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상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상쿤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인, 군인으로, 1907년 쓰촨성에서 태어났다. 1920년대 중국공산당에 가입하여 소련 유학 후 노동 운동과 항일 운동을 지도했으며, 국공 내전과 중화인민공화국 수립에 기여했다. 문화대혁명 시기에는 실각했으나, 덩샤오핑 집권 후 복권되어 군 개혁을 추진했고, 1988년 국가주석에 선출되었다. 1989년 천안문 시위 진압에 관여했으며, 1992년 덩샤오핑에 의해 정치국원 자리에서 제거된 후 1998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모스크바 중산 대학 동문 - 덩샤오핑
덩샤오핑은 마오쩌둥 사후 중국 최고지도자가 되어 개혁개방 정책을 추진, 중국 경제 성장을 이끌었으나 톈안먼 사건 무력 진압 등 비판도 받으며, 실사구시와 선부론을 통해 실용주의 노선을 추구하고 일국양제 원칙을 제시한 중국의 정치가이자 개혁가이다. - 모스크바 중산 대학 동문 - 왕자샹
왕자샹은 안후이성 출신으로 중국 공산당 초기 활동가이자 외교관이며, 쑨원 대학 유학 후 28인의 볼셰비키에 합류하여 쭌이 회의에서 마오쩌둥을 지지했으며, 중화인민공화국 초대 주소련 대사를 역임했다. - 중화인민공화국 주석 - 덩샤오핑
덩샤오핑은 마오쩌둥 사후 중국 최고지도자가 되어 개혁개방 정책을 추진, 중국 경제 성장을 이끌었으나 톈안먼 사건 무력 진압 등 비판도 받으며, 실사구시와 선부론을 통해 실용주의 노선을 추구하고 일국양제 원칙을 제시한 중국의 정치가이자 개혁가이다. - 중화인민공화국 주석 - 시진핑
시진핑은 2012년부터 중국 최고지도자로, 반부패 운동 추진, '중국몽' 제시, 국가주석 임기 제한 철폐 및 '시진핑 사상' 당헌 명기 등을 통해 장기 집권 기반을 마련한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인이다. -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에 관한 - 류윈산
류윈산은 내몽골 출신의 중화인민공화국 정치인으로, 중국 공산당의 주요 직책을 역임하며 이념 및 선전 분야에서 활동했고, 보수적인 성향으로 언론 통제 정책을 추진했으며, 2017년 은퇴했다. -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에 관한 -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는 중국 공산당과 중화인민공화국의 최고 의사 결정 기구이며, 정치국의 일상 업무를 수행하고, 1928년 설립 이후 명칭 변경과 권력 강화 과정을 거쳐 현재 7명의 상무위원으로 구성된다.
| 양상쿤 | |
|---|---|
| 기본 정보 | |
![]() | |
| 이름 | 양상쿤 |
| 로마자 표기 | Yang Shangkun |
| 출생일 | 1907년 8월 3일 |
| 출생지 | 청나라 쓰촨성 충칭 부 퉁난 현 |
| 사망일 | 1998년 9월 14일 |
| 사망지 | 베이징, 중화인민공화국 |
| 국적 | 중국 |
| 배우자 | 리보자오 (1929년 결혼, 1985년 사망) |
| 자녀 | 3명 |
| 친척 | 양바이빙 |
| 정당 | 중국공산당 (1926년 가입) |
| 직위 | |
| 국가주석 | 재임 시작: 1988년 4월 8일 재임 종료: 1993년 3월 27일 |
| 부주석 | 왕전 |
|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 | 재임 시작: 국가위원회: 1983년 6월 20일 재임 종료: 국가위원회: 1993년 3월 28일, 당위원회: 1992년 10월 19일 |
| 중앙군사위원회 비서장 | 재임 시작: 1945년 8월 재임 종료: 1956년 11월 재임 시작: 1981년 7월 재임 종료: 1989년 11월 |
| 중앙판공청 주임 | 재임 시작: 1945년 10월 24일 재임 종료: 1965년 11월 10일 |
| 전국인민대표대회 대표 | 대표 지역: 인민해방군 전체 재임 시작: 1964년 12월 21일 재임 종료: 1975년 1월 13일 대표 지역: 쓰촨성 전체 재임 시작: 1988년 3월 25일 재임 종료: 1993년 3월 15일 |
