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터폰은 음성 또는 영상 통신을 위한 장치로, 아날로그 방식에서 디지털 방식으로 발전하며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역사, 종류, 설치 방식, 기능, 사용 환경, 구성 요소, 기술 방식, 한국 시장 현황 등을 포함하며, 주택, 사무실, 차량, 버스, 철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특히 주택용 인터폰은 방범 및 편리성을 위해 자동 잠금 장치와 연동되며, 아파트에서는 화재 감지기와 연동하여 안전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기술 발전과 함께 무선, IP 방식의 인터폰이 등장하고 있으며, 휴대전화 네트워크를 이용한 인터폰도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인터폰 | |
---|---|
지도 | |
개요 | |
유형 | 음성 통신 시스템 |
사용 영역 | 지역 내 |
다른 이름 | 인터폰 도어폰 토크백 |
기술적 특징 | |
주요 기능 | 양방향 음성 통신 |
통신 방식 | 유선 무선 |
구성 요소 | 마이크 스피커 제어 회로 |
네트워크 방식 | P2P (Peer-to-Peer) 네트워크 기반 (IP 기반) |
활용 분야 | |
주요 사용 장소 | 주택 사무실 학교 병원 아파트 산업 현장 보안 시설 |
용도 | 출입 통제 내부 연락 비상 연락 감시 및 모니터링 |
특정 용도 | 유아 관찰 (베이비 모니터) 환자 호출 |
추가 기능 | |
일반적인 기능 | 영상 통화 (비디오 인터폰) 원격 문 열림 녹화 기능 알람 기능 |
역사 | |
초기 형태 | 음성 파이프 전기식 인터폰 (초기) |
발전 과정 | 트랜지스터 기술 적용 디지털 기술 도입 IP 네트워크 기반 인터폰 |
기타 | |
관련 기술 | VoIP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
2. 종류
전통적인 인터폰은 아날로그 전자 장치 부품으로 구성되었지만, 디지털 연결 기반의 새로운 인터폰 시스템은 다양한 기능과 연결 옵션을 제공한다. 음성 및 비디오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Cat 5 케이블로 연결하거나 기존 컴퓨터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원격 통신도 가능하다.
인터폰은 설치 방식, 기능, 사용 환경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눌 수 있다.
2. 1. 설치 방식
무선 인터폰 시스템은 전선 설치가 어렵거나 불가능한 경우에 사용 가능하다. 기존 유선 인터폰과 비교했을 때 무선 인터폰 시스템의 주요 장점은 두 가지이다. 첫째, 인터폰 장치 간에 전선을 연결할 필요가 없어 설치가 훨씬 쉽다. 둘째, 언제든지 장치를 쉽게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편리성과 설치 용이성에는 다른 무선 및 전기 장치의 간섭 위험이 따른다. 무선 전화기,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 및 원격 오디오 스피커와 같은 근처의 무선 장치뿐만 아니라 건물의 구조적 특징도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 모터, 조명 기구 및 변압기와 같은 전기 장치는 노이즈를 발생시킬 수 있다. 스캐너, 베이비 모니터, 무선 전화 또는 동일한 주파수의 유사한 장치에서 대화가 수신될 수 있으므로 개인 정보 보호에 대한 우려가 있을 수 있다. 암호화된 무선 인터폰은 개인 정보 보호 위험을 줄이거나 제거할 수 있으며, 배치, 설치, 시공, 접지 및 차폐 방법은 외부 간섭의 해로운 영향을 줄이거나 제거할 수 있다. 미국과 캐나다에는 무선 인터폰 시스템 및 기타 무선 제품에 대한 여러 주파수 대역이 있다. 49 MHz, FM 대역(200–270 kHz), 494–608 MHz, 900 MHz, 2.4 GHz, 5.8 GHz 및 MURS(150 MHz)이다. 이제 마스터를 이더넷 포트를 통해 인터넷의 다른 곳에 있는 IP 하위 스테이션에 연결하는 IP 인터폰이 등장하고 있다. 무선 인터폰은 집 전체에서 거의 즉각적인 통신을 허용하는 메시 네트워크를 통해서도 작동할 수 있다.가정용 배선을 통해 신호를 보내는 전력선 통신 장치는 "무선" 인터폰으로 불려 왔다. 기술적으로는 유선 인터폰이지만 기존 배선을 기반으로 하므로 추가 전선이 필요하지 않다.
