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1호 ~ 제100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1호 ~ 제100호)는 1962년 12월 3일에 지정된 식물, 동물, 지질, 천연보호구역 등을 포함하는 천연기념물 목록이다. 이 목록에는 대구 도동 측백나무 숲(제1호), 서울 재동 백송(제8호), 광릉 크낙새 서식지(제11호), 진도 진도개(제53호)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각 천연기념물은 해당 지역의 지방자치단체 또는 관련 기관에서 관리한다. 또한, 해제된 천연기념물과 관련된 정보도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 두루미
    두루미는 러시아, 중국, 일본 등지에서 번식하며 멸종위기종으로, 한국에서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홋카이도 개체군은 텃새이고 잡식성이며 동아시아 문화에서 장수를 상징한다.
  •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 수달
    수달은 족제비과에 속하며 유선형 몸매와 물갈퀴 등 수중 생활에 적합한 특징을 지닌 반수생 포유류로, 물고기 외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고 전 세계에 분포하지만 서식지 파괴 등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여 멸종위기에 처해 있다.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1호 ~ 제100호)

2. 지정 현황

2. 1. 지정 목록

2. 1. 1. 식물

150px


대구 도동 측백나무 숲은 대구 동구에 위치하며, 1962년 12월 3일에 천연기념물 제1호로 지정되었다. 관리자는 대구시 동구청장이다.

150px


서울 재동 백송은 서울 종로구 재동 35에 있으며, 1962년 12월 3일 천연기념물 제8호로 지정되었다. 헌법재판소(종로구청)에서 관리한다.

150px


서울 조계사 백송은 서울 종로구에 있으며, 1962년 12월 3일 천연기념물 제9호로 지정되었다. 종로구에서 관리한다.

150px


제주 삼도 파초일엽 자생지는 제주 서귀포시에 있으며, 1962년 12월 3일 천연기념물 제18호로 지정되었다. 제주특별자치도지사가 관리한다.

150px


제주 토끼섬 문주란 자생지는 제주 제주시 에 있으며, 1962년 12월 3일 천연기념물 제19호로 지정되었다. 제주특별자치도지사가 관리한다.

150px


완도 주도 상록수림은 전남 완도군에 있으며, 1962년 12월 3일 천연기념물 제28호로 지정되었다. 완도군수가 관리한다.

150px


남해 미조리 상록수림은 경남 남해군에 있으며, 1962년 12월 3일 천연기념물 제29호로 지정되었다. 남해군수가 관리한다.

150px


양평 용문사 은행나무는 경기 양평군에 있으며, 1962년 12월 3일 천연기념물 제30호로 지정되었다. 양평군수가 관리한다.

150px


강진 사당리 푸조나무는 전남 강진군에 있으며, 1962년 12월 3일 천연기념물 제35호로 지정되었다. 강진군수가 관리한다.

150px


순천 평중리 이팝나무는 전남 순천시에 있으며, 1962년 12월 3일 천연기념물 제36호로 지정되었다. 순천시장이 관리한다.

구례 화엄사 올벚나무는 전남 구례군에 있으며, 1962년 12월 3일 천연기념물 제38호로 지정되었다. 구례군수가 관리한다.

강진 삼인리 비자나무는 전남 강진군에 있으며, 1962년 12월 3일 천연기념물 제39호로 지정되었다. 강진군수가 관리한다.

완도 예송리 상록수림은 전남 완도군에 있으며, 1962년 12월 3일 천연기념물 제40호로 지정되었다. 완도군수가 관리한다.

울릉 통구미 향나무 자생지는 경북 울릉군에 있으며, 1962년 12월 3일 천연기념물 제48호로 지정되었다. 울릉군수가 관리한다.

울릉 대풍감 향나무 자생지는 경북 울릉군에 있으며, 1962년 12월 3일 천연기념물 제49호로 지정되었다. 울릉군수가 관리한다.

울릉 태하동 솔송나무·섬잣나무·너도밤나무군락은 경북 울릉군에 있으며, 1962년 12월 3일 천연기념물 제50호로 지정되었다. 울릉군수가 관리한다.