| 광저우 시장 | 재임 시작: 1979년 3월 재임 종료: 1981년 9월 |
| 주요 직책 | |
| 국가중앙군사위원회 제1부주석 | 재임 시작: 1989년 11월 재임 종료: 1993년 3월 |
| 국가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 | 재임 시작: 1983년 6월 재임 종료: 1989년 11월 |
| 중앙군사위원회 제1부주석 | 재임 시작: 1989년 11월 재임 종료: 1992년 10월 |
| 중앙군사위원회 상무 부주석 | 재임 시작: 1982년 9월 재임 종료: 1989년 11월 |
| 학력 | |
| 출신 학교 | 상하이 대학 모스크바 중산 대학 |
| 기타 | |
| 이전 직위 | 리셴녠 (주석) 황커청 (중앙군사위원회 비서장) 겅뱌오 (중앙군사위원회 비서장) 리푸춘 (중앙판공청 주임) 자오린이 (광저우 시장) |
| 후임 직위 | 장쩌민 (주석) 양바이빙 (중앙군사위원회 비서장) 왕둥싱 (중앙판공청 주임) 량링광 (광저우 시장) |
| 지도자 | 덩샤오핑 장쩌민 |
| 총리 | 리펑 |
2. 생애와 경력
양상쿤은 쓰촨성 충칭 부근 통난현의 지주 가문 출신으로[3], 청소년기에 마르크스주의를 접하고 혁명 운동에 투신하여 1926년 중국공산당에 입당했다.[5] 소련 모스크바 중산 대학에서 유학하며 마르크스주의 이론과 정치 기술을 습득했고,[2][3] 귀국 후에는 28인의 볼셰비키의 일원으로 활동했으나 마오쩌둥을 지지하는 노선을 택했다.
중국공농적군에 합류하여 장정에 참가했으며,[6] 중일전쟁과 국공내전 시기에는 당 중앙북방국 서기, 당 중앙판공청 주임, 중앙군사위원회 서기장 등 요직을 거치며 당과 군의 핵심 인물로 부상했다.[2]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에도 중앙판공청 주임 등의 직책을 유지하며 마오쩌둥을 가까이에서 보좌했으나,[3] 1965년 이후 문화대혁명의 광풍 속에서 류사오치, 덩샤오핑 지지자로 몰려 숙청당하고 12년간 투옥되는 시련을 겪었다.[7][17]
1978년 덩샤오핑의 집권과 함께 복권되어[18][19] 광둥성에서 개혁개방 정책을 지원했으며, 이후 중앙으로 복귀하여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 겸 비서장, 정치국 위원 등을 역임하며 군 개혁을 주도하고 덩샤오핑의 핵심 측근으로 활동했다.[8][21] 1988년에는 중화인민공화국 주석으로 선출되었다.[22]
1989년 천안문 시위 당시 초기에는 온건적인 입장을 보였으나, 결국 덩샤오핑의 결정에 따라 계엄령을 선포하고 무력 진압을 실행하는 데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사건 이후 동생 양바이빙과 함께 군부 내 영향력을 급격히 확대하려 했으나, 이는 덩샤오핑 및 다른 원로들의 견제를 받았고, 결국 1992년 당대회 이후 모든 직위에서 물러나 1993년 정계에서 은퇴했다.[7]
1998년 9월 14일 91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7] 사후 공식적으로 "위대한 무산계급 혁명가이자, 국사가, 군사 전략가, 확고한 마르크스주의자, 당, 국가, 인민군의 뛰어난 지도자"로 평가받았다.[12]
2. 1. 생애 초반

쓰촨성 충칭 부근 통난현 쌍강의 지주 가문에서 태어났다.[3] 1920년부터 1925년까지 청두 고등사범학교와 그 부속 중학교에서 공부했으며, 재학 중 마르크스주의를 접했다. 그의 형인 양영옹은 쓰촨성 중국공산당(CCP) 창립 집행위원 중 한 명으로, 양상쿤의 사상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4]
1925년 중국 공산주의 청년단에 가입했고, 1926년에는 중국공산당에 입당했다.[5] 같은 해 상하이대학에 입학하여 정치학을 공부하며 상하이 총공회의 무장봉기 준비 활동에 참여했다. 1927년 말 소련으로 건너가 모스크바 중산 대학에서 마르크스-레닌주의 이론과 정치 조직 및 동원 기술을 배웠다.[2][3] 1929년 소련에서 리보자오와 결혼했으며, 모스크바 중산대학 졸업 후 소련의 중국문제연구원 연구생이 되어 코민테른 중국 대표의 통역을 맡기도 했다.
