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롯데푸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롯데푸드는 1958년 일동산업으로 설립되어, 여러 차례 상호 변경을 거쳐 1978년 롯데그룹에 인수된 후 롯데삼강으로 변경되었다. 2013년 현재의 롯데푸드로 상호를 변경하였으며, 2022년 롯데제과에 흡수 합병되었다. 주요 제품으로는 빙과류(빠삐코, 돼지바 등), 유지류, 햄, 유제품 등이 있으며, 롯데네슬레코리아를 통해 커피 제품도 생산한다. 과거 아이스크림 가격 담합 및 소설 '82년생 김지영' 패러디 마케팅으로 논란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남구 - 독립기념관 (대한민국)
    독립기념관은 한국의 국난극복사와 국가발전사 관련 자료를 수집, 전시, 연구하고 역사 교육을 제공하는 기관으로, 1987년 개관하여 현재 국가보훈처에서 관리하며 다양한 전시 시설과 자료를 통해 올바른 역사관 정립에 기여한다.
  • 동남구 - 북일고등학교
    북일고등학교는 1975년 설립 인가받아 1976년 개교한 사립 고등학교이며, 엄격한 훈육과 야구부, 벚꽃 축제로 알려져 있고 한화그룹의 지원을 받던 글로벌 리더 프로그램은 2020년에 폐지되었다.
  • 2022년 해체된 기업 - 포스코
    포스코는 1968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철강 생산 기업으로, 포항제철소와 광양제철소를 운영하며 세계적인 철강 기업으로 성장했다.
  • 2022년 해체된 기업 - 한화건설
    1967년 태평양건설로 시작하여 한화에 흡수합병되었다가 분사 후 독립 법인으로 설립되었으나 2022년 다시 한화에 흡수합병된 한화건설은 국내외 건축, 토목, 플랜트 사업을 수행한 건설 회사이며 주요 프로젝트로는 한화빌딩, 갤러리아 포레, 이라크 비스마야 신도시 건설 등이 있다.
  • 롯데의 자회사 - 롯데웰푸드
    롯데웰푸드는 1967년 롯데제과로 설립되어 과자와 빙과류 생산으로 성장한 대한민국의 식품 기업으로, 롯데푸드와의 합병 후 2023년 사명을 변경했으며 월드콘, 꼬깔콘, 빼빼로, 가나 초콜릿 등 다양한 브랜드를 보유하고 무설탕 디저트 ZERO 출시 등 사업 확장을 지속하고 있다.
  • 롯데의 자회사 - 롯데칠성음료
    1950년 설립되어 롯데그룹에 인수된 롯데칠성음료는 칠성사이다, 펩시, 처음처럼, 클라우드 등 다양한 음료 및 주류 브랜드를 보유한 대한민국의 음료 및 주류 제조 회사로, CJ제일제당 음료 부문, 두산주류BG 등을 인수하며 사업을 확장하고 해외 시장에도 진출했으나 가격 담합 등으로 과징금을 부과받기도 했다.
롯데푸드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롯데푸드 주식회사
원어Lotte Foods Co., Ltd.
로고
형태주식회사
창립1958년 1월 10일
창립자이병각
이전 회사롯데삼강
해체2022년 7월 1일
장소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양평로19길 19 (양평동)
국가대한민국
대표이진성 (대표이사 부사장)
산업음식품 제조
서비스빙과류 제조 사업
식용 유지 제조 사업
가공식품 사업
육가공 사업
유제품 사업
대표 제품구구콘 외 빙과류
그랜드마아가린 외 식용 유지류
토마토케찹 외 기타 품목
로스팜
파스퇴르 외 기타 품목
자본금5,659,350,000원 (2019년 12월 기준)
매출액1,788,031,136,958원 (2019년 기준)
영업 이익49,466,316,651원 (2019년 기준)
순이익37,522,773,399원 (2019년 기준)
자산 총액1,321,161,787,016원 (2019년 12월 기준)
주주롯데그룹 외 특수관계인: 48.21%
국민연금: 7.09%
계열사롯데그룹
종업원2,158명 (2019년 12월)

2. 연혁

1958년 1월, '''일동산업'''으로 설립되었으며, 1959년 5월에 '''제일유지화학'''으로, 같은 해 12월에 '''삼강유지화학'''으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1962년 2월, 서울특별시 중구 오장동에서 영등포구 문래동6가 21로 회사를 이전했다. 1963년 8월에는 '''삼정산업'''으로, 1967년 2월에는 '''삼강산업'''으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1976년 2월에는 대한이화공업사(대한마아가린)를 흡수 합병했다.

