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와부치 사부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와부치 사부로는 일본의 축구 선수, 지도자, 행정가이다. 선수 시절에는 후루카와 전기에서 활약했으며,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1964년 도쿄 올림픽에 출전했다. 은퇴 후에는 후루카와 전기의 코치와 감독을 역임했고, 1991년부터 2001년까지 J리그 의장, 2002년부터 2008년까지 일본 축구 협회 회장을 지내며 일본 축구 발전에 기여했다. 그는 J리그 출범을 주도하고 2002년 FIFA 월드컵 한일 공동 개최를 성공적으로 이끌었으나, J리그 회장 재임 시절 요코하마 플뤼겔스와 요코하마 마리노스의 합병과 2006년 FIFA 월드컵 일본 대표팀의 부진, 협회 운영 방식에 대한 비판을 받기도 했다. 또한 2020년 도쿄 올림픽 조직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했으며, 2015년부터 2016년까지 일본 농구 협회 회장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욱일장 수훈자 - 카가 오토히코
가가 오토히코는 일본의 소설가이자 정신과 의사로, 도쿄대학교 의학부에서 정신의학과 범죄학을 전공하고 등단 후 활발한 작품 활동을 펼쳤으며, 사형폐지론을 주장하며 사회 문제에 대한 관심을 촉구하고 일본예술원 회원 및 문화공로자로 선정되었다. - 욱일장 수훈자 - 에드바르트 리츠시미그위
에드바르트 리츠시미그위는 제1차 세계 대전과 폴란드-소비에트 전쟁에 참전하고 폴란드 군부총감을 역임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군에 패배하여 루마니아로 탈출 후 사망했다. - 1962년 아시안 게임 축구 참가 선수 - 박경화 (축구인)
박경화는 축구인이며, 오빠는 박경호이고 남편은 민동진이다. - 1962년 아시안 게임 축구 참가 선수 - 호사카 쓰카사
호사카 쓰카사는 일본의 축구 선수 출신 지도자로, 골키퍼로서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한 후 고후 SC 감독을 역임했으며, 정계에도 진출하여 야마나시현 의회 의원 및 의장을 지내고 료칸 회장을 역임했다. -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필리프 트루시에
필리프 트루시에는 프랑스 출신 축구 감독으로, 아프리카와 아시아 여러 국가에서 클럽 및 국가대표팀을 지휘하며 성공과 실패를 모두 경험했으며, 플랫 스리 전술과 젊은 선수 기용을 특징으로 하지만 독선적인 리더십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나가누마 겐
나가누마 겐은 일본의 축구 선수, 감독, 행정가로, 선수로서는 올림픽에 출전하고, 감독으로서는 올림픽 메달을 획득했으며, 행정가로서 일본 축구 발전에 기여했다.
| 가와부치 사부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가와부치 사부로 |
| 원어 이름 | 川淵 三郎 |
| 로마자 표기 | Kawabuchi Saburō |
| 출생일 | 1936년 12월 3일 |
| 출생지 | 일본 오사카부 다카이시시 |
| 신장 | 172 cm (현역 시절) |
| 체중 | 72 kg (현역 시절) |
| 선수 정보 | |
| 포지션 | 미드필더, 공격수 (은퇴) |
| 주발 | 오른발 |
| 유소년 클럽 | 오사카부립 미쿠니가오카 고등학교 (1952-1954) 와세다 대학 (1957-1960) |
| 클럽 | 고후쿠 전공 (1961-1970) |
| 출장 및 득점 | 68경기 10골 |
| 국가대표팀 |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1958-1965) |
| 국가대표팀 출장 및 득점 | 26경기 8골 |
| 감독 정보 | |
| 감독 경력 | 고후쿠 전공 (Assistant, 1970-1971) 고후쿠 전공 (1972-1975)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1980-1981) |
| 수상 | |
| 소속팀 | 고후쿠 전공 |
| 준우승 | 일본 사커 리그 1967 |
| 우승 | 천황배 1961 천황배 1964 |
| 준우승 | 천황배 1962 |
2. 선수 경력
가와부치 사부로는 1957년 와세다 대학교 제2상학부 상학과에 진학하여 와세다 대학 아식 축구부에서 선수로 활약하며 간토 대학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1958년 일본 대표팀에 처음 발탁되었고, 1959년 로마 올림픽 아시아 예선, 1960년 제7회 칠레 월드컵 아시아 예선에 출전했다. 1961년 와세다 대학교 졸업 후 후루카와 전기 공업에 입사하여 후루카와 전기 공업 축구부에서 선수 생활을 이어갔다.
