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니얼 네스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니얼 네스터는 1976년 유고슬라비아에서 태어나 캐나다로 이주한 테니스 선수이다. 1991년 프로로 전향하여 1992년부터 데이비스 컵 캐나다 대표로 15년 연속 출전하며 캐나다 테니스 역사에 기여했다.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캐나다에 테니스 첫 메달을 안겼고, 마크 놀스와의 복식 파트너십으로 2002년 호주 오픈, 2004년 US 오픈, 2007년 프랑스 오픈에서 우승했다. 네나드 지몬지치와는 2008년 윔블던에서 우승하며 커리어 그랜드 슬램을 달성했으며, 혼합 복식에서도 4번 우승했다. 2010년 캐나다 훈장 멤버로 임명되었고, 2018년 데이비스컵을 마지막으로 은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캐나다의 올림픽 테니스 참가 선수 - 밀로시 라오니치
1990년 몬테네그로 태생의 캐나다 프로 테니스 선수 밀로시 라오니치는 강력한 서브를 주특기로 ATP 투어 단식 타이틀 8회 우승, 2016년 윔블던 준우승, 캐나다 선수 최초 ATP 파이널스 진출 등 굵직한 업적을 남겼다. - 캐나다의 올림픽 테니스 참가 선수 - 레일라 페르난데스
레일라 페르난데스는 캐나다 국적의 프로 테니스 선수이며, 주니어 프랑스 오픈 여자 단식 우승, US 오픈 준우승, 홍콩 오픈 우승 등을 기록했고, 2023년 빌리 진 킹 컵에서 캐나다의 우승을 이끌었다. - 세르비아계 캐나다인 - 데얀 야코비치
데얀 야코비치는 크로아티아 태생으로 캐나다로 이민 간 축구 선수로, 다양한 클럽과 캐나다 국가대표팀에서 수비수로 활약했으며 은퇴 후에는 유소년 코치로 활동하고 있다. - 세르비아계 캐나다인 - 밀로시 라오니치
1990년 몬테네그로 태생의 캐나다 프로 테니스 선수 밀로시 라오니치는 강력한 서브를 주특기로 ATP 투어 단식 타이틀 8회 우승, 2016년 윔블던 준우승, 캐나다 선수 최초 ATP 파이널스 진출 등 굵직한 업적을 남겼다. - ATP 랭킹 1위 복식 테니스 선수 - 스테판 에드베리
스테판 에드베리는 1980~90년대 스웨덴 테니스 선수로, 6개의 그랜드 슬램 단식, 3개의 복식 타이틀을 획득하고 세계 랭킹 1위를 72주 기록했으며, 올림픽 금메달과 동메달을 획득한 후 로저 페더러의 코치를 맡았다. - ATP 랭킹 1위 복식 테니스 선수 - 존 매켄로
존 매켄로는 197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 활동하며 여러 그랜드 슬램 단식 및 복식 타이틀을 획득하고, 1984년 최고의 시즌을 보내는 등 뛰어난 성적을 거둔 미국의 프로 테니스 선수이다.
