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리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리아는 물의 힘을 이용하여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물을 끌어올리는 장치이다. 어원은 아랍어 '나우라'에서 유래되었으며, 회전하는 바퀴의 소리를 의미한다. 노리아는 일반적으로 흐르는 물을 동력으로 사용하지만, 동물이나 풍력을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 고대 이집트에서 기원전 4세기에 등장했으며, 이슬람 황금 시대를 거치며 기술이 발전했다. 노리아는 동아시아에서도 사용되었으며, 중국에서는 전국 시대부터, 일본에서는 에도 시대에 답차가 사용되었다. 노리아는 바퀴에 매달린 바구니, 점토 또는 나무 바구니, 하위사식 수차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현대에도 시리아의 하마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용수로 - 도랑
도랑은 지표수 유출로 토양이 침식되어 생긴 좁고 얕은 수로로, 토양 보전 조치가 없다면 더 큰 침식 지형으로 발전하여 환경적, 사회경제적 영향을 미치므로 다양한 관리 노력이 요구된다. - 용수로 - 구거 (토목)
구거는 물을 대거나 빼기 위해 설치되는 시설로, 개거와 암거로 나뉘며 농업, 배수, 경계, 군사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현대에는 도시 배수 시스템, 환경 관리, 습지 조성 등에도 활용된다. - 펌프 - 터보펌프
터보펌프는 로켓 엔진에서 연료와 산화제를 연소실로 고압 공급하는 펌프로, 작동 방식에 따라 원심식과 축류식으로 나뉘며 효율적인 설계가 중요하다. - 펌프 - 축류 펌프
축류 펌프는 프로펠러형 임펠러를 사용하여 작동하며, 임펠러 블레이드 위로 흐르는 액체로 압력을 발생시켜 유체를 임펠러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밀어내는 펌프의 한 종류이다. - 이집트의 발명품 - 오벨리스크
오벨리스크는 고대 이집트에서 태양신을 상징하던 위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사각 기둥 모양의 석조 건축물로, 로마 제국 시대에 약탈되어 권력의 상징으로 사용되었으며, 현대에는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 이집트의 발명품 - 자물쇠
자물쇠는 물건이나 공간의 출입을 제어하는 장치로, 기원전부터 재산 보호 수단으로 사용되었으며, 다양한 종류와 작동 방식으로 발전해왔고, 단순한 보안 장치를 넘어 상징적인 의미도 지닌다.
노리아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유형 | 수력 기계 |
용도 | 물을 높은 곳으로 끌어올려 수로나 관개 시스템에 공급 |
작동 방식 | 흐르는 물의 힘을 이용하여 바퀴를 회전시키고, 부착된 용기로 물을 퍼올림 |
역사 | |
기원 | 고대 로마 또는 중국 |
사용 지역 | 로마 제국, 중동, 아시아 등 |
현대적 사용 | 역사적 중요성을 보여주는 유적지나 관광 명소로 보존 |
구조 및 작동 원리 | |
주요 구성 요소 | 바퀴 (보통 나무 또는 금속) 물을 담는 용기 (바퀴에 부착) 물이 흐르는 수로 또는 강 |
작동 원리 | 물의 흐름 → 바퀴 회전 → 용기에 물 채워짐 → 높은 위치에서 물 쏟아짐 |
다양한 형태 | |
형태 | 크기와 디자인은 지역에 따라 다양함 |
재료 | 나무, 돌, 금속 등 지역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 사용 |
문화적 중요성 | |
상징 | 인류의 물 관리 기술과 자연 에너지를 활용한 지속 가능한 농업의 상징 |
