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덕구의 행정 구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덕구의 행정 구역은 2012년 8월 1일 기준으로 12개의 행정동과 이에 속한 법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려 시대 회덕현으로 시작하여 조선 시대 공주목에 속했으며, 대한제국 시기 회덕군으로 개편되었다. 1914년 대전군으로 통합된 후 대덕군으로 개칭되었고, 1989년 대전광역시 대덕구로 승격되었다. 이후 여러 차례 행정동 분동이 이루어졌으며, 2007년에는 세계 최초로 주민참여감사제를 시행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전광역시의 구별 행정 구역 - 대전 서구의 행정 구역
대전 서구는 2024년 5월 기준 19개의 행정동과 21개의 법정동으로 이루어진 대전광역시 서부 지역의 행정 구역으로, 대전직할시 승격 당시 중구에서 분리되어 신설되었으며, 국회의원 선거구는 갑과 을로 나뉜다. - 대전광역시의 구별 행정 구역 - 대전 동구의 행정 구역
대전 동구의 행정 구역은 1988년 중구에서 분리 신설된 대전광역시 동구의 행정 구역 정보로, 2012년 8월 1일 기준 17개의 행정동과 15개의 법정동으로 구성되어 각 행정동은 관할하는 법정동, 면적, 세대수, 인구수 정보를 포함한다.
대덕구의 행정 구역 | |
---|---|
개요 | |
명칭 | 대덕구의 행정 구역 |
국가 | 대한민국 |
광역시 | 대전광역시 |
구분 | 자치구 |
행정 구역 | |
법정동 | 12개 |
행정동 | 7개 |
2. 행정 구역
대덕구는 1989년 1월 1일 대전시가 대전광역시로 승격되면서 설치되었다. 기존 대전시 동구에 속해 있던 대화동, 오정동과 회덕1동, 회덕2동, 신탄진 지역의 4개 동을 관할하게 되었다.[5]
원래 이 지역은 고려 초기에는 회덕현이라는 이름으로 불렸으며, 고려 현종 9년(1018) 이후 공주의 속현이었다. 조선 태종 13년(1413) 충청도 공주목 회덕현이 되었다가, 1895년 5월 26일 대한제국 고종 때 공주부 산하 회덕군이 설치되었다.
1914년 4월 1일 회덕군, 진잠군, 공주군 유성면이 대전군으로 통합되었다. 1935년 10월 1일 대전군 대전읍이 대전부로 승격, 분리되면서 대전군은 대덕군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1963년 1월 1일과 1983년 2월 15일 두 차례에 걸쳐 대덕군 일부가 대전시로 편입되었다. 1989년 대전직할시 승격과 함께 대덕군이 폐지되면서 대덕구가 신설되었고, 이후 몇 차례 행정동 분동을 거쳐 현재 12개 행정동을 관할한다.[11]
2. 1. 행정동 및 법정동
2012년 8월 1일 기준 대덕구의 행정동별 면적, 인구, 세대수는 다음과 같다.행정동 | 한자 | 면적(km²) | 세대 | 인구(명) |
---|---|---|---|---|
오정동 | 梧井洞 | 3.08 | 8,418 | 19,548 |
대화동 | 大禾洞 | 3.15 | 4,079 | 10,101 |
회덕동 | 懷德洞 | 16.79 | 6,791 | 17,982 |
비래동 | 比來洞 | 3.35 | 6,874 | 19,421 |
송촌동 | 宋村洞 | 1.92 | 10,207 | 32,219 |
중리동 | 中里洞 | 1.49 | 10,007 | 24,130 |
법1동 | 法1洞 | 0.78 | 5,648 | 14,873 |
법2동 | 法2洞 | 1.87 | 7,014 | 20,395 |
신탄진동 | 新灘津洞 | 22.96 | 5,136 | 13,366 |
석봉동 | 石峰洞 | 1.22 | 3,636 | 10,020 |
덕암동 | 德岩洞 | 6.22 | 6,229 | 16,969 |
목상동 | 木上洞 | 5.61 | 2,802 | 7,222 |
대덕구 | 大德區 | 68.47 | 76,841 | 206,246 |
대덕구의 행정동과 법정동은 다음과 같다.