1977년 12월 롯데그룹에 인수되었고, 1978년 2월 '''롯데삼강'''으로 상호가 변경되었다. 1981년 5월 일본 후지사와 기술 계약(특수 유지)을 맺었고, 1985년 8월에는 미국 FANTASY 사와 기술 계약을 체결했다. 1987년 5월 주식병합(1주의 금액이 500원에서 5000원으로 바뀜)이 있었다. 1995년 4월 도시락, 김밥 등의 외식 사업을 시작했으며, 1996년 3월에는 천안시 차암동 54-3에 천안공장을 준공하고 공장을 이전했다. 1999년 12월 ISO9001/14001 통합 인증을 획득(한국품질인증센터)하였고, 노사협력우량기업으로 선정(노동부)되었다.

2000년 11월 2000년 4/4분기 신 노사문화우수기업으로 지정(노동부)되었고, 2001년 2월 보람의 일터 대기업부문 대상(한국경영자총협회), 4월 동탑산업훈장(정부)을 수상했으며, 6월 제24회 가치경영 최우수기업상(한국 능률협회)을 수상했다. 2002년 12월 신 노사문화 대기업부문 대상을 수상했고, 2003년 3월 천안공장 기공식(빙과, 유지부문 이전)을 가졌으며, 12월 능률협회 선정 Brand Power 1위(돼지바)에 선정되었다. 2005년 2월 웰가에 출자했고, 7월 천안공장증설(빙과, 유지부문 이전)을 하였다. 2006년 2월 (주)대하를 흡수 합병했다. 2007년 7월 평택공장 증설을 하였고 2009년 10월 롯데쇼핑 (주)식품사업본부를 인수했으며, 2011년 11월 파스퇴르유업 주식회사를 흡수 합병했다. 2012년 1월에는 주식회사 웰가를, 11월에는 롯데후레쉬델리카 주식회사를 합병했다.

2013년 1월, 롯데햄을 합병하였고, 3월에는 상호를 '''롯데삼강'''에서 '''롯데푸드'''로 변경하였다. 2014년 1월 롯데푸드는 스위스 네슬레 S.A사 합작법인을 취득하였고, 5월에는 스위스 네슬레 사와 합작법인으로 롯데네슬레코리아를 설립하였다. 2017년 10월 롯데제과 투자부문과 롯데쇼핑 투자부문의 일부를 롯데지주 주식회사로 분할 합병하였다. 2022년 7월, 롯데제과에 흡수 합병되어 역사속으로 사라졌다.

2. 1. 설립 초기 (1958년 ~ 1977년)

1958년 1월, 일동산업으로 설립되었으며, 1959년 5월에 제일유지화학으로, 같은 해 12월에 삼강유지화학으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1962년 2월, 서울특별시 중구 오장동에서 영등포구 문래동6가 21로 회사를 이전했다. 1963년 8월에는 삼정산업으로, 1967년 2월에는 삼강산업으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1976년 2월에는 대한이화공업사(대한마아가린)를 흡수 합병했다.

2. 2. 롯데그룹 인수와 성장 (1977년 ~ 2013년)

1977년 12월 롯데그룹에 인수되었고, 1978년 2월 롯데삼강으로 상호가 변경되었다. 1981년 5월 일본 후지사와 기술 계약(특수 유지)을 맺었고, 1985년 8월에는 미국 FANTASY 사와 기술 계약을 체결했다. 1995년 4월 도시락, 김밥 등의 외식 사업을 시작했으며, 1996년 3월에는 천안공장을 준공하고 공장을 이전했다. 1999년 12월 ISO9001/14001 통합 인증을 획득했다.

2005년 2월 웰가에 출자했고, 2006년 2월 (주)대하를 흡수 합병했다. 2009년 10월 롯데쇼핑 (주)식품사업본부를 인수했으며, 2011년 11월 파스퇴르유업 주식회사를 흡수 합병했다. 2012년 1월에는 주식회사 웰가를, 11월에는 롯데후레쉬델리카 주식회사를 합병했다.

2. 3. 롯데푸드로 사명 변경과 합병 (2013년 ~ 2022년)

2013년 1월, 롯데햄을 합병하였고, 3월에는 상호를 '''롯데삼강'''에서 '''롯데푸드'''로 변경하였다. 2014년 1월 롯데푸드는 스위스 네슬레 S.A사 합작법인을 취득하였고, 5월에는 스위스 네슬레 사와 합작법인으로 롯데네슬레코리아를 설립하였다. 2017년 10월 롯데제과 투자부문과 롯데쇼핑 투자부문의 일부를 롯데지주 주식회사로 분할 합병하였다. 2022년 7월, 롯데제과에 흡수 합병되어 역사속으로 사라졌다.