휴대전화 네트워크 인터폰은 전 세계 어디든 유선 전화 또는 휴대전화와 휴대전화 네트워크를 통해 무선으로 통신하는 실외 장치이다. 종종 GSM 인터폰이라고 불리는 이 장치는 초기에는 이동통신의 글로벌 시스템(GSM) 표준을 사용했으며, 유럽 국가에서 처음 출시되었다. 이 표준은 현재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미국에서는 AT&T, T-Mobile 및 기타 몇몇 제공업체가 주로 GSM을 사용하는 반면, Sprint와 Verizon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을 사용했다. 최신 휴대전화 인터폰은 모든 통신사와 최신 기술을 지원한다. 일반적으로 문이나 출입구에 설치되며, 전력을 제외하고는 배선이 필요 없기 때문에 인기가 많다.[4]
2. 2. 기능
일부 전화기는 특정 제조사 및 모델 간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인터콤 기능을 갖추고 있다. 예를 들어 파나소닉 KX-TS3282W(/B), AT&T 945 및 974, TMC ET4300 모델 등이 이에 해당한다.Add-A-Com Whole House Intercom for Standard Telephone Systems과 같은 장치를 사용하면, 제조사 및 모델에 관계없이 여러 표준 전화기를 연결하여 인터콤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는 설치가 간단하며 무선 간섭 및 보안 문제에 취약하지 않다. 전화기를 잠깐 걸었다가 놓으면 모든 전화기에서 독특한 벨소리가 울려 인터콤 송출이 이루어지며, 이후 여러 대의 전화기가 통화할 수 있다. 인터콤 사용 중에는 외부 전화선이 일시적으로 분리되었다가 모든 전화기가 다시 걸려 있을 때 연결되며, 외부 호출 벨소리는 수화기를 통해 들을 수 있다.
사무실용 키 전화 시스템은 여러 외부 회선과 인터콤 접근을 제공하며, 인터콤은 개별 선택 가능한 회선 중 하나처럼 표시된다. 웨스턴 일렉트릭(Western Electric) Model 207 및 Model 6A 인터콤은 이러한 키 시스템 다회선 설치에 통합되어 동시에 하나 또는 두 개의 인터콤 통화를 제공한다.
휴대전화 네트워크 인터폰(GSM 인터폰)은 휴대전화 네트워크를 통해 전 세계 어디든 유선 전화 또는 휴대전화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실외 장치이다. 초기에는 GSM 표준을 사용했지만, 최신 휴대전화 인터폰은 모든 통신사와 최신 기술을 지원한다. 일반적으로 문이나 출입구에 설치되며 전력을 제외하고는 배선이 필요 없어 인기가 많다.[4]
주택용 인터폰(도어폰)은 주택 현관 옆에 설치하는 현관 부자기와 실내 인터폰 모자기로 구성되어,[5] 방문객과 통화하고 확인할 수 있어 범죄 예방 목적으로 설치된다.
; 시스템 구성
구분 | 최소 구성 | 다국 타입 |
---|---|---|
현관 | 1곳 | 최대 3곳 |
실내 | 1곳 | 최대 5곳 |
주택 규모에 따라 시스템 구성을 선택할 수 있다.
; 기능
- 방문자 통화: 핸즈프리 방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 방문자 영상: TV 모니터가 부착된 것이 보급되고 있으며, 현재는 컬러 액정 타입이 사용된다.
- 방문자 녹화·녹음: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녹화가 가능하다.
- 센서 카메라 연동: 현관 센서 카메라로 접근자를 감지하여 감시·녹화한다.
- 주택용 화재 경보기 연동: 경보음이나 음성으로 화재 경보를 알리고, 인터폰 조작으로 화재 경보기 점검이 가능하다.
