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네감비아어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네감비아어군은 니제르-콩고어족의 서대서양어파에 속하는 언어군으로, 주로 세네갈과 감비아 지역에서 사용된다. 이 언어군은 성조가 없는 특징을 가지며, 자음 변이 현상이 나타난다. 세부 분파로는 바크어군, 풀라·월로프어군, 텐다·자드어군, 창인어군, 뉸어군, 날루어군 등이 있다. 풀라어와 세레르어는 명사부류 접미사를 공유하며, 자음 변이 현상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세네감비아어군 |
---|
2. 분류
사피어(Sapir)(1971)는 니제르콩고어족의 분파인 서대서양어파를 제안했으며, 그 하위 분파로 세네감비아어군과 거의 같은 북쪽 분파를 제안했다. 그러나 이후 연구에 따르면 서대서양어파와 그 하위 분파들은 계통적 집단이 아닌 지리적·유형론적 집단으로 밝혀졌다. 세게러 & 포즈니아코프(Segerer & Pozdniakov)의 연구(2010, 2017)에서는 남대서양어군을 분리했다. 나머지 북대서양어군(세네감비아어군) 언어들은 성조가 없다는 특징을 가지며, 세레르어-풀라어-월로프어 분기는 자음변이 현상이 나타난다.
세네감비아어군은 학자들에 따라 분류가 조금씩 다르다. 세레르어와 풀라어는 명사부류 접미사를 공유한다.[1] 《에스놀로그》 20판 등에서는 풀라어가 세레르어보다 월로프어에 더 가깝다고 나와 있지만, 이는 문헌을 옮겨 적는 과정에서 발생한 오류라고 한다.
막스 플랑크 진화인류학 연구소의 글롯토로그(Glottolog) 데이터베이스에서는 세네감비아어군을 '북중앙 대서양어'라는 이름으로 분류한다.[1]
2. 1. 세부 분파
사피어(Sapir)(1971)는 니제르콩고어족의 분파인 서대서양어파를 제안했으며, 그 하위 분파로 세네감비아어군과 거의 같은 북쪽 분파를 제안했다. 그러나 이후 연구에 따르면 서대서양어파와 그 하위 분파들은 계통적 집단이 아닌 지리적·유형론적 집단으로 밝혀졌다. 세게러 & 포즈니아코프(Segerer & Pozdniakov)의 연구(2010, 2017)에서는 남대서양어군을 분리했다. 나머지 북대서양어군(세네감비아어군) 언어들은 성조가 없다는 특징을 가진다.세네감비아어군은 다음과 같이 나뉜다.
어군 | 세부 언어 |
---|---|
바크어군 | (하위 섹션 바크어군 참고) |
풀라·월로프어군 | (하위 섹션 풀라·월로프어군 참고) |
텐다·자드어군 | (하위 섹션 텐다·자드어군 참고) |
창인어군 | (하위 섹션 창인어군 참고) |
월로프어 | 레부 월로프어 포함 |
뉸어군 | (하위 섹션 뉸어군 참고) |
날루어군 | (하위 섹션 날루어군 참고) |
세레르어와 풀라어는 명사부류 접미사를 공유한다는 특징이 있다.[1]
2. 1. 1. 바크어군
바크어는 세네감비아어군의 하위 분파 중 하나이다.[1]2. 1. 2. 풀라·월로프어군
데이비드 사피어(David Sapir영어) (1971)의 연구에 따르면, 세레르어와 풀라어는 명사부류 접미사를 공유하는 특징이 있다.[1] 《에스놀로그》 20판 등에서는 풀라어가 세레르어보다 월로프어에 더 가깝다고 나와 있지만, 이는 문헌을 옮겨 적는 과정에서 발생한 오류라고 한다.2. 1. 3. 텐다·자드어군
텐다·자드어군은 텐다어군과 자드어군으로 나뉜다.2. 1. 4. 창인어군
세네감비아어군에 속하는 한 어군이다.2. 1. 5. 뉸어군
뉸어군은 카상가어, 코비아나어(부이어), 바늄어(뉸어), 바이노웅크 구버헤르어 등을 포함한다.[1]2. 1. 6. 날루어군
날루어군은 세네감비아어군에 포함되는지 여부가 불확실하며,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1] 날루어군에는 바가 음보테니어, 음불룽기시어, 날루어 등이 포함된다.2. 2. 기타 분류
막스 플랑크 진화인류학 연구소의 글롯토로그(Glottolog) 데이터베이스에서는 세네감비아어군을 '북중앙 대서양어'라는 이름으로 분류한다.[1]3. 언어적 특징
세네감비아어군은 자음변이와 명사부류 체계라는 두드러진 언어적 특징을 보인다.
3. 1. 자음변이
세네감비아어군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 중 하나는 자음변이 현상이다. 자음변이란 단어의 첫 자음이 형태론적·통사론적 환경에 따라 달라지는 현상을 말한다.3. 1. 1. 자음변이 예시
세네감비아어군은 단어의 첫 자음이 형태적 및/또는 통사적 환경에 따라 변하는 현상인 자음변이로 잘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풀라어에서 많은 명사의 첫 자음은 단수인지 복수인지에 따라 바뀐다.pul-lo | '풀라니 사람' | ful-ɓe | '풀라니 사람들' |
guj-jo | '도둑' | wuy-ɓe | '도둑들' |
3. 2. 명사부류 체계
세네감비아어군의 풀라·세레르어군 언어들은 명사부류 접미사를 사용하거나 접두사와 접미사를 함께 사용한다. 이는 반투어군을 포함한 다른 니제르콩고어족 언어들의 명사부류 체계가 대부분 접두사로 표시되는 것과 대조적이다. 조지프 그린버그는 명사부류 접미사가 명사 뒤에 오며 명사부류에 일치하는 한정사에서 기원했다고 주장했다.[1]: CL-Noun CL-Det → CL-Noun-CL → Noun-CL
(CL은 명사부류(Class)를, Det는 한정사(Determiner)를 의미한다.)
