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궁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궁류는 두개골에 두 쌍의 구멍(상측두창과 하측두창)이 있는 파충류 분류군이다. 턱 근육 부착 면적을 넓혀 씹는 힘을 증가시키는 특징을 가지며, 초기에는 도마뱀과 유사한 형태였으나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며 진화했다. 약 3억 년 전 고생대 석탄기 후기에 처음 출현했으며, 중생대 트라이아스기에 들어서면서 단궁류를 대신하여 번성했다. 이궁류는 아레오셸리디아목과 신이궁류로 크게 나뉘며, 신이궁류에는 사우리아류가 포함되고, 사우리아류는 주룡형류와 인룡형류로 나뉜다. 거북은 이궁류에서 변형된 형태로, 유전자 연구를 통해 이궁류 파충류임이 밝혀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궁아강 - 지배파충류
    지배파충류는 악어류와 조류의 가장 최근 공통 조상과 그 후손을 포함하는 파충류 그룹으로, 트라이아스기에 번성하여 중생대 육상 생태계를 지배했으며 현재는 악어류와 조류만이 살아남아 고생물학 연구의 중요한 주제이다.
  • 이궁아강 - 인룡하강
    인룡하강은 이궁류에 속하는 파충류 분류군으로, 현존하는 인룡류와 멸종된 다양한 분류군을 포함하며, 트라이아스기에 적응 방산을 이루어 지룡류 등을 낳았다.
  • 헨리 페어필드 오스본이 명명한 분류군 - 티라노사우루스
    티라노사우루스는 백악기 후기 북아메리카에 서식했던 몸길이 15m에 달하는 거대한 육식 공룡으로, 강력한 턱힘과 짧은 앞다리, 긴 꼬리를 가진 최상위 포식자였으며, '수'와 '스카티' 등의 표본과 대중문화 속 인기 덕분에 그 생태와 행동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 헨리 페어필드 오스본이 명명한 분류군 - 펜타케라톱스
    펜타케라톱스는 후기 백악기 북아메리카에 살았던 거대한 케라톱스과 각룡류 공룡으로, 3m에 달하는 두개골과 다섯 개의 뿔을 가지며, 풍부한 화석 자료를 통해 형태, 분류, 고생태학적 정보 등이 연구되고 있고, *P. sternbergii* 종을 중심으로 카스모사우루스아과 공룡들과의 관계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다.
  • 파충류 - 코리스토데라
    코리스토데라는 쥐라기 중기부터 마이오세까지 생존한 파충류의 한 분류군으로, 머리뼈 구조와 이빨 형태가 특징이며, 크기는 30cm에서 5m까지 다양하고, 신코리스토데라와 비신코리스토데라로 나뉘며, 주로 민물에 서식하고 북반구에서 화석이 발견된다.
  • 파충류 - 필리드로사우루스
    필리드로사우루스는 백악기 초 중국에서 서식했던 멸종된 초리스토데란의 한 속으로, 두개골 융기와 뼈로 닫힌 하측 측두 페네스트라가 특징이며, 부모 양육을 했을 가능성이 있다.
이궁류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학명Diapsida
명명자 및 연도Osborn, 1903
생존 시기펜실베이니아기–현세,
페트롤라코사우루스 두개골 다이어그램
아레오스켈리디아류인 페트롤라코사우루스 칸센시스의 두개골 다이어그램
나일악어 머리
나일악어(Crocodylus niloticus)
생물학적 분류
진핵생물
척삭동물문
아문척추동물아문
하문유악하문
상강사지상강
미분류양막류
미분류석형류
파충강
아강이궁아강
하위 분류군
멸종돌레로사우루스
멸종아레오스켈리디아?
멸종파충형류?
멸종아칼로수쿠스
멸종클라우디오사우루스
멸종엘라키스토수쿠스
멸종케냐사우루스
멸종쿠드누
멸종란타놀라니아
멸종마이오티사우로스
멸종롱기스쿠아마
멸종오로베나토르
멸종팔라크로돈
멸종팔라이아가마
멸종프로토아비스 (미확실)
멸종사우로스테르논
멸종영기나형류(아마도 측계통군)
멸종탕가사우리드
멸종영기나드
멸종아비케팔라(아마도 비단일계통군)
멸종드레파노사우루스형류
멸종바이겔트사우리드
멸종롱기스쿠아마?
멸종어룡형류
멸종수장룡류
멸종탈라토사우루스류
멸종코리스토데라류

