1951년 |
최고 승률 | .543 | 1953년 |
최저 승률 | .318 | 1957년 |
7. 기타 기록
wikitext
기록 | 내용 | 연도 |
---|---|---|
최소 경기 차이 | 6.5경기 | 1953년 |
최대 경기 차이 | 46경기 | 1954년, 1955년 |
최다 홈런 | 130개 | 1949년 |
최소 홈런 | 8개 | 1946년 |
최고 타율 | .272 | 1949년 |
최저 타율 | .213 | 1957년 |
최소 평균 자책점 (ERA) | 2.67 | 1953년 |
최대 평균 자책점 (ERA) | 4.15 | 1949년 |
8. 역대 홈구장
- 특정 본거지 없음(1946년 ~ 1947년)
- 고라쿠엔 구장(1948년 ~ 1957년)
- * 1955년에는 교토의 니시쿄고쿠 구장을 준 홈구장으로 사용하여 공식 경기를 치렀다. 또한 다이에이는 고라쿠엔 구장의 운영 회사인 고라쿠엔 스타디움과 자본 관계에 있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