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서양 제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서양어족은 아프리카 서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들의 어족으로, 분류에 대한 다양한 학설이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비자고어, 북 대서양어, 남 대서양어로 분류하며, 학자에 따라 세부적인 분류는 차이를 보인다. 최근 연구에서는 남부 언어들을 니제르콩고어족의 별도 분파로 취급하고, 대서양어족을 축소된 버전으로 제안하기도 한다. 또한, 대서양어족이 나이저-콩고어족의 하위 그룹이 아니라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대서양 제어 | |
---|---|
개요 | |
유형 | 니제르콩고어족 어군 (폐기) |
하위 어군 | 세네감비아어군 (북부) 멜어군 (남부) 림바어 (남부) 골라어 (남부) 수아어 (남부) |
사용 지역 | 서아프리카 |
인정 상태 | 폐기됨 |
다른 이름 | 대서양 제어 |
언어 코드 | |
Glottolog | 해당 사항 없음 |
2. 분류
대서양어족의 분류는 학자마다 조금씩 다른 견해를 보이고 있다.
20세기 초, 칼 마인호프는 풀라어가 셈·함어족 언어라고 주장했지만, 아우구스트 폰 클링겐하벤과 조지프 그린버그의 연구를 통해 풀라어가 월로프어, 세레르어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음이 밝혀졌다. W. A. A. 윌슨은 이 언어군 전체의 타당성이 훨씬 약한 증거에 기반하고 있지만, 공유된 명사 등급 체계와 같은 증거를 바탕으로 이 언어들이 니제르-콩고어족에 속한다는 것은 분명하다고 언급했다. 그러나 니제르-콩고어족에 대한 비교 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에 있다. 일반적으로 어휘통계학에 기반한 니제르-콩고어족의 분류는 다양한 대서양 언어들이 상당히 분화되어 있지만, 명사 등급이 없는 만데어족이나 다른 언어들보다는 덜 분화되어 있다고 제안한다.
대서양어의 통일성은 전통적으로 정의되어 왔으며, 달비(1965)는 멜어를 니제르-콩고어의 주요 분파로 주장하며 오랫동안 의문을 제기해 왔다. 현재 연구 상태에서는 니제르-콩고어족 내에서 대서양어의 광범위한 개념(즉, 남부 언어를 포함하는)은 더 이상 유지되지 않는다.[2]
귈데만(2018)은 더 나아가 날루어와 음불룽기시어–바가 음보테니어("리우 누네스")도 니제르-콩고어의 분류되지 않은 제1차 분파로 취급한다.[2]
2. 1. 전통적 분류 (Sapir, 1971)
데이비드 사피어(1971)는 대서양어를 북부, 남부, 그리고 기니비사우 해안에 위치한 비스자고스 제도의 이질적인 비자고어로 분류했다.[1]텐다어군
비아파다어, 파자데어
코비아나어, 카상가어, 반훔어
날루어, 물룽기쉬어, 바가 엠보테니어
- *비자고어
- *남부
- **수아어
- **멜어군 (골라어 포함)
- **림바어
사피어의 분류는 아프리카 언어학 핸드북(예: Bender 1989, Williamson & Blench 2000)에서 널리 인용되었으며, Ethnologue (22판, 2019)에서도 사용된다.
