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BeOS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BeOS는 1990년 애플의 전 경영진 장루이 가세가 설립한 Be Inc.에서 개발한 운영 체제이다. 미디어 OS를 표방하며 개발되었으며, 초기에는 AT&T 호빗 기반 하드웨어에서, 이후 PowerPC 프로세서를 지원했다. 1990년대 후반 애플과의 인수 협상이 결렬된 후, x86 플랫폼으로 전환되었으나 상업적으로 실패하여 2001년 팜에 인수되었다. BeOS는 멀티미디어 처리에 특화된 고성능 운영 체제로, 현재는 Haiku를 비롯한 여러 오픈 소스 프로젝트를 통해 부활하려는 시도가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BeOS - 하이쿠 (운영 체제)
    하이쿠는 BeOS의 개발 중단 후 오픈 소스 방식으로 BeOS와 호환되는 운영 체제를 만들기 위해 시작된 프로젝트로, BeOS의 우아함과 간결함을 계승하고자 이름이 유래되었으며, 모듈형 하이브리드 커널 구조와 객체 지향 API를 특징으로 하는 운영 체제이다.
  • BeOS - BeIA
    BeIA는 시스템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압축 기술을 사용한 운영 체제이며, 자체 제작한 압축 파일 시스템과 CELF 형식을 사용하여 다양한 장치에 탑재되었다.
  • X86 운영 체제 - 파이어폭스 OS
    모질라 재단에서 개발한 파이어폭스 OS는 웹 기술을 기반으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오픈 소스 모바일 운영 체제였으나, 스마트폰 시장 진출 후 개발이 종료되었고, 이후 스마트 TV 등으로 확장을 시도했으나 프로젝트는 단종되었다.
  • X86 운영 체제 - DragonFly BSD
    DragonFly BSD는 FreeBSD에서 파생되어 모놀리식 커널과 마이크로커널의 장점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커널 구조를 채택한 자유 운영 체제로, HAMMER 및 HAMMER2 파일 시스템 지원, CPU별 스레드 스케줄러, 유저랜드 가상 커널 기능 등을 제공한다.
  • 파워PC 운영 체제 - 모르프OS
    모르프OS는 1999년 Quark 마이크로커널 기반으로 개발되어 AmigaOS의 대안을 목표로 PowerPC 기반 컴퓨터를 위해 만들어진 운영체제로, 빠른 속도와 세련된 인터페이스를 지향하며 AmigaOne, Macintosh, Efika, Pegasos 등의 특정 하드웨어에서 실행되도록 설계되었다.
  • 파워PC 운영 체제 - NetBSD
    NetBSD는 높은 이식성을 가진 BSD 계열 오픈 소스 운영 체제로, 다양한 아키텍처를 지원하며 pkgsrc 패키지 관리 시스템을 통해 응용 프로그램 설치가 용이하고 안정성과 보안을 중시하여 여러 환경에서 사용된다.
BeOS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BeOS 로고
BeOS 로고
BeOS R5
BeOS R5
개발사Be社
개발 언어C++
소스 모델프로프라이어티 소프트웨어
최초 출시1995년 10월 3일
최신 버전R5.0.3
최신 버전 출시일2000년 5월 26일
작동 상태단종
커널 종류모듈형 커널
지원 언어영어, 일본어
지원 플랫폼IA-32, PowerPC
라이선스프로프라이어티 소프트웨어
웹사이트beincorporated.com

2. 역사

1991년 BeBox라는 하드웨어에서 동작하도록 만들어졌다. 당시의 운영 체제와 달리, 처음부터 GUI에 기반한 운영 체제로 설계되었다. 디지털 미디어 작업을 위해 다중 프로세서 지원 및 다중 스레드, 선점형 멀티태스킹 및 64비트 저널링 파일 시스템을 지원했다. 개발 편의를 위해 API는 C++로 만들었다. POSIX 호환성을 가지고 있고 배시 셸을 통한 명령행 접근도 가능했다. 이는 비-유닉스 기반 운영 체제에서는 찾아보기 힘들다.[3]

AT&T 호빗 기반 하드웨어에서 동작하도록 설계되었지만, 이후 PowerPC 프로세서에서도 실행할 수 있도록 수정되었다. Be 사는 애플이 Mac OS의 대체품으로 자사 운영 체제를 지원해 줄 것을 기대했지만, 애플은 넥스트스텝이 더 나은 선택이라고 판단하고 1996년 넥스트를 인수하여 애플의 공동 창업자 스티브 잡스를 다시 영입했다. 애플은 PowerPC G3의 내부 구조를 공개하지 않아 BeOS가 애플 하드웨어에서 동작하지 않도록 만들었다.[4]

이러한 애플의 움직임 때문에 Be 사는 x86 플랫폼으로 이식하기 시작했다. 1990년대 말 BeOS는 인기를 얻었지만, 회사 자체는 안정되지 못했다. Be 사는 BeOS R5를 출시했는데, 이는 BeOS의 기능을 일부 줄인 무료 버전으로 BeOS Personal Edition으로 알려졌다. BeOS PE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리눅스에서 바로 실행할 수 있어 최종 사용자들이 더 쉽게 접근할 수 있었다.[18][19][22]

Be 사는 BeOS for Internet Appliances (BeIA)도 출시했지만, BeOS PE와 BeIA는 오래 가지 못했고, 2001년 Be 사는 사에 인수되었다. 인수 이전에 개발되어 BeOS Network Environment 네트워크 스택을 내장했던 BeOS R5.1 "Dano" 버전은 회사 인수 후 유출되었다.[24][25]

Be 사가 없어졌지만, BeOS 사용자 커뮤니티는 여전히 자유 소프트웨어, 패치, 드라이버 및 기타 업데이트를 제작하고 있다.