- 범죄 예방 센서 연동: 범죄 예방 센서가 설치된 현관이나 창문이 열리면 경보를 발한다.
- 전기 잠금장치 연동: 각 방 인터폰 조작으로 전기 잠금장치를 해제할 수 있다. (잠금은 불가)
- 방 사이 통화: 실내 인터폰을 여러 대 연결하는 시스템에서 가능하다.
- 인터넷 연결: 방문객이나 실내 경보를 휴대전화로 알린다.
- 전기 사용량 모니터링: 전기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다.
자동잠금장치와 연동하여 방문자와 통화 후 현관 원격 개폐가 가능하여 방범성과 편리성이 높아 신축 아파트에서는 필수 설비이다. 일정 규모 이상 아파트 인터폰 설비는 소방법상 자동화재탐지설비 수신기이며, 화재 감지기와 연동하여 화재 경고 기능을 갖추고 있다.
; 시스템 구성
구분 | 기능 |
---|---|
공동현관 | 공동현관용 마스터기로 텐키를 통해 세대 호출 및 통화 (카메라 장착 가능) |
세대 실내 | 인터폰 마스터기로 통화 및 영상 확인, 자동잠금장치 개폐 |
세대 현관 | 현관 자기를 통해 세대 내 인터폰 호출 및 통화 (카메라 장착 가능) |
관리실 | 관리실 마스터기로 세대 호출 및 통화, 세대 내 경고 감시 |
; 기능
세대 내 인터폰 마스터기는 "주택정보반"이라고도 불리며, 다양한 기능을 갖추고 있다.
- 통화·영상: 컬러액정 내장 핸즈프리 타입이 주류이다.
- 방문자 녹화·녹음
- 비상 누름 버튼
- 화재 감지기·가스경보기·누수 경보기 연동
- 방범 스위치(자석 스위치) 연동: 문/창문 개폐 경고
- 일제 방송: 관리실에서 세대 인터폰 스피커로 방송
- 택배함 연동: 택배 도착 알림
- 아파트 내 경고 통보: 전화회선으로 관리 센터 등에 통보
- 긴급지진속보(예보) 수신: 음성 및 액정 표시 알림
- 비접촉식 키 리더 내장: 자동잠금장치 개폐, 택배 도착 표시, 엘리베이터 호출
- 엘리베이터 연동: 인터폰 호출/비접촉식 키 정보로 목적층 자동 정지
- 인터넷 연동: 휴대전화로 방문/경고 알림, 전기 설비 제어
- 휴대전화 연동: 인터넷 연동, 방 번호-전화번호 변환 호출 등 (제조사, 기종별 다양) 스마트폰 응답 및 자동잠금장치 개폐로 부동산 IoT화, 재배송 문제 해결에 기여
2. 3. 사용 환경
인터폰은 다양한 환경에서 음성 및 영상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사무실 및 호텔: 현대 사무실과 호텔에서는 방문객 확인 및 출입 통제를 위해 인터폰 카메라를 사용한다. Cat 5 케이블을 사용하여 연결하거나 기존 컴퓨터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원격 통신도 가능하다.[2]
- 학교 및 건물: 학교와 사무실 건물에서는 방문객이 잠긴 건물에 접근할 때 방문객을 식별하고 건물의 출입 통제 시스템과 연동하기 위해 오디오/비디오 시스템을 사용한다.
- 차량: 열차, 선박, 항공기, 장갑차 등 다양한 유형의 차량에서 인터폰 시스템이 사용된다.
- 포뮬러 원: 팀과 운전자 간 통신에 사용된다.

- 특수 이벤트 및 프로 스포츠: 특수 이벤트 제작팀과 프로 스포츠팀에서 휴대용 인터콤을 사용한다.
- 공연장: 극장 및 콘서트홀과 같은 공연장에는 영구 설치된 인터콤과 휴대용 인터콤이 함께 사용된다.
- 모터스포츠 경주장: 경주 관계자와 응급구조사가 사용할 수 있도록 경주장 주변의 중요 지점에 휴대용 및 영구 설치형 인터콤이 설치되어 있다.
