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레로사우루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돌레로사우루스는 트라이아스기 후기 오스트리아 룬츠층에서 멸종된 디아스피드 속이다. 2013년 리처드 버틀러에 의해 명명되었으며, 모식종은 프랑수쿠스 트라우티이다. 1939년 프리드리히 폰 휴네는 피토사우루스 속의 새로운 종으로 이 종을 명명했으며, 이후 팔레오리누스로 언급되다가 2013년에 돌레로사우루스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이 종은 잡식성이었으며, 2억 년 전에서 1억 8천만 년 전에 오스트리아 대륙의 강과 호수에서 서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트레일리아의 고대 파충류 - 크로노사우루스
크로노사우루스는 백악기 전기에 살았던 대형 플리오사우루스류 해양 파충류로, 강력한 턱과 이빨을 가진 최상위 포식자로 추정되나, 모식 표본의 단편성으로 인해 속의 유효성에 대한 논쟁이 있다. - 오스트레일리아의 고대 파충류 - 메갈라니아
메갈라니아는 플라이스토세 시대 오스트레일리아에 서식했던 몸길이 5.5m, 몸무게 575kg 이상으로 추정되는 거대한 왕도마뱀으로, 거대 유대류를 사냥했으며 독을 사용했을 가능성이 있고, 멸종 원인은 불분명하지만 환경 변화와 인류 활동의 영향으로 추정되며 원주민 전승에 영향을 주었을 수 있다. - 2013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만다곰포돈
- 2013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차오우사우루스
차오우사우루스는 트라이아스기 초기에 살았던 멸종된 해양 파충류로, 어룡류의 기저에 위치하며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주로 발견되었고, 작고 뾰족한 이빨을 가진 육식성 동물로 머리부터 나오는 독특한 출산 방식을 보였다. - 트라이아스기의 동물 - 파라수쿠스
파라수쿠스는 부푼 코와 날카로운 이빨을 가진 멸종된 파충류로, 인도와 아시아 지역에서 화석이 발견되었으며, 잡식성 악어로 추정된다. - 트라이아스기의 동물 - 프로토메
프로토메는 트라이아스기 후기 북아메리카에 살았던 악어로, 좁고 긴 주둥이와 날카로운 이빨을 가진 잡식성 동물이며, 2012년 새로운 속과 종으로 명명되었다.
| 돌레로사우루스 | |
|---|---|
| 기본 정보 | |
| 학명 | Dolerosaurus |
| 원래 학명 | Francosuchus trauthi |
| 명명자 | 버틀러, 2013년 |
| 최초 명명자 | 후에네, 1939년 |
| 화석 범위 | 후기 트라이아스기, |
2. 특징
돌레로사우루스는 트라이아스기 후기(카르니아 후기) 오스트리아 룬츠층 상부에서 발견된 멸종된 디아스피드 속이다. 2013년 리처드 버틀러가 처음 명명했으며, 모식종은 프랑수쿠스 트라우티이다. 1939년 프리드리히 폰 휴네는 작은 로스트룸 조각을 바탕으로 새로운 종인 피토사우루스 프랑수쿠스를 프랑수쿠스 트라우티라고 명명했다. 이후 팔레오리누스로 언급되기도 했지만, 2013년에 돌레로사우루스속으로 재명명되었다.
1939년 프리드리히 폰 휴네는 코 부분의 작은 조각을 바탕으로 피토사우루스 속의 새로운 종인 ''Francosuchus''의 ''F. trauthi''를 명명했다.[2] 이후 Paleorhinus로 언급되었지만, 2013년에 ''Dolerosaurus''라는 새로운 속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1]
돌레로사우루스의 완모형 화석은 매우 작고(약 5.08cm) 알려진 유적도 매우 적어, 이에 대해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1939년에는 피토사우루스로 언급되었으나, 2013년 후속 분석을 통해 기초 디아스피드로 재분류되었다. 피토사우루스과의 악어처럼 잘 발달된 뒷다리와 위장을 가졌을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초식과 육식을 모두 할 수 있는 잡식성 몸 구조를 가졌음을 의미한다. 양 턱에는 총 20~25개의 날카로운 톱니 모양 이빨이 나 있다. 당대에 서식했던 물고기, 갑각류 등 육식성 먹이와 수생식물 같은 초식성 먹이를 모두 섭취했던 잡식성 악어로 추정된다.
3. 발견 및 명명
돌레로사우루스의 화석은 2013년에 오스트리아의 트라이아스기 지층에서 유럽의 고생물학자인 프리드리히 폰 휴네에 의해 처음 발견되어 명명되었다.
3. 1. 분류
돌레로사우루스는 트라이아스기 후기(카르니아 후기) 오스트리아 룬츠층 상부에서 멸종된 이궁류 속이다. 2013년 리처드 버틀러가 처음 명명했으며 모식종은 프랑수쿠스 트라우티이다.[1] 1939년 프리드리히 폰 휴네는 작은 로스트룸 조각을 바탕으로 피토사우루스의 새로운 종인 프랑수쿠스 트라우티를 명명했다.[2] 이 종은 나중에 팔레오리누스로 언급되었지만 2013년에 돌레로사우루스속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돌레로사우루스의 완모형 화석은 매우 작고( 5cm ) 알려진 유적은 매우 적기 때문에 돌레로사우루스에 대해 거의 언급할 수 없다. 1939년에 피토사우루스로 언급되었지만 2013년에 후속 분석을 거쳐 기초 이궁류로 재분류되었다.
4. 생존 시기 및 서식지
돌레로사우루스는 중생대 트라이아스기 후기인 2억 년 전~1억 8000만 년 전에 생존했었던 종이다. 오스트리아를 중심으로 하는 강, 호수 등에서 주로 서식했었던 악어이다. 화석은 2013년에 오스트리아의 트라이아스기에 형성된 지층에서 유럽의 고생물학자인 프리드리히 폰 휴네에 의하여 처음으로 발견되어 새롭게 명명된 종이다.[1]
참조
[1]
논문
"'''Francosuchus trauthi'' is not ''Paleorhinus'': Implications for Late Triassic vertebrate biostratigraphy"
[2]
간행물
Ein primitiver Phytosaurier in der jüngeren nordost-alpinen Trias. - Zentralblatt für Mineralogie, Geologie und Paläontologie, Abteilung B 1939:139-14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