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단다나칸 전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단다나칸 전투는 1040년 5월 23일, 셀주크 제국과 가즈나 왕조 사이에 벌어진 전투이다. 셀주크 세력의 지도자 투으룰 벡과 차그리 벡은 가즈나 왕조의 영토를 위협했고, 가즈나 왕조의 술탄 마수드 1세는 이를 격퇴하려 했다. 전투에서 셀주크군은 게릴라 전술을 사용하여 가즈나 왕조 군대의 사기를 저하시켰고, 결국 단다나칸에서 가즈나 왕조 군대를 격파했다. 이 승리로 셀주크 세력은 호라산 지역을 장악하고, 셀주크 제국을 건국하는 계기를 마련했으며, 가즈나 왕조는 쇠퇴의 길을 걷게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즈나 제국 - 가즈나 왕조
    가즈나 왕조는 963년 사부크티긴이 건국하여 마흐무드 시대에 전성기를 누렸으나 셀주크 제국의 부상과 내부 분열로 쇠퇴하여 구르 왕조에 의해 멸망했지만, 페르시아 문화를 수용하고 이슬람의 인도 전파에 기여했다.
  • 가즈나 제국 - 샤나메
    《샤나메》는 페르도시가 약 30년에 걸쳐 완성한 페르시아의 서사시로, 이란의 역사와 문화를 담고 있으며, 영웅들의 이야기와 주요 인물의 죽음을 통해 드러나는 '탄식'의 장면이 특징이고, 페르시아 문학, 페르시아어 발전, 주변 문화권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단다나칸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전투 개요
단다나칸 전투 삽화
단다나칸 전투 삽화. "Tārīkh-i Abū’l-Khair Khānī" (아부 알-카이르 칸의 역사) 원고에서 발췌. 베루니 연구소 소장, 타슈켄트 ms. no. 9989. 사마르칸트에서 1543년에 작성된 원고.
전투명단다나칸 전투
분쟁의 일부셀주크-가즈나비드 전쟁
날짜1040년 5월 23일
장소메르브 근처 단다나칸
결과셀주크 제국의 승리
교전 세력
교전국 1가즈나 제국
교전국 2셀주크 튀르크
지휘관 및 지도자
가즈나 왕조마수드 1세
셀주크 제국차그리 베그
투그릴 베그
아부 만수르 파라만즈
병력 규모
가즈나 왕조16,000–50,000명
전투 코끼리 100–300마리
셀주크 제국16,000명
사상자 및 피해
가즈나 왕조알 수 없음, 상당한 피해 추정
셀주크 제국알 수 없음

2. 배경

셀주크 세력의 족장 투그릴 베그와 그의 형 차그리 벡이 봉기하자, 가즈나 왕조는 그들의 영역에 대한 위협을 느꼈다. 셀주크 군이 국경 도시들을 공격하자, 가즈나 왕조의 술탄 마수드 1세(마흐무드의 아들)는 셀주크족을 가즈나 왕조 영역에서 몰아내기로 결정했다.

2. 1. 가즈나 왕조의 쇠퇴와 셀주크 세력의 등장

셀주크 세력의 지도자인 투그룰 벡과 그의 형제 차그리 벡의 세력이 강해지자, 그들은 가즈나 왕조의 영토에 위협을 시작했다. 셀주크 세력의 약탈자들이 가즈나 왕조의 국경 도시들을 약탈하기 시작하자 가즈나 왕조의 술탄 마수드 1세(가즈니의 마흐무드의 아들)는 셀주크 세력을 그의 영토에서 쫓아내기로 결심했다.