- 오토바이: 오토바이 운전자와 동승자 간 통신, 오토바이 간 통신, 라이더 그룹 내 통신 등에 사용된다. 오토바이 헬멧에 부착할 수 있으며, PMR446과 같은 시민 무선 통신, 블루투스, 메시 기반 인터콤 시스템(DMC) 등 다양한 기술이 사용된다.[2][3]
- 휴대전화 네트워크 인터폰: 전 세계 어디든 유선 전화 또는 휴대전화와 휴대전화 네트워크를 통해 무선으로 통신하는 실외 장치이다. GSM 인터폰은 초기 이동통신의 글로벌 시스템(GSM) 표준을 사용했으며, 현재는 모든 통신사와 최신 기술을 지원한다. 문이나 출입구에 설치되며, 전력을 제외하고는 배선이 필요 없다.[4]
- 주택용 인터폰 (도어폰): 주택의 현관 외부와 실내에 설치되어 범죄 예방 목적으로 사용된다.
- 시스템 구성: 현관 1곳, 실내 1곳이 최소 구성이며, 다국 타입도 가능하다.
- 기능:
- 방문자 통화: 핸즈프리 방식이 주류이다.
- 방문자 영상: TV 모니터가 부착된 것이 보급되고 있으며, 컬러 액정 타입이 현재 모델이다.
- 방문자 녹화·녹음: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녹화가 가능하다.
- 센서 카메라, 주택용 화재 경보기, 범죄 예방 센서, 전기 잠금 장치와의 연동 기능이 있다.
- 방 사이 통화, 인터넷 연결, 전기 사용량 모니터링 기능도 제공된다.
- 아파트용 인터폰: 자동잠금장치와 연동하여 방범성과 편리성을 높여 신축 아파트에 필수 설비가 되고 있다. 소방법에 규정된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수신기이기도 하며, 화재 감지기와 연동하여 화재를 경고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 시스템 구성: 공동 현관, 세대 실내, 세대 현관, 관리실에 각각 장치가 설치된다.
- 기능:
- 통화·영상: 컬러액정 내장 핸즈프리 타입이 주류이다.
- 방문자 녹화·녹음, 비상 누름 버튼, 화재 감지기·가스경보기·누수 경보기 연동, 방범 스위치 연동 기능이 있다.
- 일제 방송, 택배함 연동, 아파트 내 경고 통보, 긴급지진속보(예보) 수신 기능이 있다.
- 비접촉식 키 리더, 엘리베이터 연동, 인터넷 및 휴대전화 연동 기능도 제공된다. 스마트폰을 이용한 응답 및 자동잠금장치 개폐도 가능하여 IoT화에 기여하고 있다.
- 시내버스: 승객이 승무원에게 필요한 경우 대화를 목적으로 차량 외측 후문 부근에 설치된다. 국토교통성의 통지에 따라 설치가 계속되고 있으며, 휠체어 이용객을 고려하여 설치하는 경우도 있다.[6] 클라리온, 레조넌트 시스템즈 등에서 판매한다.[7][8]

- 철도 차량: 기관사와 차장이 승무하는 경우 운영상 연락을 주고받기 위한 통신 장치로 사용된다. 운전대에 송수화기를 설치하거나, 핸즈프리 기능을 고려한 플렉시블형 마이크를 채용하는 차량도 있다. 차내 비상 통보 장치도 "인터폰"으로 불린다.
3. 구성 요소
인터폰 설치업체, 공급업체 및 제조업체는 종종 인터폰 구성 요소를 지칭할 때 다음과 같은 용어를 사용한다.
- '''마스터 스테이션''' 또는 '''베이스 스테이션''': 이 장치는 전체 시스템을 제어한다. 마스터 스테이션은 서브 스테이션으로의 호출을 시작하고 전체 인터폰 시스템을 통해 전송되는 방송을 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 '''서브 스테이션''': 마스터 스테이션과의 통화만 시작할 수 있고 다른 스테이션과의 통화는 시작할 수 없는 장치이다. 서브 스테이션은 슬레이브 장치라고도 한다.