1931년 중국으로 돌아와 당 중앙선전부장 겸 중화전국총공회 선전부장 등을 맡아 노동운동과 항일운동을 지도했다. 그는 모스크바 유학 후 중국 공산당에서 활동한 28인의 볼셰비키 그룹의 일원이었다. 코민테른은 그를 보구, 왕밍, 장궈타오 등 다른 친소련 지도자들을 지원하도록 파견했으나, 양상쿤은 엽검영, 왕자향, 장원전 등 다른 일부 '28인의 볼셰비키' 출신들과 함께 마오쩌둥을 지지했다.
귀국 후 중국공농적군에서 군 경력을 시작하여 제1방면군 정치부 주임으로 복무하며 주덕과 주은래의 지휘 아래 여러 전투에 참여했다. 1933년 초에는 장시성 루이진의 중앙혁명근거지로 이동하여 중앙소비에트구 중앙국 선전간사를 지냈고, 같은 해 6월 제1방면군 정치부 주임이 되었다. 1934년 1월에는 팽덕회가 지휘하는 제3군 정치위원으로 임명되었다.[6]
1934년 10월, 제3군단 정치위원으로서 장정에 참가했다. 장정 도중 열린 쭌이 회의에서는 기존의 친소련 노선(28인의 볼셰비키)을 비판하고 마오쩌둥을 지지하여 마오가 다시 당의 주도권을 잡는 데 기여했다. 이 시기 제6기 당 중앙위원회 제5차 전체회의에서 중앙위원 후보로 선출되었다.
섬서성 연안에 도착한 후에는 당 중앙혁명군사위원회 총정치부 부주임, 적군전선총지휘부 정치부 주임 등을 맡아 오랫동안 군 내 정치 사업을 이끌었다. 중일전쟁 시기에는 제2차 국공합작 이후 당 중앙북방국 부서기와 서기를 역임하며 화베이 지역의 게릴라전을 지도했다. 국공내전 시기에는 중앙군사위원회 비서장으로서 군 고급 간부들에게 명령을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또한 1945년 10월부터 당 중앙판공청 주임을 맡아 주은래 등을 보좌하며 당 중앙의 일상 업무를 처리했다.
