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동원데어리푸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원데어리푸드는 1963년 대한식품공사로 설립되어, 해태유업을 거쳐 2007년 동원그룹에 인수된 유가공 회사이다. 1968년 수원 공장 준공 이후, 여러 차례 상호 변경과 공장 증설을 거쳤다. 1998년 부도, 2000년 영남공장 매각, 2004년 상장폐지 등의 과정을 겪었다. 2007년 동원데어리푸드로 사명을 변경하고, 2014년 동원F&B와 합병하여 해산되었다. 치즈 가격 담합으로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과징금을 부과받기도 했다. 주요 제품으로는 쿨피스, 요러브, 새코미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원그룹 - 스타키스트
    스타키스트는 1917년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설립되어 1942년부터 참치를 판매하기 시작한 참치 통조림 브랜드로, 1963년 H.J. 하인즈 회사에 인수되었다가 2008년 동원산업에 인수되었으며, 찰리 더 투나 캐릭터를 마스코트로 사용하고 가격 담합 관련 소송으로 논란이 되었다.
  • 동원그룹 - 동원산업
    동원산업은 1969년에 설립되어 수산 및 물류 사업을 영위하며, 1996년 동원그룹 출범 이후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여 현재 수산, 유통, 물류 부문에서 다양한 사업을 펼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없어진 식품회사 - 해찬들
    해찬들은 1973년 설립되어 장류 시장 점유율 1위 업체로 성장한 장류 제조 기업으로, CJ그룹에 합병되었으며 태양초 고추장, 재래식 된장, 쌈장 등을 주요 제품으로 한다.
  • 대한민국의 없어진 식품회사 - 롯데햄
    롯데햄은 1978년 롯데유업으로 설립되어 여러 차례 상호명 변경을 거쳐 롯데푸드, 롯데웰푸드로 흡수 합병되었으며, 육가공류와 냉동식품류 등을 주요 제품으로 생산한다.
  • 2014년 해체된 기업 - 우리금융그룹
    우리금융그룹은 공적자금 회수를 위해 2001년 설립된 대한민국 최초의 금융지주회사로, 민영화 실패 후 해체되었다가 2019년 재출범하여 우리은행을 중심으로 다양한 자회사를 거느리고 완전 민영화에 성공, 종합금융그룹으로의 도약을 목표하고 있다.
  • 2014년 해체된 기업 - 삼성SDI
    삼성SDI는 1970년 삼성NEC로 설립되어 1999년 현재 사명으로 변경된 대한민국의 기업으로, 2차전지 사업 진출 후 전기차 배터리, ESS용 전지, 전자재료 등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했으며, 본사는 경기도 용인시에 위치한다.
동원데어리푸드 - [회사]에 관한 문서
회사 정보
이름주식회사 동원데어리푸드
형태주식회사
창립1963년 12월 대한식품공사 설립
해체2014년 3월 동원F&B와 합병으로 해산
창립자홍장식
인물황종현
장소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천천로210번길 21-15 (이목동)
산업유제품 제조
제품우유, 유음료

2. 연혁

2006년 동원그룹에 인수된 후, 2007년 5월 1일 해태유업에서 동원데어리푸드로 상호가 변경되었고, 같은 해 8월 디엠푸드(덴마크우유)와 합병하였다. 2014년 3월 6일 주식회사 동원에프앤비와 합병하여 해산하였다.

연도내용
2008.08HD공법 특허출원 등록(특허번호: 10-0849654)
2009.10국내 최초 100mL 우유 생산
2014.03주식회사 동원에프앤비와 합병으로 해산.


2. 1. 해태유업 시절

1963년 12월 (주)대한식품공사로 유가공사업을 시작하여, 1973년 해태그룹에서 인수되었고, 1974년 해태유업으로 상호명을 변경하였다.[2] 1989년 해태그룹에서 분리되어 독립회사로 거듭났으며, 1992년에는 밀코유통, 1997년에는 HK텔레콤을 법인설립하였다. 1997년 해태그룹의 부도로 인하여, 해태유업은 독립회사였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이 해태그룹 계열사인 줄 아는 바람에 회사사정이 어렵게 되었으며, 결국 부도가 났다. 1999년 3월 화의인가가 결정되었고, 같은 해 11월 법정관리를 신청하여 본격적인 경영정상화를 위해 노력하여 왔으나 2004년 6월 상장폐지되었고, 회사사정은 더욱 더 안 좋아졌다. 2006년 2월 매물로 나와, 같은해 9월 동원그룹에 인수되었다.