- '''도어 스테이션''': 서브 스테이션과 마찬가지로 도어 스테이션은 마스터 스테이션으로의 호출만 시작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방수 처리가 되어 있다.
- '''인터폰 스테이션''': 파티 라인 대화, 개별 대화 및 신호를 시작하고 수신할 수 있는 모든 기능을 갖춘 원격 장치이다. 랙 장착, 벽 장착 또는 휴대용일 수 있다.
- '''벽걸이 스테이션''': 내장형 스피커가 있는 고정 위치 인터폰 스테이션이다. 플러시 마운트 마이크, 핸드헬드 푸시 투 토크 마이크 또는 전화 스타일 핸드셋이 있을 수 있다.
- '''벨트 팩''': 벨트에 착용하는 휴대용 인터폰 스테이션, 예: 출연진이 착용하는 방해받지 않는 피드백(IFB)과 이어피스가 있다.
- '''핸드셋''': 인터폰 스테이션에 대한 영구적이거나 휴대용 전화 스타일 연결이다. 이어피스와 푸시 투 토크 마이크를 모두 포함한다.
- '''헤드셋''': 붐 암에 통합된 마이크가 있는 헤드폰을 통해 벨트 팩에서 한쪽 또는 양쪽 귀로 연결되는 휴대용 인터폰 연결이다. 벨트 팩에 연결된다.
- '''페이지 신호''': 다른 스테이션의 누군가가 대화를 시작하려고 함을 나타내는 인터폰 스테이션의 가청 및/또는 시각적 경고이다.
- '''전원 공급 장치''': 모든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데 사용된다. 종종 베이스 스테이션의 디자인에 통합된다.
- '''전화식''': 표준 전화 시스템과 유사하게 송신기(통화)와 수신기(청취)를 사용하여 통신하는 인터폰 시스템이다.
- '''증폭된''': 단일 스피커를 사용하여 통신을 송수신하는 인터폰 시스템이다.
- '''앰프(증폭기)''': 마스터 스테이션과 서브 스테이션 간의 통신 경로를 전환하거나 연결하는 인터폰 시스템의 주요 또는 중앙 구성 요소이다. 또한 앰프는 출입 허용을 위해 도어 스트라이크와 같은 보조 연결 장치에 전력을 분배하거나 전환한다.
4. 기술 방식
대부분의 아날로그 인터콤 시스템은 제품 라인마다 다르지만 공통점을 갖는다. 음성 신호는 약 1~2볼트이며, 12, 30 또는 48볼트의 직류 전원 레일 위에 실려 한 쌍의 도체를 통해 전달된다. 신호등 표시는 추가 도체를 사용하거나 음성 주파수 범위 위 또는 아래의 톤 주파수를 통해 주 음성 쌍에서 전달된다. 여러 채널의 대화는 케이블 내 추가 도체, 주파수 또는 시분할 다중화를 아날로그 영역에서 사용하거나, 패킷 스위칭 디지털 인터콤 신호로 전달할 수 있다.
휴대용 인터콤은 주로 3핀 XLR 커넥터로 종단되는 차폐된 꼬임쌍 마이크 케이블로 연결된다. 건물 및 차량 인터콤은 여러 개의 꼬임쌍을 포함하는 차폐 케이블을 사용한다.
디지털 인터콤은 5종 케이블을 사용하며,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를 통해 데이터 패킷 형태로 정보를 주고받는다.
TV 방송국과 중계방송 차량에서는 인터콤 시스템이 널리 사용된다. 텔레비전 분야 인터콤은 크게 '2선식' 파티 라인과 '4선식' 매트릭스 시스템으로 나뉜다. 초기에는 TV 방송국이 오래된 전화 장비를 활용했으나, 현재는 여러 제조업체의 기성품 시스템이 제공된다. 197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는 2선식 파티 라인 방식 시스템이 주로 사용되었다. 2채널 방식은 32볼트 임피던스 생성 중앙 전원 공급 장치로 외부 스테이션이나 벨트 팩을 구동했다. 이 방식은 두 채널이 표준 마이크 케이블에서 작동하여 방송사들이 선호했다. 이 시스템은 견고하고 설계, 유지, 작동이 간단했지만, 하드웨어 방식이라 용량과 유연성이 제한적이었다. 사용자는 통화 대상을 선택할 수 없었고, 시스템을 수동으로 재구성해야 다른 사람과 통신할 수 있었다. 빠른 경로 재지정을 위해 2선식 라우터나 소스 할당 패널이 구현되었지만, 채널 전환 시 팝 소리가 발생하여 제작 중에는 사용이 어려웠다.
