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민국 철도청 5000호대 디젤 기관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철도청 5000호대 디젤 기관차는 1957년부터 1958년까지 미국 GM-EMD사의 SD9 모델을 기반으로 총 29량이 도입되었다. 증기 기관차를 대체하여 여객 열차를 견인했으며, 특히 경부선의 특급 무궁화호와 재건호 운행에 투입되었다. 1990년대 후반부터 퇴역하여 1998년까지 모든 차량이 운행을 중단했고, 현재는 1량만 보존되어 철도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관차 - 연결봉
    연결봉은 피스톤의 왕복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또는 그 반대로 변환하는 기계 장치로, 증기 기관이나 내연 기관에서 피스톤과 크랭크축을 연결하며, 강철, 알루미늄 합금 등으로 제작되고, 특수한 형태로도 사용된다.
  • 기관차 - 디젤 기관차
    디젤 기관차는 디젤 엔진을 동력원으로 하며 동력 전달 방식에 따라 기계식, 전기식, 유체식으로 나뉘고, 특히 디젤-전기 기관차는 디젤 엔진으로 발전기를 구동해 얻은 전력으로 견인 전동기를 작동시키는 현재 가장 일반적인 형태이다.
  • 대한민국의 철도 차량 - 우진산전
    우진산전은 1974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철도 차량 시스템 및 전기차 부품 제조 기업으로, 도시철도 차량, 경전철, 전기버스 등의 기술 개발과 국내외 사업 참여를 통해 성장해왔으며, VVVF 장치, 아폴로 전기버스 등을 생산하고 ISO 인증을 획득하여 품질 및 환경 관리 시스템을 갖추었다.
  • 대한민국의 철도 차량 - KTX-이음
    KTX-이음은 현대로템이 제작한 대한민국 최초의 상용 고속전동차로, 동력분산식 시스템과 친환경 공조시스템을 갖춘 6량 편성의 열차이며, 현재 중앙선, 강릉선, 영동선, 중부내륙선 등에서 운행되고 우즈베키스탄에 기술 수출에도 성공했다.
대한민국 철도청 5000호대 디젤 기관차
차량 정보
1987년 한미 팀 스피릿 훈련 중 지프차를 견인하는 5024호
1987년 한미 팀 스피릿 훈련 중 지프차를 견인하는 5024호
차량명5000호대 디젤 기관차 (SD9)
엔진EMD 16-645E
기어비62:15
차륜 배열Co-Co
영업 최고 속도105
출력1,750
용도여객·화물 열차 견인
제원
전장18,500
전폭3,251
전고4,561
차량 중량141
대차 간 거리10,668
축중23.5
궤간1,435
구동 및 제동 방식
구동 장치디젤-전기식
제동 방식공기 제동, 발전 제동 6BL
제작 정보
제작사EMD/GMC
제작 연도1957년~1958년
도입 단가252,750달러(각주 91)
생산량29

2. 역사

5000호대 디젤 기관차는 미국 GM-EMD사의 SD9 모델을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1957년1958년에 걸쳐 총 29량이 도입되어 증기 기관차를 대체하고 본선 여객 열차 등을 견인하였다. 1960년부터 경부선의 특급 무궁화호를, 1962년부터는 재건호를 견인하였다.[1]

이후 6000호대 등 특대형 기관차 도입에 따라 역할이 축소되었고, 1993년부터 1998년까지 점차 퇴역하였다. 일부는 한국철도시설공단 소속으로 경부고속철도 건설 현장에서 사용되기도 했으나, 노후화로 대부분 폐차되고 현재는 1량만 남아있다.[1]

2. 1. 도입 배경

5000호대의 원 모델은 미국 GM-EMD사에서 제작한 본선 다목적기인 SD9 모델이다. 5000호대는 미 국제협력처(ICA) 차관을 통해 도입되었는데, 1957년에 20량, 1958년에 9량을 도입하여 총 29량을 보유하였다.[1] 이후 증기 기관차를 대체하여 본선 여객 등을 견인하였다.[1] 특히 1960년부터는 경부선의 최고속 간판열차였던 특급 무궁화호를 견인하였고, 1962년 해당 운행 계통이 재건호로 대체되자 재건호의 견인을 담당하기도 했다.[1]