2. 특징

이궁류는 눈 뒤쪽 머리뼈에 상측두창과 하측두창이라고 불리는 두 쌍의 구멍(관자창)이 있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26] 이러한 두개골 구조는 턱 근육의 부착 면적을 넓혀 씹는 힘을 증가시키고 턱을 더 크게 벌릴 수 있게 한다. 이궁류는 "두 개의 아치"를 의미하는데, 두개골 양쪽에 측두창(temporal fenestra)이라고 불리는 구멍을 각각 2개씩 가지고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이 구멍 아래 부분의 는 얇은 아치형을 이루고 있는데, 이것을 해부학에서는 '궁'이라고 부른다.[26]

측두개창이 있는 이궁류 두개골 도해, 무궁류와는 다름


쌍궁류의 두개골


무궁류의 두개골


파충류의 조상형은 두개골에 측두창이 없고, 양서류와 마찬가지로 안와, 비공, 두정공만이 뚫려 있었다. 이러한 상태를 가진 파충류는 '''무궁류'''라고 불렸다. 초기의 파충류로 알려진 파레이아사우루스류 (협룡류) 등이 그 예이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하악 내전근이 두개골 내부에만 부착된다. 측두창이 하나만 있는 것을 단궁류라고 한다.

조상적인 특징으로서의 쌍궁류의 측두창은 안와의 뒤쪽, 약간 위와 아래에 뚫려 있다. 위의 구멍을 상측두창, 아래의 구멍을 하측두창이라고 한다. 초기 이궁류는 도마뱀과 비슷한 형태였으나,[5] 이후 다양한 형태로 진화하여 수생, 육상, 공중 등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였다.

3. 진화사

이궁류는 "두 개의 아치"라는 뜻으로, 눈 위와 아래에 두 개의 구멍(관자창)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구멍들은 더 크고 강력한 턱 근육이 붙을 수 있게 해주고, 턱을 더 넓게 벌릴 수 있게 해준다.[8] 또 다른 특징은 팔뚝뼈(요골)가 위팔뼈(상완골)보다 상대적으로 길다는 것이다.

가장 오래된 이궁류는 페트로라코사우루스이며, 약 3억 년 전 고생대 석탄기 후기에 나타났다.[10] 같은 시기에 단궁류도 나타났지만, 이궁류는 페름기까지 육상에서 크게 번성하지는 못했다. 초기 이궁류 중에는 활공 도마뱀과 같은 바이겔티사우루스과나[6], 트라이아스기 카멜레온과 같은 드레파노사우루스류도 있었다.[7]

페름기 말 대멸종 이후, 중생대 트라이아스기에 들어서면서 이궁류는 쇠퇴하는 단궁류를 대신하여 다양하게 분화하기 시작했다. 이 시기에 육상에서는 주룡류가 번성했는데, 여기에는 악어가 나타나는 크룰로타르시류와 공룡을 배출하는 조경류가 포함된다. 주룡류와 가까운 거북도 이 시대에 나타났다. 또한, 공룡과 가까운 익룡은 하늘로 진출했다.

한편, 인룡형류 중 일부는 수중으로 진출하여 어룡수장룡 등이 나타났다. 현생 뱀과 도마뱀 등을 포함하는 진정한 인룡류도 중생대에 나타나 다양화되었으며, 모사사우루스류처럼 대형화되는 계통도 있었다.