4. 어휘 비교
언어 | 눈 | 귀 | 코 | 이 | 혀 | 입 | 피 | 뼈 | 나무 | 물 | 이름; 성 |
---|---|---|---|---|---|---|---|---|---|---|---|
월로프어 | bət / gət | nɔɔp | bakkan | bəny / gəny | lämminy | gemminy | dɛrɛt | yax | garab | ndɔx | tur; sant |
세레르어 | áŋgît | nɔ̂f | ɔ́nyîs | ányíìny (PL) | ɗélém | ɔdôn | fo ʔɔl ɔla | o hij ola / a kij aka | i ndaxar na / taxar ka | fɔ̂ːfî | |
신어 | ṇgid | nɔ̣f | ɲis | ɲiɲ | ɗelɛm | dɔ̣n | foʔyeʔ | kiʔy | ndaxar | fof | gɔ̣̀n |
풀라어 / 풀라르 | yiit-ere / git-e | now-ru / noppi | kin-al / kin-e | nyii-re / nyi’-e | ɗen-gal / -ɗe | hundu-ko / kundu-le; kara-ho | ʔyii ʔy-an | ʔyi-ʔ-al / ʔyiʔ-e | leggal / leɗɗe | ndiy-an / di’e | in-nde / in-ɗe; yettoo-re / gettoo-je |
은두트어 | ʔil | nœf | ɲin | sis | pɛɾɛm | ɓuk | ɲif | ʔyo | kɪlɪl | mɞlop | tiː |
실리어 | ʔil | nuf | ɲin | sis | pɛ̣ɾɛm | ɓuq | ɲif | ʔyox | kilik | molop | tʰiː |
사피어 | xas | nœf | kiɲin | sis | pɛʔdɛm | ŋgup | ɲif | ʔjɔx | kidik | mazup | tik |
라라어 | kɔs | nɔf | kumun | sis | peɾim | kuː | ɲif | ʔyɔx | kɛdɛk | musu | tɛːk |
논어 | kᵘas | nɔf | kumɞn | siːs | pɛfɛm | ku | ɲif | ʎoh | kɛdɛk | mᵘɔjuʔ | tek |
반훔어 | ci-gil / i- | ci-nuf / xa- | nyaŋkən / -əŋ | gu-rul / xa- | bu-lemuc / i- | bu-rul / i- | mu-leen | gu-xuun / xa- / ba-, ku- | ci-nɔ / mu-nn | mu-nd / +-əŋ | gu-rɛt / xa-; ci-ram / nya- |
코비아나어 | si-ggih / nyi- | si-nuf / ŋa- | gu-nyikin / ŋa- | bu-gees / ja- | jaarum / a- | a-cis / ga-s | bu-heeh | gu-maab / ŋa- | u-doʔ / dɛ- | ma-leem | gi-sɛh / ŋa-; gu-mantiinya / ŋa- |
카상가어 | si-gir / ga-, nyi- | gu-nuf / ŋɔ- | gu-nyikən / ŋa- | gu-gees / ŋa- | jaalumb / a- | a-cis / ga-s | bi-lɛr | gu-maab / ŋa- | gu-rien / ŋa- | ma-yaab | gu-sɛr / ŋa-; si-mbur / nyi- |
코냐기어 | ì-ŋkə́r | æ̀-nə̀f / væ̀- | ì-cə̀l / wæ̀-s | Ø-bènyə́ / wæ̀- | Ø-ryə̀w̃ / wæ̀- | Ø-w̃ə̀s / wæ̀- | #-sǽt | Ø-ỹə̀c / wæ̀- | æ̀-tə́x / væ̀- | wə-̀ŋkà | ù-w̃æ̀cə́ / wæ̀-m |
텐다어 | a-ŋgəz / b+ | a-nəv / b+ | ɛ-cən / o-z | yiŋga / ɔ- | liw / o-d | e-tey / o-z | ɔ-zat | a-capar / b+ | ɛ-təɣ / ɔ- | men (o-class) | ɔ-wac / ɔ-m; zəc / o-c |
베디크어 | ngəs | ga-nəf / ba- | e-cəl / ma-s | gi-nyaŋga / ma- | i-ɗem / mə- | bə-məš / ma- | ma-yel | ɛ-bɛʔy / Ø-m | ga-t / ba-t | məŋga | yat |
파자데어 | m-aasa | ko-nufa | nya-sɛnɛ | pe-nnya | pe-deema | pa-mməs | p-wad | pe-jeere | ma-tte | ma-mbe | micc |
비아파다어 | gərä | gə-nəfa | nya-sin / ba+ | cede / maa-s | bu-deema | mməsə / maa-m | bwa-hanna | bu-jedä | bu-r / maa-r | ma-mbiya | gə-səttə; gə-gbanyi |
참조
[1]
논문
North-Central Atlantic
https://glottolog.or[...]
Max Planck Institute for Evolutionary Anthropology
2022-12-05
[2]
서적
Guinea Languages of the Atlantic group: description and internal classification
Peter Lang
2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