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풀라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풀라어는 니제르-콩고어족 대서양-콩고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서아프리카 지역에서 9천 5백만 명 이상이 사용한다. 명칭은 풀라어, 풀라르, 풀풀데어 등 다양하며, 문법적으로는 명사류 체계와 자음 교체, 포괄적 및 배타적 1인칭 복수 대명사가 특징이다. 풀라어는 라틴 문자, 아랍 문자, 아들람 문자로 표기되며, 다양한 방언이 존재한다. 기니의 공용어이며, 나이지리아, 카메룬, 차드 등 여러 아프리카 국가에서도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니제르콩고어족 - 만데어파
    만데어파는 서아프리카의 다양한 언어 어족으로, 11개의 하위 어파로 나뉘며 니제르-콩고어족과의 관계에 대한 논의가 있지만 독립된 어족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 니제르콩고어족 - 대서양콩고어파
    대서양콩고어파는 로저 블렌치의 분류에 따라 탈로디·헤이반어군, 세누포어군, 크루어군, 대서양 제어, 볼타·콩고어군 등으로 나뉘는 어파이며, 일부 학자들은 세누포어군과 크루어군을 볼타콩고어군의 일부로 보기도 한다.
  • 나이지리아의 언어 - 요루바어
    요루바어는 니제르-콩고어족에 속하며 나이지리아 등 서아프리카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다양한 방언과 아랍어의 영향을 받은 풍부한 어휘, 구비 및 기록 문학, 음악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 나이지리아의 언어 - 이보어
    이보어는 나이지리아 남동부에서 주로 사용되는 나이저콩고어족의 언어로, 표준화 과정을 거쳤으나 식민주의적 억압이라는 비판도 존재하며, 다양한 방언을 가지고 대서양 노예 무역을 통해 아메리카 대륙에 영향을 주었고 현재는 보존 노력이 진행 중이다.
  • 언어 - 어휘
    어휘는 특정 언어에서 개인이 사용하는 단어들의 집합을 지칭하며, 언어학적으로는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등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고, 어휘 습득은 언어 능력 및 인지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 언어 - 언어학
    언어학은 인간 언어의 구조, 기능, 획득, 사회문화적 측면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공시 및 통시언어학을 포함한 여러 이론 분야로 나뉘어 다양한 방법론과 학제 간 연구를 통해 언어의 본질과 인지 과정, 사회적 영향 등을 탐구하며, 응용언어학은 이러한 연구 결과를 실제 문제 해결에 적용한다.
풀라어
지도 정보
언어 정보
이름풀라어
다른 이름풀라어
풀라
풀라어
풀풀데어
풀라르어
풀라르

페울어
자기 이름

사용 지역서아프리카
사헬 지대
모리타니
세네갈
말리
기니
부르키나파소
니제르
나이지리아
카메룬
감비아
차드
시에라리온
베냉
기니비사우
수단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코트디부아르
가나
토고
사용 민족풀라족
사용자 수L1: 3685만4740명 (2014–2021)
L2: 268만명 (2019)
언어 계통니제르콩고어족
대서양콩고어파
대서양 제어
세네감비아어군
풀라-세레르어군
문자라틴 문자
아들람 문자
아랍 문자
공식 언어부르키나파소
말리
소수 언어
ISO 639-1ff
ISO 639-2ful
ISO 639-3ful
글롯코드fula1264
방언 정보
방언 1풀라르어 (세네감비아, 모리타니)
lc1: fuc
방언 2풀라어 (기니, 시에라리온)
lc2: fuf
방언 3마시나 풀풀데어 (말리, 가나)
lc3: ffm
방언 4보르구 풀풀데어 (베냉, 토고)
lc4: fue
방언 5서부 니제르 풀풀데어 (부르키나파소, 니제르)
lc5: fuh
방언 6중동부 니제르 풀풀데어 (니제르)
lc6: fuq
방언 7나이지리아 풀풀데어 (나이지리아)
lc7: fuv
방언 8아다마와 풀풀데어 (카메룬, 차드, 나이지리아)
lc8: fub
방언 9바기르미 풀풀데어 (중앙아프리카공화국)
lc9: fui

2. 명칭

풀라어와 마찬가지로 풀베족에도 여러 이름이 사용된다. 풀베족은 서부 방언에서는 "풀라어" 또는 "풀라르"라고 부르고, 중부 및 동부 방언에서는 "풀풀데어"라고 부른다. 영어의 "풀라(Fula)", "풀라(Fulah)", "풀라니(Fulani)"는 각각 만딩어(특히 만딘카어, 말린케어, 바마나어)와 하우사어에서 유래했다. 프랑스어의 "페울(Peul)"은 월로프어에서 유래했으며, 영어 문헌에서도 가끔 발견된다.