BeOS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테마를 적용할 수 없었다. 노란색 BeOS 기본 테마, 창 위 가변 길이 탭, 회색 인터페이스 위젯만 사용해야 했다. 이 인터페이스는 1995년까지 바뀌지 않았지만, 유출된 Dano 릴리즈에서 변경되었다. 운영 체제 내부의 이스터에그를 통해 제목 표시줄과 외형을 바꿀 수는 있었지만, 다른 인터페이스 위젯은 변경할 수 없었다.

순수 BeOS R5 인터페이스는 TriangleOS와 같은 다른 운영 체제로 완전히 포팅되었다. TriangleOS에서는 BeOS 테마가 주 UI로 사용되며, 그놈에서는 설치 시 제공되는 테마 중 하나로 제공된다.

BeOS는 장루이 가세(Jean-Louis Gassée)의 작품으로, 떠오르는 디지털 미디어와 멀티 프로세서를 처리할 수 있는 "미디어 OS" 구축 철학을 바탕으로 개발되었다. 개발은 1990년대 초에 시작되어 처음에는 AT&T 호빗 기반 하드웨어에서 실행되도록 설계되었지만, 이후 PowerPC 기반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도록 수정되었다. 처음에는 Be 자체 BeBox 시스템에서, 나중에는 애플의 PowerPC 레퍼런스 플랫폼 및 공통 하드웨어 참조 플랫폼에서 실행되었으며, 애플이 노후화된 Mac OS를 대체하기 위해 BeOS를 구매하거나 라이선스할 것이라는 기대를 받았다.

BeOS의 첫 번째 버전은 1995년 10월 BeBox와 함께 제한된 수의 개발자에게 제공되었다. 아날로그 및 디지털 오디오, MIDI 스트림, 여러 비디오 소스 및 3D 계산을 지원했다. 개발자 릴리스 6(DR6)은 최초의 공식 출시 버전이었다.

BeOS 개발자 릴리스 7(DR7)은 1996년 4월에 출시되었다. 풀 32비트 컬러 그래픽, "워크스페이스"(가상 데스크톱), FTP 파일 서버 및 웹 서버를 포함했다.

DR8은 1996년 9월 MPEG 및 QuickTime 비디오 형식을 지원하는 새로운 브라우저와 함께 출시되었다. OpenGL, 원격 접근 및 파워 맥킨토시를 지원했다.

1996년 애플 CEO 길 아멜리오(Gil Amelio)는 Be Inc. 인수를 위한 협상을 시작했지만, Be CEO 장루이 가세가 3억달러를 요구하고 애플이 1.25억달러를 제시하면서 중단되었다. 애플 이사회는 NeXTSTEP을 선호했고, 스티브 잡스NeXT를 인수했다.

최종 개발자 릴리스는 64비트 파일 시스템을 도입했다. 일반 대중을 위한 첫 번째 버전인 BeOS 미리 보기 릴리스(PR1)는 1997년 중반에 출시되었다. AppleTalk, PostScript 인쇄 및 유니코드를 지원했다. 가격은 49.95달러였다. 그해 말, 미리 보기 릴리스 2는 매킨토시 HFS 지원, 512MB RAM 지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선과 함께 출시되었다.

R3는 1998년 3월 출시되었으며(초기 69.95달러, 나중 99.95달러), PowerPC 외에 인텔 x86 플랫폼으로 이식된 최초의 버전이자 상업적으로 출시된 최초의 BeOS 버전이었다. x86 채택은 스티브 잡스가 매킨토시 복제 시장을 중단시키고 Be의 부채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BeOS 릴리스 4는 최대 30% 성능 향상을 주장했다. 키보드 단축키는 윈도우 단축키를 모방하도록 변경되었다. Novell NetWare 지원은 여전히 부족했다. Adaptec 및 Symbios Logic x86 플랫폼에서 가장 일반적인 SCSI 컨트롤러에 대한 추가 드라이버 및 지원을 제공했다. 부트로더는 LILO에서 Be 자체 bootman으로 전환되었다.

2000년 BeOS R5가 출시되었다. Pro Edition과 온라인 및 CD-ROM을 통해 무료로 출시된 Personal Edition(BeOS PE)이라는 무료 버전으로 분리되었다. BeOS PE는 윈도우 또는 리눅스 내에서 부팅할 수 있으며, 소비자 및 개발자 미리 보기용으로 설계되었다. R5를 통해 Be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를 오픈 소스화했다. Be CEO 가세는 2001년 전체 운영 체제 소스 코드 공개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한다고 말했지만, 실현되지 않았다.

R5는 BeOS 인기를 높였지만 상업적으로 성공하지 못했으며, 인터넷 기기용 축소 버전 BeIA가 도입되면서 BeOS는 중단되었다. BeIA는 BeOS 대신 회사 사업 초점이 되었다. R5는 Be Inc.가 Palm Inc.에 매각된 후 2001년 폐업하면서 BeOS 최종 공식 릴리스가 되었다. Be의 Palm 매각 전 개발되었고 BeOS 네트워킹 환경(BONE) 네트워킹 스택을 포함하는 BeOS R5.1 "Dano"는 회사 폐쇄 직후 유출되었다.