대니얼 네스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다니엘 네스터 |
원어 이름 | 다닐옐 네스토로비치 (Danijel Nestorović) |
출생일 | 1972년 9월 4일 |
출생지 |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세르비아 사회주의 공화국 베오그라드 |
거주지 | 캐나다 온타리오주 토론토 |
신장 | 1.91m |
사용 손 | 왼손 |
백핸드 | 양손 |
프로 데뷔 | 1991년 |
은퇴 | 2018년 |
선수 경력 | |
상금 | US$ 12,835,671 |
단식 통산 전적 | 승 85, 패 118 |
단식 타이틀 | 0회 |
단식 최고 랭킹 | 58위 (1999년 8월 23일) |
복식 통산 전적 | 승 1062, 패 488 |
복식 타이틀 | 91회 (오픈 시대 3위) |
복식 최고 랭킹 | 1위 (2002년 8월 19일) |
그랜드 슬램 단식 성적 | |
오스트레일리아 오픈 | 3회전 (1998, 1999, 2001) |
프랑스 오픈 | 1회전 (1997, 1998, 1999) |
윔블던 선수권 대회 | 4회전 (1999) |
US 오픈 | 2회전 (1995, 2000) |
올림픽 | 3회전 (2000) |
그랜드 슬램 복식 성적 | |
오스트레일리아 오픈 | 우승 (2002) |
프랑스 오픈 | 우승 (2007, 2010, 2011, 2012) |
윔블던 선수권 대회 | 우승 (2008, 2009) |
US 오픈 | 우승 (2004) |
ATP 파이널스 | 우승 (2007, 2008, 2010, 2011) |
올림픽 | 우승 (2000) |
그랜드 슬램 혼합 복식 성적 | |
오스트레일리아 오픈 | 우승 (2007, 2011, 2014) |
프랑스 오픈 | 준우승 (2006, 2013) |
윔블던 선수권 대회 | 우승 (2013) |
US 오픈 | 준우승 (2003) |
기타 정보 | |
데이비스 컵 | 준결승 (2013) |
2. 생애
1976년 유고슬라비아 베오그라드에서 세르비아인 부모에게서 태어났으며, 그의 부모는 그가 4세가 되던 해에 캐나다로 이주하여 토론토에 정착했다.[37] 그는 엘크혼 공립학교를 거쳐 얼 하이그 중등학교에서 APGA(Academic Program for Gifted Athletes, 영재 운동선수 학업 프로그램)라는 특별 스포츠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대니얼 네스터는 1994년 콜롬비아 보고타에서 마크 노울스와 함께 첫 복식 타이틀을 획득했다.[8] 1992년부터 2018년까지 캐나다 데이비스 컵 팀의 일원으로 활약했으며, 2013년에는 캐나다가 오픈 시대 최초로 월드 그룹 준결승에 진출하는 데 기여했다.
2005년 7월, 네스터는 2년간 교제해 온 여자친구 나타샤 가브릴로비치()와 결혼했다.[28] 2008년 12월 15일, 그들은 첫째 딸 티아나 알렉시스를 맞이했는데, 이는 그의 복식 파트너 지몬지치와 그의 아내가 쌍둥이를 낳은 지 단 2주 후였다.[28] 둘째 딸 비앙카 윌로우는 2013년 3월 2일에 태어났다.[29] 현재 부부는 두 자녀와 함께 바하마에 거주하고 있다.[29]
네스터는 2010년 11월 캐나다 훈장 멤버 (CM)로 임명되었다.[30][31] 2011년 6월 28일, 네스터가 캐나다 명예의 거리에 별을 받게 되었으며, 10월 1일 토론토의 엘긴 극장에서 헌정되었다는 소식이 발표되었다.[32] 2012년 8월, 그는 요크 대학교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33] 네스터는 2024년 스포츠 훈장을 수여받았고, 캐나다 스포츠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34]
3. 테니스 경력
2006년 7월 5일, 윔블던 역사상 두 번째로 긴 경기인 6시간 9분 동안 진행된 경기에 참여했다.
혼합 복식에서는 리나 크라스노루츠카야와 함께 2003년 US 오픈에서 첫 결승에 진출했고, 엘레나 리호프세바와 함께 2007년 호주 오픈 혼합 복식에서 우승했다. 크리스티나 믈라데노비치와는 윔블던 혼합 복식 타이틀을 획득하고, 2013년 프랑스 오픈 혼합 복식 결승에 진출했다.
2013년 8월, 리앤더 파에스와 함께 윈스턴-세일럼 오픈에서 81번째 복식 타이틀을 획득하며, ATP 역사상 900번째 복식 승리를 기록한 최초의 선수가 되었다.[14]
2015년 1월, 로한 보파나와 함께 아피아 인터내셔널 시드니에서 86번째 복식 타이틀을 획득했고,[21] 같은 달 호주 오픈에서 크리스티나 믈라데노비치와 함께 혼합 복식 결승에 진출했다.