2. 2. 초기 운행

5000호대의 원 모델은 미국 GM-EMD사에서 제작한 본선 다목적기인 SD9 모델이다. 이 차량은 미 국제협력처(ICA) 차관을 통해 도입되었는데, 1957년에 20량, 1958년에 9량을 도입하여 총 29량을 보유하였다.[1] 이후 증기 기관차를 대체하여 여객 열차 등을 견인하였다.[1] 특히 1960년부터 경부선의 간판열차였던 특급 무궁화호를 견인하였고, 1962년 재건호로 대체되자 재건호의 견인을 담당하기도 했다.[1]

2. 3. 퇴역 및 보존

1990년대 이후 신형 기관차가 도입되면서 5000호대 디젤 기관차는 점차 퇴역하기 시작했다.[1] 퇴역은 1993년부터 1998년까지 진행되었다.[1] 퇴역 후 일부 기관차는 경부고속철도 건설 중 철도 건설 기계를 견인하기 위해 한국철도시설공단 소속으로 변경되었으나, 이 기관차들도 노후화로 폐차되어 1량만 남게 되었다.[1]

3. 구조 및 특징

5000호대 디젤 기관차는 디젤-전기식 동력 구조를 갖추고 있다. 운전실은 차량 한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특대형과 달리 운전실이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지 않고 장폐단과 단폐단 방향 양쪽 모두 높이가 동일하여 중형 기관차와 비슷한 형상을 보인다. 이러한 형상은 6000호대 디젤 기관차에도 이어진다. 특대형과 동일한 엔진을 사용하지만, 터빈 등의 적용 사양이 달라 출력은 낮다.

3. 1. 동력 구조

5000호대 디젤 기관차는 디젤-전기식 동력 구조를 갖추고 있다. 운전실은 차량 한쪽에 배치된 구조로 특대형과 달리 운전실이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지 않으며, 장폐단과 단폐단 방향 양쪽 모두 높이가 동일하게 되어 있어 중형 기관차와 비슷한 형상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형상은 6000호대 디젤 기관차에도 이어진다. 특대형과 동일한 엔진을 사용하나, 터빈 등의 적용 사양이 달라 출력이 낮다.

3. 2. 운전실 및 외형

5000호대 디젤 기관차는 디젤-전기식 동력 구조를 갖추고 있다. 운전실은 차량 한쪽에 배치된 구조로 특대형과 달리 운전실이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지 않으며, 장폐단과 단폐단 방향 양쪽 모두 높이가 동일하게 되어 있어 중형 기관차와 비슷한 형상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형상은 6000호대 디젤 기관차에도 이어진다. 특대형과 동일한 엔진을 사용하나, 터빈 등의 적용 사양이 달라 출력은 낮다.

4. 운행 구간

1960년 경부선 특급 무궁화호1962년 재건호를 견인한 이력이 있었고, 주로 영동선태백선 등 산업철도 노선에서 주력 기관차로 운행되었다.

5. 현황

총 29량이 도입되었으며, 이 중 5025호 1량만 대전철도차량정비단에 보존되어 있고 나머지는 모두 퇴역하였다.[1][2][3][4] 5008호는 1990년 1월 28일 노량진역 열차 충돌 사고로 파손되었으나 수리 후 운행을 재개하였다. 5016호와 5023호는 경부고속철도 건설을 위해 한국고속철도건설공단에서 인수하였다가 2008년 고철 매각되었고,[7] 5020호는 부산철도차량정비단에서 보존될 예정이었으나 계획이 백지화되어 2009년 고철 매각되었다.[8]

5. 1. 보존 차량

대한민국 철도청 5000호대 디젤 기관차는 총 29량이 도입되었으나 현재는 모두 퇴역하였고, 이 중 5025호 1량만이 보존되고 있다.[1][2][3][4]