울릉 도동 섬개야광나무와 섬댕강나무군락은 경북 울릉군에 있으며, 1962년 12월 3일 천연기념물 제51호로 지정되었다. 울릉군수가 관리한다.

울릉 나리동 울릉국화와 섬백리향군락은 경북 울릉군에 있으며, 1962년 12월 3일 천연기념물 제52호로 지정되었다. 울릉군수가 관리한다.

서울 문묘 은행나무는 서울 종로구 명륜3가 53번지에 있으며, 1962년 12월 3일 천연기념물 제59호로 지정되었다. 국(문화재청장), 서울시에서 관리한다.

부채꼴 모양 고양 송포 백송


고양 송포 백송은 경기 고양시 일산서구 덕이동 1000-8에 있으며, 1962년 12월 7일 천연기념물 제60호로 지정되었다. 탐진최씨정민공파명오조후손종친회,고양시장이 관리한다.

단양 영천리 측백나무 숲은 충북 단양군 매포읍 영천리 산38번지에 있으며, 1962년 12월 3일에 천연기념물 제62호로 지정되었다. 단양군수 외(단양군)에서 관리한다.

통영 비진도 팔손이나무 자생지는 경남 통영시에 있으며, 1962년 12월 3일에 천연기념물 제63호로 지정되었다. 통영시장이 관리한다.

150px


울주 구량리 은행나무는 울산 울주군 두서면 구량리 860번지에 있으며, 1962년 12월 3일에 천연기념물 제64호로 지정되었다. 울주군에서 관리한다.

울주 목도 상록수림은 울산 울주군에 있으며, 1962년 12월 3일에 천연기념물 제65호로 지정되었다. 울산 울주군수가 관리한다.

옹진 대청도 동백나무 자생북한지는 인천 옹진군에 있으며, 1962년 12월 3일에 천연기념물 제66호로 지정되었다. 인천 옹진군수가 관리한다.

영월 하송리 은행나무는 강원 영월군에 있으며, 1962년 12월 3일에 천연기념물 제76호로 지정되었다. 강원 영월군수가 관리한다.

강화 갑곶리 탱자나무는 인천 강화군에 있으며, 1962년 12월 3일에 천연기념물 제78호로 지정되었다. 인천 강화군수가 관리한다.

150px


강화 사기리 탱자나무는 인천 강화군에 있으며, 1962년 12월 3일에 천연기념물 제79호로 지정되었다. 인천 강화군수가 관리한다.

150x150픽셀


무안 청천리 팽나무와 개서어나무 숲은 전남 무안군에 있으며, 1962년 12월 3일에 천연기념물 제82호로 지정되었다. 무안군에서 관리한다.

150px


금산 요광리 은행나무는 충남 금산군 추부면 요광리 329-8번지에 있으며, 1962년 12월 7일에 천연기념물 제84호로 지정되었다. 금산군에서 관리한다.

순천 송광사 천자암 쌍향수(곱향나무)는 전남 순천시에 있으며, 1962년 12월 3일에 천연기념물 제88호로 지정되었다. 순천시장에서 관리한다.

경주 오류리 등나무는 경북 경주시 에 있으며, 1962년 12월 3일에 천연기념물 제89호로 지정되었다. 경주시장이 관리한다.

205x205픽셀


내장산 굴거리나무군락은 전북 정읍시에 있으며, 1962년 12월 3일에 천연기념물 제91호로 지정되었다. 정읍시장이 관리한다.

원성 성남리 성황림은 강원 원주시에 있으며, 1962년 12월 3일에 천연기념물 제93호로 지정되었다. 원주시장이 관리한다.

삼척 도계리 긴잎느티나무는 강원 삼척시에 있으며, 1962년 12월 3일에 천연기념물 제95호로 지정되었다. 삼척시장이 관리한다.

울진 수산리 굴참나무는 경북 울진군에 있으며, 1962년 12월 3일에 천연기념물 제96호로 지정되었다. 울진군수가 관리한다.