백악기 말 대멸종으로 조류를 제외한 공룡, 익룡, 수장룡 등은 멸종했지만, 도마뱀, 뱀, 거북, 악어 등은 살아남았다. 이들과 함께 신생대까지 살아남은 이궁류로는 주룡류에 가까운 코리스토데라목이 있지만, 이들은 시신세에 멸종했다.[28]

현대 파충류와 조류는 사우리아에 속하며, 여기에는 렙토사우루스류(도마뱀, 뱀, 투아타라 포함)와 아르코사우루스류(악어, 공룡 포함, 조류 포함)가 있다.[17]

4. 분류

이궁류는 파충강의 하위 분류 중 하나로, 머리뼈에 두 쌍의 측두창(옆머리 구멍)을 가진 것이 특징이다. 이궁류는 크게 신이궁류(Neodiapsida)와 그 이전의 기저 그룹으로 나뉜다. 신이궁류는 다시 사우리아(Sauria)와 그 외의 그룹으로 나뉜다.[8]

양막류는 쌍궁류와 포유류를 포함하는 단궁류가 진화 초기에 분기된 두 개의 큰 계통군이다.

초기 쌍궁류와 현생 악어나 두발토카게 등은 완전한 측두창을 두 쌍 갖추고 있다. 그러나 진화 과정에서 이차적으로 한 쌍의 측두창을 잃거나(사경룡, 어룡, 도마뱀 등), 측두창을 두 쌍 모두 잃기도 한다(거북, 현생 조류, , 곡룡류 등). 그러나 계통 관계상 이들도 쌍궁류에 포함된다.

멸종된 종에는 공룡, 익룡, 사경룡, 모사사우루스류, 어룡 등이 있으며, 계통이 불분명한 종도 많이 포함된다. 초기 그룹에 대한 분류는 유동적이며 변경될 수 있다. 현생 쌍궁류는 매우 널리 분포하며, 조류, 악어, 거북, 도마뱀, , 두발토카게를 포함한다. 현재 전 세계의 다양한 환경에 약 14,600종의 쌍궁류가 존재한다.

이궁류의 분류[35]
계통군하위 분류
아레오스켈리디아목(Araeoscelidia)
신이궁류(Neodiapsida)사우리아(Sauria)
주룡형아강(Archosauromorpha)
인룡형아강(Lepidosauromorpha)
소속 불명Sphodrosaurus, Palacrodon, 단두어룡속(Omphalosaurus)[35]



이궁류의 상세 분류[25][32][33]
계통군하위 분류
†세각형아강†세각목
신쌍궁류†양기나형류 = †시악목
사우리아류주룡형아강
†코리스토데라상목
†린코사우루스상목
†탈라토사우루스상목
†원시룡상목
거북목 = 거북하강
주룡구악어형상목 - 악어목
공룡상목 - 조류
인룡형아강인룡상목
두개목 = 두발토카게목
유린목
소속 불명†지용류
†위룡목
†장경룡목
판치목 = 판치형상목
†어기류 - †어룡목


4. 1. 주요 분류군

이궁류는 크게 두 가지 주요 그룹으로 나뉜다.

  • '''아레오스켈리디아목(Araeoscelidia)''': 초기 이궁류 그룹이다.
  • '''신이궁류(Neodiapsida)''': 사우리아류(Sauria)를 포함하여 대부분의 이궁류를 포함하는 주요 그룹이다. 주룡형아강과 인룡형아강 등이 여기에 속한다.

4. 2. 거북의 분류학적 위치

이궁류는 원래 머리뼈의 구멍(측두창) 개수와 배열을 기준으로 파충강을 분류하던 방식에 따른 네 가지 하위 분류 중 하나였다. 이 분류에는 단궁류(머리뼈 아래쪽에 구멍이 하나 있는 "포유류형 파충류"), 무궁류(머리뼈에 구멍이 없는 거북과 그 친척), 유궁류(머리뼈 위쪽에 구멍이 하나 있는 선사 시대 해양 파충류)가 있었다. 그러나 계통 분류 연구가 진행되면서 이러한 분류 체계는 크게 바뀌었다.

