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울프 아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더 울프 아워는 1970년대 뉴욕을 배경으로 한 영화로, 한때 촉망받는 작가였지만 불안장애와 광장공포증으로 은둔 생활을 하는 준 리가 겪는 심리적 갈등과 성장을 그린다. 1977년 뉴욕 정전 사태를 겪으며 두려움을 극복하고 세상 밖으로 나아가는 과정을 담고 있으며, 나오미 와츠가 주인공 준 리 역을 맡았다. 2019년 선댄스 영화제에서 처음 상영되었으며, 평론가들 사이에서는 나오미 왓츠의 연기는 호평을 받았지만, 영화의 전개와 긴장감 부족에 대한 아쉬움이 제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의 심리 스릴러 영화 - 시크릿 인 데어 아이즈
2015년 영화 《시크릿 인 데어 아이즈》는 FBI 요원과 지방 검찰청 수사관이 13년간 겪는 미제 살인사건을 통해 정의, 복수, 윤리적 딜레마를 다루는 범죄 스릴러 영화이며, 2009년 아르헨티나 영화 《그들의 눈 속의 비밀》을 리메이크한 작품이다. - 영국의 심리 스릴러 영화 - 테드 번디 (영화)
2002년 조 벌링거 감독의 영화 테드 번디는 연쇄 살인범 테드 번디의 범행과 재판 과정을 다루며, 마이클 라일리 버크와 보티 블리스가 주연을 맡았으나, 비평가들로부터 사회적 맥락과 깊이가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 2019년 스릴러 영화 - 샤프트 (2019년 영화)
《샤프트 (2019년 영화)》는 전직 뉴욕 경찰 형사 존 섀프트 2세와 FBI 분석관 아들 존 "J.J." 섀프트 3세가 친구의 죽음을 조사하며, 전설적인 사립탐정 존 섀프트 1세까지 합세하여 마약 밀수 조직을 쫓는 액션 영화로, 세대 설정 변경과 엇갈린 평가가 특징이다. - 2019년 스릴러 영화 - 루스 (영화)
《루스》는 줄리어스 오나 감독의 2019년 미국 드라마 영화로, 에리트레아 소년병 출신으로 미국에 입양된 루스 에드거가 모범생으로 성장하지만 과거 트라우마와 사회적 갈등으로 숨겨진 진실이 드러나는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나오미 왓츠, 옥타비아 스펜서 등이 출연했고 선댄스 영화제에서 호평을 받았다. - 1977년을 배경으로 한 영화 - 모뉴먼츠 맨: 세기의 작전
《모뉴먼츠 맨: 세기의 작전》은 조지 클루니 감독의 2014년 전쟁 드라마 영화로,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나치에 약탈당한 미술품을 되찾기 위해 조직된 미군 특수부대 '모뉴먼츠 맨'의 활약상을 실존 인물들을 바탕으로 묘사하며, 16,000점 이상의 미술품 회수 성과에도 불구하고 역사적 사실과의 차이점으로 인해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 1977년을 배경으로 한 영화 - 잡스 (영화)
스티브 잡스의 삶과 애플에서의 혁신적인 여정을 다룬 전기 영화 《잡스》는 애슈턴 커처가 주연을 맡아 그의 대학 시절부터 아이팟 발표까지의 과정을 그린다.