2. 1. 2. 동물

150px


광릉 크낙새 서식지는 경기도 남양주시에 위치하며, 1962년 12월 3일에 천연기념물 제11호로 지정되었다. 크낙새는 한반도 중부 이북지역 산림지대에 서식하는 희귀한 딱따구리의 일종으로, 과거에는 흔했지만 일제강점기 남획과 한국전쟁으로 인해 서식지가 파괴되어 멸종 위기에 처했다. 광릉 크낙새 서식지는 한국전쟁 이후 크낙새가 마지막으로 생존했던 곳으로, 생물학적 보존 가치가 매우 높다. 그러나 최근 크낙새의 생존이 확인되지 않아 안타까움을 더하고 있다.

150px


진천 노원리 왜가리 번식지는 충청북도 진천군에 위치하며, 1962년 12월 3일에 천연기념물 제13호로 지정되었다. 왜가리는 한국에서 흔히 번식하는 여름 철새로, 진천 노원리 번식지는 내륙 지방에서 비교적 큰 규모의 번식지 중 하나이다. 과거에는 농약 사용 등으로 인해 왜가리 개체 수가 감소하기도 했으나, 최근에는 환경 보호 노력으로 개체 수가 회복되는 추세이다. 이는 생태계 보전을 위한 노력이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제주 무태장어 서식지는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에 있으며, 1962년 12월 3일에 천연기념물 제27호로 지정되었다. 무태장어는 열대 지방에서 주로 서식하는 대형 민물고기로, 한국에서는 제주도가 유일한 서식지이다. 제주도의 무태장어 서식지는 이 종의 북방한계선에 해당하며, 학술적 가치가 매우 높다. 특히, 제주도의 청정 하천 생태계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평가받는다.

150px


진도의 진도개는 전라남도 진도군에 있으며, 1962년 12월 3일에 천연기념물 제53호로 지정되었다. 진도개는 한국의 대표적인 토종견으로, 충성심과 용맹함, 귀소본능이 뛰어나다고 알려져 있다. 진도군은 진도개 보호 육성 조례를 제정하고, 진도개 시험연구소를 운영하는 등 진도개 혈통 보존과 우수성 홍보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이는 한국 고유의 생물자원을 보존하고 활용하는 좋은 사례로 평가받는다.

150px


정선 정암사 열목어 서식지는 강원도 정선군에 있으며, 1962년 12월 3일에 천연기념물 제73호로 지정되었다. 열목어는 냉수성 어종으로, 한반도 북부와 시베리아 등지에 분포한다. 정선 정암사 인근 계곡은 수온이 낮고 깨끗하여 열목어가 서식하기에 좋은 환경을 갖추고 있다. 열목어는 기후변화와 서식지 파괴로 인해 멸종 위기에 처해 있어, 서식지 보호가 시급하다.

봉화 대현리 열목어 서식지는 경상북도 봉화군에 있으며, 1962년 12월 3일에 천연기념물 제74호로 지정되었다. 봉화 대현리 계곡은 정선 정암사 서식지와 마찬가지로 열목어가 서식하기에 적합한 환경을 갖추고 있다. 이 지역은 열목어 보호를 위해 특별히 관리되고 있으며, 지역 주민들의 자발적인 보호 활동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2. 1. 3. 지질

wikitext
150px

2. 1. 4. 천연보호구역

대구 도동 측백나무 숲은 대구 동구에 위치하며, 1962년 12월 3일에 천연기념물 제1호로 지정되었다. 관리자는 대구시 동구청장이다.

|150px]]

광릉 크낙새 서식지는 경기 남양주시에 있으며, 1962년 12월 3일에 천연기념물 제11호로 지정되었다. 관리자는 경기 남양주시장이다.

|150px]]

진천 노원리 왜가리 번식지는 충북 진천군에 있으며, 1962년 12월 3일에 천연기념물 제13호로 지정되었다. 관리자는 충북 진천군수이다.

|150px]]

제주 삼도 파초일엽 자생지는 제주 서귀포시에 있으며, 1962년 12월 3일에 천연기념물 제18호로 지정되었다. 관리자는 제주특별자치도지사이다.

|150px]]

제주 토끼섬 문주란 자생지는 제주 제주시에 있으며, 1962년 12월 3일에 천연기념물 제19호로 지정되었다. 관리자는 제주특별자치도지사이다.

|150px]]

제주 무태장어 서식지는 제주 서귀포시에 있으며, 1962년 12월 3일에 천연기념물 제27호로 지정되었다. 관리자는 제주특별자치도지사이다.