Be는 BeOS 사용자 수를 공개하지 않았지만, 1999년 5만~10만 대 컴퓨터에서 실행된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R5는 100만 건 이상 다운로드된 것으로 알려졌다. 한때 Mac OS와 Windows의 유력 경쟁자로 여겨졌지만, 1998년까지 리눅스에 의해 "대안 운영 체제" 지위를 빠르게 추월당했다.

운영 체제 반응은 주로 긍정적이었으며, "신뢰할 수 있는" 멀티태스킹과 다중 프로세서 지원을 꼽았다. 시장 점유율은 낮았지만, 틈새 멀티미디어 사용자 기반을 확보했고 오디오 커뮤니티에서 수용되었다. 오디오와 비디오 처리 능력이 뛰어나 "미디어 OS"로 불렸다. BeOS는 일본에서 상당한 관심을 받았으며, 새로운 플랫폼을 찾던 아미가 개발자와 사용자들에게도 매력적이었다.

BeOS와 그 후속 제품은 롤랜드 코퍼레이션 Edirol DV-7 비디오 편집기(수정된 BeOS에서 실행)와 Tunetracker Radio Automation 소프트웨어(BeOS 및 Zeta에서 실행) 같은 미디어 기기에서 사용되었다. Zeta 운영 체제가 포함된 "Station-in-a-Box"로도 판매되었다. 2015년 Tunetracker는 방송 소프트웨어와 번들로 제공되는 Haiku 배포판을 출시했다.

신흥 운영 체제로서, 레거시를 버린 설계로 고성능을 발휘했지만, 제한적 동작 환경과 적은 수의 애플리케이션으로 인해 점유율 확보에 실패하고 개발이 중단되었다.

2. 1. Be Inc. 설립과 초기 개발

1990년 애플의 전 경영진 장루이 가세(Jean-Louis Gassée)가 Be Inc.를 설립하고, "미디어 OS" 개발 철학을 바탕으로 BeOS 개발을 시작했다.[3] 초기에는 AT&T 호빗(AT&T Hobbit) 기반 하드웨어에서 작동하도록 설계되었으나, 이후 PowerPC 프로세서로 변경되었다.[4] BeOS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직접적인 하드웨어 접근과 철저한 병렬 처리를 설계 단계에서 구현하여, 동시대의 Macintosh나 Windows 등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빠르게 작동하여 컴퓨터 관계자들 사이에서 큰 화제가 되었다.

2. 2. 애플과의 협상 결렬과 x86 플랫폼으로의 전환

1996년, 애플의 CEO였던 길 아멜리오는 Be Inc. 인수를 위한 협상을 시작했다.[10] 당시 애플은 노후화된 Mac OS를 대체할 차세대 OS를 찾고 있었고, BeOS는 그 후보 중 하나였다.[4] Be의 CEO였던 장루이 가세는 애플에 BeOS의 장점을 어필하며 인수 협상을 진행했다.

하지만 협상은 결렬되었는데, 가세가 3억 달러[9]를 요구한 반면, 애플은 1억 2,500만 달러를 제시했기 때문이다.[10] 가세는 BeOS의 가치를 5,000만 달러로 평가한 애플의 제안에 비해 매우 높은 금액을 요구했다.[74] 당시 BeOS는 6년이 지나도록 미완성 상태였고, Mac에 탑재할 경우의 비용과 BeOS 자체의 개발 비용 등을 고려하면 엄청난 금액이 필요했다. 또한 차세대 Mac용 OS 개발에 막대한 시간이 소요된다는 점도 문제였다.

결국 애플의 이사회는 NeXTSTEP을 선택하고, 스티브 잡스가 이끄는 NeXT를 인수했다.[10] OPENSTEP은 금융 기관이나 연구 기관 등에서 이미 실적을 올리고 있었기 때문에, 애플은 NeXT 인수를 더 나은 선택이라고 판단했다.

애플과의 매각 협상이 실패하고 실적이 악화되자, Be는 인텔 등의 협력을 얻어 PC/AT 호환 기종에서 작동하는 BeOS 개발에 전념하게 되었다. 애플이 Power Macintosh G3 이후 기기의 기술 자료 공개를 거부했기 때문에, 기술적으로도 Mac 플랫폼에서의 BeOS 발전은 어려워졌다고 판단한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BeOS는 1998년에 BeOS Release 3 (R3)를 통해 x86 플랫폼으로 진출했다.[13]

2. 3. 상업적 실패와 팜으로의 인수

1990년대 말, BeOS는 어느 정도 인기를 얻었지만, 회사 자체는 안정되지 못했다.[13] 이 때문에 Be 사는 BeOS R5를 출시했다. 이 버전은 BeOS의 기능을 일부 줄였지만 무료로 사용할 수 있었으며, BeOS Personal Edition (PE)으로 알려졌다.[22] BeOS PE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리눅스에서 바로 실행할 수 있어 최종 사용자들이 더 쉽게 접근할 수 있었다.[22]

Be 사는 BeOS의 또 다른 버전인 BeOS for Internet Appliances (BeIA)를 출시했다. 하지만 BeOS PE와 BeIA는 오래 가지 못했고, 2001년 Be 사는 사에 인수되었다.[24] 팜 사에 인수되기 전에 개발되고 있었고 BeOS Network Environment (BONE) 네트워크 스택을 내장했던 BeOS R5.1 "Dano" 버전이 회사가 인수된 후 유출되었다.[25]

2000년에 BeOS Release 5 (R5, 코드네임 Maui)가 출시되면서 BeOS는 세 번째 전환점을 맞았다. BeOS는 기존의 개인 사용자 중심 패키지 판매에서 다음과 같은 제공 형태로 전환될 것이 발표되었다.[76]

  • BeIA (코드네임 Stinger) - 인터넷 어플라이언스 (IA)를 위한 OEM 공급. 비즈니스적으로는 이를 주력으로 삼았다.
  • BeOS Personal Edition (PE) - 개인 비상업용 무료 버전. 다운로드 배포되었으며, Windows 상에서 파일 할당 테이블 파티션 내에 설치할 수 있었다 (실제 동작은 통상적으로 독립된 OS로 동작).
  • BeOS Pro Edition - 기존 패키지 판매의 후속. PC에서 본격적으로 이용하는 사용자용.


