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여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여도는 철종·고종 연간 김정호가 제작한 분첩절첩식 필사본 채색 지도로, 총 23첩으로 구성되어 있다. 현존하는 대동여지도의 필사본 중 가장 아름답고 정밀하며 정확하게 그려진 지도첩으로 평가받는다. 김정호 제작 여부에 대한 논란이 있었으나, 《동여도지》 서문, 신헌의 언급, 지도표의 유사성 등을 근거로 김정호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고지도 - 대동여지도
대동여지도는 김정호가 제작한 한국의 대표적인 고지도로, 전국을 상세하게 묘사하고 다양한 지형지물과 시설물을 기호와 색상으로 표기하여 가독성을 높였으며, 휴대와 이용이 편리하도록 제작되었다. - 한국의 고지도 -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는 1402년 조선에서 제작된 세계지도로, 이택민의 『성교광피도』, 청준의 『혼일강리도』, 조선과 일본 지도를 바탕으로 조선의 정치적 위상과 세계 지리에 대한 이해를 보여주는 역사적 자료이며, 아프리카, 유럽, 중동 지역에 대한 상세한 묘사와 한반도 및 일본 묘사에서 조선의 관점을 반영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보물 - 삼국사기
《삼국사기》는 고려 시대 김부식이 1145년에 완성한 기전체 형식의 역사서로, 삼국의 건국부터 멸망까지의 역사를 기록하고 있으며, 신라 중심적인 시각이라는 비판도 있지만 한국 고대사 연구에 필수적인 자료로 평가받는다. - 대한민국의 보물 - 대동여지도
대동여지도는 김정호가 제작한 한국의 대표적인 고지도로, 전국을 상세하게 묘사하고 다양한 지형지물과 시설물을 기호와 색상으로 표기하여 가독성을 높였으며, 휴대와 이용이 편리하도록 제작되었다.
| 동여도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 지도 정보 | |
| 일반 정보 | |
| 명칭 | 동여도 (東輿圖) |
| 한글 | 동여도 |
| 한자 | 東輿圖 |
| 가타카나 | 돈요도 |
| 히라가나 | 도우요즈 |
| 문화재 정보 | |
| 국가 | 대한민국 |
| 유형 | 보물 |
| 지정 번호 | 1358-1 |
| 지정일 | 2002년 12월 7일 |
| 해지 여부 | 해당 사항 없음 |
| 주소 (서울역사박물관) | 서울 종로구 새문안로 55, 서울역사박물관 (신문로2가, 서울역사박물관) |
| 시대 | 조선 시대 |
| 소유 구분 | 공유 |
| 관리 주체 | 서울역사박물관 |
| 참고 사항 | 유물 / 과학기술/ 천문지리기구/ 지리 (2002년 지정 당시에는 1358호로 지정) |
| 면적 | 해당 사항 없음 |
| 수량 | 1조 (23첩) |
| 전승지 | 해당 사항 없음 |
| 전승자 | 해당 사항 없음 |
| 지도 | 해당 사항 없음 |
| 띄움 | 해당 사항 없음 |
| 꼬리표 | 해당 사항 없음 |
| 너비 | 해당 사항 없음 |
| 대체 지도 | 해당 사항 없음 |
| 설명 | 해당 사항 없음 |
| 위도 (도) | 해당 사항 없음 |
| 위도 (분) | 해당 사항 없음 |
| 위도 (초) | 해당 사항 없음 |
| 남북 | 해당 사항 없음 |
| 경도 (도) | 해당 사항 없음 |
| 경도 (분) | 해당 사항 없음 |
| 경도 (초) | 해당 사항 없음 |
| 동서 | 해당 사항 없음 |
| 웹사이트 | 해당 사항 없음 |
| 문화재청 ID | 12,13580100,11 |
| 문화재 정보 (2) | |
| 국가 (2) | 대한민국 |
| 유형 (2) | 보물 |
| 지정 번호 (2) | 1358-2 |
| 지정일 (2) | 2008년 12월 22일 |
| 해지 여부 (2) | 해당 사항 없음 |
| 주소 (서울대학교 규장각) | 서울 관악구 관악로 1,103동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신림동, 서울대학교) |
| 시대 (2) | 조선 시대 |
| 소유 구분 (2) | 국유 |