오늘날 단궁류는 진정한 파충류로 간주되지 않으며, 유궁류는 머리뼈 구멍 중 하나를 잃어버린 이궁류의 부자연스러운 집합으로 밝혀졌다. 트라이아스기의 ''Pappochelys'' 발견과 유전자 연구를 통해 거북 역시 크게 변형된 이궁류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즉, 거북은 두개골에 측두창이 없는 특징 때문에 무궁류로 분류되었지만, 실제로는 이궁류에서 파생되었으며 측두창이 이차적으로 닫힌 것이다.

유전자 연구는 거북이 이궁류 파충류라는 가설을 지지하며, 일부 연구에서는 거북을 아르코사우로모르파 내에 위치시키거나,[11][12] 현존하는 아르코사우루스의 자매 그룹으로 위치시키기도 한다.[13][14][15][16]

헨리 페어필드 오스본은 20세기 초 단궁류와 함께 쌍궁류를 정의했다. 당시에는 측두창의 형태에 따라 파충류를 분류했는데,[29] 측두창이 두 개면 쌍궁류, 하나만 있거나 없으면 단궁류로 분류했다. 이 때문에 수장룡(수장룡류), 어룡, 거북 등은 단궁류로 분류되었다. 이후 무궁류 등의 분류군이 제안되면서 각 계통이 정리되었고, 파충류는 쌍궁류를 포함한 4개(또는 5개)의 아강으로 분류되었다. 쌍궁류는 그 중 하나인 '''쌍궁아강'''으로 분류되었다.

쌍궁류 외에는 측두창이 없는 무궁아강, 하나 있는 단궁아강, 하나 있지만 단궁류에 비해 위에 있는 수장룡 등 광궁아강이 있었다. 후안와골과 인상골의 위치 차이에 따라 수장룡류만을 광궁류로 부르고, 어룡류를 측궁류로 별도로 분류하여 다섯 종류로 나누기도 했다.

그러나 연구가 진행되면서 광궁아강(및 측궁아강)은 쌍궁아강의 두 측두창 중 아래쪽 하단이 열린 것으로 밝혀져 쌍궁류에 포함되었다. 또한 무궁아강도 다계통임이 밝혀져 해체되었다.[30] 유일하게 현존하는 무궁류로 여겨졌던 거북류도 발생학 측면에서 측두창이 이차적으로 닫힌 쌍궁류라는 설이 제기되었다. 척추의 가동성, 석회질 난각 등 특징으로 인해 거북류는 주룡류에 속한다는 견해도 제시되었고, 유전자 분석 결과도 악어, 조류 등 주룡류와 근연 관계임을 지지했다.[31]

5. 계통 분류

이궁류의 주요 그룹들의 관계를 보여주는 분지도는 다음과 같다.

2009년 비켈만(Bickelmann)과 그의 공저자[36], 2011년 라이츠(Reisz)와 그 공저자[37] 등의 계통 분지도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

다음은 이궁류의 주요 그룹 간 관계를 보여주는 분지학적 분류도이다.

Bickelmann 외 (2009)[21] 및 Reisz 외 (2011)[22]의 분지학적 분류도

아래의 Lee (2013)의 분지학적 분류도는 유전자(분자) 및 화석(형태) 데이터를 결합하여 사용했다.[23]

이 두 번째 분지학적 분류도는 Pritchard와 Nesbitt (2017)의 연구를 기반으로 한다.[24]

다음 분지학적 분류도는 Simões 외 (2022)에 의해 발견되었다.[17]

분자 및 형태 데이터를 결합한 연구, 다른 연구 등에서 제시된 다양한 분지도가 존재하며, 이궁류 내부의 계통 관계는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다.

