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다카하시 다케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카하시 다케오는 일본의 전 축구 선수이자 지도자로, 1947년 도쿄에서 태어났다. 선수 시절에는 후루카와 전기, 도쿄 농업대학, 도시바 등에서 활약했으며, 1967년 일본 사커 리그 득점왕을 차지했다. 1966년부터 1970년까지 일본 국가대표팀으로 활동하며 14경기 4골을 기록했다. 은퇴 후에는 홋카이도 콘사돌레 삿포로의 감독을 맡아 팀을 1부 리그로 승격시켰고, 이후 도쿄 농업대학 감독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홋카이도 콘사돌레 삿포로의 축구 감독 - 이시이 하지메
    이시이 하지메는 1959년생 일본 축구 선수 출신 지도자로, 선수 시절 수비수로 활동했으며 은퇴 후 J리그 여러 클럽에서 감독, 코치, 테크니컬 디렉터 등을 역임했고 현재 노르데아 홋카이도의 GM 겸 총감독을 맡고 있다.
  • 홋카이도 콘사돌레 삿포로의 축구 감독 - 장외룡
    장외룡은 1980년대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한 왼쪽 풀백 출신 축구 선수이자 지도자로, K리그 우승과 아시아 클럽 챔피언십 우승을 경험했으며, 은퇴 후 K리그 감독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 1966년 아시안 게임 축구 참가 선수 - 야마구치 요시타다
    야마구치 요시타다는 일본의 전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에서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주장으로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선수 시절 히타치 제작소에서 원 클럽 플레이어로 활약했고, 은퇴 후에는 지도자와 후지에다 MYFC의 명예 감독을 역임하며 2007년 일본 축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1966년 아시안 게임 축구 참가 선수 - 이세연 (축구인)
    이세연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며, 프로 선수 경력과 국가대표 경력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
  • 도쿄 농업대학 동문 - 함인섭
    함인섭은 춘천농업대학 설립을 주도하고 제6대 농림부 장관을 지낸 교육자이자 정치인으로, 토지개혁 문제 해결에 힘썼으며 교육계에 헌신했다.
  • 도쿄 농업대학 동문 - 가네마루 신
    가네마루 신은 일본의 정치인으로, 중의원 의원 13선, 방위청 장관, 건설대신, 국토청 장관, 자민당 간사장, 부총리 등을 역임하며 다나카 가쿠에이, 다케시타 노보루와 함께 자민당의 주요 파벌을 이끌었으나 사가와큐빈 사건으로 정계를 은퇴했다.
다카하시 다케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다카하시 다케오
원어 이름高橋 武夫
로마자 표기Takahashi Takeo
출생일1947년 5월 13일
출생지도쿄도 시나가와구
신장174cm
포지션공격수
선수 경력
유소년 클럽가와구치 고등학교 (1963-1965)
도쿄 농업대학 (1974-1978)
클럽후루카와 전기 (1966-1973): 93경기 47득점
도시바 (1979-1982)
국가대표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1966-1970): 14경기 4득점
지도자 경력
감독홋카이도 콘사돌레 삿포로 (1987-1996)
수상 내역
소속팀 (후루카와 전기)일본 사커 리그 준우승 (1967)
소속팀 (도시바)JSL컵 우승 (1981)
국가대표 (일본)아시안 게임 동메달 (1966 방콕)

2. 선수 시절

사이타마 현립 가와구치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66년 후루카와 전기 축구부에 입단했다.[3] 입단 첫 해부터 주전 공격수로 활약하며 1967년 일본 사커 리그 준우승에 기여했고, 20세의 나이로 리그 득점왕과 베스트 11에 선정되었다.[5] 이는 일본 사커 리그 역대 최연소 득점왕 기록이었다.

1972년 경기 중 오른쪽 무릎 반월판 부상을 당해 수술을 받았으나, 후유증으로 이전과 같은 플레이를 펼치기 어려워졌다.[6] 1974년 도쿄 농업대학에 진학하여 선수 겸 코치로 활동하며 1975년 팀의 간토 대학 리그 1부 승격을 이끌었고, 1977년 천황배에서는 학생팀 유일의 8강 진출을 이끌었다.

1979년 가와부치 사부로의 권유로[6] 도시바 축구부에 입단하여 그 해 일본 리그 2부 우승을 경험했다. 1982년 은퇴했다.

1966년 아시안 게임을 앞두고 일본 A대표팀에 처음으로 발탁되어 12월 17일 태국과의 경기에서 국제 A매치 데뷔전을 치렀다.[2] 1970년 아시안 게임에도 출전하여 인도와의 경기에서 득점을 기록했다.[2] 1970년 아시안 게임 이후 대표팀 은퇴를 선언했으며, A매치 통산 14경기에서 4골을 기록했다.[2]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 대표팀 후보에 올랐으나 최종 명단에는 들지 못했다.


  • 일본 대표팀 첫 출장: 1966년 12월 17일 태국전 (방콕)
  • 일본 대표팀 첫 득점: 1966년 12월 19일 싱가포르전 (방콕)


국가대표팀 득점 기록
#연월일개최지대전국스코어결과경기 개요
11966년 12월 19일태국, 방콕싱가포르2-0승리아시안 게임
21970년 7월 31일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홍콩1-2패배머데카컵
31970년 8월 2일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대한민국1-1무승부머데카컵
41970년 12월 17일태국, 방콕인도1-0승리아시안 게임


2. 1. 클럽

사이타마 현립 가와구치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66년 후루카와 전기 축구부에 입단했다.[3] 입단 첫 해부터 주전 공격수로 활약하며 1967년 일본 사커 리그 준우승에 기여했고, 20세의 나이로 리그 득점왕과 베스트 11에 선정되었다.[5] 이는 일본 사커 리그 역대 최연소 득점왕 기록이었다.