이는 실적이 좋지 않은 개인용 시장에서 당시 주목받던 IA 시장으로 이동한 것으로, 미국 소니의 IA "eVilla" 등에 채용되었다. 또한 무료로 설치도 간단한 PE의 존재도 눈길을 끌었다.

하지만 IA 시장 자체가 크게 성장하지 못하면서 BeOS는 어려운 상황을 벗어나지 못했다. 결국 개발 중이던 R5.1 (코드네임 Dano)은 출시되지 못했고, 2001년 Be 사의 지적 재산은 (현 ACCESS Systems)에 매각되었으며, Be 사는 해산되었다. 이로써 Be 사의 BeOS 개발은 막을 내렸다.

2. 4. BeOS를 다시 만드려는 프로젝트

BeOS는 작지만 활발한 커뮤니티의 지원을 받고 있었지만, Be 사는 운영 체제에 대한 지원을 제공할 수 없었다. 2002년에는 BeOS를 재창조하려는 여러 프로젝트가 등장했다. 이러한 프로젝트들은 운영 체제가 커뮤니티에서 무단으로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고 자원 봉사 프로그래머들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모두 자유 소프트웨어이자 공개 소프트웨어였다. 원본 BeOS의 구조를 유지하면서 새로운 운영 체제를 만들기 위해 호환성 테스트가 진행되었으며, BeOS의 거의 모든 부분은 자유 소프트웨어로 대체될 수 있었다.

2. 4. 1. Haiku (OpenBeOS)

하이쿠는 BeOS를 오픈 소스로 재구현한 것이다. 2001년 OpenBeOS라는 이름으로 시작되었으며, 2004년에 Haiku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BeOS 응용 프로그램과의 호환성을 유지하며,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로 제공된다. 2024년 9월, 다섯 번째 베타 버전이 출시되면서 현재까지 개발 중인 유일한 BeOS 클론으로, x86 32비트 이미지에서 BeOS 5와의 호환성을 유지하면서도 최신 드라이버와 GTK 앱을 지원한다.[64]

BeOS 및 BeOS 계열 시스템 계통도


BeOS는 2002년 이후 여러 오픈 소스 프로젝트를 통해 재구현이 시도되었다. 이 프로젝트들은 BeOS 5를 기반으로 독점 소프트웨어 코드를 제거하고 기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었으며, BeOS의 마이크로커널 구조 덕분에 비교적 쉽게 작업이 이루어졌다.

Haiku 프로젝트는 Be사 해산 후 BeOS의 오픈 소스 버전을 목표로 시작되었다. 초기 프로젝트명은 OpenBeOS였으나, 2004년 커뮤니티 투표를 통해 Haiku로 변경되었다. Haiku 프로젝트의 주요 목표는 BeOS와의 호환성(소스/바이너리 모두)을 갖춘 Haiku R1(Release 1)을 출시하는 것이다. 장기적으로는 R1 이후 Haiku에 새로운 기술과 아이디어를 도입하여 최적의 데스크톱 OS 플랫폼으로 발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Haiku는 x86 및 PowerPC 컴퓨터를 대상으로 개발되고 있다.

프로젝트는 2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지고 있지만, 개발 진행은 더뎌 첫 번째 정식 버전인 R1은 아직 출시되지 않았다.

연도사건
2001년 8월OpenBeOS 프로젝트 발족.
2004년 6월제1회 "WalterCon 2004" 개최, 새 프로젝트명 "Haiku" 발표.
2004년 10월CannaIM for BeOS가 Haiku에 기부됨.
2005년 7월일본어 폰트 "[http://www.masuseki.com/index.php?u=be/konatu.htm 코나츠]"를 표준 폰트로 적용.
2005년 8월"WalterCon 2005" 개최.
2009년 9월 14일첫 공식 릴리스 Haiku R1/Alpha 1 공개.
2010년 5월 9일Haiku R1/Alpha 2 공개.
2011년 6월 18일Haiku R1/Alpha 3 공개.
2012년 11월 12일Haiku R1/Alpha 4 공개.
2012년 11월 14일Haiku R1/Alpha 4.1 공개.
2018년 9월 28일Haiku R1/Beta 1 공개.
2020년 6월 9일Haiku R1/Beta 2 공개.[80]
2021년 7월 26일Haiku R1/Beta 3 공개.[81]
2022년 12월 23일Haiku R1/Beta 4 공개.[82]
2024년 9월 13일Haiku R1/Beta 5 공개.[83]


2. 4. 2. ZETA

옐로우탭 사는 미완성인 BeOS R5.1의 코드를 사용할 수 있는 권리가 있었으나, BeOS 상표를 사용할 권리는 없었기 때문에 ZETA라는 이름으로 배포하였다. 옐로우탭은 BeOS 코드와의 법적인 관계를 명확히 하지 않아 Be 커뮤니티에서 많은 논란을 일으켰다.[62]