| 관리 주체 (2) |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
| 참고 사항 (2) | 유물 / 과학기술/ 천문지리기구/ 지리 |
| 면적 (2) | 해당 사항 없음 |
| 수량 (2) | 23첩 |
| 전승지 (2) | 해당 사항 없음 |
| 전승자 (2) | 해당 사항 없음 |
| 지도 (2) | 해당 사항 없음 |
| 띄움 (2) | 해당 사항 없음 |
| 꼬리표 (2) | 해당 사항 없음 |
| 너비 (2) | 해당 사항 없음 |
| 대체 지도 (2) | 해당 사항 없음 |
| 설명 (2) | 해당 사항 없음 |
| 위도 (도) (2) | 해당 사항 없음 |
| 위도 (분) (2) | 해당 사항 없음 |
| 위도 (초) (2) | 해당 사항 없음 |
| 남북 (2) | 해당 사항 없음 |
| 경도 (도) (2) | 해당 사항 없음 |
| 경도 (분) (2) | 해당 사항 없음 |
| 경도 (초) (2) | 해당 사항 없음 |
| 동서 (2) | 해당 사항 없음 |
| 웹사이트 (2) | 해당 사항 없음 |
| 문화재청 ID (2) | 12,13580200,11 |
2. 문화재적 가치
철종·고종 연간에 고산자(古山子) 김정호(金正浩)가 만든 분첩절첩식(分疊折帖式) 필사본 채색 지도이다. 총 23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첩(首帖)은 목록이고, 제1첩부터 제22첩까지 각 지역의 지리가 그려져 있다. 대동여지도의 필사본 중에서 가장 아름답고 정밀·정확하게 그려진 지도첩으로 평가받으며, 18세기 후반 조선 지도 제작 기술의 높은 수준을 보여주는 대표적 작품 중 하나이다.
2. 1. 상세 정보
지도는 산천 표시와 함께 주현별(州縣別) 경계선을 그어 주현 간의 도로를 표시하였다. 영진(營鎭), 주현(州縣), 진보(鎭堡), 역도(驛道), 목소(牧所), 방면(坊面), 창고(倉庫), 봉수(烽燧), 능(陵寢), 성(城), 도로(道路), 파수(把守) 등을 상세하게 표시하여 당시의 지리 정보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지도상의 거리는 제1첩 1면에 방안을 그려놓고 '方十里每片'이라고 하여 매방(每方)의 실 거리가 10리임을 표시하였다.2. 2. 예술적 가치
동여도는 현존하는 대동여지도 필사본 중에서 가장 아름답고 정밀하며 정확하게 그려진 지도첩으로 평가받는다. 도화서에서 그린 지도 제작 솜씨와도 같은 뛰어난 그림과 글씨, 채색은 18세기 후반 조선 지도 제작 기술의 높은 수준을 보여준다.3. 제작자 논란 및 김정호
동여도한국어는 오랫동안 제작자가 누구인지 여러 설이 분분했으나, 최근의 연구 결과 김정호의 작품으로 추정되고 있다. 다만, 대동여지도와는 달리 간기(刊記)가 없어 제작자를 확실하게 단정 지을 수는 없다.
3. 1. 김정호 제작설의 근거
동여도지 제2책 서문에서 김정호가 지도와 지지를 만들고 이를 동여도지라고 표현한 점이 주요 근거로 제시된다. 이를 바탕으로 지지는 동여도지, 지도는 동여도라고 추정할 수 있다. 대동여지도에는 간기(刊記)가 있어 김정호의 작품임을 확실히 알 수 있으나 동여도에는 간기가 없어 확실히 알 수 없다. 다만 두 지도가 모두 23규로 되어 있으며, 매 규에 수록된 지도의 형태나 내용이 거의 일치한다. 또한 주기명(註記名)이 동여도는 18,736개인데, 대동여지도에서는 13,188여 개로 줄어드는데, 이는 대부분 중요도가 떨어지는 사항으로, 목각의 어려움 때문에 줄였으리라 본다.[1]신헌은 대동여지도 서문에서 "김백원에게 위촉하여 동여도를 만들게 했다"고 언급했는데, 백원은 김정호의 자이다.[1]
동여도와 대동여지도에 실린 지도 표지가 독특하며, 매우 유사하다.[1]
참조
[1]
웹인용
문화재청고시제2002-51호(국가지정문화재<보물> 지정)
http://gwanbo.mois.g[...]
2002-12-07
[2]
웹인용
문화재청고시제2008-169호(국가지정문화재<보물> 지정)
http://gwanbo.mois.g[...]
2008-12-22
[3]
서적
한국 고지도 발달사
혜안
199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