완도 주도 상록수림은 전남 완도군에 있으며, 1962년 12월 3일에 천연기념물 제28호로 지정되었다. 관리자는 완도군수이다.

|150px]]

남해 미조리 상록수림은 경남 남해군에 있으며, 1962년 12월 3일에 천연기념물 제29호로 지정되었다. 관리자는 남해군수이다.

|150px]]

울릉 통구미 향나무 자생지는 경북 울릉군에 있으며, 1962년 12월 3일에 천연기념물 제48호로 지정되었다. 관리자는 울릉군수이다.

울릉 대풍감 향나무 자생지는 경북 울릉군에 있으며, 1962년 12월 3일에 천연기념물 제49호로 지정되었다. 관리자는 울릉군수이다.

울릉 태하동 솔송나무·섬잣나무·너도밤나무군락은 경북 울릉군에 있으며, 1962년 12월 3일에 천연기념물 제50호로 지정되었다. 관리자는 울릉군수이다.

울릉 도동 섬개야광나무와 섬댕강나무군락은 경북 울릉군에 있으며, 1962년 12월 3일에 천연기념물 제51호로 지정되었다. 관리자는 울릉군수이다.

울릉 나리동 울릉국화와 섬백리향군락은 경북 울릉군에 있으며, 1962년 12월 3일에 천연기념물 제52호로 지정되었다. 관리자는 울릉군수이다.

단양 영천리 측백나무 숲은 충북 단양군 매포읍 영천리 산38번지에 있으며, 1962년 12월 3일에 천연기념물 제62호로 지정되었다. 관리자는 단양군수 외(단양군)이다.

통영 비진도 팔손이나무 자생지는 경남 통영시에 있으며, 1962년 12월 3일에 천연기념물 제63호로 지정되었다. 관리자는 통영시장이다.

울주 목도 상록수림은 울산 울주군에 있으며, 1962년 12월 3일에 천연기념물 제65호로 지정되었다. 관리자는 울산 울주군수이다.

옹진 대청도 동백나무 자생북한지는 인천 옹진군에 있으며, 1962년 12월 3일에 천연기념물 제66호로 지정되었다. 관리자는 인천 옹진군수이다.

상주 운평리 구상화강암은 경북 상주시에 있으며, 1962년 12월 3일에 천연기념물 제69호로 지정되었다. 관리자는 경북 상주시장이다.

정선 정암사 열목어 서식지는 강원 정선군에 있으며, 1962년 12월 3일에 천연기념물 제73호로 지정되었다. 관리자는 강원 정선군수이다.

|150px]]

봉화 대현리 열목어 서식지는 경북 봉화군에 있으며, 1962년 12월 3일에 천연기념물 제74호로 지정되었다. 관리자는 경북 봉화군수이다.

무안 청천리 팽나무와 개서어나무 숲은 전남 무안군에 있으며, 1962년 12월 3일에 천연기념물 제82호로 지정되었다. 관리자는 무안군수이다.

|150x150픽셀]]

원성 성남리 성황림은 강원 원주시에 있으며, 1962년 12월 3일에 천연기념물 제93호로 지정되었다. 관리자는 원주시장이다.

제주 김녕굴과 만장굴은 제주 제주시 구좌읍 만장굴길 182에 있으며, 1962년 12월 3일에 천연기념물 제98호로 지정되었다. 관리자는 제주특별자치도지사이다.

|150px]]

2. 2. 해제된 천연기념물

2. 2. 1. 해제 사유

(내용 없음)

2. 2. 2. 해제 목록 (일부)

(내용 없음)

3. 관리 및 보존

4. 천연기념물 관련 쟁점

4. 1. 진도 진도개 관련 쟁점

4. 2. 제주도 천연동굴 보존 문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