1962년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개최된 제4회 아시안 게임에 출전하였고, 1964년 도쿄 올림픽에 일본 대표팀으로 출전하여 아르헨티나전에서 골을 기록했다.[24] 고등학교 시절 요시오카 타스쿠에게 지도를 받아 연극에 몰두하며 NHK 오사카 방송국에서 방송극에 출연하기도 했다.[24] 야구부에도 소속되었고, 다카이시 초등학교 초대 학생회장을 역임했다.[24]
오사카부립 미쿠니가오카 고등학교 축구부 시절, 부원 부족으로 팀을 떠나려 했으나 "축구라면, 시합 원정으로 여러 곳에 갈 수 있다"라는 설득에 잔류했다.[25] 와세다 대학교 아식 축구부 시절, 홍콩의 크리켓 컨트리 클럽의 잔디와 독일 뒤스부르크의 스포츠슐레 환경에 놀라며 일본 축구의 현실을 깨달았다. 데트마어 크라머 코치의 지도를 받으며 성장했다.
2. 1. 클럽 경력
1961년 제프 유나이티드 지바의 전신인 후루카와 전기 공업 축구부에 입단하여 1970년 은퇴할 때까지 활약했다. 1965년 일본 사커 리그에서 나고야 웨스트를 상대로 해트트릭을 기록했고,[2] 1966년 일본 사커 리그 어시스트상을 수상했다. 일본 사커 리그 1회 준우승, 천황배 2회 우승 및 1회 준우승에 기여했다.| 일본 | 리그전 | JSL컵 | 천황배 | 기간 통산 | ||||||||
|---|---|---|---|---|---|---|---|---|---|---|---|---|
| 1965 | 후루카와 | JSL | 14 | 3 | - | 14 | 3 | |||||
| 1966 | 14 | 4 | - | 14 | 4 | |||||||
| 1967 | 14 | 1 | - | - | 14 | 1 | ||||||
| 1968 | 14 | 1 | - | - | 14 | 1 | ||||||
| 1969 | 12 | 1 | - | 1 | 13 | 2 | ||||||
| 1970 | 0 | 0 | - | 0 | 0 | |||||||
| 총 통산 | 68 | 10 | - | 68 | 10 | |||||||
일본 사커 리그 개막 이후만.
2. 2. 국가대표팀 경력
가와부치 사부로는 1958년 12월 25일 홍콩과의 경기에서 국제 A매치 데뷔전을 치렀고, 이 경기에서 멀티골을 기록하며 맹활약했다.[1][3] 1962년 아시안 게임에 출전했으나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 1964년 도쿄 올림픽에서는 아르헨티나와의 조별리그 2차전에서 동점골을 터뜨려 팀 승리와 함께 8강 진출의 발판을 마련했다.[1] 1965년까지 국가대표팀 유니폼을 입고 A매치 통산 26경기 8골을 기록했다.[3]| No. | 개최일 | 개최 도시 | 경기장 | 상대 | 결과 | 감독 | 대회 |
|---|---|---|---|---|---|---|---|
| 1 | 1958년 12월 25일 | 홍콩 | 홍콩 | ●2-5 | 다케코시 시게마루 | 국제 친선 경기 | |
| 2 | 1958년 12월 28일 | 쿠알라룸푸르 | 말라야 | ●2-6 | 국제 친선 경기 | ||
| 3 | 1959년 1월 4일 | 페낭 | 말라야 | ○3-1 | 국제 친선 경기 | ||
| 4 | 1959년 1월 10일 | 싱가포르 | 싱가포르 | ○4-3 | 국제 친선 경기 | ||
| 5 | 1959년 1월 11일 | 싱가포르 | 싱가포르 | ●2-3 | 국제 친선 경기 | ||
| 6 | 1959년 8월 31일 | 쿠알라룸푸르 | 홍콩 | △1-1(연장) | 메르데카 대회 | ||
| 7 | 1959년 9월 2일 | 쿠알라룸푸르 | 홍콩 | ●2-4 | 메르데카 대회 | ||