2. 2. 중일전쟁과 국공내전
중일전쟁 기간 동안 양상쿤은 중국공산당(CCP) 화북 지부 부서기로 활동하며, 유소기와 함께 일본군 점령 지역에서 당 조직을 이끌었다. 1939년 1월에는 화북 지부 서기로 임명되어 주덕, 팽덕회와 협력하여 팔로군의 군사 작전을 지원했으며, 특히 백색 공격(Hundred Regiments Campaign)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데 기여했다. 이후 화북 지역의 게릴라전을 지휘했다.[2]1941년, 양상쿤은 연안으로 돌아와 마오쩌둥의 비서로 일했다. 1945년에는 당 중앙판공청 청장과 중앙군사위원회 서기장에 임명되었는데, 당시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장은 마오쩌둥이었다. 이 직책들을 맡아 그는 당의 군사 및 정치 업무의 대부분의 일상 행정을 효율적으로 처리했다.[2] 국공내전 시기에는 중앙군사위원회 서기장으로서 군 고위 간부들에게 명령을 전달하고, 중앙판공청 주임으로서 주은래 등을 보좌하며 당 중앙의 일상 업무를 처리하는 등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1949년에는 당 중앙을 보호하는 "중앙경호부대" 사령관을 맡았으며, 이러한 활동들은 공산당의 최종 승리와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3]
2. 3.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양상쿤은 중국공산당 중앙판공청 주임, 중국공산당 중앙서기처 주임,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서기장 등을 역임하며 당과 군의 일상 업무를 총괄했다.[3] 그는 중난하이에서 마오쩌둥과 긴밀하게 협력하는 소수의 지도자 중 한 명이었다.[3] 1950년 3월에는 예비역 중국인민해방군 육군 준장으로 전역하였다.1956년 9월, 중국공산당 제8차 전국대표대회에서 중앙위원으로 선출되었고,[14] 이어 열린 제8기 1중전회에서 중앙서기처 후보서기로 임명되었다.[15] 당시 중앙서기처 총서기로 취임한 덩샤오핑과 긴밀한 업무 관계를 맺으며 그의 신임을 얻었다.
그러나 1965년경 중앙서기처 주임에서 해임되어 광둥성 당위원회 서기로 좌천되었다. 문화대혁명이 시작되자 류사오치, 덩샤오핑 지지자로 몰려 펑전, 루딩이, 뤄루이칭 등과 함께 "양상쿤 반혁명 집단"으로 비판받았다.[7] 마오쩌둥으로부터 "양상쿤은 위연과 같다"는 비판을 받으며 실각했고, 심지어 홍위병으로부터 마오쩌둥 도청 혐의까지 받으며 모든 직위에서 해임되고 투옥되었다.
마오쩌둥 사후, 덩샤오핑이 1978년 권력을 잡으면서 양상쿤은 복권되었다. 덩샤오핑은 군 개혁의 필요성을 느끼고 양상쿤을 장군으로 복직시켜 군 개혁의 중책을 맡겼다. 그는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으로 임명되어 덩샤오핑 주석을 보좌하며 군 개혁을 추진했고, 1982년에는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으로도 선출되었다.[8]
양상쿤은 시중쉰과 함께 덩샤오핑을 설득하여 광둥성을 개혁개방의 선도 지역으로 지정하는 데 기여했다.[9] 그는 덩샤오핑과 깊은 관계를 유지하며 경제 개혁 노선을 지지했지만, 후야오방, 자오쯔양 등이 추진한 정치적 자유화에는 상대적으로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양상쿤은 블라디미르 레닌의 신경제정책을 예로 들며 경제 개혁의 정당성을 설명했고, 기업 내 당 위원회를 통해 당의 통제력을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문화대혁명 시기 고초를 겪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마오쩌둥을 위대한 역사적 지도자로 평가하는 입장을 견지했다. 1980년대 초에는 미국 언론인 해리슨 솔즈베리가 장정 생존자들을 인터뷰하여 Long March: The Untold Story|장정: 감춰진 이야기eng를 집필하는 것을 지원하기도 했다.[10]
2. 4. 문화대혁명과 실각
1965년 11월, 양상쿤은 당 중앙판공청 주임직에서 해임되었고,[16] 광둥성 당위원회 서기로 격하되었다. 문화대혁명이 시작되면서 그는 류사오치와 덩샤오핑을 지지하는 인물로 지목되어 반혁명분자로 숙청되었다.[7]1966년 5월 4일에 시작된 당 중앙정치국 확대회의에서 양상쿤은 마오쩌둥에 대해 비판적인 ‘실권파’의 일원으로 몰려 공격을 받았다.[16] 펑전, 루딩이, 뤄루이칭 등과 함께 "양상쿤 반혁명집단"으로 지목되었으며, 마오쩌둥으로부터 "양상쿤은 위연이다"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또한 홍위병들은 그가 마오쩌둥을 사찰하기 위해 도청 장치를 설치했다는 혐의를 제기했는데, 이는 덩샤오핑이 받았던 혐의와 유사했다.