1034년 카라한 왕조에 의해 트란소크사니아에서 쫓겨난 셀주크족은 가즈나 왕조의 총독 하룬의 후원 아래 호라즘에 정착했다.[1] 1035년 하룬이 살해당하자 셀주크족은 카라쿰 사막을 거쳐 메르브로 도망쳐야 했지만, 대신 호라산 변두리의 나사로 향했다.[2] 이러한 위협을 들은 마수드 1세는 일투그디를 대규모 군대와 함께 나사로 보냈다.[3] 처음에는 셀주크군을 몰아내는 데 성공했지만, 가즈나 군대는 전리품을 놓고 다툼을 시작했다.[4] 차그리의 지휘 아래 셀주크족이 돌아와 혼란에 빠진 가즈나 군대를 공격하여 패배시켰다.[5] 결과적으로 마수드 1세는 셀주크족에게 호라산의 디히스탄, 나사, 파라와 세 도시를 할양했다.[6] 셀주크 투르크족은 발흐까지 약탈을 감행한 후, 호라산 전체를 장악했다.[7]

2. 2. 셀주크-가즈나 갈등의 시작

셀주크 세력의 지도자인 투그룰 벡과 그의 형제 차그리 벡의 세력이 강해지자, 그들은 가즈나 왕조의 영토에 위협을 시작했다. 셀주크 세력의 약탈자들이 가즈나 왕조의 국경 도시들을 약탈하기 시작하자 가즈나 왕조의 술탄 마수드 1세(가즈니의 마흐무드의 아들)는 셀주크 세력을 그의 영토에서 쫓아내기로 결심했다.[1]

1034년 카라한 왕조에 의해 트란스옥시아나에서 쫓겨난 셀주크족은 가즈나 왕조의 총독 하룬의 후원 아래 호라즘에 정착했다. 1035년 하룬이 살해당하자 셀주크족은 카라쿰 사막을 거쳐 메르브로 도망쳐야 했지만, 대신 호라산 변두리의 나사로 향했다. 이러한 위협을 들은 가즈나 왕조의 술탄 마수드 1세는 일투그디를 대규모 군대와 함께 나사로 보냈다. 처음에는 셀주크군을 몰아내는 데 성공했지만, 가즈나 군대는 전리품을 놓고 다툼을 시작했다. 차그리 벡의 지휘 아래 셀주크족이 돌아와 혼란에 빠진 가즈나 군대를 공격하여 패배시켰다. 결과적으로 마수드 1세는 셀주크족에게 호라산의 디히스탄, 나사, 파라와 세 도시를 할양했다. 셀주크 투르크족은 발흐까지 약탈을 감행한 후, 호라산 전체를 장악했다.[1]

3. 전투

1040년 5월 23일, 단다나칸에서 벌어진 전투는 셀주크 군가즈나 왕조 군을 상대로 결정적인 승리를 거둔 사건이다. 마수드가 이끄는 가즈나 왕조군은 셀주크 군의 지속적인 게릴라 전술과 보급선 차단으로 인해 사기가 크게 저하된 상태였다.[6]

3. 1. 가즈나 왕조군의 진군과 셀주크족의 전술

술탄 마수드의 군대가 사라흐로 진군하는 동안 셀주크 세력은 게릴라전술을 사용하여 가즈나 왕조 군대의 후방을 괴롭혔다. 이들은 치고 빠지기를 반복하며 가즈나 왕조의 보급선을 거의 파괴했으며, 근방의 수원지로 접근하는 것도 막았다.[6] 신속하고 기동성이 뛰어난 투르크멘족은 보수적이고 무거운 짐을 지고 다니는 가즈나 왕조 투르크 군대보다 초원과 사막에서의 전투에 더 적합했다. 이로 인해 가즈나 왕조군의 규율과 사기는 땅바닥에 떨어졌다.[6]

결국 1040년 5월 23일, 약 16,000명의 셀주크 군대가 메르브와 사라흐 사이에 있는 단다나칸에서 굶주리고 사기가 저하된 가즈나 왕조군과 전투를 벌여 메르브 시 근처에서 그들을 패배시키고 가즈나 왕조 군대의 상당 부분을 궤멸시켰다.[6]

3. 2. 단다나칸 전투의 경과

술탄 마수드의 군대가 사라흐로 진군하는 동안 셀주크 세력의 약탈자들은 가즈나 왕조의 군대에 대해 치고 빠지기 전술을 반복하며 후방을 괴롭혔다.[6] 셀주크 세력의 약탈자들은 가즈나 왕조의 보급선을 거의 파괴했으며, 근방의 수원지로 접근하는 것도 막았다.[6] 가즈나 왕조군의 규율과 사기는 땅바닥에 떨어졌다.[6]