팜이 Be를 인수한 직후, 독일 회사인 옐로우탭은 BeOS R5.1 코드베이스를 기반으로 Zeta를 개발하여 상용으로 출시했고, 이후에는 마그누스소프트를 통해 배포되었다.[62] 옐로우탭이 개발하는 동안, 이 회사는 BeOS 코드베이스와 관련된 법적 입장에 대해 논의를 거부하여 BeOS 커뮤니티로부터 비판을 받았다. 액세스(BeOS와 관련된 지적 재산권을 보유하고 있던 PalmSource를 인수)는 옐로우탭이 BeOS의 수정 버전을 배포할 권리가 없다고 선언했고, 마그누스소프트는 2007년에 해당 운영 체제의 배포를 중단해야 했다.[63]

ZETA는 yellowTAB사가 팜 사로부터 라이선스를 얻어 개발한 상용 BeOS 후속 운영체제이다. yellowTAB사가 파산했기 때문에, magnussoft사의 지원 하에 전 CEO였던 Bernd Korz를 중심으로 한 팀에서 ZETA 개발이 계속되었고, 제품 판매는 독일 magnussoft사로 이어졌다. 하지만 2007년 판매 부진으로 지원 중단이 결정되어 개발 종료 및 판매 중단되었다.

ZETA 개발 및 판매와 관련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연도내용
2003년yellowTAB사가 팜 사로부터 라이선스를 얻어 BeOS의 후속 OS ZETA를 개발
2004년yellowTAB사가 ZETA의 RC 버전을 출시. 한 가구 내에서 여러 PC에 설치 가능한 패밀리 라이선스 형식을 채용하여 BeOS의 후속으로 점차 인지도를 높임.
2005년 6월 9일yellowTAB사가 ZETA 1.0을 발표.
2005년 7월 1일Berry Japan사가 yellowTAB사와 총 대리점 계약을 체결하고 ZETA의 일본 공식 사이트를 개설.
2005년 7월 7일Berry Japan사가 ZETA 1.0 Multilingual Deluxe Version (15800JPY)을 판매 시작. 세븐일레븐이 운영하는 7dream.com에서도 판매.
2005년 8월 5일「ZETA 1.0 Deluxe Edition」이 아키하바라의 상점에 처음 등장. 프랫 홈이 ZETA 1.0 Multilingual Deluxe Version을 판매 시작.
2005년 10월 15일yellowTAB사가 「ZETA 1.1」을 릴리스, 기존 사용자에게 무료 업데이트를 다운로드로 배포 시작.
2006년 1월 21일장기간에 걸친 Berry Japan사의 계약 위반으로 인해 yellowTAB사가 Berry Japan사와의 일본 총 대리점 계약을 파기.
2006년 4월 4일ZETA 개발원 yellowTAB사가 파산 보호에 들어감[77][78]
2006년 10월 14일전 CEO였던 Bernd Korz를 중심으로 한 팀에서 ZETA가 개발되었고, 제품 판매는 독일 magnussoft사가 이어받음.
2007년magnussoft사는 판매 부진에 따라 ZETA의 개발 지원 중단을 결정했고, Bernd Korz도 개발 종료를 발표[79], 판매도 2007년도에 종료.


2. 4. 3. 기타 프로젝트

Blue Eyed OS는 LGPL을 기반으로 하여 리눅스 커널과 BeOS와 호환되는 X 서버를 갖춘 시스템을 만들려고 시도한 프로젝트였다.[65] 2001년에 BlueOS라는 이름으로 시작되었고, 2003년에 데모 CD가 출시되었으나,[65] 2005년 2월에 개발이 중단되었다.

Cosmoe의 초기 버전 스크린샷


Cosmoe는 빌 헤이든(Bill Hayden)이 AtheOS의 소스 코드를 기반으로 설계한 오픈 소스 운영 체제였으나, 리눅스 커널을 사용했다.[66][67][68] ZevenOS는 Cosmoe의 개발 중단 이후 시작된 프로젝트였다.[69]

BeFree는 2003년에 시작되었으며, 처음에는 FreeBSD[70]에서, 나중에는 리눅스에서 개발되었다.[71][72] BeFree는 레거시를 버린 설계로 고성능을 추구했지만, 제한적인 동작 환경과 적은 수의 애플리케이션으로 인해 점유율 확보에 실패하고 개발이 중단되었다.

2. 5. 버전 역사

(Advanced Access Preview Release)1997년 5월PR1 (프리뷰 릴리스)1997년 6월PR21997년 10월R31998년 3월PowerPC, 인텔 x86R3.11998년 6월R3.21998년 7월R41998년 11월 4일R4.5 ("Genki")1999년 6월R5 PE/Pro ("Maui")2000년 3월R5.1 ("Dano")2001년 11월인텔 x86



BeOS는 초기에 AT&T 호빗 기반 하드웨어에서 작동하도록 설계되었으나, 이후 PowerPC 프로세서에서도 실행할 수 있도록 수정되었다. 1998년 3월 R3 버전부터는 인텔 x86 플랫폼으로도 이식되어 더 많은 사용자가 BeOS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13] 2000년에는 BeOS R5가 출시되었는데, 이는 무료 버전인 Personal Edition (BeOS PE)으로도 제공되어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리눅스에서 바로 실행할 수 있었다.[18][19] 2001년에는 BeOS R5.1 "Dano" 버전이 유출되기도 했다.[24][25]

3. 기술적 특징

BeOS는 BeBox나 Power Mac, PC/AT 호환기종에서 작동하는 미디어 OS로, 멀티미디어 처리에 뛰어났다. 세련된 설계로 높은 성능을 보였으며, 발표 당시 같은 PowerPC에서 작동하는 Mac OS보다 훨씬 빠르게 작동하여 "PowerPC의 진가를 발휘했다"라는 평가를 받았다.