같은 해 5월 22일, 양상쿤은 중앙서기처 서기 후보 직무가 정지되고, 광둥성 당위원회 서기처 서기 직무에서도 해임되어 조경 지구위원회 부서기로 강등되었다.[17] 5월 28일에는 다시 산서성 림분 지구위원회 부서기로 전직되었다.[17]
6월 27일, 류사오치가 주재한 "펑전·루딩이·뤄루이칭·양상쿤 반혁명 집단"에 관한 좌담회가 열렸고, 이 자리에서 양상쿤은 “마오쩌둥에 대한 반역”으로 비판받으며 최종적으로 실각했다. 7월 3일, 그는 “감호심사”를 선고받고 감금되었으며, 이 감금 생활은 마오쩌둥이 사망하고 덩샤오핑이 복권한 이후인 1978년까지 12년간 이어졌다.[17]
2. 5. 덩샤오핑 시대와 국가주석직
1978년 제11기 3중전회에서 명예가 회복되었으며[18][19], 1979년 9월 제11기 4중전회에서 중앙위원으로 복귀하였다.[20] 이후 광둥성 당위원회 서기, 광둥성 부성장, 광저우시 당위원회 서기, 혁명위원회 주임, 광둥성 군구 제1정치위원 겸 군구 당위원회 서기를 역임하며 덩샤오핑의 개혁개방 정책을 지지하였다. 시중쉰과 함께 덩샤오핑을 설득하여 광둥성을 개혁개방의 전국적 시범 지역으로 만들기도 했다.[9]1980년 3월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부위원장 겸 비서장으로 선출되었고(1983년 6월까지), 1981년 7월 당 중앙군사위원회 상무위원 겸 비서장에 임명되었다. 덩샤오핑은 중국군이 필요 이상으로 크고 비군사 활동에 너무 많이 관여한다고 판단하여 군 개혁을 추진했는데, 양상쿤은 덩샤오핑의 신임 아래 군 개혁의 책임을 맡았다. 이를 위해 덩샤오핑은 양상쿤을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으로 임명했다(덩샤오핑은 주석이었다).[8] 1982년 9월 제12기 1중전회에서는 정치국 위원, 당 중앙군사위원회 상무부주석 겸 비서장으로 승진하였다.[21] 1983년 6월 국가 중앙군사위원회가 설치되자 부주석을 겸임하였다.
양상쿤은 덩샤오핑과 깊은 우정을 나누었고 경제 개혁 목표를 공유했지만, 후야오방(Hu Yaobang), 조자양(Zhao Ziyang), 완리(Wan Li), 후치리(Hu Qili) 등이 추진하는 정치적 자유화 의제에는 상대적으로 소극적이었다. 그는 블라디미르 레닌(Vladimir Lenin)의 신경제정책(New Economic Policy)을 언급하며 경제 개혁을 지지하면서도, 모든 기업 내 당 위원회를 통해 공산당이 경제 전반에 대한 통제권을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급진적인 마오쩌둥주의자들에게 고초를 겪었음에도 불구하고 마오쩌둥을 위대한 역사적 지도자로 옹호했다.