| 8 | 1959년 9월 3일 | 쿠알라룸푸르 | 싱가포르 | ○4-1 | 메르데카 대회 | ||
| 9 | 1959년 9월 5일 | 쿠알라룸푸르 | 대한민국 | △0-0 | 메르데카 대회 | ||
| 10 | 1959년 9월 6일 | 쿠알라룸푸르 | 대한민국 | ●1-3 | 메르데카 대회 | ||
| 11 | 1959년 12월 20일 | 도쿄도 | 고라쿠엔 경륜장 | 대한민국 | ○1-0 | 올림픽 예선 | |
| 12 | 1960년 11월 6일 | 서울 | 대한민국 | ●1-2 | 데트마어 크라머 (코치) | 월드컵 예선 | |
| 13 | 1961년 5월 28일 | 도쿄도 | 국립 가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 | 말라야 | ○3-2 | 다카하시 에이신 | 국제 친선 경기 |
| 14 | 1961년 8월 2일 | 쿠알라룸푸르 | 말라야 | ●2-3 | 메르데카 대회 | ||
| 15 | 1961년 8월 6일 | 쿠알라룸푸르 | 인도 | ○3-1 | 메르데카 대회 | ||
| 16 | 1961년 8월 10일 | 쿠알라룸푸르 | 남베트남 | ●2-3 | 메르데카 대회 | ||
| 17 | 1961년 8월 15일 | 싱가포르 | 인도네시아 | ●0-2 | 국제 친선 경기 | ||
| 18 | 1961년 11월 28일 | 도쿄도 | 국립 가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 | 유고슬라비아 | ●0-1 | 국제 친선 경기 | |
| 19 | 1962년 8월 25일 | 인도네시아 | 태국 | ○3-1 | 아시안 게임 | ||
| 20 | 1962년 8월 29일 | 인도네시아 | 인도 | ●0-2 | 아시안 게임 | ||
| 21 | 1962년 8월 30일 | 인도네시아 | 대한민국 | ●0-1 | 아시안 게임 | ||
| 22 | 1962년 9월 8일 | 쿠알라룸푸르 | 말라야 | △2-2 | 메르데카 대회 | ||
| 23 | 1962년 9월 12일 | 쿠알라룸푸르 | 파키스탄 | △1-1 | 메르데카 대회 | ||
| 24 | 1962년 9월 15일 | 쿠알라룸푸르 | 버마 | ●1-3 | 메르데카 대회 | ||
| 25 | 1965년 3월 14일 | 홍콩 | 홍콩 | ○2-1 | 나가누마 겐 | 국제 친선 경기 | |
| 26 | 1965년 3월 22일 | 양곤 | 버마 | △1-1 | 국제 친선 경기 |
| No. | 연월일 | 개최지 | 대전 국가 | 스코어 | 결과 | 경기 개요 |
|---|---|---|---|---|---|---|
| 1 | 1958년 12월 25일 | 홍콩 | 홍콩 | 2-5 | 패배 | 친선 경기 |
| 2 | 1958년 12월 25일 | 홍콩 | 홍콩 | 2-5 | 패배 | 친선 경기 |
| 3 | 1959년 1월 4일 | 말라야 연방, 페낭 | 말라야 연방 | 3-1 | 승리 | 친선 경기 |
| 4 | 1959년 1월 10일 | 싱가포르 | 싱가포르 | 4-3 | 승리 | 친선 경기 |
| 5 | 1959년 1월 11일 | 싱가포르 | 싱가포르 | 2-3 | 패배 | 친선 경기 |
| 6 | 1961년 5월 28일 | 일본, 도쿄 | 말라야 연방 | 3-2 | 승리 | 친선 경기 |
| 7 | 1962년 9월 8일 | 말라야 연방, 쿠알라룸푸르 | 말라야 연방 | 2-2 | 무승부 | 메르데카 대회 |
| 8 | 1962년 9월 15일 | 말라야 연방, 쿠알라룸푸르 | 버마 | 1-3 | 패배 | 메르데카 대회 |
| 연도 | 출장 | 골 |
|---|---|---|