1990년대 중반부터는 기술 발전과 소형화로 '4선식' 기술이 주목받았다. 4선식 회로 기술은 오래되었지만 구현 비용이 높고 텔레비전 스튜디오에 큰 공간을 차지하여 대규모 텔레비전 방송국이나 텔레비전 네트워크에서만 사용되었다.
전선 설치가 어렵거나 불가능한 경우 무선 인터폰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무선 인터폰의 장점은 설치가 쉽고 장치 이동이 자유롭다는 것이다. 그러나 무선 전화기,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 원격 오디오 스피커, 건물의 구조적 특징, 모터, 조명 기구, 변압기 등 다른 무선 및 전기 장치의 간섭 위험이 있다. 또한, 스캐너, 베이비 모니터, 무선 전화 등에서 대화가 수신될 수 있어 개인 정보 보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암호화된 무선 인터폰은 개인 정보 보호 위험을 줄이고, 배치, 설치, 시공, 접지, 차폐 방법으로 외부 간섭을 줄일 수 있다.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무선 인터폰 및 기타 무선 제품에 49 MHz, FM 대역(200–270 kHz), 494–608 MHz, 900 MHz, 2.4 GHz, 5.8 GHz, MURS(150 MHz) 등 여러 주파수 대역을 사용한다. 최근에는 이더넷 포트를 통해 인터넷 상의 IP 하위 스테이션에 연결하는 IP 인터폰도 등장했다. 무선 인터폰은 메시 네트워크를 통해 집 전체에서 즉각적인 통신을 지원하기도 한다.
가정용 배선을 통해 신호를 보내는 전력선 통신 장치는 "무선" 인터폰으로 불리지만, 기존 배선을 사용하므로 추가 전선이 필요 없는 유선 인터폰이다.
일부 전화기에는 같은 제조사 및 모델 간 송출 및 통화가 가능한 인터콤 기능이 있다. 파나소닉 KX-TS3282W(/B), AT&T 945 및 974, TMC ET4300 모델 등이 그 예이다.
단일 장치를 통해 공통 전화선에 연결된 여러 표준 전화기(제조사 및 모델 무관)에 인터콤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설치가 간단하고 무선 시스템의 간섭 및 보안 문제에 취약하지 않다. Add-A-Com Whole House Intercom for Standard Telephone Systems가 대표적인 예이다. 인터콤 송출은 전화기를 잠깐 걸었다 놓으면 모든 전화기에서 독특한 벨소리가 울리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송출 후 여러 대의 전화기가 통화할 수 있다. 이 장치는 인터콤 사용 중 외부 전화선을 일시적으로 분리하고, 모든 전화기가 다시 걸려 있을 때 연결한다. 인터콤 사용 중에는 외부 호출 벨소리가 수화기에서 들린다.
사무실용 키 전화 시스템은 여러 외부 회선과 인터콤 접근을 제공하며, 인터콤은 개별 선택 가능한 회선처럼 표시된다. 웨스턴 일렉트릭(Western Electric) Model 207 및 Model 6A 인터콤은 이러한 키 시스템 다회선 설치에 통합되어 동시에 하나 또는 두 개의 인터콤 통화를 제공한다.