5025호는 1958년 1월에 도입되어 1998년까지 운행되었다. 경부고속철도 건설을 위해 한국고속철도건설공단에서 인수하였다가 2012년 4월 코레일에서 재인수하여,[9] 현재 대전철도차량정비단 야외 전시장에 보존되어 있으며, 한국철도공사 선정 철도기념물로 지정되었다. 5000호대 전동차 25편성이 이 기관차와 차적이 중복되어 55편성으로 도입된 바 있으며, 이 기관차의 차적이 삭제된 후 해당 전동차는 25편성으로 변경되었다.

5. 2. 퇴역 차량

총 29량이 도입되었으며, 이 중 5025호를 제외한 모든 차량이 퇴역하였다. 퇴역 현황은 다음과 같다.[1][2][3][4]

차호시리얼도입 시기운행 중단 시기비고
5001호234801957년 7월1995년
5002호234811957년 7월1996년
5003호234821957년 7월1996년
5004호234831957년 7월1993년
5005호234841957년 7월1993년
5006호234851957년 7월1996년
5007호234861957년 7월1996년
5008호234871957년 7월1997년1990년 1월 28일 노량진역 열차 충돌 사고로 손상되었으나, 수리 후 운행 재개.
5009호234881957년 7월1996년
5010호234891957년 7월1996년
5011호234901957년 7월1996년
5012호234911957년 7월1996년
5013호234921957년 7월1995년
5014호234931957년 7월1993년
5015호234941957년 7월1994년
5016호234951957년 7월1996년경부고속철도 건설을 위해 한국고속철도건설공단에서 인수 후 2008년 고철 매각.[7]
5017호234961957년 7월1995년
5018호234971957년 7월1996년
5019호234981957년 7월1994년
5020호234991957년 7월1997년부산철도차량정비단에서 보존 목적이었으나, 계획 백지화 후 2009년 고철 매각.[8]
5021호238971958년 1월1996년
5022호238981958년 1월1995년
5023호238991958년 1월1996년경부고속철도 건설을 위해 한국고속철도건설공단에서 인수 후 2008년 고철 매각.[7]
5024호239001958년 1월1997년
5025호239011958년 1월1998년경부고속철도 건설을 위해 한국고속철도건설공단에서 인수 후 2012년 4월 코레일 재인수.[9] 대전철도차량정비단 야외 전시장에서 보존, 한국철도공사 선정 철도기념물로 지정.
5026호239021958년 1월1998년
5027호239031958년 1월1994년
5028호239041958년 1월1996년
5029호239051958년 1월1993년



5025호는 5000호대 전동차의 25편성과 차적이 중복되어 55편성으로 도입되었으며, 이 기관차의 차적이 삭제된 후 해당 전동차는 25편성으로 변경되었다. 5026호는 5000호대 전동차의 26편성과 차적이 중복되어 56편성으로 도입되었으며, 이 기관차의 차적이 삭제된 후 해당 전동차는 26편성으로 변경되었다.

참조

[1] 웹인용 EMD 23400 to 23499 http://www.trainweb.[...] 2003-12-06
[2] 웹인용 EMD 23800 to 23899 http://www.trainweb.[...] 2004-06-06
[3] 웹인용 EMD 23900 to 23999 http://www.trainweb.[...] 2004-06-06
[4] 웹인용 Korean National Locomotives https://www.thediese[...] 2017-03-12
[5] 서적 한국철도차량 100년사 철도차량기술검정단 1999
[6] 서적 한국철도차량 100년사 철도차량기술검정단 1999
[7] 웹인용 불용품 폐기관차 해체.반출 매각 http://www.onbid.co.[...] 2008-06-30
[8] 웹인용 헌디젤기관차(고철매각용)2량(5020,6201)매각 http://www.onbid.co.[...] 2008-06-23
[9] 뉴스 코레일, 희귀 기관차 철도문화재로 영구 보존 https://news.naver.c[...] 뉴시스 2012-04-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