| 1958 | 2 | 2 |
| 1959 | 9 | 3 |
| 1960 | 1 | 0 |
| 1961 | 6 | 1 |
| 1962 | 6 | 2 |
| 1963 | 0 | 0 |
| 1964 | 0 | 0 |
| 1965 | 2 | 0 |
| 통산 | 26 | 8 |
1970년 현역에서 은퇴한 후 후루카와 전기의 코치로 지도자 생활을 시작했다.[15] 1973년부터 1975년까지는 후루카와 전기의 감독을 역임했다.[15] 1980년에는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을 맡아 1982년 FIFA 월드컵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예선을 지휘했지만, 본선 진출에는 실패했다.[15]
1970년 은퇴 후 제프 유나이티드 지바의 코치로 지도자 경력을 시작했고, 1973년 감독으로 승격하여 1975년까지 팀을 이끌었다. 1980년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을 맡아 1982년 FIFA 월드컵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예선을 이끌었지만, 본선 진출에는 실패했다.[4]
3. 지도자 경력
가와부치 사부로의 감독 경력은 다음 표와 같다.연도 소속 클럽 순위 경기 승점 승리 무승부 패전 JSL컵 천황배 1973 JSL 후루카와 5위 18 21 9 3 6 예선 탈락 8강 1974 JSL 후루카와 4위 18 19 7 5 6 - 1회전 1975 JSL 후루카와 6위 18 17 6 5 7 - 8강
4. 행정가 경력
가와부치 사부로의 운영 수완은 독재적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기노모토 고조는 『주간 포스트』 2007년 9월 14일호에 가와부치를 비판하는 글을 기고했는데, 협회 운영이 가와부치의 독단으로 이루어지고, 대표팀 감독 선출이 독재적이며, 자신 외의 공로자를 잘라내는 행위가 있다는 점 등을 주장했다.
J리그 회장 재임 중에는 "클럽별 수지를 공표한다"고 각 클럽 사장들과 약속했다. 처음에는 클럽팀들의 반발이 심했지만, 요코하마 F의 합병을 계기로 자문위원회가 만들어졌고, "5년 후에는 모든 숫자를 공개한다"는 데 대해 전 실행위원의 승인을 얻게 되었다. 최종적으로 2005년부터 J리그의 팀별 경영 정보 공개가 이루어지고 있다.
4. 1. J리그 출범 및 회장
1991년부터 2001년까지 J리그 의장을 역임하였다. 당시 축구 관련 인물이나 기업 등 환경적인 측면에서 프로 리그 설립 준비가 충분하지 않았고, 급격한 변화에 발맞추지 못한 면도 있었다. 일본 축구 협회(JFA)에도 해당되었고, 결과적으로 발족한 지 얼마 안 된 J리그의 운영은 암중모색이 되었으며, 협회를 통괄하는 회장의 권한이 "독재적"이 되는 것은 당연한 귀결이었고, 현재에도 안고 있는 문제이다.[43]
4. 2. 일본 축구 협회 회장
2002년부터 2008년까지 일본 축구 협회의 10대 회장을 역임했다.[43] 회장 재임 기간 동안 2002년 FIFA 월드컵을 대한민국과 공동 개최하여 성공적으로 이끌었으며, 일본 축구 역사상 첫 월드컵 16강 진출에 힘을 보탰다.
일본 축구 협회 회장에 취임한 후 "친근한 존재, 열린 축구 협회를 만들고 싶다"라는 자신의 의향에 따라, '회장' 대신 '캡틴'이라는 호칭을 사용했다.[43] '캡틴'이라는 호칭은 "방향을 제시하는 역할"이라는 의미로 채택되었다. 대부분의 매체와 공식 행사에서 '캡틴'으로 표기되었지만, NHK에서는 '가와부치 회장'으로 표기했다.