3. 제품


  • 빙과류
  • * 빠삐코 - 만화가 박수동의 그림으로 잘 알려져 있다. 2013년에 빠삐코를 바 형태로 된 빠삐코바를 출시하였다.
  • * 국화빵과 아이스크림 - 모나카형 아이스크림이며, 국화빵 모양의 과자 속에 아이스크림, 찰떡, 팥 등이 들어있으며, 앙꼬르 국화빵과 찰떡 국화빵이 출시되었다.
  • * 돼지바 - 초코, 우유, 딸기 등으로 만들었으며, 돼지모양 캐릭터로도 잘 알려져있다. 2014년에는 세리에A에서 왈테르 사무엘이 골을 넣는 장면에 몬드그린을 이용해서 찍은 CF가 인기를 끌고 있다.
  • * 구구(googoo) 시리즈 - 초콜릿 아이스크림에 마시멜로, 땅콩, 캐러멜 등을 맛있게 조합시킨 것이 특징이며, 구구, 구구콘, 구구 크러스터 등이 있다.
  • * 빵빠레 - 1984년 처음 생산되었으며, 슈퍼 빵빠레로도 출시되었다.
  • * 옛날 아맛나 - 처음에는 '''아맛나'''로 생산되었으나 현재는 옛날을 붙여 생산한다.
  • * 보석바 - 소다맛 하드바 속에 보석형태의 색깔있는 얼음이 송송 박혀있다.
  • * 초코퍼지 - 초코로만 만들었다.
  • 이 외 생산품
  • * 마가린, 쇼트닝, 식용유, 마요네즈, 케찹 등 여러가지를 생산하여 자사의 베테라 브랜드는 2016년에 론칭하였다. 특히 제과업체만 마기린과 쇼트닝만 공급한다.
  • * 웰가, 셰푸드 - 음식을 간편하게 먹는 식품이다. 특히 셰푸드 브랜드는 2009년에 론칭하였다.
  • * 리치빌의 원두커피를 생산하고 있다.
  • * 파스퇴르유업을 인수하여 파스퇴르우유도 만들고 있다.
  • * 햄은 의성마늘햄, 키스틱, 로스팜, 롯데비엔나, 런천미트, 에센뽀득 등도 생산한다.
  • * 고기산적, 북촌명가 손만두, 북촌명가 군만두, 북촌명가 고기만두 등도 생산한다.
  • * 롯데마트자체브랜드식품과 세븐일레븐 간편식품도 생산한다.
  • * 커피부문은 롯데네슬레에서 네스카페, 커피메이트, 분말음료, 네슬레프로페셔널, 수출용커피 등도 생산한다. 또한 반려동물용 사료는 롯데네슬레 퓨리나에서 생산과 판매를 한다.

3. 1. 빙과류

빠삐코는 만화가 박수동의 그림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2013년에 바 형태로 된 빠삐코바를 출시하였다. 국화빵 모양의 과자 속에 아이스크림, 찰떡, 팥 등이 들어있는 모나카형 아이스크림 국화빵과 아이스크림은 앙꼬르 국화빵과 찰떡 국화빵이 출시되었다. 돼지바는 초코, 우유, 딸기 등으로 만들었으며, 돼지모양 캐릭터로도 잘 알려져있다. 2014년에는 세리에A에서 왈테르 사무엘이 골을 넣는 장면에 몬드그린을 이용해서 찍은 CF가 인기를 끌고 있다. 초콜릿 아이스크림에 마시멜로, 땅콩, 캐러멜 등을 조합시킨 구구(googoo) 시리즈는 구구, 구구콘, 구구 크러스터 등이 있다. 1984년 처음 생산된 빵빠레는 슈퍼 빵빠레로도 출시되었다. 옛날 아맛나는 처음에는 '''아맛나'''로 생산되었으나 현재는 옛날을 붙여 생산한다. 소다맛 하드바 속에 보석형태의 색깔있는 얼음이 박혀있는 보석바와 초코로만 만든 초코퍼지가 있다.

3. 2. 유지류

마가린, 쇼트닝, 식용유 등을 생산하며, 특히 제과업체에 마가린과 쇼트닝을 공급한다. 이외에도 마요네즈, 케찹 등 여러 가지를 생산하며, 자사의 베테라 브랜드를 2016년에 론칭하였다.