더 울프 아워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감독 | 앨리스터 뱅크스 그리핀 |
각본 | 앨리스터 뱅크스 그리핀 |
출연 | 나오미 와츠 에모리 코언 제니퍼 일리 켈빈 해리슨 Jr 제러미 밥 브레넌 브라운 |
음악 | 대니 벤시 사운더 주리아안스 |
촬영 | 칼리드 모타세브 |
편집 | 로버트 미드 |
제작사 | 오토매틱 브래들리 필즈 프로덕션스 |
배급사 | 클록워크스 |
개봉일 | 2019년 1월 26일 (선댄스) 2019년 12월 6일 (미국) 2020년 7월 31일 (일본) |
상영 시간 | 99분 |
제작 국가 | |
언어 | 영어 |
흥행 수입 | |
흥행수입 | $1,258 |
2. 줄거리
샘의 아들이 벌인 연쇄 살인으로 분위기가 흉흉하던 1970년대 여름 뉴욕. 준의 가족들은 준이 아버지를 연상시키는 인물을 부정적으로 묘사한 소설을 내면서 논란의 중심에 서자 의절하였고, 아버지는 곧 심근 경색으로 사망하였다.[1] 이후 불안장애, 공황발작에 시달리게 된 준은 외부와 연락을 끊고, 한 아파트 4층에 위치한 돌아가신 할머니 집에서 스스로 갇혀 지내고 있다.[1] 언젠가부터 인터폰이 울려 밖을 내다보면 아무도 없는 괴롭힘이 반복돼 경찰에 문의하자 출동한 순경은 보호를 대가로 성관계를 요구한다.[1] 분노한 준은 욕설을 내뱉는다.[1]
욕구 불만에 시달리던 준은 맞은편 건물 이웃이 성관계하는 모습을 훔쳐보며 자위하고, 결국 남창 빌리를 부른다.[1] 함께 잠자리를 가진 뒤 빌리는 두려움을 정면으로 응시해 극복했던 본인 일화를 공유한다.[1] 빌리는 하룻밤을 머무르게 되었는데, 밤중에 인터폰 소리를 듣고 깨어나 아래층에 내려가지만 아무도 없는 걸 확인한다.[1] 빌리는 어쩌면 이게 준을 밖에 나가게 하려는 부름("calling")인지도 모른다고 말한다.[1]
다음날 아침 준은 글길이 막히는 증상이 끝난 것을 발견한다.[1] 준은 집에 식료품 정기 배달을 오는 프레디를 시켜 새로 완성한 소설을 출판사에 배달시킨다.[1] 하지만 출판사 수표를 갖고 돌아와야 할 프레디는 소식이 없다.[1]
밤이 되자 인근에서 정전, 폭동, 약탈이 일어나고, 준은 바깥을 내다보다가 프레디로 보이는 남자가 경찰관에게 얻어맞는 장면을 포착한다.[1] 준은 신체적, 심리적 거부감을 억누르며 억지로 아파트 밖으로 나가 쓰러진 남자 얼굴을 마주하고 프레디가 아니라는 걸 확인한다.[1] 그대로 준은 용기를 내어 골목을 걸어나가고 아침해가 떠오른다.[1]
영화는 새 소설을 낸 준이 방송 인터뷰를 갖고, 소설 주인공이 준 본인이냐는 질문에 의미심장한 미소를 짓는 모습으로 끝을 맺는다.[1]
3. 등장인물
4. 제작
2017년 10월, 나오미 와츠가 이 영화에 출연하며, 앨리스테어 뱅크스 그리핀이 자신이 쓴 각본으로 연출을 맡을 것이라고 발표되었다.[1] 11월에는 제니퍼 엘, 에모리 코헨, 켈빈 해리슨 주니어, 브레넌 브라운, 제레미 봅이 영화의 출연진에 합류했다.[2] 같은 달, 뉴욕에서 본작의 주요 촬영이 시작되었다.[12] 2018년 3월 5일, 대니 벤지와 손더 줄리언스가 본작에 사용될 곡을 담당한다는 보도가 있었다.[13]
5. 개봉
이 영화는 2019년 1월 26일 선댄스 영화제에서 처음 상영되었다.[3][4][14] 그 직후, 브레인스톰 미디어가 북미 배급권을, 유니버설 픽처스 홈 엔터테인먼트가 라틴 아메리카, 베네룩스, 아이슬란드, 이탈리아, 스칸디나비아, 스페인, 동유럽, 이스라엘, 중동, 호주, 뉴질랜드, 홍콩, 인도, 인도네시아, 대한민국 및 대만을 포함하는 다국가 계약으로 배급권을 획득했다.[5] 2019년 12월 6일 미국에서 개봉되었다.[6] 6월 26일, 브레인스톰 미디어가 이 작품의 미국 배급권을 획득했다고 보도되었다.[15] 11월 12일, 이 작품의 공식 예고편이 공개되었다.[16]
6. 평가
로튼 토마토에서 25개의 리뷰를 기준으로 44%의 평점을 받았다.[17] 로튼 토마토에는 26건의 리뷰가 있으며, 평론가 지지율은 50%, 평균 점수는 10점 만점에 5.4점이다. 사이트 측의 평론가 견해 요약은 "Naomi Watts영어는 가진 모든 능력을 쏟아붓고 있지만, 그것만으로는 '더 울프 아워(The Wolf Hour)'의 결점 - 복선을 까는 데 너무 많은 시간을 할애한다는 결점 - 을 상쇄하지 못한다."이다.[17] 평론가들은 나오미 왓츠의 연기는 호평했지만, 영화의 전개와 긴장감 부족에 대해서는 아쉬움을 표했다. 메타크리틱에는 6건의 리뷰가 있으며, 긍정적 평가는 없고, 엇갈린 평가는 5건, 부정적 평가는 1건으로, 가중 평균 점수는 42/100이다.[18]
7. 한국과의 관계