2. 2. 최근의 제안 (Segerer, 2010, 2016; Pozdniakov & Segerer, 2017)
세게러(2010, 2016[2])와 포즈니아코프 & 세게러(2017)는 남부 분파의 모든 언어를 제외하고 축소된 버전의 대서양어족을 제안한다. 이들은 남부 언어들을 니제르콩고어족 내의 별도 분파, 즉 수아어, 림바어, 골라어, 멜어로 취급한다. 바크어군은 대서양어(좁은 의미) 내에서 북부 언어에서 분리되어 공통적인 하위 분파로 분류된다. 비자고어는 바크어군에 포함된다.2. 3. Vossen & Dimmendaal (2020)의 분류
Vossen과 Dimmendaal은 Pozdniakov와 Segerer의 연구를 바탕으로 대서양어족을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3][4]- '''북부'''
- 월로프어: 월로프어, 레부어
- 뉴-부이
- 뉴 (군얌몰로, 구자헤르, 구베에르 등)
- 부이 (카상가어, 코비아나어)
- 텐다-자드
- 텐다: 바사리어, 탄다, 베딕, 바펜, 코냐기
- 자드: 비아파다어, 바디아란케
- 풀라-세레르
- 풀라 (풀라어)
- 세레르어
- 캉긴
- 팔로르어, 누트
- 눈어, 랄라, 사피사피어
- 나루
- 날루어
- 바게 포레
- 바가음보테니어
- '''바크'''
- 발란트: 간자, 켄토헤, 프라세
- 졸라-만자쿠
- 졸라: 포그니, 반잘, 카사, 콰타이, 카론, 에자마트, 케라크 등, 바요트어
- 만자쿠
- 복, 쿠르, 바사렐
- 파펠어
- 만카니아어
- 비조고: 카모나, 카그바가, 카조코
2. 4. Merrill (2021)의 분류
Merrill (2021)은 대서양어족(혹은 북대서양어)이 나이저-콩고어족의 유효한 하위 그룹이 아니며, 기존의 대서양어 "분파" 각각이 나이저-콩고어의 주요 분파라고 제안한다.[5] 또한 Merrill은 대서양어의 분화로 인해 나이저-콩고어의 기원이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북서부에 위치할 수 있다고 제시한다.[5]Merrill (2021)은 또한 텐다어와 비아파다어-파자데어가 서로 유사성을 공유하며, 연결체를 형성할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한다.
3. 주요 언어군
대서양어족에는 다양한 언어들이 속해 있으며, 주요 언어군은 다음과 같다.[1]
- '''비자고어''' : 비디오고어
- '''북 애틀랜틱어'''
- * 동 세네갈기니아어
- ** 눈어: 카상가어, 코비아나어
- ** 바니운어: 바이누크구니아몰로어, 바이누크구니우뇨어, 바이누크사미크어
- ** 텐다어: 바디아라어, 바사리어, 비아파다어, 부디크어, 와메이어
- * 음불룽기시날루어: 날루어, 바가음보테니어, 음불룽기시어
- '''남 애틀랜틱어'''
- * 림바어
- * 멜어
- ** 골라어
- ** 불롬키시어
불롬어: 봄어, 불롬소어, 셰르브로어, 크림어
키시어
- ** 템네어: 란도마어, 바가어, 템네어
3. 1. 세네감비아어군
세네감비아어군은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1]
3. 2. 박어군
박어군은 기니비사우와 세네갈 남부 지역에 분포하는 언어군이다.- '''만드자크파펠어''': 만드자크어, 만카니아어, 파펠어
- '''발란트간자어''': 발란타간자어, 발란타켄토헤어
- '''졸라어'''
- * 바요트어
- * 바른 졸라어: 음롬프어, 졸라어(디올라어), 카론어, 쿠와타이어
3. 3. 텐다어군
텐다어군은 바디아라어, 바사리어, 비아파다어, 부디크어, 와메이어로 구성된다.[1]3. 4. 기타 언어군
칸진어에는 눈어, 레하르어, 사피사피어, 은두트어, 팔로르어가 포함된다.[1] 멜어에는 골라어와 불롬키시어가 속한다.[1] 불롬키시어에는 봄어, 불롬소어, 셰르브로어, 크림어, 키시어가 있다.[1] 템네어에는 란도마어, 바가어, 템네어가 속한다.[1] 림바어도 남 애틀랜틱어에 포함된다.[1]4. 언어 특징
대서양어족에 속하는 언어들은 여러 특징을 공유하는데, 그 중 하나는 어휘적 특징이다.