1980년대 초, 양상쿤은 외국 역사가 해리슨 솔즈베리(Harrison Salisbury)가 장정 생존자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장정에 대한 기록을 편찬하는 것을 지원했다. 그 결과물인 책 ''장정: 감춰진 이야기(Long March: The Untold Story)''는 중국 학자들로부터 1차 구술 자료의 우수한 종합으로 평가받았다.[10]

1988년 4월 8일, 제7기 전인대 제1차 회의에서 리선념의 뒤를 이어 중화인민공화국 주석으로 선출되었다.[22] 그는 정치국 상무위원이 아닌 유일한 주석이었다. 1982년 헌법에 따라 주석의 역할은 상징적이었고, 실질적인 권력은 공산당 총서기와 국무원 총리에게 있었다. 실제로는 최고 지도자 덩샤오핑에게 권력이 집중되어 있었지만, 덩샤오핑 역시 천윈, 리선념 등 다른 당 원로들과 정책을 조율해야 했다.
양상쿤의 주석 재임 중 발생한 1989년 천안문 시위는 그의 정치적 행보에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처음에는 학생들에게 동정적이었고 조자양 총서기와 입장을 같이하며 "조자양의 민주와 법을 통해 학생 운동을 평정하려는 생각은 좋고 현재로서는 상당히 실행 가능해 보인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그러나 리펑 총리와 리선념 등 강경파가 무력 사용을 주장하며 조자양과 내부 권력 투쟁을 벌였고, 결국 강경파가 우세해지자 양상쿤은 입장을 바꿔 무력 진압을 지지했다. 1989년 5월, 그는 중국 텔레비전에 출연하여 학생 시위를 "무정부 상태"로 규정하고 계엄령 선포를 옹호했다.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으로서 그는 덩샤오핑을 대신하여 무력 진압 작전의 실행 책임을 맡았고, 국가주석의 권한으로 계엄령을 발령했다. 이 과정에서 그의 조카인 양젠화가 지휘하는 27집단군이 허베이성에서 베이징으로 투입되어 시위대를 진압했으며, 이로 인해 수백 명의 시위대가 사망했다.

사건 이후 1989년 11월 제13기 5중전회에서 실각한 조자양을 대신하여 당 중앙군사위원회 제1부주석으로 승격되었고[23](국가 중앙군사위원회 제1부주석 겸임), 동생 양바이빙과 함께 군부 내 영향력을 크게 확대했다. 이들은 시위 진압에 소극적이었던 장교들을 숙청하고 자신들의 지지자들로 고위 군 장교직을 채우려 시도했다. 이러한 움직임은 다른 군 원로들 사이에서 양상쿤이 군대를 장악하고 "양가 패거리"를 만들어 덩샤오핑의 권위에 도전하려 한다는 비판을 불러일으켰다.[7] 특히 양상쿤이 덩샤오핑의 후계자로 지목된 장쩌민의 부상에 저항하자, 덩샤오핑을 포함한 당 원로들은 양씨 형제의 군부 내 세력을 견제할 필요성을 느꼈다.
결국 덩샤오핑의 결정에 따라 양상쿤은 1992년 10월 제14차 당대회에서 정치국 위원직을 사퇴했고, 이어진 제14기 1중전회에서 중앙군사위원회 직위에서도 물러나 사실상 축출되었다. 이와 동시에 양씨 형제 파벌로 분류되던 군 간부들도 대거 퇴역하면서 군부 내 양씨 형제의 영향력은 제거되었다. 1993년 3월 27일, 양상쿤은 국가주석 및 국가 중앙군사위원회 제1부주석직에서 공식적으로 물러나 정계를 은퇴했다.
2. 6. 권력 투쟁과 은퇴
1988년 4월 8일, 양상쿤은 리선념을 이어 중화인민공화국 주석에 임명되었다.[22] 그는 당시 정치국 상무위원이 아니었던 유일한 주석이었다. 1982년 헌법에 따라 주석의 역할은 대체로 상징적인 것이었고, 실제 권력은 공산당 총서기와 국무원 총리가 행사했다. 당과 국가의 주요 결정은 여전히 최고 지도자 덩샤오핑에게 의존했지만, 덩샤오핑 역시 첸윈, 리선념 등 다른 당 원로들과 정책을 조율해야 했다. 양상쿤은 중공팔대원로 중 한 명이기도 했다.1989년 천안문 시위는 양상쿤의 정치적 입지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처음에는 학생들에게 동정적이었으며, 시위대에 대한 온건적 해결을 주장한 조자양 총서기와 입장을 같이했다. 당시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 겸 비서장이었던 그는 조자양의 입장을 지지하기도 했으나, 리펑 총리와 리선념 등 당내 강경파는 무력 사용을 주장하며 조자양과 대립했다.