2016년 1월, 라데크 스테파넥과 호주 오픈 남자 복식 결승에 진출하여 최고령 팀이 되었으나, 제이미 머레이와 브루노 소아레스에게 패했다.[24] 6월에는 도미니크 잉글롯과 함께 에이곤 오픈 노팅엄에서 시즌 첫 타이틀을 획득, 23년 연속 남자 복식 타이틀 기록을 이어갔다.[25]
다음은 대니얼 네스터의 그랜드 슬램 남자 복식 결승전 결과이다.결과 연도 대회 코트 파트너 상대 스코어 패 1995 호주 오픈 하드 Mark Knowles|마크 놀스영어 Jared Palmer|자레드 파머영어
Richey Reneberg|리치 레너버그영어3–6, 6–3, 3–6, 2–6 패 1998 프랑스 오픈 클레이 Mark Knowles|마크 놀스영어 Jacco Eltingh|야코 엘팅nl
Paul Haarhuis|폴 하르후이스nl3–6, 6–3, 3–6 패 1998 US 오픈 하드 Mark Knowles|마크 놀스영어 Sandon Stolle|샌던 스톨영어
Cyril Suk|시릴 수크cs6–4, 6–7, 2–6 승 2002 호주 오픈 (1) 하드 Mark Knowles|마크 놀스영어 Michaël Llodra|미카엘 로드라프랑스어
Fabrice Santoro|파브리스 산토로프랑스어7–6(7–4), 6–3 패 2002 프랑스 오픈 클레이 Mark Knowles|마크 놀스영어 Paul Haarhuis|폴 하르후이스nl
Yevgeny Kafelnikov|예브게니 카펠니코프ru5–7, 4–6 패 2002 윔블던 잔디 Mark Knowles|마크 놀스영어 Jonas Björkman|요나스 비요크만sv
Todd Woodbridge|토드 우드브리지영어1–6, 2–6, 7–6(8–6), 5–7 패 2003 호주 오픈 하드 Mark Knowles|마크 놀스영어 Michaël Llodra|미카엘 로드라프랑스어
Fabrice Santoro|파브리스 산토로프랑스어4–6, 6–3, 3–6 승 2004 US 오픈 (1) 하드 Mark Knowles|마크 놀스영어 Leander Paes|리안더 파에스hi
David Rikl|다비드 릭클cs6–3, 6–3 승 2007 프랑스 오픈 (1) 클레이 Mark Knowles|마크 놀스영어 Lukáš Dlouhý|루카스 드로우히cs
Pavel Vízner|파벨 비즈네르cs2–6, 6–3, 6–2 패 2008 프랑스 오픈 클레이 Nenad Zimonjić|네나드 지몬지치sr Pablo Cuevas|파블로 쿠에바스es
Luis Horna|루이스 호르나es2–6, 3–6 승 2008 윔블던 (1) 잔디 Nenad Zimonjić|네나드 지몬지치sr Jonas Björkman|요나스 비요크만sv
Kevin Ullyett|케빈 얼리에트영어7–6(14–12), 6–7(3–7), 6–3, 6–3 승 2009 윔블던 (2) 잔디 Nenad Zimonjić|네나드 지몬지치sr Bob Bryan|밥 브라이언영어
Mike Bryan|마이크 브라이언영어7–6(9–7), 6–7(3–7), 7–6(7–3), 6–3 패 2010 호주 오픈 하드 Nenad Zimonjić|네나드 지몬지치sr Bob Bryan|밥 브라이언영어
Mike Bryan|마이크 브라이언영어3–6, 7–6(7–5), 3–6 승 2010 프랑스 오픈 (2) 클레이 Nenad Zimonjić|네나드 지몬지치sr Lukáš Dlouhý|루카스 드로우히cs