3. 분류

풀라어는 니제르-콩고어족 대서양-콩고어파의 대서양어군 세네감비아어군에 속한다.

풀라어에서는 명사=동사 어근에서 다양한 동사·명사·수식어가 파생된다. 삽입어를 사용하여 의미를 수식한 어휘가 파생되기도 한다. 약 26개의 명사류가 있으며, 방언에 따라 그 수는 변동한다. 단수형과 복수형 사이에서 발생하는 음두 변화는 이 언어의 또 다른 특징이다. 또한, 포괄적 및 배타적 1인칭 복수 대명사를 가지고 있다. 풀라어는 복잡하다는 평판이 있지만, 불규칙 변화가 약간 있는 것을 제외하면 매우 규칙적이다.

4. 문법

풀어어는 동사-명사 어근을 바탕으로 하며, 이 어근에서 동사, 명사, 수식어가 만들어진다. 의미를 바꾸기 위해 접미사를 사용하는데, 이 접미사는 때때로 어근과 어미 사이에 위치하여 삽입접사라고 불리기도 한다. 이러한 접미사는 풀어어에서 영어의 전치사와 비슷한 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다.[1]

4. 1. 명사류

풀라어는 견고한 명사류 체계를 특징으로 하며, 풀풀데어 방언들 사이에서 24~26개의 명사류가 일반적이다.[4] 풀라어의 명사류는 추상적인 범주이며, 일부 명사류는 그 구성원의 하위 집합을 특징짓는 의미적 속성을 가지고 있고, 다른 명사류는 그 구성원을 의미적으로 분류할 수 없을 정도로 다양한 구성원으로 표시된다.[5] 예를 들어, 실처럼 가늘고 긴 것들에 대한 명사류, 큰 것들에 대한 명사류, 액체에 대한 명사류, 강하고 단단한 물체에 대한 명사류, 인간 또는 인간형 특징에 대한 명사류 등이 있다. 성별은 풀라어 명사류 체계에서 어떤 역할도 하지 않으며, 성별 표시는 범주 표지가 아닌 형용사로 이루어진다.[6] 명사류는 명사에 접미사로 표시된다. 이러한 접미사는 명사류 이름과 같지만, 종종 음운 과정(가장 흔하게 접미사의 첫 자음이 생략되는 것)의 영향을 받는다.[7]

아래 표는 명사류 이름, 명사류 구성원과 관련된 의미적 속성, 그리고 명사류 표지가 있는 명사의 예시를 보여준다. 1류와 2류는 인칭류, 3-6류는 지소류, 7-8류는 증대류, 9-25류는 중성류로 설명될 수 있다. McIntosh의 1984년 Kaceccereere 풀풀데어에 대한 설명을 기반으로 하며, 데이비드 아놋의 1970년 풀라어 곰베 방언 명사류에 대한 설명과 "본질적으로 동일하다"고 설명한다.[4][8]

명사류 이름의미예시
off단수 인칭laam-ɗo 족장; 차용어도 포함
ɓeff복수 인칭laam-ɓe '족장들'
ngelff단수 지소loo-ngel '작은 냄비'
kalff소량 지소con-al '소량의 밀가루'
ngum/kumff경멸적 지소laam-ngum/laam-kum '쓸모없는 작은 족장'
kon/koyff복수 지소ullu-kon/ullu-koy '작은 고양이/새끼 고양이들'
ndeff다양함, 구형 물체, 장소, 시간 등 포함loo-nde '저장용 냄비'
ndiff다양함, 불가산 명사 포함com-ri '피로'
nduff다양함ullu-ndu '고양이'
ngaff다양함, 일부 큰 동물 포함nood-a '악어'
ngeff주로 , , 태양, 굶주림nagg-e '소'
ngoff다양함juu-ngo '손'
nguff다양함ɓow-ngu '모기'
ngalff다양함, 증대 단수 포함ɗem-ngal '혀'
ngolff다양함, 종종 긴 것들ɓog-gol '밧줄'
ngii/ngilff다양함, 증대 단수 포함ɓog-gii/ɓog-gii '큰 밧줄'
kaff다양함laan-a '배'
kiff다양함lek-ki '나무'
koff다양함haak-o '수프'
kolff송아지, '망아지'ɲal-ol 송아지, mol-ol '망아지'
ɗamff주로 액체lam-ɗam 소금, ndiy-am '물'
ɗumff중성maw-ɗum '큰 것'
ɗeff비인칭 복수juu-ɗe '손들'
ɗiff비인칭 복수nai 소들'