행정동명 | 법정동명 |
---|---|
오정동 | 오정동 |
대화동 | 대화동 |
회덕동 | 읍내동, 연축동, 신대동, 와동, 장동 |
비래동 | 비래동 |
송촌동 | 송촌동 |
중리동 | 중리동 |
법1동 | 법동 |
법2동 | |
신탄진동 | 신탄진동, 용호동, 이현동, 갈전동, 부수동, 황호동, 삼정동, 미호동 |
석봉동 | 석봉동 |
덕암동 | 덕암동, 상서동, 평촌동 |
목상동 | 목상동, 문평동, 신일동 |
2. 2. 행정 구역 변천사

- 고려 초기에는 회덕현이라는 이름이 사용되었다. 고려 현종 9년(1018) 이후에는 공주의 속현으로 귀속되었다.
- 조선 초기 태종 13년(1413)에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회덕은 충청도 공주목에 속하는 회덕현이 되었다.
- 1895년 5월 26일 고종이 전국을 23부로 나누면서 공주부 산하에 회덕군을 설치하였다.
- 1914년 4월 1일 회덕군, 진잠군, 공주군 유성면을 '''대전군'''으로 통합하였다.
- 1935년 10월 1일 대전군 대전읍이 대전부로 승격되어 분리되고, 대전군을 '''대덕군'''으로 개칭하였다.
- 1963년 1월 1일 충청남도 대덕군 유천면, 회덕면 대화리, 오정리 및 용전리와 산내면 옥계리, 가평리, 삼정리 및 호동리가 대전시로 편입되었다.[2]
- 1973년 7월 1일 대덕군 북면이 신탄진읍으로, 유성면이 유성읍으로 각각 승격하였다.[3]
- 1983년 2월 15일 대덕군 유성읍 일원, 구즉면 원촌리·문지리·전민리 및 용산리 중 일부, 탄동면 신성리·가정리·도룡리·장동리·내동리·화암리·덕진리·하기리, 기성면 관저리·도안리·가수원리, 대덕군 진잠면 내동리·교촌리·대정리·용계리·학하리가 대전시 중구에 편입되었고, 회덕면 일원이 동구에 편입되었다.[4]
- 1989년 1월 1일 대전시가 대전광역시로 승격하였다. 1읍 6면 81법정리 중 진잠면 남선리를 제외한 대덕군이 신설된 서구, 중구, 동구, 대덕구, 유성구에 편입되어, 대덕군은 폐지되었다. 기존의 대전시 동구에 속해 있던 대화동, 오정동과 회덕1동, 회덕2동, 신탄진 지역의 4개동을 관할하는 대덕구를 설치하였다.[5]
- 1990년 1월 1일 회덕2동을 회덕2동과 중리동으로 분동하여 9개 행정동이 되었다.[6]
- 1991년 9월 1일 중리동을 중리동과 법동으로 분동하여 10개 행정동이 되었다.[7]
- 1995년 1월 1일 대전직할시 대덕구를 대전광역시 대덕구로 개칭.[8]
- 1996년 1월 1일 법동을 법1동과 법2동으로 분동하여 11개 행정동, 25개의 법정동을 관할하였다.[9]
- 1997년 12월 26일 신탄진동사무소 관할구역내의 석봉동을 신탄진동으로 법정동 명칭변경.[10]
- 2003년 1월 16일 회덕1동을 회덕동으로 변경, 회덕2동을 송촌동과 비래동으로 분동하여 12개 행정동, 26개의 법정동이 되었다.[11]
3. 역사
대덕구의 역사는 고려 시대부터 시작된다. 고려 초기에는 회덕현이라는 이름이 사용되었고, 고려 현종 9년(1018) 이후에는 공주의 속현으로 귀속되었다. 조선 태종 13년(1413)에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회덕은 충청도 공주목에 속하는 회덕현이 되었다.
1895년 5월 26일 대한제국 고종이 전국을 23부로 나누면서 공주부 산하에 회덕군을 설치하였다. 1914년 4월 1일 회덕군, 진잠군, 공주군 유성면을 대전군으로 통합하였다.