Leander Paes|리안더 파에스hi7–5, 6–2 승 2011 프랑스 오픈 (3) 클레이 Max Mirnyi|막스 미르니be Juan Sebastián Cabal|후안 세바스티안 카발es
Eduardo Schwank|에두아르도 슈방크es7–6(7–3), 3–6, 6–4 승 2012 프랑스 오픈 (4) 클레이 Max Mirnyi|막스 미르니be Bob Bryan|밥 브라이언영어
Mike Bryan|마이크 브라이언영어6–4, 6–4 패 2016 호주 오픈 하드 Radek Štěpánek|라데크 스테파넥cs Jamie Murray|제이미 머레이영어
Bruno Soares|브루노 소아레스pt6–2, 4–6, 5–7
3. 1. 초기 경력
1976년에 4세의 나이로 캐나다로 이주한 네스터는 1991년에 프로로 전향했다. 1992년부터 남자 테니스 국가 대항전 데이비스 컵 캐나다 대표 선수로 활약하며, 캐나다 대표팀 역사상 최다 기록인 15년 연속 출전을 달성했다.[36] 1995년 호주 오픈 남자 복식에서 마크 놀스와 조를 이루어 처음으로 결승에 진출했지만, 자레드 파머/리치 레네버그 조에게 패해 준우승을 차지했다.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에서 네스터는 올림픽 캐나다 대표 선수로 처음 출전했다. 남자 복식에서는 그랜트 코넬과 짝을 이루어 2회전에서 영국의 팀 헨먼/닐 브로드 조에게 패했다. 1998년에는 놀스와 조를 이루어 1998년 프랑스 오픈과 US 오픈 남자 복식 결승에 진출했지만, 모두 결승에서 패해 4대 메이저 대회 타이틀을 획득하지 못했다.
2000년 시드니 올림픽 남자 복식에서 네스터는 세바스티앙 라루와 조를 이루어 결승에서 우디즈를 5-7, 6-3, 6-4, 7-6으로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2002년 호주 오픈 남자 복식에서 네스터는 오랜 친구 마크 놀스와 조를 이루어 결승에서 미카엘 로드라/파브리스 산토로 조를 7-6, 6-3으로 꺾고 4대 메이저 대회 복식 첫 우승을 달성했다. 같은 해 2002년 프랑스 오픈과 윔블던 선수권 대회에서도 놀스와 조를 이루어 결승에 진출했지만, 프랑스 오픈에서는 예브게니 카펠니코프/폴 하르후이스 조에게, 윔블던에서는 요나스 비요르크만/토드 우드브리지 조에게 패해 준우승에 머물렀다. 2003년 호주 오픈 남자 복식 결승전에서는 2년 연속 네스터/놀스 조와 로드라/산토로 조가 맞붙었지만, 네스터/놀스 조는 4-6, 6-3, 3-6으로 역전패하며 대회 2연패에 실패했다. 2004년 US 오픈에서 놀스와 조를 이루어 4대 메이저 대회 2승째를 거머쥐었다.
2007년 프랑스 오픈 남자 복식에서 네스터와 놀스는 5년 만에 3번째 결승전에 진출하여 루카스 드로히/파벨 비즈네르 조를 2-6, 6-3, 6-4로 역전승을 거두었다. 이로써 두 사람의 4대 메이저 대회 복식 우승은 3승이 되었다. 두 사람은 2007년 남자 테니스 연말 최종전 테니스 마스터스 컵 복식 부문 우승을 마지막으로 10년 이상 지속된 파트너십을 해체한다고 발표했다.