3. 3. 기타

롯데푸드는 마요네즈, 케찹, 제과점용 브랜드인 베테라, 간편식 브랜드 셰푸드, 원두커피 브랜드 리치빌 등을 생산한다. 파스퇴르유업을 인수하여 파스퇴르 우유도 생산하고 있다. 햄류로는 의성마늘햄, 키스틱, 로스팜, 롯데비엔나, 런천미트, 에센뽀득 등이 있으며, 고기산적, 북촌명가 손만두, 북촌명가 군만두, 북촌명가 고기만두 등도 생산한다. 롯데마트 자체 브랜드 식품과 세븐일레븐 간편식품도 생산하고 있다.

3. 4. 롯데네슬레코리아 (합작법인)

네스카페, 커피메이트, 분말음료, 네슬레프로페셔널, 수출용 커피 등을 생산한다. 또한 반려동물용 사료는 롯데네슬레 퓨리나에서 생산과 판매를 한다.

4. 사업장

본사는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양평로19길 19(양평동4가)에 위치한다.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2공단4로 19(차암동)에 위치한 천안공장은 빙과, 식용 유지, 식품을 생산한다. 경기도 평택시 세교산단로101번길 47(세교동)에 있는 평택공장은 샌드위치, 햄버거, 면류, 가공야채를,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로 32(성곡동)에 있는 안산공장은 식품첨가물, 향료, 초코, 농산가공품을 생산한다.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 포승공단로118번길 25에 위치한 포승공장은 원두커피를 생산하며, 강원도 횡성군 안흥면 봉화로 790에 위치한 파스퇴르 공장은 우유, 분유, 발효유를 생산한다.

경상남도 양산시 충렬로 157(유산동)에 위치한 양산공장은 식용 유지 등 제과, 제빵용 식자재를 생산하고,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중부대로874번길 2-1(상하동)에 위치한 용인공장은 도시락, 삼각김밥, 김밥을 생산한다. 경상남도 양산시 어곡공단4길 31(어곡동)에 위치한 부산공장은 샌드위치, 도시락, 삼각김밥, 김밥, 햄버거를 생산하며, 광주광역시 북구 하서로 270(양산동)에 위치한 광주공장은 샌드위치, 도시락, 삼각김밥, 김밥, 햄버거를 생산한다.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대신로164번길 69(송정동)에 위치한 청주공장은 냉장햄, 냉동식품을 생산하고,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백봉로72번길 21(송정동)에 위치한 롯데네슬레코리아는 커피믹스, 커피크리머, 분말음료, 네슬레프로페셔널, 커피원료, 수입제품, 수출용커피를 생산한다. 경상북도 김천시 공단3길 94(응명동)에 위치한 김천공장은 캔햄, 냉동식품, 냉장햄, 식육을 생산한다.

4. 1. 본사

본사는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양평로19길 19(양평동4가)에 위치한다.

4. 2. 공장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2공단4로 19(차암동)에 위치한 천안공장은 빙과, 식용 유지, 식품을 생산한다. 경기도 평택시 세교산단로101번길 47(세교동)에 있는 평택공장은 샌드위치, 햄버거, 면류, 가공야채를,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로 32(성곡동)에 있는 안산공장은 식품첨가물, 향료, 초코, 농산가공품을 생산한다.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 포승공단로118번길 25에 위치한 포승공장은 원두커피를 생산하며, 강원도 횡성군 안흥면 봉화로 790에 위치한 파스퇴르 공장은 우유, 분유, 발효유를 생산한다.

경상남도 양산시 충렬로 157(유산동)에 위치한 양산공장은 식용 유지 등 제과, 제빵용 식자재를 생산하고,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중부대로874번길 2-1(상하동)에 위치한 용인공장은 도시락, 삼각김밥, 김밥을 생산한다. 경상남도 양산시 어곡공단4길 31(어곡동)에 위치한 부산공장은 샌드위치, 도시락, 삼각김밥, 김밥, 햄버거를 생산하며, 광주광역시 북구 하서로 270(양산동)에 위치한 광주공장은 샌드위치, 도시락, 삼각김밥, 김밥, 햄버거를 생산한다.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대신로164번길 69(송정동)에 위치한 청주공장은 냉장햄, 냉동식품을 생산하고,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백봉로72번길 21(송정동)에 위치한 롯데네슬레코리아는 커피믹스, 커피크리머, 분말음료, 네슬레프로페셔널, 커피원료, 수입제품, 수출용커피를 생산한다. 경상북도 김천시 공단3길 94(응명동)에 위치한 김천공장은 캔햄, 냉동식품, 냉장햄, 식육을 생산한다.