1935년 10월 1일 대전군 대전읍이 대전부로 승격되어 분리되면서, 대전군을 '''대덕군'''으로 개칭하였다. 이후, 대덕군은 여러 차례 행정 구역 변화를 겪었다. 1963년, 1973년, 1983년의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1989년 1월 1일 대전시가 대전광역시로 승격하면서 대덕군이 폐지되고, 기존 대전시 동구의 일부 지역을 관할하는 대덕구가 설치되었다.
이후에도 대덕구는 여러 차례 행정동의 분동 및 명칭 변경을 겪었다. 1990년부터 2003년까지 회덕2동, 중리동, 법동, 신탄진동 등의 행정동이 분동되거나 명칭이 변경되었다. 2007년 8월 13일에는 세계 최초로 주민참여감사제를 시행하였다.
3. 1. 고려 시대 ~ 조선 시대
고려 초기에는 회덕현이라는 이름이 사용되었고, 고려 현종 9년(1018) 이후에는 공주의 속현으로 귀속되었다. 조선 태종 13년(1413)에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회덕은 충청도 공주목에 속하는 회덕현이 되었다.[2]3. 2. 대한제국 ~ 일제강점기
1895년 5월 26일 대한제국 고종이 전국을 23부로 나누면서 공주부 산하에 회덕군을 설치하였다.[1]1914년 4월 1일 회덕군, 진잠군, 공주군 유성면을 대전군으로 통합하였다.[2]
3. 3. 해방 이후 ~ 현재
- 1935년 10월 1일 대전군 대전읍이 대전부로 승격되어 분리되면서, 대전군을 '''대덕군'''으로 개칭하였다.[2]
- 1963년 1월 1일 충청남도 대덕군 유천면, 회덕면 대화리, 오정리 및 용전리와 산내면 옥계리, 가평리, 삼정리 및 호동리가 대전시로 편입되었다.[2]
- 1973년 7월 1일 대덕군 북면이 신탄진읍으로, 유성면이 유성읍으로 각각 승격하였다.[3]
- 1983년 2월 15일 대덕군 유성읍 일원, 구즉면 원촌리·문지리·전민리 및 용산리 중 일부, 탄동면 신성리·가정리·도룡리·장동리·내동리·화암리·덕진리·하기리, 기성면 관저리·도안리·가수원리, 대덕군 진잠면 내동리·교촌리·대정리·용계리·학하리가 대전시 중구에 편입되었고, 회덕면 일원이 동구에 편입되었다.[4]
- 1989년 1월 1일 대전시가 대전광역시로 승격하면서 대덕군이 폐지되고, 기존 대전시 동구의 대화동, 오정동, 회덕1동, 회덕2동, 신탄진 지역을 관할하는 대덕구가 설치되었다.[5]
- 1990년 1월 1일 회덕2동을 회덕2동과 중리동으로 분동하였다.[6]
- 1991년 9월 1일 중리동을 중리동과 법동으로 분동하였다.[7]
- 1995년 1월 1일 대전직할시 대덕구를 대전광역시 대덕구로 개칭하였다.[8]
- 1996년 1월 1일 법동을 법1동과 법2동으로 분동하였다.[9]
- 1997년 12월 26일 신탄진동사무소 관할구역 내의 석봉동을 신탄진동으로 법정동 명칭을 변경하였다.[10]
- 2003년 1월 16일 회덕1동을 회덕동으로 변경하고, 회덕2동을 송촌동과 비래동으로 분동하였다.[11]
- 2007년 8월 13일 세계 최초로 주민참여감사제를 시행하였다.
참조
[1]
웹사이트
대덕구 주민등록 인구현황
https://www.daedeok.[...]
2012-08-27
[2]
법률
시·군관할구역변경및면의폐치에관한법률
1962-11-21
[3]
법령
읍설치에관한규정
1973-03-12
[4]
법령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설치등에관한규정
1983-01-10
[5]
법률
대전직할시 편입과 대덕구 설치
[6]
조례
대덕구 조례
[7]
조례
대덕구 조례
[8]
법률
지방자치법 개정
[9]
조례
대덕구 조례
[10]
조례
대덕구 조례
[11]
조례
대전광역시 조례
2003-01-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