1972년 경기 중 오른쪽 무릎 반월판 부상을 당해 수술을 받았으나, 후유증으로 이전과 같은 플레이를 펼치기 어려워졌다.[6] 1974년 도쿄 농업대학에 진학하여 선수 겸 코치로 활동하며 1975년 팀의 간토 대학 리그 1부 승격을 이끌었고, 1977년 천황배에서는 학생팀 유일의 8강 진출을 이끌었다.

1979년 가와부치 사부로의 권유로[6] 도시바 축구부에 입단하여 그 해 일본 리그 2부 우승을 경험했다. 1982년 은퇴했다.

2. 2. 국가대표팀

1966년 아시안 게임을 앞두고 일본 A대표팀에 처음으로 발탁되어 12월 17일 태국과의 6강 리그 A조 2차전에서 국제 A매치 데뷔전을 치렀다.[2] 1970년 아시안 게임에도 출전하여 인도와의 6강 A조 2차전에서 득점을 기록했다.[2] 1970년 아시안 게임 이후 대표팀 은퇴를 선언했으며, A매치 통산 14경기에서 4골을 기록했다.[2]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 대표팀 후보에 올랐으나 최종 명단에는 들지 못했다.

  • 일본 대표팀 첫 출장: 1966년 12월 17일 태국전 (방콕)
  • 일본 대표팀 첫 득점: 1966년 12월 19일 싱가포르전 (방콕)


국가대표팀 득점 기록
#연월일개최지대전국스코어결과경기 개요
11966년 12월 19일태국, 방콕싱가포르2-0승리아시안 게임
21970년 7월 31일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홍콩1-2패배머데카컵
31970년 8월 2일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대한민국1-1무승부머데카컵
41970년 12월 17일태국, 방콕인도1-0승리아시안 게임


3. 지도자 시절

1987년부터 1996년까지 9년 동안 친정팀인 콘사돌레 삿포로의 감독을 맡아 1989년 2부 리그 우승 및 1부 리그 승격을 지휘했다.[2]

연도소속클럽리그전컵전
순위경기승점승리무승부패배JSL컵천황배
1987JSL 2부・동도시바3위14208428강8강
JSL 2부・상위1418824
1988-89JSL 2부・동도시바우승1423950준우승1회전
JSL 2부・상위1421851
1989-90JSL 1부도시바9위222048108강8강
1990-91JSL 1부도시바4위22328862회전8강
1991-92JSL 1부도시바4위22307962회전8강
1992구 JFL 1부도시바5위1823657-1회전
1993구 JFL 1부도시바3위18-11-7-2회전
1994구 JFL도시바11위30-11-19-1회전
1995구 JFL도시바8위304615-15-1회전
1996구 JFL삿포로5위306220-10-3회전


4. 통계

일본리그전JSL컵천황배기간 통산
1966후루카와JSL106--106
19671315--1315
1968126--126
1969146--146
1970136--136
1971143--143
1972JSL 1부83--83
197392--92
1979도시바JSL 2부----
1980----
1981----
1982----
JSL 1부 통산93--93
JSL 2부 통산----



클럽 경력과 국가대표팀 경력은 하위 섹션에서 다루고 있으므로, 해당 표에서는 JSL 1, 2부 기록만 간략하게 표기하였다. 또한, JSL컵과 천황배 기록은 없으므로 표에서 제외했다.

4. 1. 클럽

다카하시는 1966년 후루카와 전기에 입단했다. 1967 시즌에는 15골을 기록하며 득점왕에 올랐다. 당시 20세였던 그는 일본 사커 리그 최연소 득점왕이었다.[6] 1973년 팀을 떠나 도쿄 농업대학에 진학했다. 도쿄 농업대학 졸업 후 1979년 2부 리그 클럽 도시바에 입단했다. 1979년, 도시바는 2부 리그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1982년 은퇴했다.

클럽 성적리그
시즌클럽리그출장득점
일본리그
1966후루카와 전기JSL 디비전 1106
19671315
1968126
1969146
1970136
1971143
197283
197392
합계9347


4. 2. 국가대표팀

연도출전
196621
196710
196820
196910
197083
합계144



1966년 12월, 다카하시는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에 선발되어 1966년 아시안 게임 축구에 참가했다.[1] 이 대회에서 12월 17일, 태국 축구 국가대표팀을 상대로 데뷔했다. 그는 또한 1970년 아시안 게임 축구에도 출전했다. 이 대회가 일본 대표팀에서의 마지막 경기였다. 1970년까지 일본 대표팀에서 14경기에 출전하여 4골을 기록했다.[1]

5. 수상

高橋 武夫|다카하시 다케오일본어는 1967년 일본 사커 리그에서 득점왕, 베스트 11, 투혼상을 받았다.[4]

5. 1. 개인

高橋 武夫|다카하시 다케오일본어는 1967년 일본 사커 리그에서 득점왕, 베스트 11, 투혼상을 받았다.[4]

참조

[1] 웹사이트 Japan National Football Team Database http://www.jfootball[...]
[2] 뉴스 高橋 武夫 http://www.jfootball[...]
[3] 간행물 週刊サッカーマガジン 2008-11-18
[4] 문서 グッドデザイン賞を受賞した「エバーウエア」シリーズで名を馳せていたが、現在は廃業。
[5] 잡지 サッカーダイジェスト 日本スポーツ企画出版社 1984-11
[6] 간행물 週刊サッカーマガジン 2008-11-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