지역 문화 | 특정 지역의 랜드마크 또는 관광 명소로 기능 |
관련 용어 | |
관련 용어 | 물레방아 수차 관개 시설 |
2. 명칭 및 어원
"노리아"는 보통 물의 힘으로 바퀴를 돌리는 장치를 가리키며,[2] 동력으로 움직이는 장치는 일반적으로 "사키야" 또는 "사키아"라고 부른다.[3]
2. 1. 어원
영어 단어 "noria"는 스페인어 "noria"를 거쳐 아랍어 "nā‘ūra"(ناعورة)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회전할 때 내는 소리를 지칭하는 아랍어 동사 "신음하다" 또는 "끙끙거리다"에서 파생되었다.[1][21]2. 2. 노리아와 사키야
"노리아"라는 용어는 보통 움직이는 물의 힘으로 바퀴를 돌리는 장치를 가리킨다.[2] 동물이 동력을 제공하는 장치는 일반적으로 "사키야" 또는 "사키아"라고 부른다.[3] 이와 비슷한 다른 종류의 장치는 체인 펌프로 분류된다. 그러나 중동, 인도, 스페인 등지에서 사용되는 전통적인 물 끌어올림 장치의 이름은 지역에 따라 다르게 사용되거나 중복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알 자자리의 기계 장치 관련 책에서는 물로 구동되는 바퀴와 여러 다른 유형의 물 끌어올림 장치를 "사키야"라는 용어로 통칭한다.[4][5] 반면, 스페인에서는 동력원에 관계없이 두 종류의 바퀴 모두 "노리아"라고 부른다.[2]3. 기능
노리아는 강의 흐름에서 얻는 에너지를 사용하여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물을 옮기는 기능을 한다.[2] 노리아는 크고 좁은 언더샷 수차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장자리는 일련의 용기 또는 구획으로 구성되어 물을 강에서 바퀴 상단의 수로로 들어 올린다. 그 개념은 흐르는 물의 힘을 사용하여 강에서 물의 일부를 퍼 올리는 현대 수압 램과 유사하다.[16]
전통적인 노리아는 바퀴의 주변부에 직접 부착된 항아리, 양동이 또는 튜브를 가질 수 있으며, 이는 동물이 아닌 흐르는 물이나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사키아와 같다. 일부 노리아의 경우, 양동이 자체가 구동 표면을 형성하고, 대부분의 경우 양동이는 수차와 별개로 한쪽에 부착된다. 보다 현대적인 유형은 구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모든 유형은 들어 올려진 물을 측면으로 채널에 배출하도록 구성된다.[6] 스위스 슈테피스부르크의 현대 노리아의 경우, 설계자는 두 개의 기능적 바퀴를 직접 연결하지 않고 한 쌍의 톱니바퀴를 통해 독특하게 연결했다. 이를 통해 속도, 직경 및 수위의 개별적인 변화가 가능하다.
물레방아에서 발견되는 수차와 달리 노리아는 다른 어떤 과정에도 기계적 동력을 제공하지 않는다. 몇몇 역사적인 노리아는 동물 동력의 보조를 받는 수차로 구성된 하이브리드였다. 노리아가 염전에 해수를 공급하는 사례가 적어도 하나 알려져 있다.
4. 역사
노리아는 고대부터 중세, 그리고 현대에 이르기까지 여러 지역에서 사용된 물을 끌어올리는 장치이다.
패들로 움직이는 바퀴는 기원전 4세기 고대 이집트에 등장하였다.[34] 이슬람의 황금 시대에 노리아는 고전 고대로부터 이슬람 공학자들에 의해 채택되었고[35] 노리아에 여러 개선이 추가되었다.[36]
물레방아 방식의 물 끌어올림 바퀴는 고대 이집트 기술에서 기원전 4세기에 등장했다.[7]
이후 이슬람 세계, 마린 왕조, 이베리아 반도, 인도, 중국 등 여러 지역에서 다양한 형태와 용도로 노리아가 사용되거나 개량되었다. 특히 2021년에는 이라크의 물레방아 제작 기술과 예술이 유네스코의 무형 문화 유산에 등록되기도 했다.[32]
일본에서는 용골차 대신 에도 시대에 고안된 답차라는 인력 물레방아가 널리 사용되었으며, 쇼와 초기까지 이용되었다.
