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광역시의 무형문화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구광역시 무형문화재는 대구광역시가 지정한 무형문화유산으로, 전통 공연 예술, 전통 공예 기술 등 다양한 분야를 포함한다. 1984년 고산농악과 날뫼북춤이 처음 지정되었으며, 이후 욱수농악, 천왕메기, 가곡, 영제시조, 공산농요, 판소리, 살풀이, 하향주, 대고장, 단청장, 모필장, 달성하빈들소리, 창호장, 정소산류 수건춤, 동부민요 등이 지정되었다. 소목장과 상감입사장은 국가무형문화재로 인정되어 대구광역시 무형문화재 지정을 해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광역시의 문화유산 - 대구광역시의 민속문화재
대구광역시의 민속문화재는 대구광역시가 지정한 유형 문화재 중 민속 분야의 문화재를 의미하며, 현재 신당동 석장승, 남평 문씨 본리 세거지 등 4건이 지정되어 있다. - 대구광역시의 문화유산 - 대구광역시의 기념물
대구광역시의 기념물은 역사적 인물 및 사건 관련 유적지, 건축물, 천연기념물, 고고학적 유적 등을 포함하며 대구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는 지방자치단체 지정 문화유산이다. - 대한민국의 시도무형유산 - 경상북도의 무형문화재
경상북도의 무형문화재는 지역 전통 문화를 보존하고자 지정된 무형 문화유산으로 농악, 민요, 술 제조, 공예 기술 등 다양한 분야를 포함하며 현재 46개가 지정되어 있으나 후계자 부족 등으로 해제된 것도 있다. - 대한민국의 시도무형유산 - 전라남도의 무형문화재
전라남도의 무형문화재는 남도민요, 농악, 전통 공예, 전통주 제조법, 의례 음식 등 전라남도 지역의 다양한 무형 문화유산을 보존하기 위해 지정된 문화재로서, 전라남도는 예산 지원, 전승 장려 사업, 홍보 활동 등을 통해 보존 및 전승을 위해 노력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하고 있다.
대구광역시의 무형문화재 | |
---|---|
대구광역시 무형문화재 | |
지정 번호 | 제1호 제2호 제3호 제4호 제5호 제6호 제7호 제8호 제9호 제10호 제11호 제12호 제13호 제14호 제15호 |
문화재 정보 | |
제1호 | 대구 북춤 |
제2호 | 대구 날뫼북춤 |
제3호 | 대고장 농악 |
제4호 | 팔공산 영산재 |
제5호 | 살풀이춤 (이명자) |
제6호 | 판소리 (최계순) |
제7호 | 가곡 (죽헌 김우섭) |
제8호 | 동해안 별신굿 |
제9호 | 하향주 |
제10호 | 옻칠장 |
제11호 | 화혜장 |
제12호 | 고령 옹기장 |
제13호 | 대구 시조창 |
제14호 | 대금 |
제15호 | 가야금 |
2. 대구광역시 지정 무형문화재
대구광역시에는 현재 총 17개의 무형문화재가 지정되어 있다.