2008년 7월, 가와부치는 회장(캡틴)에서 물러나 명예 회장이 되었고, 후임 이누카이 모토아키는 '캡틴'이라는 호칭을 사용하지 않았다.[44] 가와부치는 이에 대해 "캡틴이라는 호칭은 나 한 사람으로 끝이다"라고 말했다.[44]
가와부치 사부로가 회장으로 재직할 당시 요코하마 플뤼겔스(요코하마 F)와 요코하마 마리노스의 합병(사실상 소멸)이 최대 오점으로 꼽힌다. 당시 J리그의 인기 하락과 불경기로 인해 스포츠 클럽들은 모회사에게 큰 부담이었고, 요코하마 F의 문제는 이미 결정된 사안이었다. 이에 요코하마 F 서포터들은 가와부치 회장과 직접 담판을 짓기도 했다.
이 합병은 닛산 자동차와 전일본공수(全日空) 양사 사장의 체면을 구기는 결과가 될 수 있었고, 요코하마 F를 발단으로 한 클럽의 연쇄 소멸이라는 최악의 시나리오가 발생할 가능성도 있었다. 가와부치는 이 합병에 대해 "회장 재직 시 최대의 위기였다"고 회상했다.
4. 3. 기타 경력
2002년 FIFA 월드컵 일본 유치 위원회 실행부 위원장과 일본 유치 위원회 부회장을 역임하며 일본 축구 역사상 첫 월드컵 16강 진출에 힘을 보탰다.[4] 2015년부터 2016년까지 일본 농구 협회 회장직을 지냈다.[4] 2020년 하계 올림픽 및 2020년 하계 패럴림픽 조직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했으며,[4] 2021년 2월 여성비하 발언으로 여론의 비난을 받으며 물러난 모리 요시로 전 총리로부터 위원장직을 승계할 것을 요청받았으나 거절했다.[4]
5. 논란
2002년 필립 트루시에 감독 퇴임 후, 축구 일본 대표팀 감독 선출 과정에서 브루노 메추, 아르센 벵거 등이 후보로 거론되었으나 지쿠는 후보에 없었다. 가와부치 사부로는 2002년 FIFA 월드컵에서 지쿠의 논평에 주목하여 그를 감독 후보로 제안했고, 지쿠도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 대표팀 감독에 취임했다.
하지만 이러한 가와부치의 결정은 2006년 FIFA 월드컵에서 일본 대표팀이 역전패하고 조별 리그에서 탈락하면서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지쿠는 일본 축구 역사상 처음으로 4년간 단일 감독으로 대표팀을 이끌며 아시아 예선을 자력으로 통과한 감독이기도 하다.
5. 1. 여성 비하 발언 논란
2020년 하계 올림픽 및 2020년 하계 패럴림픽 조직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했으며, 2021년 2월 여성 비하 발언으로 여론의 비난을 받아 사임한 모리 요시로 전 총리로부터 위원장직 승계를 요청받았으나 거절하였다.[3]6. 수상 내역
가와부치 사부로는 선수 시절과 행정가로서 많은 상을 받았다. 선수 시절에는 1967년 JSL 어시스트왕 실버볼 상을 수상했다. 행정가로서는 1993년 제4회 동양경제상을 시작으로, FIFA 공로상(2006년), 문화 훈장(2023년) 등 다양한 상을 받았다.[5][6][7]
2006년 FIFA 월드컵 이후, 인터넷 상에서 가와부치 사부로 회장의 해임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졌다. 2006년 8월 9일, 국립 경기장에서 열린 트리니다드 토바고와의 친선 경기 전후에는 400~500명의 사람들이 가와부치 회장의 해임을 요구하는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6. 1. 선수
| 연도 | 수상 |
|---|---|
| 1966년 | 일본 사커 리그 실버 볼 (어시스트 리더) |
| 1967년 | JSL 어시스트왕 실버볼상 |
6. 2. 행정가
가와부치 사부로는 축구 선수 은퇴 이후, 다양한 행정 분야에서 활동하며 여러 상을 받았다.| 연도 | 수상 내역 |
|---|---|
| 1993년 | 동양경제상 |
| 1994년 | 경제계대상 특별상, 일본스포츠상, 일본 프로스포츠 진흥상, 문부성 스포츠 공로상, 아사히 스포츠상, 제36회 경영자상, 제6회 일본 페어플레이상 |
| 2003년 | 일본PR대상 퍼슨 오브 더 이어 |
| 2005년 | AFC 어워드 제1회 다이아몬드 오브 아시아상 |
| 2006년 | FIFA 공로상 |
| 2008년 | 명예 도민, 일본 축구 전당, 일본 잔디 문화 대상 |
| 2009년 | 욱일중수장[5] |
| 2015년 | 문화공로자[6] |
| 2016년 | 올림픽 공로상 (Olympic Order) |
| 2017년 | BREAK THE BORDER상 |
| 2019년 | 일본 체육 대학명예 박사 칭호 |
| 2023년 | 문화 훈장[7] |
2006년 FIFA 월드컵 이후, 인터넷 상에서 가와부치 사부로 회장의 해임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졌다. 2006년 8월 9일, 국립 경기장에서 열린 트리니다드 토바고와의 친선 경기 전후에는 400~500명의 사람들이 가와부치 회장의 해임을 요구하는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7. 어록
"J리그에 요미우리 자이언츠는 필요 없다."