4. 1. 고대와 중세
패들로 움직이는 바퀴는 기원전 4세기 고대 이집트에 등장하였다.[34] 존 피터 올슨에 따르면, 칸막이 바퀴와 수력 노리아는 모두 기원전 4세기 이집트에 등장했으며, 사키야는 그로부터 1세기 후에 발명되었다. 파이윰에서 발견된 고고학적 발견물에 의하면, 물레방아의 가장 오래된 고고학적 증거가 발견되었는데, 이는 기원전 3세기에 거슬러 올라가는 사키야의 형태이다. 또한 기원전 2세기에 파이윰에서 발견된 파피루스에는 관개용 물레방아에 대한 언급이 있으며, 알렉산드리아에서 발견된 기원전 2세기의 프레스코에는 칸막이 사키야가 묘사되어 있다. 로도스의 칼릭세누스의 저술에는 프톨레마이오스 4세 필로파토르 파라오 통치 시기인 기원전 3세기 말에 프톨레마이오스 왕국에서 사키야가 사용된 것에 대한 언급이 있다.[8]동물과 물을 동력으로 하는, 칸막이 몸체(라틴어: ''tympanum'') 또는 칸막이 테두리를 가진 언더숏 물레방아와 오버숏 물레방아는 기원전 3세기와 2세기 사이에 헬레니즘 시대의 기술자들이 사용했다.[9] 기원전 1세기에 로마 건축가 비트루비우스는 노리아의 기능을 설명했다.[10] 서기 300년경 로마 제국은 나무 칸막이를 분리된 채 부착된 세라믹 항아리로 대체하여 개방형 프레임 바퀴 외부에 묶어 노리아를 만들었다.[11]
이슬람 황금 시대 동안 노리아는 무슬림 기술자들이 고대 고전 시대에서 채택하여 노리아를 개선했다.[5][12][13] 예를 들어, 구동 장치에서 구동 기계로의 동력 전달을 부드럽게 하는 데 사용되는 플라이휠 메커니즘은 알-안달루스 출신의 이븐 바살(1038년 - 1075년)에 의해 발명되었으며, 노리아와 사키야에 플라이휠을 사용하는 것을 개척했다.[14] 1206년에 이스마일 알 자자리는 노리아와 사키야에 크랭크축을 도입하여 간헐성을 최소화함으로써 효율을 최대화했다.[15]
무슬림 기술자들은 노리아를 사용하여 물을 수도교로 배출하여 도시와 들판으로 운반했다.[12] 예를 들어, 하마의 노리아는 20m의 지름을 가지고 있으며 현대에도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가장 큰 바퀴는 120개의 물 수집 칸을 가지고 있으며 분당 95리터 이상의 물을 끌어올릴 수 있다.[16] 10세기에 무함마드 이븐 자카리야 알 라지의 ''알 하위''에는 시간당 153,000리터, 즉 분당 2550리터의 물을 끌어올릴 수 있는 이라크의 노리아가 묘사되어 있다.[17]
13세기 말에 마린 왕조 술탄 아부 야쿠브 유수프 안나스르는 모로코 페스에 자신이 만든 광대한 모사라 정원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그랜드 노리아"라고도 불리는 거대한 노리아를 건설했다. 알-안달루스 출신의 엔지니어 이븐 알 하지가 설계한 이 노리아는 지름이 26미터, 폭이 2미터였다.[18][20]
이베리아 반도의 이슬람 시대(8~15세기) 동안 알-안달루스에도 수많은 노리아가 건설되었으며, 그 이후에도 기독교 스페인 엔지니어들이 계속 건설했다.[21] 가장 유명한 것은 과달키비르 강을 따라 있는 코르도바의 알볼라피아와 타구스 강을 따라 있는 톨레도의 이전 노리아이다.[22][25]
인도의 기원전 350년경의 문헌에 보이는 ''cakkavattaka''가 물레방아라는 설도 있지만, 이견도 있다. 루크레티우스(기원전 55년 사망)의 저작에는 강이 바퀴와 바구니를 돌린다는 묘사가 있다.[26] 물레방아는 중동에서 기원전 200년경부터 사용되었다고 한다.[27]
8세기경부터 이슬람 세계에서 농경이 확대되면서 물레방아가 널리 사용되었으며, 중세 이슬람 세계를 통해 널리 사용되었다.[27] 이 때문에 이슬람 발명가와 기술자들이 물레방아에 여러 개량을 가했다.[28]
이슬람 세계에서는 물레방아로 끌어올린 물을 수로에 방류하여 마을과 밭까지 물을 공급했다.[27] 중세 이슬람 세계에서는 지름 20미터급 물레방아가 몇 개 사용되었다. 하마의 물레방아가 그 현존하는 예이며, 지금도 실제로 사용되고 있다.[31]
중국에서는 전국 시대 후기에 "두레박" 등이 널리 사용되었다. 더 복잡한 설계의 용골차는 전한 시대에 발명되어 농업용으로 사용되었다. 송 시대에 농업 생산이 확대되었고, 동시에 물레방아의 개량이 이루어졌다. 10세기에는 이들이 더욱 일반화되었다.[33]
일본에서도 용골차가 사용되었지만, 답차라는 인력 물레방아가 에도 시대에 고안되었고, 단순하고 다루기 쉬워서 이것이 주류가 되었다. 답차는 쇼와 초기까지 사용되었다.