이 영화는 대한민국에서도 개봉되었으며, 배급은 유니버설 픽처스 홈 엔터테인먼트가 맡았다.[1] 영화의 배경이 되는 1970년대 뉴욕은 경제 불황, 사회 불안, 범죄 증가 등 여러 사회 문제를 겪고 있었는데, 이는 당시 한국 사회의 모습과도 유사한 측면이 있다.[1] 특히, 1970년대 한국은 유신 체제 하에서 경제 성장과 함께 사회적 갈등과 불안이 고조되던 시기였다.[1] 영화 속 주인공 준 리의 고립, 은둔, 심리적 불안은 현대 사회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겪는 문제이며, 이는 한국 사회에서도 개인주의 심화, 경쟁 심화, 사회적 관계 단절 등으로 인해 더욱 심각해지고 있는 문제이다.[1] 따라서 이 영화는 한국 관객들에게도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작품이다.[1]
참조
[1]
웹사이트
Naomi Watts To Star In Psychological Thriller 'The Wolf Hour'
https://deadline.com[...]
2017-10-20
[2]
웹사이트
Jennifer Ehle, Kelvin Harrison Jr., Emory Cohen Join Naomi Watts In 'The Wolf Hour'
https://deadline.com[...]
2017-11-28
[3]
웹사이트
The Wolf Hour
https://www.sundance[...]
2019-06-26
[4]
웹사이트
Sundance Film Festival Unveils 2019 Features Lineup
https://variety.com/[...]
2018-11-28
[5]
웹사이트
Naomi Watts Thriller 'The Wolf Hour' Sells To Brainstorm Media For North America & UPHE For Slew Of Int'l Markets
https://deadline.com[...]
2019-06-26
[6]
웹사이트
The Wolf Hour
https://www.the-numb[...]
2019-10-14
[7]
웹사이트
ウルフ・アワー
https://eiga.com/mov[...]
映画.com
2020-07-05
[8]
웹사이트
The Wolf Hour (2019)
https://www.the-numb[...]
The Numbers
2020-07-05
[9]
웹사이트
ウルフ・アワー
https://www.wowow.co[...]
WOWOW
2021-03-21
[10]
뉴스
Naomi Watts To Star In Psychological Thriller ‘The Wolf Hour’
https://deadline.com[...]
2020-07-05
[11]
뉴스
Jennifer Ehle, Kelvin Harrison Jr., Emory Cohen Join Naomi Watts In ‘The Wolf Hour’
https://deadline.com[...]
2020-07-05
[12]
뉴스
"(Photo Gallery) Naomi Watts Barefoot in Trash While Filming 'The Wolf Hour'"
https://theblast.com[...]
2020-07-05
[13]
뉴스
Danny Bensi & Saunder Jurriaans to Score ‘The Wolf Hour’
https://filmmusicrep[...]
2020-07-05
[14]
뉴스
Sundance Film Festival Unveils 2019 Features Lineup
https://variety.com/[...]
2020-07-05
[15]
뉴스
Naomi Watts Thriller ‘The Wolf Hour’ Sells To Brainstorm Media For North America & UPHE For Slew Of Int’l Markets
https://deadline.com[...]
2020-07-05
[16]
웹사이트
The Wolf Hour (2019) Official Trailer
https://www.youtube.[...]
Brainstorm Media
2020-07-05
[17]
웹사이트
The Wolf Hour (2019)
https://www.rottento[...]
Rotten Tomatoes
2021-03-21
[18]
웹사이트
The Wolf Hour Reviews
https://www.metacrit[...]
Metacritic
2021-03-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