"시기상조라고 말하는 사람은 100년이 지나도 시기상조라고 말한다. 전례가 없다고 말하는 사람은 200년이 지나도 전례가 없다고 말한다."
"할 수 없는 것에 도전하여, 할 수 있도록 만든다. 그것을 일이라고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Saburo Kawabuchi
https://web.archive.[...]
[2]
웹사이트
Japan Soccer League 1965
http://homepage1.nif[...]
2015-09-11
[3]
웹사이트
Japan National Football Team Database
http://www.jfootball[...]
[4]
웹사이트
Tokyo Olympics head quits over sexism row with no successor in sight
https://english.kyod[...]
교도 News
2021-02-12
[5]
웹사이트
KAWABUCHI Saburo
https://www.jfa.jp/e[...]
2024-02-21
[6]
웹사이트
川淵三郎最高顧問が2015年度の文化功労者に顕彰
https://www.jfa.jp/a[...]
2024-04-26
[7]
웹사이트
塩野七生さんら7人文化勲章=功労者に北大路欣也さんら
https://www.jiji.com[...]
2023-10-21
[8]
뉴스
「記憶に残る選手村に」 川淵三郎村長インタビュー―東京五輪・パラ
https://www.jiji.com[...]
時事通信
2020-11-27
[9]
웹사이트
組織・役員
http://japantopleagu[...]
[10]
웹사이트
公益財団法人日本バスケットボール協会(JBA) 三屋裕子会長体制が始動 -川淵三郎 前会長はJBAエグゼクティブアドバイザーに就任-
http://www.japanbask[...]
日本バスケットボール協会
2016-06-25
[11]
간행물
川淵 三郎名誉顧問 就任挨拶 *日本のスポーツ界を変える可能性がある*
https://jcleague.jp/[...]
2022-03-07
[12]
웹사이트
Mリーグ発足のお知らせ
https://m-league.jp/[...]
[13]
뉴스
川淵氏、猪瀬氏選対本部長就任で吠えた
https://www.daily.co[...]
[14]
뉴스
日本サッカー協会最高顧問の川淵三郎氏が首都大学東京の理事長就任
https://www.soccer-k[...]
[15]
웹사이트
川淵三郎氏、日本バスケット界改革タスクフォースのチェアマンに就任
https://www.soccer-k[...]
株式会社フロムワン
2015-01-29
[16]
뉴스
バスケ男子の新リーグ、24チームが申請 参加受け付け初日
https://www.nikkei.c[...]
2015-04-03
[17]
웹사이트
公益財団法人日本バスケットボール協会 新会長に川淵三郎、専務理事/事務総長に大河正明が就任
http://www.japanbask[...]
日本バスケットボール協会
2015-05-13
[18]
뉴스
日本トップリーグ新会長 サッカー川淵最高顧問を選出
https://www.sponichi[...]
[19]
뉴스
首都大東京理事長に前千葉商大学長の島田氏
https://www.nikkei.c[...]
[20]
뉴스
佐々木則夫氏が日本協会新理事、川淵三郎氏は相談役
https://www.nikkansp[...]
[21]
뉴스
麻雀プロリーグMリーグ発足、最高顧問は川淵三郎氏
https://www.nikkansp[...]
[22]
웹사이트
設立時役員等候補の選任について
https://www.mext.go.[...]
[23]
뉴스
五輪選手村、川淵氏を村長に 代行は講道館長の上村氏
https://www.nikkei.c[...]