참조

[1] 웹사이트 Diapsida https://ucmp.berkele[...]
[2] 간행물 The diapsid origin of turtles
[3] 간행물 How Many Kinds of Birds Are There and Why Does It Matter? 2016-11-23
[4] 간행물 Integrated Analyses Resolve Conflicts over Squamate Reptile Phylogeny and Reveal Unexpected Placements for Fossil Taxa
[5] 간행물 Was Mesosaurus a Fully Aquatic Reptile? 2018-07-27
[6] 간행물 Osteology, relationships and functional morphology of Weigeltisaurus jaekeli (Diapsida, Weigeltisauridae) based on a complete skeleton from the Upper Permian Kupferschiefer of Germany 2021-05-20
[7] 간행물 A bird-like skull in a Triassic diapsid reptile increases heterogeneity of the morphological and phylogenetic radiation of Diapsida 2017-10
[8] 간행물 Constraints on the timescale of animal evolutionary history. palaeo-electronica.o[...]
[9] 간행물 A new Early Permian reptile and its significance in early diapsid evolution 2011-12-22
[10] 간행물 A new Early Permian reptile and its significance in early diapsid evolution https://royalsociety[...] 2011-12-22
[11] 간행물 Turtle origins: Insights from phylogenetic retrofitting and molecular scaffolds
[12] 간행물 Molecular evidence for a clade of turtles 1999-10
[13] 간행물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 suggests diapsid affinities of turtles
[14] 간행물 Sister group relationship of turtles to the bird-crocodilian clade revealed by nuclear DNA-coded proteins 2004-12-29
[15] 간행물 Extended mitogenomic phylogenetic analyses yield new insight into crocodylian evolution and their survival of the Cretaceous–Tertiary boundary 2007-11
[16] 간행물 From reptilian phylogenomics to reptilian genomes: analyses of c-Jun and DJ-1 proto-oncogenes 2010-03-17
[17] 간행물 Successive climate crises in the deep past drove the early evolution and radiation of reptiles
[18] 간행물 A Reassessment of the Taxonomic Position of Mesosaurs, and a Surprising Phylogeny of Early Amniotes https://hal.archives[...]
[19] 간행물 The phylogeny of early amniotes and the affinities of Parareptilia and Varanopidae https://ora.ox.ac.uk[...] 2020-01
[20] 간행물 The phylogeny of early amniotes and the affinities of Parareptilia and Varanopidae https://ora.ox.ac.uk[...] 2020-01
[21] 간행물 The enigmatic diapsid ''Acerosodontosaurus piveteaui'' (Reptilia: Neodiapsida) from the Upper Permian of Madagascar and the paraphyly of ''younginiform'' reptiles
[22] 간행물 A new Early Permian reptile and its significance in early diapsid evolution
[23] 간행물 Turtle origins: Insights from phylogenetic retrofitting and molecular scaffolds
[24] 간행물 A bird-like skull in a Triassic diapsid reptile increases heterogeneity of the morphological and phylogenetic radiation of Diapsida 2017-10-11
[25] 서적 生物の進化大事典 三省堂 2020
[26] 서적 面白いほどよくわかる恐竜
[27] 논문 A New Species of Garjainia Ochev, 1958 (Diapsida: Archosauriformes: Erythrosuchidae) from the Early Triassic of South Africa 2014
[28] 서적 図解雑学 : 恐竜の謎
[29] 웹사이트 カメの系統的位置と爬虫類の進化-宮田隆の進化の話 http://www.brh.co.jp[...]
[30] 서적 哺乳類型爬虫類 : ヒトの知られざる祖先
[31] 서적 カメのきた道
[32] 서적 バイオディバーシティ・シリーズ 7 脊椎動物の多様性と系統 裳華房 2006
[33] 간행물 爬虫類の分類学・系統学・生物地理学―分岐分類学の問題点 https://doi.org/10.1[...] 日本動物分類学会 2019
[34] 웹사이트 Higher Taxa in Extant Reptiles http://www.reptile-d[...] 2024-08-25
[35] 문서 정착된 한국어 명칭이 없으므로, 중국어 위키백과의 鳥首龍目, 海龍目, 始蜥目, 이궁류, 短頭魚龍 문서의 한자 명칭을 한글로 바꿈.
[36] 저널 The enigmatic diapsid ''Acerosodontosaurus piveteaui'' (Reptilia: Neodiapsida) from the Upper Permian of Madagascar and the paraphyly of ‘‘younginiform’’ reptiles
[37] 저널 A new Early Permian reptile and its significance in early diapsid evolution http://rspb.royalso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