5. 한국 시장 현황 및 주요 제조사
한국 시장에서 인터폰은 주로 주택의 범죄 예방 및 편의성 향상을 위해 사용된다. 신축 아파트를 중심으로 자동잠금장치와 연동된 인터폰 설치가 필수 설비로 자리 잡고 있으며, 소방법에 따른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수신기 역할도 수행한다.[5]
주요 기능으로는 방문자와의 통화 및 영상 확인, 녹화·녹음, 주택용 화재 경보기 및 방범 센서와의 연동, 전기 잠금장치 원격 제어 등이 있다. 최근에는 핸즈프리 방식과 TV 모니터가 부착된 컬러 액정 타입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아파트와 같은 공동 주택에서는 공동 현관, 세대 실내, 세대 현관, 관리실 등에 인터폰 시스템이 구성된다. 세대 내 인터폰은 통화, 영상 확인 외에도 비상 버튼, 화재/가스/누수 경보기 연동, 방범 스위치 연동, 택배함 연동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여 "주택정보반"으로 불리기도 한다.
최근에는 인터넷 및 휴대전화와의 연동 기능이 강화되어 스마트폰을 통한 방문자 확인 및 자동잠금장치 제어가 가능해지면서 IoT화가 진행되고 있다.
한국의 주요 인터폰 제조사는 다음과 같다:
- 아이폰 주식회사: 전문 제조업체로, 전화기 제조업체에 OEM 공급도 한다.
- 파나소닉: 주택 및 맨션용 인터폰 설비를 담당하며, 그룹 내에 두 가지 사업 부문이 있다.
- 파나소닉 엔터테인먼트&커뮤니케이션: 단독 주택용 인터폰 (구 마쓰시타 통신공업의 사업 계승).
- 파나소닉 라이프솔루션즈사: 단독 주택용 및 맨션용 인터폰.
- 아사히전기
- 트윈버드
- 로봇홈
- 이와사키통신기
- [https://mtrx.jp 마트릭스전자]: 맨션 공용 현관용 전화식 인터폰 ([https://mtrx.jp/products/xdp82x.html XDP-822CV] 테레오프너 시리즈).
6. 사회적 영향
주택용 인터폰(도어폰)은 주택의 현관 바깥쪽에 설치하는 현관 부자기와 실내에 설치하는 인터폰 모자기로 구성되며, 현관문을 열지 않고도 방문객과 대화하고 확인할 수 있으므로 범죄 예방 목적으로 설치된다.[5] 자동잠금장치와 연동하여 방문자와 통화하고 확인한 후 현관을 원격으로 열 수 있으므로 방범성과 편리성이 높아 신축 아파트에서는 필수 설비가 되고 있다. 또한, 일정 규모 이상의 아파트에 설치되는 인터폰 설비는 소방법에서 규정한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수신기이기도 하며, 연결된 화재 감지기와 연동하여 화재를 경고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7. 미래 전망
인터폰은 앞으로도 다양한 기술과 융합하여 발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사물 인터넷(IoT)과의 연동이 주목받고 있는데, 스마트폰을 통해 방문자와 응대하거나 자동잠금장치를 개폐하는 기능은 이미 상용화되어 부동산의 IoT화를 이끌고 있다. 이는 택배 재배송 문제 해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5]
휴대전화와의 연동은 제조사와 기종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인터넷을 통해 방문이나 경고 알림을 받거나, 휴대전화로 집안의 전기 설비를 제어하는 기능도 가능하다. 일부 인터폰은 방 번호를 전화번호로 변환하여 휴대전화를 호출하는 기능도 제공한다.[5]
참조
[1]
웹사이트
Intercom systems — how do they work?
https://medium.com/@[...]
2022-07-27
[2]
웹사이트
Are Bluetooth Motorcycle Helmets Safe? (Safety & Standards) – Moto1
https://www.moto1.nz[...]
[3]
웹사이트
What Are the Benefits of Using Mesh vs. Bluetooth Communication?
https://www.cardosys[...]
[4]
웹사이트
What is a Wireless Cell Phone Network Intercom
https://www.intercom[...]
2024-06-25
[5]
문서
ターミナルボックスを介して電話機を親機として使用することができるものも存在する。
[6]
뉴스
バスのインターホン、何のため?「乗車拒否」に困惑
https://www.kyoto-np[...]
京都新聞
[7]
웹사이트
車外用インターホンマイク DMA-109-110
https://www.clarion.[...]
クラリオン
[8]
웹사이트
緊急警報装置
https://www.resonant[...]
レゾナント・システムズ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