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데스크톱 메타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데스크톱 메타포는 컴퓨터 사용 환경을 실제 책상 위의 물건(서류, 폴더 등)에 비유하여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컴퓨터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 개념이다. 1970년 앨런 케이와 데이비드 C. 스미스 등이 제록스 PARC에서 처음 제시했으며, 제록스 스타와 애플 매킨토시를 거치며 대중화되었다. 현대에는 윈도우, macOS, 리눅스 등 대부분의 데스크톱 환경에서 사용되며, 종이 패러다임에 기반하여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하지만 파일 바로가기, 하이퍼텍스트 등 종이 패러다임에서 벗어나는 기능들이 등장하며 초보 사용자에게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용자 인터페이스 - 로그인
    로그인은 특정 페이지, 웹사이트 또는 응용 프로그램에 접근하기 위해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입력하여 시스템에 접근하는 절차이며, 1960년대 시분할 시스템과 1970년대 BBS에서 사용되기 시작했다.
  • 사용자 인터페이스 - 키넥트
    키넥트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개발한 동작 인식 장치로, 적외선 프로젝터와 센서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과 음성을 인식하며, Xbox용으로 출시되어 큰 인기를 얻었지만 개인정보 보호 문제 등으로 판매가 부진하여 생산이 중단되었고,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기술적 가치를 인정받아 클라우드 기반 Azure Kinect로 이어졌으나 단종되었다.
  • 소프트웨어 구조 - Ajax
    Ajax는 웹 페이지 전체를 새로고침하지 않고 비동기적으로 서버와 통신하여 웹 애플리케이션의 일부를 업데이트하는 웹 개발 기술로, XMLHttpRequest 객체의 등장으로 가능해졌으며 HTML, CSS, DOM, JavaScript, JSON 등의 기술을 통합하여 동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한다.
  • 소프트웨어 구조 - 멀티테넌시
    멀티테넌시는 단일 애플리케이션 인스턴스로 여러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여 SaaS 및 클라우드 환경에서 비용과 관리 효율성을 높이고 데이터 활용 가치를 창출하는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방식이다.
데스크톱 메타포
개요
여러 개의 창, 아이콘 및 배경 화면을 보여주는 컴퓨터 화면.
데스크톱 메타포는 파일과 폴더 아이콘을 사용하여 파일을 보고 구성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스타일이다.
설명데스크톱 메타포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한 종류이다.
특징컴퓨터의 인터페이스 요소를 실제 세계의 사물에 비유한다.
파일, 폴더, 휴지통 등의 아이콘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쉽게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구성 요소
주요 요소아이콘

폴더
파일
휴지통
메뉴 바

작업 표시줄
배경 화면
일반적인 작업파일을 열고 닫기
폴더 생성 및 삭제
파일 및 폴더 이동 및 복사
프로그램 실행
시스템 설정 변경
역사
기원1970년대에 제록스의 PARC에서 개발되었다.
앨런 케이의 다이나북 개념에서 영향을 받았다.
발전1980년대에 애플의 리사와 매킨토시에서 상업적으로 성공했다.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를 통해 대중화되었다.
장점
용이성사용자가 컴퓨터를 쉽게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생산성파일 및 폴더를 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쉽게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단점
추상화컴퓨터 내부의 복잡한 작동 방식을 숨기기 때문에 사용자가 컴퓨터의 원리를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다.
제한실제 데스크톱의 비유에 갇혀 컴퓨터의 모든 기능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할 수 있다.
대안
종류CLI
웹 인터페이스
터치 인터페이스
미래가상현실 및 증강현실 인터페이스
음성 인터페이스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같이 보기
관련 개념인터페이스 메타포
스큐어모피즘
사용자 경험 디자인
참고 문헌
"Desktop Metaphor". www.csdl.tamu.edu. 2011-06-09에 확인함. 보존된 문서: http://www.csdl.tamu.edu/~l0f0954/academic/cpsc610/hw2-3.htm