2007년 시즌 후반부터 네스터는 네나드 지몬지치와 조를 이루어 대부분의 토너먼트에 출전하게 되었다. 2008년 윔블던 선수권 대회에서 네스터와 지몬지치 조는 결승에서 요나스 비요르크만/케빈 울리에트 조를 7-6, 6-7, 6-3, 6-3으로 꺾고 윔블던 첫 우승을 달성했다. 이로써 네스터는 4대 메이저 대회 남자 복식에서 모든 타이틀을 획득하는 커리어 그랜드 슬램을 달성했다. 네스터와 지몬지치는 2009년 윔블던 선수권 대회에서 2연패를 달성했다.
네스터와 지몬지치는 2010년에도 2010년 프랑스 오픈 등 7승을 거두었지만, 파트너십을 해체한다고 발표했다. 2011년부터 네스터는 막스 미르니와 조를 이루게 되었다.
혼합 복식에서 네스터는 2007년 호주 오픈에서 엘레나 리호프체바와 조를 이루어 막스 미르니/빅토리아 아자렌카 조를 6-4, 6-4로 꺾고 첫 우승을 차지했다. 이전까지 네스터는 혼합 복식에서 3번의 준우승에 머물렀다. 2003년 US 오픈에서는 리나 크라스노루츠카야와 조를 이루어 밥 브라이언/카타리나 스레보트니크 조와 제3세트 타이브레이크까지 가는 접전을 펼쳤지만, 결국 7-5, 5-7, 6-7로 패해 준우승에 머물렀다. 2006년에는 2006년 호주 오픈, 2006년 프랑스 오픈 모두 리호프체바와 조를 이루어 2개 대회 연속 준우승에 그쳤지만, 2007년 호주 오픈에서 리호프체바와 조를 이루어 첫 우승을 달성했다.
4대 메이저 대회 단식에서 네스터는 1999년 윔블던 선수권 대회에서 피트 샘프라스와의 4회전에 진출한 적이 있다. 그는 2006년 캐나다 마스터스 1회전 탈락을 마지막으로 단식에서 은퇴하고 복식에만 전념하고 있다.
3. 2. 그랜드 슬램 및 올림픽
Bob Bryan|밥 브라이언영어7–5, 5–7, [5–10] 패 2006 호주 오픈 하드 Елена Лиховцева|엘레나 리호프체바ru Martina Hingis|마르티나 힝기스프랑스어
Mahesh Bhupathi|마헤시 부파티hi3–6, 3–6 패 2006 프랑스 오픈 클레이 Елена Лиховцева|엘레나 리호프체바ru Katarina Srebotnik|카타리나 스레보트니크sl
Nenad Zimonjić|네나드 지몬지치sr3–6, 4–6 승 2007 호주 오픈 (1) 하드 Елена Лиховцева|엘레나 리호프체바ru Вікторыя Азаранка|빅토리아 아자렌카be
Максім Мірны|막스 미르니be6–4, 6–4 승 2011 호주 오픈 (2) 하드 Katarina Srebotnik|카타리나 스레보트니크sl
Paul Hanley|폴 핸리영어6–3, 3–6, [10–7] 패 2013 프랑스 오픈 클레이 Kristina Mladenovic|크리스티나 믈라데노비치프랑스어 Lucie Hradecká|루치에 흐라데츠카cs
František Čermák|프란티셰크 체르마크cs6–1, 4–6, [6–10] 승 2013 윔블던 (1) 잔디 Kristina Mladenovic|크리스티나 믈라데노비치프랑스어 Lisa Raymond|리사 레이먼드영어
Bruno Soares|브루노 소아레스pt5–7, 6–2, 8–6 승 2014 호주 오픈 (3) 하드 Kristina Mladenovic|크리스티나 믈라데노비치프랑스어 सानिया मिर्ज़ा|사니아 미르자hi
Horia Tecău|호리아 테케우ro6–3, 6–2 패 2015 호주 오픈 하드 Kristina Mladenovic|크리스티나 믈라데노비치프랑스어 Martina Hingis|마르티나 힝기스프랑스어
लिएंडर पेस|레안더 파에스hi4–6, 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