4. 2. 자음 교체

이 언어의 또 다른 특징은 명사와 동사의 단수형과 복수형 사이에서 나타나는 자음 교체 현상이다.[1] 간략한 체계는 다음과 같다.

변화
w ↔ b ↔ mb
r ↔ d ↔ nd
y ↔ j ↔ nj
w ↔ g ↔ ng
f ↔ p
s ↔ c
h ↔ k


4. 3. 대명사

풀라어에는 포괄적 및 배타적 1인칭 복수 대명사가 있다. 포괄적 대명사는 화자와 청자 모두를 포함하는 반면, 배타적 대명사는 청자를 제외한다.

주어진 명사에 해당하는 대명사는 명사류에 따라 결정된다. 남성과 여성은 동일한 명사류에 속하기 때문에, 영어 대명사 "he"와 "she"는 풀라어에서 동일한 대명사로 번역된다. 그러나 방언에 따라 25가지가 넘는 서로 다른 명사류가 있으며, 각각 고유한 대명사를 가지고 있다. 때때로 이러한 대명사는 주격(동사의 주어로 사용됨), 목적격 또는 여격(동사의 목적어로 사용됨), 소유격을 갖는다. 관계 대명사는 일반적으로 주격과 같은 형태를 취한다.[1]

4. 4. 동사 활용

풀어어의 동사는 일반적으로 세 가지 목소리—능동태, 중간태, 수동태—로 분류된다.[9] 모든 어근이 모든 목소리에서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일부 중간태 동사는 재귀 동사이다.

5. 방언

풀라어에는 여러 방언이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하나의 언어로 간주된다. 윌슨(1989)은 "먼 거리를 여행하더라도 의사소통에 전혀 불편함이 없다"고 언급했지만, 성경 번역자들은 풀라어 사용 사회에 최소 7가지 번역이 필요하다고 추정한다. 에스놀로그에서는 이를 여러 언어로 분류하고 있다.[10]

5. 1. 주요 방언군

풀라어에는 수많은 방언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하나의 언어로 간주된다. 윌슨(1989)은 "먼 거리를 여행하는 사람들도 의사소통이 불가능한 경우는 결코 없다"고 말했고, 카(1991)는 지리적 범위와 방언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풀풀데어는 근본적으로 하나의 언어라고 결론지었다.[10] 그러나 『에스놀로그』는 대부분의 풀라어 화자들이 성경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9가지 다른 번역이 필요하다고 밝혔으며(출처 필요, 2023년 4월), 이러한 방언들을 별개의 언어로 취급한다.

6. 표기 체계

1950년대와 1960년대에 풀풀데어를 표기하기 위한 고유 문자를 만들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성공하지 못했다.[11][12][13]

6. 1. 라틴 문자

풀라어를 위한 스마트폰 키보드. 갈고리 모양의 특수 문자 갈고리 디 (ɗ), 갈고리 비 (ɓ), 엔 (ŋ)이 표시되어 있다.


라틴 문자를 사용하여 풀라어를 표기할 때, 언어에서 의미상으로 다른 소리를 구분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추가적인 특수 "갈고리" 문자를 사용한다. Ɓ/ɓ, Ɗ/ɗ, Ŋ/ŋ, Ɲ/ɲ, Ƴ/ƴ. 문자 c, j, r은 각각 [c~tʃ], [ɟ~dʒ], [r] 소리를 나타낸다. 겹모음은 모음이 길게 발음됨을 나타낸다. 아포스트로피(ʼ)는 성문 폐쇄음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5개의 모음 체계를 사용하여 모음 소리와 길이를 나타낸다. 나이지리아에서는 ʼy가 ƴ를 대체하고, 세네갈에서는 Ñ/ñ이 ɲ 대신 사용된다.