2. 역사

1970년 앨런 케이와 데이비드 C. 스미스 등이 팔로알토 연구소에서 데스크톱 메타포를 처음 소개했으며, 그 후 10년 동안 PARC 과학자들이 개발한 일련의 혁신적인 소프트웨어 응용 프로그램에서 자세히 설명되었다.[2][3] 데스크톱 메타포의 초기 버전을 사용한 최초의 컴퓨터는 실험적인 제록스 알토였으며, 이러한 종류의 인터페이스를 채택한 최초의 상업용 컴퓨터는 제록스 스타였다. 관련 정보를 담는 창 제어의 사용은 데스크톱 메타포보다 앞섰으며, 더글러스 엥겔바트의 "모든 데모의 어머니"에서 원시적인 버전이 나타났지만,[4] PARC는 스몰토크 언어 환경에 이를 통합했다.[5]

데스크톱으로 비유한 모니터에 문서를 표시하는 Smalltalk-76 환경(제록스 알토, 1973년경)


파일의 종류나 컴퓨터의 기능을, 초보자도 이해하기 쉽도록 아이콘으로 도형화한 제록스 스타(1981년) [위에서부터 목차, 드로워(서랍), 폴더, 목록, 문서, 프린터, 통신 단말, 송신함, 수신함이 정렬되어 있음


1983년 코모도어 64 홈 컴퓨터용 카트리지로 제작된 매직 데스크 I은 초기 데스크톱 유사 인터페이스 중 하나였다. 매우 원시적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통해 전화기, 서랍, 계산기 등을 갖춘 저해상도 데스크톱 스케치를 제공했다. 사용자는 조이스틱을 사용하여 손 모양 스프라이트(컴퓨터 그래픽스)를 움직여 선택했으며, 화면상의 옵션은 조이스틱의 발사 버튼을 눌러 선택했다. 매직 데스크 I 프로그램은 오디오 효과와 함께 그래픽으로 에뮬레이션된 타자기를 제공했으며, 계산기, 롤로덱스 정리기, 터미널 에뮬레이터 등의 응용 프로그램과 파일 보관, 쓰레기통(컴퓨팅) 기능을 갖추고 있었다.

1984년 애플 매킨토시는 데스크톱 메타포를 표준 기능으로 채택하여 대중화에 크게 기여했다.[9] 현대 개인용 컴퓨팅에서 데스크톱 메타포는 매우 보편적이며, 윈도우, macOS, 리눅스, 그리고 다른 유닉스 계열 시스템에서도 사용된다.

BeOS는 다른 많은 시스템보다 데스크톱 메타포를 더 엄격하게 준수했다. 예를 들어, 외부 하드 드라이브는 '데스크톱'에 나타나는 반면, 내부 드라이브는 컴퓨터 자체를 나타내는 아이콘(컴퓨팅)을 클릭하여 접근할 수 있었다. 이에 비해, Mac OS는 기본적으로 모든 드라이브를 데스크톱 자체에 배치하고, Windows에서는 사용자가 "컴퓨터"라는 아이콘을 통해 드라이브에 접근할 수 있다.

아미가의 데스크톱 메타포 용어는 작업장 용어에서 직접 가져온 것이다. 데스크톱은 워크벤치라고 불렸고, 프로그램은 , 작은 응용 프로그램(애플릿)은 유틸리티, 디렉토리는 서랍 등이었다. 개체의 아이콘은 애니메이션되었고, 디렉토리는 열리거나 닫힌 서랍으로 표시되었다. 클래식 Mac OS와 macOS 데스크톱에서와 마찬가지로, 플로피 디스크 또는 CD-ROM 아이콘은 디스크가 드라이브에 삽입될 때 데스크톱에 나타났으며, 이는 작업대 표면의 실제 플로피 디스크 또는 CD-ROM의 가상 대응물이었다.[12]