OS 단품 판매가 종료된 후에도, 롤랜드가 에디롤 브랜드의 비디오 편집 전용기 DV-7DL에 임베디드 OS로 사용[73]하면서, 단품 시스템으로서는 더 오랫동안 현역으로 활약했다. 이러한 특징은 BeOS를 계승하여 개발 중인 오픈 소스 Haiku에서 재현하고자 하고 있다.

3. 1. 아키텍처

BeOS는 독점적인 커널을 사용하며, 대칭형 멀티프로세싱과 선점형 멀티태스킹, 그리고 광범위한 멀티스레딩을 지원한다.[32] 보호 메모리 모드에서 실행되며, 공유 라이브러리와 모듈식 코드를 기반으로 하는 C++(C++)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를 갖추고 있다.[8] 초기에는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해 CodeWarrior를 제공했으며,[32] 나중에는 EGCS를 지원했다.

API는 객체 지향적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대부분 멀티스레드 방식으로 작동했다. 각 창은 자체 스레드에서 실행되었으며, 스레드 간 통신을 위해 메시지 전송에 크게 의존했다. 이러한 개념은 API에 반영되었다.[33]

BeOS는 모듈형 I/O 대역폭, OpenGL 라이브러리를 사용한 멀티스레드 그래픽 엔진, 그리고 파일당 최대 1 테라바이트를 지원하는 64비트 저널링 파일 시스템인 BFS와 같은 최신 하드웨어 기능을 사용한다.[17] 부분적인 POSIX 호환성을 가지며 Bash를 통해 명령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만, 내부적으로는 유닉스 기반 운영 체제가 아니다. 많은 유닉스 애플리케이션이 BeOS 명령줄 인터페이스로 포팅되었다.[34]

BeOS는 유니코드를 기본 GUI 인코딩으로 사용했으며, 양방향 텍스트 입력과 같은 입력 방식에 대한 지원은 구현되지 않았다. BeOS의 코드는 UNIX 등의 기존 소스 코드를 기반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모두 새롭게 작성되었다.

BeOS의 기술적인 특징은 다음과 같다.

3. 2. 파일 시스템

BeOS는 64비트 저널링 파일 시스템인 BFS를 사용하며, 파일당 최대 1 테라바이트를 지원한다.[17] BFS는 데이터베이스처럼 작동하는 저널링 파일 시스템이다.[73]

3. 3. 기타 특징

BeOS는 부분적으로 POSIX와 호환되며, Bash를 통해 명령줄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34] 유닉스 기반 운영 체제는 아니지만, 많은 유닉스 애플리케이션이 BeOS 명령줄 인터페이스로 포팅되었다.[34]

BeOS는 유니코드를 기본 GUI 인코딩으로 사용한다.

4. 응용 프로그램

Be는 타사 소프트웨어를 포함한 소프트웨어 구매 및 다운로드를 위한 마켓플레이스 사이트인 BeDepot을 운영했으며, 해당 플랫폼용 앱을 나열하는 BeWare라는 웹사이트도 운영했다. BeOS용 타사 앱으로는 고베 프로덕티브 오피스 스위트[17], 모질라 프로젝트[38][39], Cinema 4D와 같은 멀티미디어 앱이 있다.[40] ''퀘이크''와 ''퀘이크 II''가 공식적으로 포팅되었고, ''심시티 3000''이 개발 중이었다.[41]

4. 1. 기본 제공 응용 프로그램

BeOS는 넷포지티브(NetPositive)라는 독특한 웹 브라우저[35], BeMail 이메일 클라이언트[36], PoorMan 웹 서버[37]와 함께 제공되었다.

4. 2. 타사 응용 프로그램

BeOS는 NetPositive라는 독특한 웹 브라우저[35], BeMail 이메일 클라이언트[36], PoorMan 웹 서버[37]와 함께 제공되었다. Be는 타사 소프트웨어를 포함한 소프트웨어 구매 및 다운로드를 위한 마켓플레이스 사이트인 BeDepot을 운영했으며, 해당 플랫폼용 앱을 나열하는 BeWare라는 웹사이트도 운영했다. 일부 타사 BeOS 앱으로는 고베 프로덕티브 오피스 스위트[17], 모질라 프로젝트[38][39], 그리고 Cinema 4D와 같은 멀티미디어 앱이 있다.[40] ''퀘이크''와 ''퀘이크 II''가 공식적으로 포팅되었고, ''심시티 3000''이 개발 중이었다.[41]

5. 한국 및 일본과의 관계

Be사는 친일파 엔지니어가 많아 일본어 지원이 비교적 충실했다. 히타치는 BeOS가 탑재된 PC(윈도와 듀얼 부팅)를 히타치 플로라 프리우스(Hitachi Flora Prius) 라인으로 판매했다.[30] 또한, BeOS에는 일본어 관련 요소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5. 1. 대한민국

히타치는 BeOS가 탑재된 PC(윈도우와 듀얼 부팅)를 히타치 플로라 프리우스(Hitachi Flora Prius) 라인으로 판매했다.[30]

5. 2. 일본

Be사에는 친일파 엔지니어가 많아 일본어 지원이 비교적 충실했다. 또한, 일본어 관련 장난도 포함되어 있었다.