'''A, Aa, B, Mb (또는 Nb), Ɓ, C, D, Nd, Ɗ, E, Ee, F, G, Ng, H, I, Ii, J, Nj, K, L, M, N, Ŋ, Ɲ Ny (또는 Ñ)''', O, Oo, P, R, S, T, U, Uu, W, Y, Ƴ 또는 y'''

'''Q, V, X, Z'''는 외래어에서 일부 사용된다.

풀라 알파벳
ABNbƁCDNdƊEFGNgHIJNjKLMNŊƝOPRSTUWYƳ
소문자
abnbɓcdndɗefgnghijnjklmnŋɲoprstuwyƴ
음운적 가치
~~~~~
~~



장음은 이중으로 표기한다:

1966년 3월 바마코에서 유네스코 후원 전문가 회의에서 채택된 표준 풀풀데 알파벳은 다음과 같다.[14]

a, b, mb, ɓ, c, d, nd, ɗ, e, f, g, ng, h, i, j, nj, k, l, m, n, ŋ, ny (''나중에'' ɲ ''또는'' ñ), o, p, r, s, t, u, w, y, ƴ,.

라틴 알파벳으로 표기할 때, 풀라어(Fula)는 발음의 차이를 명확히 하기 위해 ‘갈고리’가 있는 문자 Ɓ/ɓ, Ɗ/ɗ, Ŋ/ŋ, Ɲ/ɲ, Ƴ/ƴ (내파음 B, 내파음 D, 연구개음 N ["king"의 "ng"과 같은 소리], 경구개음 N, 방출음 Y)를 추가했다. 아포스트로피(ʼ)는 성문폐쇄음에 사용한다. 나이지리아에서는 ʼy를 ƴ로 바꾸고, 세네갈에서는 ñ이 ɲ 대신 사용된다.

6. 2. 아랍 문자

풀라어는 유럽의 식민지화 이전부터 우스만 단 포디오와 북나이지리아 보호령의 초기 에미르들을 포함한 많은 학자들과 지식인들에 의해 아랍 문자(아자미 문자)로 기록되어 왔다.[1] 이러한 경향은 특히 기니카메룬과 같은 일부 지역에서 어느 정도까지 계속되고 있다.

풀라어는 또한 아랍어 차용어를 가지고 있다.

6. 3. 아들람 문자

Adlam 문자는 1980년대 후반과 1990년대 초반, 기니의 Nzérékoré 지역 출신 십대 형제인 이브라히마 바리와 아부둘라예 바리가 풀라어의 모든 소리를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창제하였다. 이 문자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쓰이며, 5개의 모음과 23개의 자음을 포함한 28개의 문자로 구성된다.[11][12][13]

7. 사용 현황

풀라어는 기니, 세네갈, 감비아, 나이지리아 북동부, 카메룬, 말리, 부르키나파소, 가나 북부, 니제르 남부, 베냉 북부(많은 화자가 이중 언어 사용자인 보르구 지역)에서 공용어이자 여러 아프리카 국가(모리타니, 기니비사우, 시에라리온, 토고,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차드, 수단, 에티오피아, 소말리아 등)의 지역 언어이며, 총 9천 5백만 명이 넘는 화자가 있다.

참조

[1] 서적 The Linguistics Student's Handbook Edinburgh
[2] 웹사이트 Documentation for ISO 639 identifier: ful https://www.loc.gov/[...] ISO 639-2 Registration Authority - Library of Congress 2017-07-04
[3] 웹사이트 Documentation for ISO 639 identifier: ful http://www-01.sil.or[...] ISO 639-3 Registration Authority - SIL International 2017-07-04
[4] 논문
[5] 논문
[6] 논문
[7] 논문
[8] 논문
[9] 논문
[10] 서적 Language Standardization in Africa Helmut Buske verlag
[11] 뉴스 The Alphabet That Will Save a People From Disappearing https://www.theatlan[...] 2016-11-16
[12] 웹사이트 The ADLaM Story – How Alphabet Changes Culture https://web.archive.[...] 2018-04-04
[13] 웹사이트 Ibrahima & Abdoulaye Barry — How a new alphabet is helping an ancient people write its own future. https://news.microso[...] Microsoft 2019-07-29
[14] 웹사이트 Rapport Final de la Réunion d'un groupe d'experts pour l'unification des alphabets des langues nationales http://www.bisharat.[...] 2023-12-23
[15] 웹사이트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 Pulaar https://www.ohchr.or[...] 2023-01-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