4. 2. 동아시아
중국에서는 전국 시대 후기에 "두레박" 등이 널리 사용되었다. 더 복잡한 설계의 용골차는 전한 시대에 발명되어 농업용으로 사용되었다. 송 시대에 농업 생산이 확대되었고, 동시에 물레방아의 개량이 이루어졌다. 10세기에는 이들이 더욱 일반화되었다.[33]일본에서도 용골차가 사용되었지만, 에도 시대에 답차라는 인력 물레방아가 고안되었고, 단순하고 다루기 쉬워서 이것이 주류가 되었다. 답차는 쇼와 초기까지 사용되었다.
5. 종류
물 끌어올리는 수차는 동력원에 따라 크게 세 가지 종류로 나뉜다.
- 축력 이용: 가장 일반적인 형태로, 수직으로 세워진 바퀴에 일련의 바구니가 매달려 있다. 당나귀, 염소, 소 등의 가축이 톱니바퀴 등을 통해 바퀴를 회전시키면 바구니가 수면 아래 8m 정도까지 잠수하며 물을 퍼 올린다.
- 풍력 이용: 점토나 나무로 만든 바구니를 사용하며, 축력 대신 풍력을 동력원으로 사용한다. 스페인 카르타헤나 부근에서 볼 수 있으며, 외관은 제분용 풍차와 유사하다.
- 수력 이용: -- 강의 흐르는 물의 힘으로 구동되는 대형 하위사식 수차를 사용한다. 수차 외주 부분에 부착된 용기가 물을 담아 수차 정상 부근의 작은 용수로까지 끌어올린다. 제분 등에 사용되는 수차와 달리, 물을 끌어올리는 것 외의 다른 동력원으로는 사용되지 않는다.
이 외에도 여러 동력원을 조합한 물 끌어올리는 수차도 존재한다.
물 끌어올리는 수차는 그 최고점보다 높이 물을 끌어올릴 수 없다. 현존하는 최대 크기의 물 끌어올리는 수차는 시리아 하마에 있으며, 직경은 약 20m이다.
참조
[1]
간행물
Technical and functional analysis of Albolafia waterwheel (Cordoba, Spain): 3D modeling, computational-fluid dynamics simulation and finite-element analysis
2015
[2]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Middle Ages
Oxford University Press
[3]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Middle Ages
Oxford University Press
[4]
서적
The Ox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Science, and Technology in Islam
Oxford University Press
[5]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Islam
Oxford University Press
[6]
웹사이트
Water lifting devices
https://www.fao.org/[...]
2024-10-29
[7]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Engineering and Technology in the Classical World
Oxford University Press
[8]
서적
Water architecture in the lands of Syria: the water-wheels
https://books.google[...]
L'Erma di Bretschneider
[9]
문서
Oleson
[10]
웹사이트
Noria
https://www.britanni[...]
[11]
문서
Oleson
[12]
문서
Donald Hill
[13]
문서
Thomas F. Glick
[14]
문서
Ahmad Y. al-Hassan
[15]
문서
Donald Hill
[16]
방송
Machines of the East
https://www.youtube.[...]
2008-09-07
[17]
서적
A history of engineering in classical and medieval times
Routledge
[18]
웹사이트
Qantara - Grand noria of Fez al-Jadīd
https://www.qantara-[...]
2020-04-03
[19]
서적
A la découverte de Fès
L'Harmattan
[20]
서적
Fès avant le protectorat : étude économique et sociale d'une ville de l'occident musulman
Société Marocaine de Librairie et d'Édition
[21]
서적
Water Engineering and Management through Time: Learning from History
CRC Press
[22]
간행물
La albolafia de Córdoba y la gran noria toledana
1942
[23]
서적
Water architecture in the lands of Syria: the water-wheels
https://books.google[...]
L'Erma di Bretschneider
[24]
서적
The Ox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Science, and Technology in Islam
Oxford University Press
[25]
웹사이트
Qantara - Noria
https://www.qantara-[...]
2021-02-20
[26]
문서
T. S. Reynolds
[27]
문서
Donald Routledge Hill
[28]
문서
Thomas F. Glick
[29]
문서
Ahmad Y Hassan
[30]
문서
Donald Routledge Hill
[31]
방송
Ancient Discoveries, Episode 12: Machines of the East
http://www.youtube.c[...]
History Channel
2008-09-07
[32]
웹사이트
UNESCO - Traditional craft skills and arts of Al-Naoor
https://ich.unesco.o[...]
2022-10-18
[33]
서적
The Patterns of the Chinese Past
Stanford University Press
1973
[34]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Engineering and Technology in the Classical World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35]
문서
Donald Routledge Hill
[36]
논문
Noria Pots in Spain
197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