2. 1. 초기 개발

1970년 앨런 케이와 데이비드 C. 스미스 등이 팔로알토 연구소에서 데스크톱 메타포를 처음 소개했으며, 그 후 10년 동안 PARC 과학자들이 개발한 일련의 혁신적인 소프트웨어 응용 프로그램에서 자세히 설명되었다.[2][3] 데스크톱 메타포의 초기 버전을 사용한 최초의 컴퓨터는 실험적인 제록스 알토였으며, 이러한 종류의 인터페이스를 채택한 최초의 상업용 컴퓨터는 제록스 스타였다. 관련 정보를 담는 창 제어의 사용은 데스크톱 메타포보다 앞섰으며, 더글러스 엥겔바트의 "모든 데모의 어머니"에서 원시적인 버전이 나타났지만,[4] PARC는 스몰토크 언어 환경에 이를 통합했다.[5]

2. 2. 초기 인터페이스

1983년 코모도어 64 홈 컴퓨터용 카트리지로 제작된 매직 데스크 I은 초기 데스크톱 유사 인터페이스 중 하나였다. 매직 데스크 I은 전화기, 서랍, 계산기 등을 갖춘 저해상도 데스크톱 스케치를 제공했으며, 조이스틱을 사용하여 스프라이트(컴퓨터 그래픽스)를 움직여 아이콘을 선택하고 기능을 실행했다. 타자기, 계산기, 롤로덱스 정리기, 터미널 에뮬레이터 등의 응용 프로그램과 파일 보관, 쓰레기통(컴퓨팅) 기능을 제공했다.

2. 3. 대중화

1984년 애플 매킨토시는 데스크톱 메타포를 표준 기능으로 채택하여 대중화에 크게 기여했다.[9] 매킨토시는 이전의 명령줄 인터페이스 대신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통해 사용자 친화적인 환경을 제공했다. 현대 개인용 컴퓨팅에서 데스크톱 메타포는 보편적이며, 윈도우, macOS, 리눅스 등 대부분의 운영 체제에서 사용된다.

BeOS는 다른 많은 시스템보다 데스크톱 메타포를 더 엄격하게 준수하여, 외부 하드 드라이브는 '데스크톱'에, 내부 드라이브는 '컴퓨터' 아이콘을 통해 접근하도록 했다. 아미가 운영체제는 데스크톱을 워크벤치, 프로그램을 툴, 디렉토리를 서랍 등으로 부르며 작업장 용어를 사용했다.[12]

3. 페이퍼 패러다임

"종이 패러다임"은 대부분의 현대 컴퓨터와 운영 체제에서 사용되는 패러다임을 가리킨다. 이 패러다임은 흰색 바탕에 검은색 글자, 폴더 안의 파일, 그리고 "데스크톱"으로 구성된다. 더글러스 엥겔바트, 제록스 PARC, 애플 등 여러 개인과 조직이 종이 패러다임을 만들었으며, 이는 당시의 일반적인 작업 환경(서류, 폴더, 데스크톱)과 비슷하게 만들어 컴퓨터를 사용자 친화적으로 만들려는 시도였다.[6] 1968년 엥겔바트는 이 개념을 "모든 데모의 어머니"에서 처음으로 대중에게 공개했다.

3. 1. 개념

"종이 패러다임"은 현대 컴퓨터와 운영 체제 대부분에서 사용되는 인터페이스를 말한다. 이 패러다임은 흰색 바탕, 검은색 글자, 폴더 안의 파일, 그리고 "데스크톱" 등으로 구성된다. 더글러스 엥겔바트, 제록스 PARC, 애플 등 여러 개인과 조직이 종이 패러다임을 만들었다. 이는 당시의 일반적인 작업 환경(서류, 폴더, 데스크톱)과 비슷하게 만들어 컴퓨터를 더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었다.[6] 1968년, 엥겔바트는 "모든 데모의 어머니"에서 이 개념을 처음으로 대중에게 선보였다.

제록스 스타에서 데스크톱에 응용 프로그램과 아이콘을 보여주는 모습


1984년의 Macintosh는 새로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보급했다. 사용자는 추상적인 텍스트 명령어가 아닌, 실생활에 친숙한 아이템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비유적인 데스크톱을 사용하여 컴퓨터와 소통했다.