6. 유산

Tascam SX-1 디지털 오디오 레코더는 레코딩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만 실행하는, 대폭 수정된 버전의 BeOS를 사용한다.[53] iZ Technology Corporation의 하드 디스크 기반 24트랙 전문 오디오 레코더인 RADAR 24, RADAR V 및 RADAR 6는 BeOS 5를 기반으로 했다.[54] 디지털 사이니지 및 방송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업체인 Magicbox는 Aavelin 제품군을 구동하기 위해 BeOS를 사용한다.[55] 12인치 바이닐 타임코드 레코드 기반 DJ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시스템인 Final Scratch는 BeOS에서 처음 개발되었다. "ProFS" 버전은 1.0 릴리스 전에 수십 명의 DJ에게 판매되었으며, 이는 Linux 가상 파티션에서 실행되었다.[56]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았던 BeOS는 2002년 이후 여러 오픈 소스 프로젝트가 BeOS를 재구축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 프로젝트들은 BeOS 5를 기반으로 독점 소프트웨어 코드를 제거하고 다시 작성하여 기능을 강화했다. BeOS의 마이크로커널 구조는 이 작업을 쉽게 만들었다.

참조

[1] 웹사이트 BeOS http://www.osdata.co[...] 2016-01-13
[2] 잡지 This OS Almost Made Apple an Entirely Different Company https://www.wired.co[...] 2020-07-01
[3] 웹사이트 Technical White Paper: The Media OS http://www.be.com/pr[...] 1997-05-25
[4] 웹사이트 BeOS @ MaCreate https://web.archive.[...] 2006-11-16
[5] 웹사이트 Be Completes $14 million Financing http://www.be.com/ab[...] 1997-05-25
[6] 웹사이트 Be Releases BeOS Version DR7 http://www.be.com/ab[...] 1997-02-18
[7] 웹사이트 Be Announces BeOS Version DR8 http://www.be.com/ab[...] 1997-05-25
[8] 웹사이트 Be Demonstrates BeOS for PowerMac http://www.be.com/ab[...] 1996-10-21
[9] 웹사이트 The Rise and Fall of Apple's Gil Amelio http://lowendmac.com[...] Cobweb Publishing, Inc. 2015-03-28
[10] 웹사이트 Apple Confidential: The Day They Almost Decided To Put Windows NT On The Mac Instead Of OS X! http://macspeedzone.[...] 2014-01-18
[11] 웹사이트 Be Releases BeOS Preview Release To Developers http://www.be.com/ab[...] 1997-05-25
[12] 웹사이트 Be Ships BeOS Preview Release 2 http://www.be.com/ab[...] 1997-10-22
[13] 웹사이트 ATPM 4.09 - Review: BeOS Release 3 http://www.atpm.com/[...] 2023-11-24
[14] 웹사이트 Be boss offers OS to OEMs for free http://www.theregist[...] The Register 2023-11-24
[15] 웹사이트 Be Newsletters, Volume 3: 1998 http://www.haiku-os.[...] Be Inc. 2014-01-18
[16] 웹사이트 Be, Inc. Unveils BeOS Release 4 at COMDEX Fall 98 http://www.be.com/ab[...] 1999-04-27
[17] 웹사이트 A desktop alternative https://www.forbes.c[...] 2023-11-24
[18] 웹사이트 Be Newsletters, Volume 5: 2000 http://www.haiku-os.[...] Be Inc. 2014-01-18
[19] 웹사이트 BeOS/Zeta http://www.yellowbit[...] 2014-01-18
[20] 웹사이트 Be Opens Source Code to Desktop Interface of BeOS 5 http://www.be.com/pr[...] 2001-04-12
[21] 웹사이트 Be getting ready to open source BeOS? http://www.theregist[...] The Register 2023-11-24
[22] 웹사이트 Be Goes Platinum with BeOS 5 http://www.be.com/pr[...] 2000-08-15
[23] 웹사이트 Be Newsletters, Volume 5: 2000 http://www.haiku-os.[...] Be Inc. 2014-01-18
[24] 웹사이트 Be Newsletters, Volume 5 : 2000 https://www.haiku-os[...] Be Inc 2014-01-18
[25] 웹사이트 More Information on the BeOS Dano Version http://www.osnews.co[...] 2014-01-18
[26] 웹사이트 Be Newsletters, Volume 1: 1995-1996 http://www.haiku-os.[...] Be Inc. 2014-01-18
[27] 잡지 Motorola snubs NT, picks BeOS for its Mac clones https://books.google[...] 1997-02-24
[28] 웹사이트 Be Announces BeOS Support for New Multiprocessor Systems http://www.be.com/ab[...] 1997-02-18
[29] 웹사이트 BeOS Ready Systems -- PowerPC http://www.be.com/su[...] 1999-01-27
[30] 웹사이트 Success expected for Be IPO https://www.theregis[...] 2023-11-24
[31] 웹사이트 Microsoft Settles Anti-Trust Charges with Be http://www.internetn[...] 2008-04-24
[32] 웹사이트 Company Backgrounder https://www.gbnet.ne[...] 2024-03-13
[33] 잡지 Opening the BeBox https://archive.org/[...] 1996-01
[34] 논문 Brown (1998)
[35] 웹사이트 Ars Technica: Browsin' on BeOS - Page 1 - (9/99) https://archive.arst[...] 2023-11-24
[36] 웹사이트 Ars Technica: E-Mail on the BeOS - Page 1 - (8/99) https://archive.arst[...] 2023-11-24
[37] 웹사이트 The Poor Man's Web Server http://testou.free.f[...]
[38] 웹사이트 BEZILLA FREE BROWSER FOR BEOS ON TRACK https://techmonitor.[...] 1998-07-16