당내 권력 투쟁에서 강경파가 우위를 점하자, 양상쿤은 입장을 바꿔 무력 진압을 지지하게 되었다. 1989년 5월, 그는 텔레비전에 출연하여 학생 시위를 "무정부 상태"로 규정하고 베이징 일부 지역에 내려진 계엄령을 옹호했다. 이후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으로서 시위 진압 작전을 지휘했으며, 이 과정에서 6월 4일을 전후하여 수백 명의 시위대가 희생되었다. 그의 조카인 양젠화가 지휘하는 27집단군은 허베이에서 베이징으로 투입되어 시위 진압에 동원되었다.
사건 이후 1989년 11월 제13기 5중전회에서 양상쿤은 당 중앙군사위원회 제1부주석으로 승격되었다.[23] 그는 동생 양바이빙과 함께 인민해방군 내에서 자신들의 영향력을 크게 확대했다. 정부의 시위 진압에 미온적이었던 장교들을 숙청하고, 주요 군 장교직에 자신들의 지지자들을 임명하려는 시도를 했다. 이러한 움직임은 다른 군 원로들 사이에서 양상쿤이 군부를 장악하고 "양가 패거리"를 만들어 덩샤오핑의 권위에 도전하려 한다는 비판을 불러일으켰다.
덩샤오핑은 상하이 당서기였던 장쩌민을 자신의 후계자로 키우려 했으나, 양상쿤은 장쩌민의 부상에 저항적인 태도를 보였다. 양씨 형제의 군부 내 막강한 영향력은 장쩌민으로의 순조로운 권력 이양을 추진하던 덩샤오핑에게 큰 부담이 되었다. 결국 덩샤오핑을 포함한 당 원로들은 양상쿤의 은퇴를 강요했다.[7]
1992년 10월, 제14차 당대회에서 양상쿤은 정치국 위원직에서 물러나야 했고, 이어 열린 제14기 1중전회에서는 중앙군사위원회에서도 사실상 축출되었다. 이와 동시에 양씨 형제와 가까웠던 군 간부들도 대거 퇴진하면서 군부 내 양씨 세력은 일소되었다. 1993년 3월 27일, 양상쿤은 국가주석 및 국가 중앙군사위원회 제1부주석 직위에서 공식적으로 물러나며 정계를 완전히 은퇴했다.
1998년 9월 14일, 베이징에서 병으로 사망했다.
2. 7. 최후
1989년 천안문 광장에서 발생한 민주화 시위 당시, 양상쿤은 덩샤오핑과 함께 군을 동원한 진압에 책임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당시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였던 조자양과 덩샤오핑 사이를 중재하려 했으며, 처음에는 무력 사용에 비판적 입장이었으나, 50년 지기인 덩샤오핑의 강경한 의지를 확인하고는 이를 따랐다. 그는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으로서 덩샤오핑을 대신해 무력 진압 실행 책임을 맡았고, 국가주석의 권한으로 계엄령을 발령했다. 그의 조카가 지휘하는 인민해방군 제27집단군이 시위 진압에 투입되었다.천안문 사건 이후 1989년 11월, 제13기 5중전회에서 실각한 조자양의 자리를 이어받아 당 중앙군사위원회 제1부주석으로 승진했다.[23] 이후 동생 양바이빙과 함께 군 내 자신의 세력을 키우며 영향력을 확대했다. 그러나 이는 장쩌민에게 권력을 이양하려던 덩샤오핑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했다. 양상쿤과 양바이빙 형제가 군부에 구축한 강력한 기반은 덩샤오핑에게 위협으로 인식되었다.