日経電子版
2019-12-19
[24]
뉴스
時代の証言者 川淵三郎 3
読売新聞
2022-08-31
[25]
뉴스
時代の証言者 川淵三郎 4
読売新聞
2022-09-01
[26]
간행물
30代の軌跡 川淵三郎
光文社
2001-07-16
[27]
웹사이트
私の履歴書 川淵三郎
http://fc40.wablog.c[...]
[28]
서적
「ダイヤモンド・サッカー」の時代
에크스나레지
2008
[29]
서적
フットボールサミット第1回
칸젠
2010-11-19
[30]
문서
頼むさかい、日本サッカーリーグの選手らに満員の国立でプレーさせてやってや。ファン代表・明石家さんま
[31]
웹사이트
今週の週刊ポスト-soccerundergroundブログ 2007年8月31日
https://megalodon.jp[...]
[32]
뉴스
川淵三郎 我が道
스포츠니폰
2014-10-25
[33]
웹사이트
第10回 かくして「地域密着」は常識になった(川淵三郎)
https://www.ninomiya[...]
2013-05-28
[34]
웹사이트
ヴァンフォーレ甲府が地域にもたらす幸福感~存続危機から20年を振り返る
https://www.yafo.or.[...]
2020-06-30
[35]
웹사이트
堺の魅力を発信 「堺名誉大使」「堺親善大使」
http://www.city.saka[...]
[36]
뉴스
“虎のビッグボス”はフランス野球の父であり、日本サッカーの父だった/吉田義男氏編1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新聞社
2022-06-13
[37]
웹사이트
Bリーグを創った男たち 今だから明かせる「改革」のポイント
https://news.yahoo.c[...]
[38]
웹사이트
大神「リオ五輪が具体的な目標です」女子バスケ代表が川淵三郎と意見交換
https://sports.yahoo[...]
2015-02-25
[39]
서적
B.LEAGUE(Bリーグ)誕生 日本スポーツビジネス秘史
2021-01
[40]
웹사이트
「BREAK THE BORDER賞」を受賞の川淵三郎氏、選手たちに呼びかけ「面白いコメントを」
https://basketballki[...]
2017-06-01
[41]
웹사이트
川淵会長大号令「メダルを狙え!」
https://www.daily.co[...]
2015-09-07
[42]
웹사이트
女子バスケの銀メダル快挙に川淵三郎前会長も涙 コロナ収束後に川淵氏から“高級プレゼント”
https://hochi.news/a[...]
2021-08-09
[43]
문서
応募した人は二宮清純や広瀬道貞(テレビ朝日社長)、増島みどり(フリーライター)、竹内達朗(スポーツ報知記者)等
[44]
뉴스
川淵氏退任で「キャプテンはオレ1代」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45]
웹사이트
national-football-teams.com
https://www.national[...]
[46]
웹사이트
jfootball-db.com
http://www.jfootball[...]
[47]
뉴스
国立1号決めた川淵氏 ラストに感慨「いい試合を」
https://www.sponichi[...]
スポーツニッポン
2014-03-05
[48]
문서
JFAの藤田静夫元会長に続き、日本人では2人目
[49]
웹사이트
第1回(平成20年) 日本芝生文化大賞は日本サッカー協会キャプテンの川淵三郎氏に授与されました。
https://sites.google[...]
日本芝生学会
[50]
웹사이트
秋の叙勲、川淵氏ら4024人に/旭日大綬章に張氏
https://www.shikoku-[...]
四国新聞社
2023-04-14
[51]
웹사이트
文化勲章、ノーベル賞2氏や仲代達矢さんら7人
http://www.yomiuri.c[...]
YOMIURI ONLINE
2023-03-25
[52]
뉴스
川淵三郎氏と小野清子氏に功労章、五輪発展に寄与
https://www.nikkansp[...]
2016-10-20
[53]
웹사이트
川淵 三郎 氏 (日本サッカー協会相談役)へ名誉博士称号を授与いたしました
https://www.nittai.a[...]
日本体育大学公式ホームページ
[54]
뉴스
文化勲章に川淵三郎氏ら7人決まる、文化功労者は北大路欣也さんら20人に
https://www.asahi.co[...]
2023-10-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