연도내용
1963.12(주)대한식품공사로 설립
1968.12수원공장 준공
1971.04미국 Beatrice社와 한미합작 및 기술 도입 계약
1972.09상호명을 (주)대한식품공사에서 메드골드코리아로 변경
1974.01상호명을 메드골드코리아에서 해태유업(주)으로 변경
1976.08수원 제2공장 준공 및 요구르트 배가증설 완료
1982.04관계회사 HAITAI AUSTRALIA P.T.Y. 설립
1982.05수원 제3공장(멸균유 공장) 준공
1984.03기술연구소 설립(R&D)
1984.12수원 제4공장(분무공장) 준공
1986.05강진공장 준공
1987.09콜드체인시스템 100%완비
1989.04해태그룹에서 계열분리
1989.05영남공장 준공[2]
1990.02스위스 EMM社와 요러브(호상요구르트) 기술 도입
1990.04수원 제5공장(요러브공장) 준공
1990.07일본 보행수산㈜와 치즈 제조기술 도입
1992.01밀코유통(주) 법인설립
1997.09HK텔레콤 주식회사 법인설립
1998.10해태유업 부도
1999.03화의인가 신청
1999.11법정관리 신청
2000.07롯데햄-롯데우유에 영남공장 매각[3]
2004.06상장폐지


2. 2. 동원데어리푸드 시절

1963년 12월 ㈜대한식품공사로 유가공사업을 시작하여, 1973년 해태그룹에 인수되었고, 1974년 해태유업으로 상호명을 변경하였다. 1989년 해태그룹에서 분리되어 독립회사로 거듭났으며, 1992년에는 밀코유통, 1997년에는 HK텔레콤을 법인설립하였다. 1997년 해태그룹의 부도로 인해 해태유업은 독립회사였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이 해태그룹 계열사인 줄 아는 바람에 회사 사정이 어렵게 되었으며, 결국 부도가 났다. 1999년 3월 화의인가가 결정되었고, 같은 해 11월 법정관리를 신청하여 본격적인 경영 정상화를 위해 노력하였으나 2004년 6월 상장폐지되었고, 회사 사정은 더욱더 안 좋아졌다. 2006년 2월 매물로 나와, 같은 해 9월 동원그룹에 인수되었으며, 2007년 5월 1일 해당 상호로 변경되었으며, 8월 디엠푸드(덴마크우유)와 합병하였다.

연도내용
1963년 12월(주)대한식품공사 설립
1968년 12월수원공장 준공
1971년 4월미국 Beatrice社와 한미합작 및 기술 도입 계약
1972년 9월(주)대한식품공사에서 메드골드코리아로 상호 변경
1974년 1월메드골드코리아에서 해태유업(주)으로 상호 변경
1976년 8월수원 제2공장 준공 및 요구르트 배가 증설 완료
1982년 4월관계회사 HAITAI AUSTRALIA P.T.Y. 설립
1982년 5월수원 제3공장(멸균유 공장) 준공
1984년 3월기술연구소(R&D) 설립
1984년 12월수원 제4공장(분무공장) 준공
1986년 5월강진공장 준공
1987년 9월콜드체인시스템 100% 완비
1989년 4월해태그룹에서 계열 분리
1989년 5월영남공장 준공[2]
1990년 2월스위스 EMM社 dhk 요러브(호상요구르트) 기술 도입
1990년 4월수원 제5공장(요러브공장) 준공
1990년 7월일본 보행수산㈜와 치즈 제조 기술 도입
1992년 1월밀코유통(주) 법인설립
1997년 9월HK텔레콤 주식회사 법인설립
1998년 10월해태유업 부도
1999년 3월화의인가 신청
1999년 11월법정관리 신청
2000년 7월롯데햄롯데우유에 영남공장 매각[3]
2004년 6월상장폐지
2006년 9월동원그룹 인수
2007년 5월해태유업에서 동원데어리푸드로 상호 변경
2007년 8월㈜디엠푸드[덴마크우유]와 합병


3. 사건 및 논란

2011년 6월 24일 공정거래위원회는 동원데어리푸드가 매일유업, 남양유업, 서울우유 등과 함께 치즈 상품 가격을 담합하여 인상한 것에 대해 시정 명령과 13.01억의 과징금을 부과하였다.[1]

3. 1. 치즈 가격 담합

2011년 6월 24일 공정거래위원회는 동원데어리푸드가 판매하는 치즈 상품 가격을 매일유업, 남양유업, 서울우유 등과 함께 담합하여 인상한 것에 대해 시정 명령을 내리고, 과징금 13.01억을 부과하였다.[1]

담합 내용은 다음과 같다.[1]

  • 2007년 7월 치즈업체 직원간 모임인 유정회에서 업소용 피자치즈 가격 인상에 합의하고, 1차로 각각 11~18%씩 가격을 인상하였다.
  • 2007년 9월부터 2008년 3월까지 10~19%를 추가 인상하였다.
  • 2007년 9월 소매용 가공치즈, 피자치즈, 업소용 가공치즈 등의 가격도 공동 인상하기로 합의하고, 2007년 10월부터 2008년 6월까지 시차를 두고 실행에 옮겼다.
  • 2008년 8월 소매, 업소용 가공 치즈, 피자치즈 등 가격을 15~20%씩 인상하기로 합의하고, 시차를 두어 가격을 인상하였다.

4. 주요 제품

참조

[1] 뉴스 공정위, 서울우유등 4개 업체 치즈값 담합 적발 ‘106억 과징금’ http://www.newsen.co[...] 뉴스엔 사회 2011-06-26
[2] 뉴스 乳(유)가공업체 嶺南(영남)진출 https://newslibrary.[...] 매일경제 2022-01-09
[3] 뉴스 롯데햄.우유, 유가공사업 강화 https://news.naver.c[...] 매일경제 2022-01-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