번호 | 명칭 | 소재지 | 지정일 | 보유자 (작고 시 괄호 안에 표시) 및 전수교육조교 |
---|---|---|---|---|
1호 | 고산농악 | 수성구 | 1984년 7월 25일 | 故 정창화 (15.1. 작고), 전수교육조교: 故 유잠발 (20.5.17 작고), 황선우 |
2호 | 날뫼북춤 | 서구 | 1984년 7월 25일 | 윤종곤 (1962년생), 전수교육조교: 나문구, 주선영 |
3호 | 욱수농악 | 수성구 | 1988년 5월 30일 | 손석철 (1970년생), 전수교육조교: 오문섭 |
4호 | 천왕메기 | 서구 | 1989년 6월 15일 | 김수기 (1943년생), 전수교육조교: 박정덕, 방도수 |
5호 | 가곡 | 동구 | 1989년 6월 15일 | 故 권측이 (18.7. 작고), 전수교육조교: 우장희 |
6호 | 영제시조 | 달서구 | 1990년 5월 15일 | 박선애 (1928년생), 전수교육조교: 김향교 |
7호 | 공산농요 | 동구 | 1990년 5월 15일 | 송문창 (1933년생), 전수교육조교: 김창환, 정종철 |
8호 | 판소리 | 남구 | 1992년 9월 8일 | 故 이명희 (2019.3. 작고), 주운숙 (1953년생), 전수교육조교: 성정모, 정정미 |
9호 | 살풀이 | 수성구 | 1995년 5월 12일 | 권명화 (1934년생), 전수교육조교: 변승희, 조은희 |
11호 | 하향주 | 달성군 | 1996년 5월 27일 | 박환희 (1950년생) |
12호 | 대고장 | 북구 | 1996년 5월 27일 | 김종문 (1932년생), 전수교육조교: 김기웅, 권태숙 |
14호 | 단청장 | 남구 | 1999년 1월 9일 | 전연호 (1954년생), 전수교육조교: 박현수 |
15호 | 모필장 | 달서구 | 2004년 6월 10일 | 이인훈 (1947년생), 전수교육조교: 이석현, 윤경숙 |
16호 | 달성하빈들소리 | 달성군 | 2008년 4월 10일 | 손봉희 (1941년생), 전수교육조교: 김준군, 서종기 |
17호 | 창호장 | 동구 | 2012년 1월 30일 | 이종한 (1951년생) |
18호 | 정소산류 수건춤 | 중구 | 2015년 5월 11일 | 백년욱 (1945년생) |
19호 | 동부민요 | 서구 | 2016년 3월 10일 | 박수관 (1955년생) |
이 중 소목장(제10호)과 상감입사장(제13호)은 지정 해제되었다.
2. 1. 전통 공연 예술
대구광역시의 전통 공연 예술 분야 무형문화재로는 농악, 민요, 성악, 전통 무용 등이 있다.농악에는 고산농악, 날뫼북춤, 욱수농악, 천왕메기가 지정되어 있고, 민요에는 공산농요, 달성하빈들소리, 동부민요가 있다. 천왕메기는 농악과 민요에 모두 해당된다.
성악에는 가곡, 영제시조, 판소리가 있으며, 전통 무용에는 날뫼북춤, 살풀이, 정소산류 수건춤이 있다.
2. 1. 1. 농악
대구광역시에는 농악과 관련된 다양한 무형문화재가 지정되어 있다.번호 | 명칭 | 소재지 | 지정일 | 보유자 및 전수교육조교 |
---|---|---|---|---|
1호 | 고산농악 | 대구 수성구 대흥동 467 | 1984년 7월 25일 | * 보유자: 故 정창화 (15.1. 작고) * 전수교육조교: 故 유잠발 (20.5.17 작고), 황선우 |
2호 | 날뫼북춤 | 대구 서구 당산로 403 (이현동) | 1984년 7월 25일 | * 보유자: 윤종곤 (62년생) * 전수교육조교: 나문구, 주선영 |
3호 | 욱수농악 | 대구 수성구 욱수동 192 | 1988년 5월 30일 | * 보유자: 손석철 (70년생) * 전수교육조교: 오문섭 |
4호 | 천왕메기 | 대구 서구 당산로 403 (이현동) | 1989년 6월 15일 | * 보유자: 김수기 (43년생) * 전수교육조교: 박정덕, 방도수 |
2. 1. 2. 민요
대구광역시 지정 무형문화재 중 민요에는 다음이 있다.번호 | 명칭 | 소재지 | 지정일 | 보유자(작고 시 괄호 안에 표시) 및 전수교육조교 |
---|---|---|---|---|
1호 | 고산농악 | 대구 수성구 대흥동 467 | 1984년 7월 25일 | * 보유자: 故 정창화 (15.1. 작고) * 전수교육조교: 故 유잠발 (20.5.17 작고), 황선우 |
4호 | 천왕메기 | 대구 서구 당산로 403 (이현동) | 1989년 6월 15일 | * 보유자: 김수기 (43년생) * 전수교육조교: 박정덕, 방도수 |
7호 | 공산농요 | 대구 동구 | 1990년 5월 15일 | * 보유자: 송문창 (33년생) * 전수교육조교: 김창환, 정종철 |
16호 | 달성하빈들소리 | 대구 달성군 | 2008년 4월 10일 | * 보유자: 손봉희 (41년생) * 전수교육조교: 김준군, 서종기 |
19호 | 동부민요 | 대구 서구 | 2016년 3월 10일 | * 보유자: 박수관 (55년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