[39] 웹사이트 Bezilla: Mozilla for BeOS https://www-archive.[...] 2023-11-24
[40] 웹사이트 CINEMA 4D goes BeOS http://testou.free.f[...] 2023-11-24
[41] 뉴스 To Be Or Not To Be https://www.eurogame[...] 2000-01-10
[42] 웹사이트 Should you be in on Be Inc.'s IPO? https://www.cnet.com[...] 2023-11-24
[43] 웹사이트 CNN - Meet the challengers to Windows' throne - June 12, 1998 http://edition.cnn.c[...] 2023-11-24
[44] 웹사이트 A Silicon Valley funeral for Be Inc https://www.theregis[...] 2023-11-24
[45] 뉴스 Be Inc. Tries 'Open Source' System Version https://www.ctinside[...] 2000-03-28
[46] 간행물 CU Amiga https://archive.org/[...] 1998-07
[47] 웹사이트 EDIROL by Roland DV-7DL Series Digital Video Workstations http://www.edirol.co[...] 2006-11-16
[48] 웹사이트 BeOS And Radio Automation http://www.byte.com/[...] Byte.com 2019-02-14
[49] 잡지 TuneTracker 2 Brings Automation to All https://www.radiowor[...] 2019-02-14
[50] 잡지 Station to station Future plc 2005-01
[51] 웹사이트 TuneTracker Radio Automation Software http://www.tunetrack[...] 2006-12-09
[52] 웹사이트 Alternative Betriebssysteme: Haiku als USB-Distribution https://www.heise.de[...] iX Magazin 2019-02-14
[53] 웹사이트 Professional Audio Coming to Haiku? https://web.archive.[...] 2014-01-18
[54] 웹사이트 iZ RADAR 24 https://web.archive.[...] 2006-12-27
[55] 웹사이트 Technology Showcase: Digital Signage Hardware http://digitalconten[...] Digital Content Producer 2006-12-09
[56] 웹사이트 Ni Ends Legal Dispute Over Traktor Scratch; Digital Vinyl's Twisty, Turny History http://createdigital[...] 2014-01-18
[57] 웹사이트 PalmSource Introduces Palm OS Cobalt http://www.access-co[...] 2004-02-10
[58] 웹사이트 ACCESS Completes Acquisition of PalmSource http://www.palmsourc[...] 2005-11-14
[59] 웹사이트 Palm scuppers BeOS co-op hopes https://www.theregis[...] 2023-11-24
[60] 웹사이트 BeUnited - A global initiative aimed at professionally developing and marketing the BeOS http://www.beunited.[...] 2023-11-24
[61] 웹사이트 beunited.org - Open Standards BeOS-compatible Operating Systems http://www.beunited.[...] 2023-11-24
[62] 웹사이트 'Be' is nice. End of story. https://www.abortret[...] 2023-11-24
[63] 웹사이트 Zeta Operating System http://www.operating[...] 2014-01-18
[64] 웹사이트 Haiku R1/beta5 has been released! https://www.haiku-os[...] 2024-09-16
[65] 웹사이트 BlueEyedOS Demo/Test CD Now Available – OSnews https://www.osnews.c[...] 2023-11-24
[66] 웹사이트 Interview with Cosmoe's Bill Hayden – OSnews https://www.osnews.c[...] 2023-11-24
[67] 웹사이트 IsComputerOn - Contact with Bill. (updated) http://joomla.iscomp[...] 2023-11-24
[68] 웹사이트 Cosmoe Developer Seeks Successor – OSnews https://www.osnews.c[...] 2023-11-24
[69] 웹사이트 ZevenOS - Does it recapture the flavor of BeOS? Linux Journal https://www.linuxjou[...] 2023-11-24
[70] 웹사이트 BeFree 0.1.0 Released – OSnews https://www.osnews.c[...] 2023-11-26
[71] 웹사이트 About BeFree http://befree.berlio[...] 2023-11-26
[72] 웹사이트 BeFree http://befree.source[...] 2023-11-26
[73] 웹사이트 PCの技術で完璧な「専用機」を作る (1/3) https://www.itmedia.[...]
[74] 서적 アップル薄氷の500日 1998-08-15
[75] 웹사이트 BeOS Release 4に標準添付「EGBRIDGE」のエンジンや辞書をもとに開発 エルゴソフト、BeOSに標準添付される日本語入力システムを開発 https://pc.watch.imp[...] 1998-05-28
[76] 웹사이트 日立、BeOSをプリインストールした液晶デスクトップ https://pc.watch.imp[...] PC Watch 2012-08-31
[77] 웹사이트 yellowTAB 社発表 http://yellowtab.com[...]
[78] 웹사이트 MYCOM PC WEB 関連記事 http://pcweb.mycom.c[...]
[79] 뉴스 「ついにBeOS後継「Zeta」の開発が終了」 https://news.mynavi.[...] マイコミジャーナル 2007-04-03
[80] 웹사이트 Haiku R1/beta2 has been released! https://www.haiku-os[...] Haiku Project 2020-12-16
[81] 웹사이트 Media Release: The Haiku Project Celebrates the Release of Beta 3 https://www.haiku-os[...] Haiku Project 2021-07-27
[82] 웹사이트 Haiku R1/beta4 has been released! https://www.haiku-os[...] Haiku Project 2022-12-24
[83] 웹사이트 Haiku R1/beta5 has been released! https://www.haiku-os[...] Haiku Project 2024-09-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