덩야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덩야핑은 1978년 탁구에 입문하여 1990년대 세계 탁구계를 제패한 중국의 탁구 선수이다. 1989년 세계 선수권 대회 여자 복식 금메달을 시작으로, 1991년부터 1998년까지 7년 이상 세계 랭킹 1위를 유지했다.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 여자 단식과 복식 금메달을 획득하며 '월드 탁구 스타'로 명성을 얻었으며, 1995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3관왕을 달성했다. 은퇴 후에는 국제 올림픽 위원회 위원, 베이징 올림픽 조직위원회 부부장, 중국 공산당 베이징시 위원회 부서기 등을 역임했으며, 칭화대, 노팅엄대, 케임브리지대에서 학위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0년 아시안 게임 탁구 참가 선수 - 유남규
유남규는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 한국 탁구를 대표하는 선수로, 1988년 서울 올림픽 남자 단식 금메달을 포함한 다수의 국제 대회 메달을 획득하고 세계 선수권 대회와 아시안 게임에서도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으며 방송 출연으로 대중에게도 알려진 인물이다. - 1990년 아시안 게임 탁구 참가 선수 - 김택수 (탁구 선수)
김택수는 대한민국의 탁구 선수이자 지도자로, 선수 시절 세계 선수권과 올림픽에서 메달을 획득했으며, 국가대표팀 감독과 탁구단 총감독을 역임했다. - 1994년 아시안 게임 탁구 참가 선수 - 유남규
유남규는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 한국 탁구를 대표하는 선수로, 1988년 서울 올림픽 남자 단식 금메달을 포함한 다수의 국제 대회 메달을 획득하고 세계 선수권 대회와 아시안 게임에서도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으며 방송 출연으로 대중에게도 알려진 인물이다. - 1994년 아시안 게임 탁구 참가 선수 - 김택수 (탁구 선수)
김택수는 대한민국의 탁구 선수이자 지도자로, 선수 시절 세계 선수권과 올림픽에서 메달을 획득했으며, 국가대표팀 감독과 탁구단 총감독을 역임했다. - 중국의 대학 교수 - 신익희
신익희는 해공이라는 호를 가진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내무총장과 외무부장을 역임하고 국민대학교를 설립했으며, 국회의장과 대통령 후보를 지냈고 사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되었다. - 중국의 대학 교수 - 김규식
김규식은 대한제국의 독립운동가, 정치인, 교육자, 학자로서, 미국 유학 후 독립운동과 교육에 헌신하며 대한민국 임시정부 부통령을 역임하고, 해방 후 좌우합작운동과 남북협상에 참여하여 조국의 통일과 독립을 위해 노력했으나 한국 전쟁 중 납북되어 사망했다.
덩야핑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국적 | 중국 |
출생일 | 1973년 2월 6일 (51세) |
출생지 | 허난성정저우 시 |
신장 | 1.5m |
선수 정보 | |
종목 | 탁구 |
스타일 | (정보 없음) |
은퇴 년도 | 1997년 |
최고 세계 랭킹 | 1위 |
利き腕 | 오른손 |
그립 | (정보 없음) |
라켓 | (정보 없음) |
포어면 러버 | (정보 없음) |
백면 러버 | (정보 없음) |
전형 | (정보 없음) |
코치 | (정보 없음) |
메달 기록 (여자 탁구) | |
올림픽 | 금 4 |
세계 선수권 대회 | 금 9, 은 5 |
월드컵 | 금 5, 동 1 |
올림픽 메달 | |
1992 바르셀로나 | 탁구 여자 단식 (금메달) |
1992 바르셀로나 | 탁구 여자 복식 (금메달) |
1996 애틀랜타 | 탁구 여자 단식 (금메달) |
1996 애틀랜타 | 탁구 여자 복식 (금메달) |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 메달 | |
1989 도르트문트 | 여자 복식 (금메달) |
1991 지바 | 여자 단식 (금메달) |
1991 지바 | 여자 복식 (은메달) |
1991 지바 | 여자 단체 (은메달) |
1993 예테보리 | 여자 복식 (은메달) |
1993 예테보리 | 여자 단체 (금메달) |
1995 톈진 | 여자 단식 (금메달) |
1995 톈진 | 여자 복식 (금메달) |
1995 톈진 | 혼합 복식 (은메달) |
1995 톈진 | 여자 단체 (금메달) |
1997 맨체스터 | 여자 단식 (금메달) |
1997 맨체스터 | 여자 복식 (금메달) |
1997 맨체스터 | 혼합 복식 (은메달) |
1997 맨체스터 | 여자 단체 (금메달) |
월드컵 메달 | |
1990 도쿄 | 여자 단체 (금메달) |
1991 바르셀로나 | 여자 단체 (금메달) |
1992 라스베이거스 | 여자 복식 (금메달) |
1995 애틀랜타 | 여자 단체 (금메달) |
1996 홍콩 | 여자 단식 (금메달) |
1990 서울 | 여자 복식 (동메달) |
아시아 탁구 선수권 대회 메달 | |
1994 톈진 | 여자 단식 (금메달) |
1994 톈진 | 혼합 복식 (금메달) |
1994 톈진 | 여자 단체 (금메달) |
1994 톈진 | 여자 복식 (은메달) |
ITTF 월드 투어 그랜드 파이널 메달 | |
1996 톈진 | 여자 단식 (금메달) |
1996 톈진 | 여자 복식 (금메달) |
기타 정보 | |
가족 | 배우자 린즈강(林志剛), 아들 린한밍(林瀚铭) |
소속 정당 | 중국 공산당 |
학력 |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교 대학원 |
경력 | 중국 공산당 체육교육행정특보위원, 前 베이징 체육대학교 전임교수, 前 베이징 대학교 전임강사, 前 푸단 대학교 겸임교수, 당무위원 겸 체육교육행정특보위원 |
수상 | 세계 탁구 명예의 전당 (2003년) |
ITTF 사이트 | DENG Yaping ITTF 프로필 |
2. 선수 경력
덩야핑은 5세 때인 1978년에 탁구에 입문했다. 당시 중국은 1971년 둥비우 당시 중국 국가부원수 겸 국가원수 권한대행과 리처드 닉슨 당시 미국 대통령 간의 "핑퐁 외교"를 계기로 스포츠가 점차 개방되던 시기였다. 덩야핑은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탁구를 시작하여, 1985년 12세 때 국제 챔피언십 리그에 첫 출전했다. 1989년 독일 도르트문트에서 열린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에서 차오훙과 함께 여자 복식에서 첫 금메달을 획득하며 국제적인 명성을 얻기 시작했다.
1990년에는 일본 홋카이도에서 열린 탁구 월드컵에서 금메달, 대한민국 서울에서 열린 탁구 월드컵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1992년 하계 올림픽에서도 금메달을 따내며 "월드 탁구 스타"로 불리게 되었고, 양상쿤 당시 중국 국가주석과 장쩌민 당시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로부터 직접 악수를 받는 영광을 누렸다.
1994년 톈진 아시안 탁구 챔피언십 리그에서는 단식 금메달과 복식 은메달을 획득하며 리펑 당시 중화인민공화국 총리의 축하를 받았다. 덩야핑은 키가 1.5m로 작아 국가대표팀에 합류하는데 어려움을 겪었지만, 1988년에 국가대표팀에 합류하여 1991년에는 첫 개인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다.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과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에서 개인 및 복식 경기 모두 금메달을 획득하는 쾌거를 이뤘다. 1995년과 1997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도 개인 및 복식 타이틀을 획득했다. 1997년 탁구 선수에서 은퇴한 후 2000년까지 스포츠 광고 모델로 활동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