포즈니아코프(Konstantin Pozdniakov)와 세게러(Segerer, 2017)가 재구성한 원(原) 대서양 어휘 혁신은 다음과 같다.[6]
어휘 | 원 대서양 |
---|---|
별 | *kʷʊʈ |
날다 | *yiiʈ |
죽다 | *keʈ |
썩다 | *pʊʈ |
셋 | *taʈ |
눈 | *giʈ |
간 | *heɲ |
깃털 | *lung |
머리카락 | *wal |
바오밥나무 | *bak ~ *ɓak |
보다 | *jok (?) |
나무 줄기 | *dik |
출산하다 | *was / *bas |
윌슨(Wilson, 2007:36)은 원 대서양 재구성을 다음과 같이 제안했다.[6]
어휘 | 원 대서양 |
---|---|
머리 | *kop |
귀 | *nop |
눈 | *kit |
입 | *tum |
언어 | ‘눈’ | ‘간’ | ‘깃털’ | ‘머리카락’ | ‘바오밥나무’ | ‘보다’ | ‘나무 줄기’ | ‘출산하다’ |
---|---|---|---|---|---|---|---|---|
원 대서양 | *giʈ | *heɲ | *lung | *wal | *b/ɓak | *jok? | *dik | *w/bas |
텐다-자드 | *gəɬ | *ceeɲ | *dɔ̰̀ngw | *mbal | ɓak | jeek? | *bas | |
풀라-세레르 | *git | xeeɲ | wiil | ɓaak/ɓok | jak | lek- | ɓas-il | |
뉴운-부이 | *giɬ | kɩɩɲ | lung | bɔk | njug? | leex/rien | bɔs | |
월로프 | -ət | dung | *-war | jàkk | wəs-in | |||
창긴 | *ʔəɬ | *kɛɛɲ | ɓaʔ/ɓɔh | *dik | ɓəs | |||
나루 | cet | bɛɛk | yɛk | dik/lik | ||||
욜라 | kiɬ | hɩɩɲ | *wal | bak | jʊk | nʊk-an | βɔs | |
만자크 | *kiɬ | *-ɩɲ | lung | *wɛl | bak | jʊk | bas | |
발란트 | *kít/git | hɩ́ɩ́ɲɛ̰̀ | wul/hul | ndíŋá/ndiik | ||||
비조고 | ŋɛ | runk- | wa | joŋ | nik-an | -gbʸa |
5. 연구사
데이비드 달비는 1965년에 멜 언어가 남부 '서부 대서양'으로 재분류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1] 톰 귈데만은 2018년에 아프리카의 역사 언어학 및 계통 언어 분류에 대한 연구를 발표했다.[2] 얀 헨릭 홀스트는 2008년에 대서양의 돌연변이 시스템 재구성에 대한 연구를 출판했다.[3]
콘스탄틴 포즈냐코프는 2007년에 비교 대서양 연구의 방법론적 문제에 대한 논문을 발표했고,[4] 2008년에는 언어 수준과 대서양 언어의 재구성 문제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5] 포즈냐코프와 기욤 세게레는 2004년에 대서양 대명사의 재구성과 대명사 시스템의 유형학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고,[6] 2017년에는 대서양 언어의 계통 분류(초안)를 연구했다.[7]
기욤 세게레와 플로리안 리오네는 2010년 12월 4일에 대서양의 '고립어'에 대한 영상을 발표했다. J. 데이비드 사피르는 1971년에 서대서양에 대한 언어 목록, 명사 부류 체계 및 자음 교체에 대한 연구를 발표했다.
카이 윌리엄슨과 로저 블렌치는 2000년에 니제르-콩고어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다. W. A. A. 윌슨은 1989년에 대서양 언어에 대한 연구를 발표했다.
참조
[1]
문서
[2]
간행물
A new, innovation-based classification of Atlantic languages
http://www.guillaume[...]
2016-03-23
[3]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African Languages
[4]
서적
The Oxford Guide to the Atlantic Languages of West Africa
Oxford University Press
[5]
간행물
Cognate noun class markers between Northern Atlantic groups and Benue-Congo
https://www.iaaw.hu-[...]
2021-11-06
[6]
서적
Guinea Languages of the Atlantic Group: Description and Internal Classification
2007-01-01
[7]
웹사이트
The Niger-Congo Language Phylum
https://lingweb.eva.[...]
Numeral Systems of the World's Languages
2019-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