마수드의 군대가 사락스로 진군하는 동안, 셀주크족 약탈자들은 게릴라전술을 사용하여 가즈나 왕조 군대를 괴롭혔다.[6] 신속하고 기동성이 뛰어난 투르크멘족은 보수적이고 무거운 짐을 지고 다니는 가즈나 왕조 투르크 군대보다 초원과 사막에서의 전투에 더 적합했다. 셀주크 투르크멘족은 또한 가즈나 왕조의 보급선을 파괴하여 근처 우물에서 물을 끊었다.[6] 이로 인해 가즈나 왕조 군대의 규율과 사기가 크게 저하되었다.[6]

결국 1040년 5월 23일, 약 1만 6천 명의 셀주크족 군인들이 단다나칸에서 굶주리고 사기가 저하된 가즈나 왕조 군대와 전투를 벌여 메르브 시 근처에서 그들을 패배시키고 가즈나 왕조 군대의 상당 부분을 궤멸시켰다.[6]

4. 전투의 결과 및 영향

3일간의 전투는 셀주크 세력의 승리로 끝났으며, 마수드는 100명의 기병만 이끌고 겨우 탈출했다. 이 승리로 셀주크 세력이 부상하고 가즈나 왕조는 몰락하게 되었다. 셀주크는 니샤푸르, 헤라트를 점령하고 발흐를 포위했으며,[7] 1047년에는 투그릴이 자신을 “알-술탄 알-무아잠(al-Sultan al-Mu'azzam)”이자 “샤한샤(Shahanshah)”라 칭하는 주화를 주조했다.[7] 마수드는 인도로 도망쳤다가 폐위되어 감옥에서 살해되었다.[8]

4. 1. 셀주크 제국의 성립과 가즈나 왕조의 몰락

3일간 계속된 전투는 셀주크 세력의 승리로 끝났다. 마수드는 전투 현장에서 100명의 기병들만을 이끌고 겨우 탈출했다. 이 승리는 셀주크 세력의 비상과 가즈나 왕조의 몰락을 알리는 것이었다. 셀주크인들은 후라산과 그곳의 도시들을 정복하고, 후일 "대 셀주크 제국"이라고 불릴 제국을 건설했다.

1092년의 셀주크 제국. 1040이라고 적힌 곳이 단다나칸의 위치이다.


셀주크는 니샤푸르, 헤라트를 점령하고 발흐를 포위했다.[7] 1047년까지 투그릴은 니샤푸르에서 자신을 “알-술탄 알-무아잠(al-Sultan al-Mu'azzam)”이자 “샤한샤(Shahanshah)”라고 칭하는 주화를 주조했다.[7]

마수드는 인도로 도망쳤고, 폐위되었으며, 결국 감옥에서 살해당했다.[8]

그 후 셀주크 군은 별다른 저항 없이 호라산과 그 도시들을 정복했다.[7] 1050-51년, 투그릴의 이스파한 포위가 성공하면서 “셀주크 제국”이 형성되었다.

참조

[1] 서적 The Empire of the Steppes: A History of Central Asia Rutgers University
[2] 웹사이트 Encyclopaedia Iranica http://www.iranicaon[...] 2011-07-19
[3] 서적 A history of Russia, Central Asia, and Mongolia Wiley-Blackwell
[4] 서적 The Ghaznavids:994-1040 Edinburgh University Press
[5] 서적 Continuity and Change in Medieval Persia SUNY Press
[6] 서적 Continuity and Change in Medieval Persia SUNY Press
[7] 간행물 The Histories of Herat
[8] 간행물 Ghaznawids Brill
[9] 서적 유라시아 유목제국사 (주)사계절출판사 1998-09-10
[10] 서적 A history of Russia, Central Asia, and Mongolia Wiley-Blackwel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