Debian에서 작동하는 MATE 데스크톱 환경으로, 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 메뉴, About MATE 창을 표시한다.


존 시라쿠사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7]

> 1984년에 GUI를 처음 접하는 사용자들에게 최초의 Mac 인터페이스를 설명할 때, 아이콘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았다. "이 아이콘은 디스크에 있는 당신의 파일을 나타냅니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을 놀라게 한 것은, 사용자들이 곧바로 이러한 간접적인 방식을 버렸다는 것이다. 이 아이콘 ''이'' 내 파일이다. 내 파일 ''이'' 이 아이콘이다. 하나가 다른 하나의 "표현"이거나 "인터페이스"가 아니다. 이러한 관계는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낯설었고, 현실에 대한 그들의 지식에 훨씬 더 단순하고 직접적인 연결이 있을 때 불필요한 정신적 부담을 초래했다.

하지만, 그 이후로 컴퓨터는 파일 "바로가기", 하이퍼텍스트, 비공간적 파일 탐색 등의 기능을 구현하면서 종이 패러다임에서 벗어났다. 바로가기(실제 파일이 아닌 리디렉션 프록시 역할을 하는 파일에 대한 링크)와 하이퍼텍스트는 현실 세계에 해당되는 것이 없다. 비공간적 파일 탐색 또한 현실에서는 불가능하지만, 종종 동일한 폴더를 나타내는 창을 여러 개 열어놓을 수 있기 때문에 초보 사용자를 혼란스럽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것들은 순수한 종이 패러다임을 위반하는 것이다.

3. 2. 비판과 변화

존 시라쿠사는 초기 매킨토시 사용자들이 "아이콘=파일"이라는 직접적인 관계를 인식했으며, 간접적인 표현으로 여기지 않았다고 지적했다.[7] 현대 컴퓨터는 바로가기, 하이퍼텍스트, 비공간적 파일 탐색 등 종이 패러다임에서 벗어난 기능을 제공한다. 바로가기와 하이퍼텍스트는 현실 세계에 대응되는 개념이 없으며, 비공간적 파일 탐색은 동일 폴더를 여러 창으로 열 수 있어 초보 사용자에게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이는 순수한 종이 패러다임에서 벗어난 변화이다.

4. 한국에서의 데스크톱 메타포

이전 출력물과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기 때문에 수정이 불가능합니다. 이전 출력물과 원본 소스를 제공해주시면 지시사항에 맞게 수정하여 출력하겠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Desktop Metaphor https://web.archive.[...] 2011-06-09
[2] 웹사이트 Room with a view (RWAV): A metaphor for interactive computing. https://citeseerx.is[...] IBM TJ Watson Research Center 1999
[3] 간행물 Alto: A personal computer. http://research.micr[...] Xerox, Palo Alto Research Center 1979
[4] 웹사이트 A History of the GUI (Part 2) https://arstechnica.[...] 2009-09-14
[5] 웹사이트 A History of the GUI (Part 3) https://arstechnica.[...] 2009-09-14
[6] 웹사이트 Realworld Desk http://toastytech.co[...]
[7] 웹사이트 About the Finder... https://arstechnica.[...]
[8] 웹사이트 Desktop Metaphor http://www.csdl.tamu[...] 2011-06-09
[9] 간행물 Room with a view (RWAV): A metaphor for interactive computing. IBM TJ Watson Research Center 1999
[10] 간행물 Alto: A personal computer. http://research.micr[...] Xerox, Palo Alto Research Center 1979
[11] 웹사이트 A History of the GUI (Part 2) https://arstechnica.[...] 2009-09-14
[12] 웹사이트 A History of the GUI (Part 3) https://arstechnica.[...] 2009-09-14
[13] 웹사이트 Realworld Desk http://toastytech.co[...] 2020-06-28
[14] 웹사이트 About the Finder... https://arstechnica.[...] 2020-06-28
[15] 웹인용 Desktop Metaphor https://web.archive.[...] 2011-06-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