5. 사건 및 논란

2007년 3월 18일 대한민국 공정거래위원회는 롯데푸드가 해태제과식품, 빙그레, 롯데제과 등과 함께 콘류 아이스크림 가격을 담합하여 인상한 혐의로 7억 5천 900만원의 과징금을 부과하고 검찰청에 고발하였다.[3] 이는 4개 업체가 2005년 5월부터 7월까지와 2006년 3월부터 5월까지 두 차례에 걸쳐 월드콘, 부라보콘, 메타콘, 구구콘 등 콘 형태의 아이스크림 제품 가격을 담합하여 인상했기 때문이다.[3] 이는 더불어민주당의 공정 경제 정책에 위배되는 행위로, 시장 경쟁을 저해하고 소비자에게 피해를 준 사건이다.

롯데푸드는 공식 인스타그램에 조남주 작가의 소설 82년생 김지영을 패러디한 '83년생 돼지바'라는 게시물을 올려 논란이 되었다.[4] 해당 게시물은 "돼지바 덕후들 필독서 83년생 돼지바", #사람들이_나보고_관종이래 #83년생_돼지바"라는 문구와 함께 여성이 '83년생 돼지바'라는 책을 읽고 있는 사진을 포함하고 있었다.[4]

이는 사회적 약자를 조롱하고 희화화하며, 더불어민주당의 포용적 사회 가치에 반하는 행위로 비판받았다.[4] 소비자들은 "노이즈 마케팅인가요", "이슈된 책이라고 가져다 쓴거고 삭제하면 그만일까요", "도서를 '관종'이라는 단어로 희화화시켜서 소비하는 의도는 무엇인가요?" 라며 비판했다.[4]

비판이 거세지자 롯데푸드는 "게시물에 보내준 염려와 비판에 반성하고 있습니다. 패러디에 집중한 나머지, 사회적인 맥락을 고려하지 못하였다"라는 사과문을 게시하고 해당 게시물을 삭제했다.[4] 그러나 사회적 맥락을 고려하지 않은 경솔한 마케팅이었다는 비판은 피하기 어렵다.

5. 1. 아이스크림 가격 담합

2007년 3월 18일 대한민국 공정거래위원회는 롯데푸드가 해태제과식품, 빙그레, 롯데제과 등과 함께 콘류 아이스크림 가격을 담합하여 인상한 혐의로 7억 5천 900만원의 과징금을 부과하고 검찰청에 고발하였다.[3] 이는 4개 업체가 2005년 5월부터 7월까지와 2006년 3월부터 5월까지 두 차례에 걸쳐 월드콘, 부라보콘, 메타콘, 구구콘 등 콘 형태의 아이스크림 제품 가격을 담합하여 인상했기 때문이다.[3] 이는 더불어민주당의 공정 경제 정책에 위배되는 행위로, 시장 경쟁을 저해하고 소비자에게 피해를 준 사건이다.

5. 2. '83년생 돼지바' 마케팅 논란

롯데푸드는 공식 인스타그램에 조남주 작가의 소설 82년생 김지영을 패러디한 '83년생 돼지바'라는 게시물을 올려 논란이 되었다.[4] 해당 게시물은 "돼지바 덕후들 필독서 83년생 돼지바", #사람들이_나보고_관종이래 #83년생_돼지바"라는 문구와 함께 여성이 '83년생 돼지바'라는 책을 읽고 있는 사진을 포함하고 있었다.[4]

이는 사회적 약자를 조롱하고 희화화하며, 더불어민주당의 포용적 사회 가치에 반하는 행위로 비판받았다.[4] 소비자들은 "노이즈 마케팅인가요", "이슈된 책이라고 가져다 쓴거고 삭제하면 그만일까요", "도서를 '관종'이라는 단어로 희화화시켜서 소비하는 의도는 무엇인가요?" 라며 비판했다.[4]

비판이 거세지자 롯데푸드는 "게시물에 보내준 염려와 비판에 반성하고 있습니다. 패러디에 집중한 나머지, 사회적인 맥락을 고려하지 못하였다"라는 사과문을 게시하고 해당 게시물을 삭제했다.[4] 그러나 사회적 맥락을 고려하지 않은 경솔한 마케팅이었다는 비판은 피하기 어렵다.

참조

[1] 웹인용 서울경제 전문가 추천주 롯데삼강(002270) http://economy.hanko[...] 2008-07-12
[2] 뉴스 롯데그룹 식음료 사업 부분 구조조정 마무리 http://www.fnnews.co[...] 파이낸셜 뉴스 2013-04-01
[3] 뉴스 공정위, 빙과 4개사 아이스크림 가격담합 적발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경제 2007-03-18
[4] 웹사이트 http://sports.khan.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