결국 덩샤오핑의 견제로 양상쿤은 은퇴 압력을 받게 된다. 1992년 10월 제14차 당대회에서 정치국 위원직을 내놓았고, 이어진 제14기 1중전회에서는 중앙군사위원회에서도 사실상 축출되었다. 이 과정에서 양씨 형제와 가까웠던 군 간부들도 대거 퇴진하며 군부 내 양씨 세력은 일소되었다. 1993년 3월 27일, 양상쿤은 국가주석 및 국가 중앙군사위원회 제1부주석 자리에서 물러나며 정계에서 완전히 은퇴했다.
1998년 9월 14일, 양상쿤은 베이징에서 9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의 공식 부고는 그를 "위대한 무산계급 혁명가이자, 국사가, 군사 전략가, 확고한 마르크스주의자, 당, 국가, 인민군의 뛰어난 지도자"라고 칭송했다. 2001년 양상쿤과 그의 아내의 유해는 고향인 퉁난구에 마련된 묘역에 안치되었다.[7][12]
한편, 미국 자유 아시아 방송(Voice of America)은 양상쿤이 사망하기 전 군의관 장옌융(Jiang Yanyong)에게 6월 4일 천안문 사태 진압이 리펑과 중국공산당이 저지른 역사상 가장 심각한 실수였으며, 자신은 바로잡을 수 없지만 결국에는 바로잡힐 것이라고 말했다고 보도했다.[11]
참조
[1]
웹사이트
族谱帮大忙,确定杨尚昆诞辰日为8月3日--中国共产党新闻--中国共产党新闻-人民网
https://web.archive.[...]
2017-05-21
[2]
서적
China at war: an Encyclopedia
ABC-CLIO
[3]
문서
Eckholm 1
[4]
뉴스
Obituary: Yang Shangkun
http://www.independe[...]
1998-09-15
[5]
문서
Xinhua
[6]
문서
Domes 113
[7]
문서
Eckholm 1–2
[8]
문서
Eckholm 2
[9]
서적
The Southern Tour: Deng Xiaoping and the Fight for China's Future
Bloomsbury Academic
[10]
문서
Teiwes 93–94
[11]
뉴스
镇压六四主将、党内斗争牺牲品杨白冰病逝
http://www.voachines[...]
2013-01-17
[12]
웹사이트
看完杨尚昆墓,再看看华国锋陵园,同样雄伟壮观,意义却各不相同
https://m.thepaper.c[...]
2020-08-28
[13]
웹사이트
李伯钊(1911—1985)
https://web.archive.[...]
2017-09-15
[14]
웹사이트
中国共産党第八届中央委員会委員和候補委員名単
http://cpc.people.co[...]
[15]
웹사이트
中共八届一中全会選出新的中央机构
http://cpc.people.co[...]
[16]
서적
[17]
웹사이트
杨尚昆:“外放”离京遭迫害 被监禁长达12年 (4)
2011-12-02
[18]
웹사이트
(一九七八年十二月二十二日採択)中国共産党第十一期中央委員会第三回総会コミュニケ
http://japanese.beij[...]
[19]
웹사이트
中国共産党第十一届中央委員会第三次全体会議公報
http://cpc.people.co[...]
[20]
웹사이트
中国共産党第十一届中央委員会第四次全体会議公報
http://cpc.people.co[...]
[21]
웹사이트
第十二届中央委員会第一次全体会議広報(第一号)
http://news.xinhuane[...]
[22]
웹사이트
中華人民共和国全国人民代表大会公告 第一号
http://news.xinhuane[...]
[23]
웹사이트
中国共産党第十三届中央委員会第五次全体会議広報
http://news.xinhuane[...]
[24]
웹인용
노태우 대통령, 양상곤 주석과 작별 인사[엄기영]
https://imnews.imb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